KR20210026658A - 항균 및 제균성능이 우수한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항균 및 제균성능이 우수한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658A
KR20210026658A KR1020190107738A KR20190107738A KR20210026658A KR 20210026658 A KR20210026658 A KR 20210026658A KR 1020190107738 A KR1020190107738 A KR 1020190107738A KR 20190107738 A KR20190107738 A KR 20190107738A KR 20210026658 A KR20210026658 A KR 20210026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lock member
water purifier
sediment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하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하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하임
Priority to KR1020190107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658A/ko
Publication of KR20210026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65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01D39/2072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or gran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본 블록부재 및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필터; 및 카본 블록부재, 전기양성 멤브레인부재 및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에 항균성이 우수한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를 포함함으로써, 항균 및 제균성능이 우수한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및 제균성능이 우수한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Compact composite filter for water purifier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and microorganism-removing performances and water purifi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필터 구조를 갖고, 항균/제균 성능이 우수한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를 포함함으로써 항균 및 제균성능이 우수한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질오염과 생활의 질 향상에 따라 마시는 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정수장치가 일반 가정은 물론 사무실, 관공서, 유흥주점, 노래방, 공공장소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장치는 통상 수도관에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받아 다양한 필터 및 정화작용을 거쳐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정수기에 장착되는 필터는 수돗물에 함유된 철, 녹 및 유기물 등의 다양한 불순물을 걸러내는 기능과 함께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다.
정수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세디먼트필터, 카본필터, 멤브레인필터, 그리고 후처리필터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필터들을 2단, 3단 또는 4단으로 직렬 연결한 다단계 필터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다단계 필터 시스템에서는 개별 기능성 필터들을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정수기의 오염관리에 도움이 되고 있다.
그 중에서, 세디먼트 필터는 상수도나 지하수와 같은 원수에 함유된 먼지, 모래, 부유물 등과 같은 이물질 뿐만 아니라 노후된 배관재로 인한 슬러지 또는 오염물을 기계적으로 여과/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며, 이후에 배치된 필터들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세디먼트필터는 원수의 유형(예: 상수도, 지하수, 빗물 등)에 상관없이 거의 대부분의 필터 시스템에서 1차 필터로서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세디먼트필터의 교환주기는 물사용량과 원수의 오염정도에 따라 대개 3∼6개월마다 1회씩 교환하는 것이 요구된다. 세디먼트 필터가 제때 교환되지 않을 경우, 필터에 여과된 슬러지 형태의 유무기물로 인한 필터 막힘, 차압 증가, 흐름 정체 및/또는 출수량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후속 필터에서 세균 증식 및/또는 생물막 형성이 촉진될 수 있다는 등의 더 큰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세디먼트 필터는 후속 필터의 보호를 위해 부유물 및 이물질의 기계적인 여과에 그의 기능 및 효능이 집중 및 한정되어 있고, 교체주기도 다른 후속 필터들에 비해 짧다. 따라서, 빈번한 교체가 요구되는 세디먼트 필터에 항균성과 같은 다른 기능을 부여하고자 하는 시도나 세디먼트 필터를 다른 후속 필터와 일체형으로 복합화하려는 시도는 생산비용의 향상 만을 초래하고 실질적인 효과는 얻지 못하였다.
한편, 정수기의 카본 필터로는 석탄, 목재나 야자열매를 원료로 활성탄의 흡착 방식을 이용한 카본필터로서, 물 속에 남아있는 염소성분 (트리할로메탄)과 같은 유기 화학물질과 냄새를 흡착, 제거하여 수돗물 속에 녹아있는 농약이나 세제, 소독약 성분들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카본 필터로는 입상의 활성탄으로 된 필터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다단계 필터 시스템은 다수의 개별 필터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고, 필터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필터 관리가 번잡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이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1513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5096호에서는, 상술한 개별 기능성 필터들을 하나의 하우징 내에 순차적, 병렬적으로 배치하여 "공간의 컴팩트화"를 추구하는 복합필터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의 컴팩트화"를 추구한 필터의 경우, 필터의 사이즈 축소화로 인해 개별 필터들의 기능이나 능력이 제한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정수 성능 (용량, 효율)의 저하 및 수질 악화를 야기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36666호에서는,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부재와 카본 필터부재 또는 멤브레인 필터부재를 각각 10층씩 적층한 다층구조의 제1 필터와, 항균성 세디먼트 필터부재와 멤브레인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제2 필터로 구성된 복합 필터를 제시하고 있고, 이 경우 제1 필터에서 각각의 필터부재가 여러층 적층되어야 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제작비용도 증대될 뿐 아니라, 컴팩트화의 관점에서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카본 필터부재가 제1 필터에만 포함됨으로써, 제2 필터의 정수 기능 부담이 그다지 감소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제2 필터의 교체주기가 단축될 수 있음으로 인해 컴팩트화에 의한 비용 절감효과를 상쇄시킬 수도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1513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5096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3666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필터와 제2 필터의 필터 부재들의 특정 조합 및 규격의 최적화를 통해, 공간의 컴팩트화 뿐만 아니라 고성능화를 동시에 충족시킴으로써, 우수한 정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필터의 장수명화(필터 교체 주기의 연장)를 통해 관리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항균성 및 제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성능 컴팩트 복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고성능 컴팩트 복합 필터를 포함함으로써 필터의 수명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고, 정수 효과가 우수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는,
카본 블록부재 및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필터; 및
카본 블록부재, 전기양성 멤브레인부재 및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의 카본 블록부재 및 상기 제2 필터의 카본블록부재의 두께비는 1:0.3∼0.7이고,
상기 제1 필터에서, 상기 카본 블록부재 및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두께비는 1:0.5∼0.7이며,
상기 제2 필터에서, 상기 카본 블록부재, 전기양성 멤브레인부재 및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두께비는 1:0.7∼0.9:1∼1.5인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필터 및 제2 필터에서, 상기 카본 블록부재는 활성탄 분말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하는 카본 블록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및 제2 필터에서, 상기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는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 중의 은농도는 20∼40ppm일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및 제2 필터에서, 상기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는 황토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제1 필터와 제2 필터의 사이에 압력계 및 유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에 의하면, 필터 조립체 전체에 걸쳐 항균성 및 제균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높은 은 함량에도 은 용출성을 ppb 이하의 수준으로 낮추어 음용수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고, 필터의 수명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에 의하면, 본 발명의 컴팩트 복합 필터와 유량계 및 압력계를 포함함으로써 정수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필터의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제1 필터 및 제2 필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필터 및 제2 필터를 필터 케이스에 연입한 필터 제품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구체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발명의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필터는 카본 블록부재 및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로 이루어지고, 롤형 구조를 가지며, 롤형 구조의 중심부에는 부재를 통과한 물이 모여서 전술한 필터 케이스의 배수구로 흘러갈 수 있는 원통형 공간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는 원통형 공간부를 중심으로 카본 블록부재 및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권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는 카본 블록부재, 전기양성 멤브레인부재 및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로 이루어지고, 롤형 구조를 가지며, 롤형 구조의 중심부에는 부재를 통과한 물이 모여서 전술한 필터 케이스의 배수구로 흘러갈 수 있는 원통형 공간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는 원통형 공간부를 중심으로 카본 블록부재, 전기양성 멤브레인부재 및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권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및 제2 필터에서, 상기 전기양성 멤브레인부재 및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재질은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술폰(PSF), 셀룰로스아세테이트(CA) 및 테플론(PTF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의 카본 블록부재 및 상기 제2 필터의 카본블록부재의 두께비는 1:0.3∼0.7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러한 두께비의 범위를 가짐으로써, 제1 필터에서 염소를 충분히 필터링할 수 있어 제2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또한 3개의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제2 필터의 컴팩트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에서, 상기 카본 블록부재 및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두께비는 1:0.5∼0.7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6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카본 블록부재에서 염소가 충분히 필터링되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제2 필터에서, 상기 카본 블록부재, 전기양성 멤브레인부재 및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두께비는 1:0.7∼0.9:1∼1.5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항균성 및 제균성이 낮아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필터에서, 상기 카본 블록부재의 두께는 10∼12mm, 특히 11mm일 수 있고, 상기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두께는 5∼7mm, 특히 6.5mm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필터에서, 상기 카본 블록부재의 두께는 5∼7mm, 특히 5.75mm일 수 있고, 상기 전기양성 멤브레인부재의 두께는 4∼6mm, 특히 5mm일 수 있으며, 상기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두께는 5∼7mm, 특히 6.75mm일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및 제2 필터에서, 상기 카본 블록부재는 활성탄 분말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하는 카본 블록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에서, 상기 전기양성 멤브레인필터는 정밀여과막 (MF; Microfiltration Membrane), 한외여과막(UF; Ultrafiltration Membrane), 나노여과막(NF; Nanofiltration Membrane) 및 역삼투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및 제2 필터에서, 상기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는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는, 은나노 입자와 수지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05360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은나노 유무기 복합 수지는 다음의 단계들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1) 은나노 복합 세라믹을 합성하는 단계;
(2) 제1 고분자 수지의 분쇄물을 예열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제1 고분자 수지의 분쇄물의 일부량에 상기 (1) 단계의 은나노 복합 세라믹을 투입한 후, 초음파 진동기를 이용하여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 졸(sol)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2) 단계의 제1 고분자 수지의 분쇄물의 나머지량과 상기 (3) 단계에서 제조된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 졸을 혼합함과 동시에 분쇄하여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는 입자크기가 한정되는 않지만,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소재인 고분자 수지와의 혼합 및/또는 방사의 용이성을 위해 대략 0.1∼100 미크론, 구체적으로는 0.2∼50미크론, 바람직하게는 0.5∼10미크론의 평균입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 중의 은농도는 20∼40ppm인 것이 바람직하고, 25∼35pp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pp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20ppm 미만이면 항균성능 및 제균성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40ppm을 초과하는 경우, 용출시험에서 ppm 수준 이상의 은이온을 방출할 수 있어 정수기용 항균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나노 외에도 항균성능을 갖는 다른 금속들, 예를들면 Cu, Zn, Pt, Au 및 Fe 등을 은나노 입자의 은(Ag)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는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 및 고분자 수지를 함께 용융방사하여 1∼100 미크론의 기공을 갖는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고분자 수지를 용융 방사하여 제조된 부직포 위에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를 용융 방사하여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필터 및 제2 필터에서, 상기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는 나노크기 황토 분말(이하, '나노 황토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노 황토 분말을 포함할 경우, 황토 분말속에 포함된 미네랄이 용해되어 인체에 유익한 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나노 황토 분말의 입자 크기는,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제조시에 방사 용이성을 고려하여 1nm 내지 1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 황토 분말은 상기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0.1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1∼0.0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제1 필터와 제2 필터의 사이에 압력계 및 유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압력계 및 유량계를 포함함으로써, 필터의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필터의 장수명화(필터 교체 주기의 연장)를 통해 관리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실시한 실시예 및 실험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평가>
1) 항균력
JIS L 1902에 따라 테스트하였다.
2) 제균력
JIS Z2911에 따라 테스트하였다.
3) 용출시험
24시간 통수 시험한 용출된 용출수를 이용하여 용출농도를 검출하였다.
제조예: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를 함유하는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제조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재질로서 폴리프로필렌(PP) (PPJ700, HYOSUNG Corp, 한국)을 압출기에 도입하고, 40bs 동안 고속회전(100 rpm)시켰다. 여기에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05360호의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된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와 나노 황토 분말을 서서히 첨가하였고, 25분 동안 고속회전시켜, 수분을 충분히 제거한 후, 쌍축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마스터 배치 중의 은(Ag) 농도는 30ppm이었다.
수득된 마스터배치를 용융 방사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1 필터의 제조
도 1에 나타낸 치수대로, 카본필터 블록부재로서 카본섬유 부직포(A)를 권취하고,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로서,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된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부직포(B)를 권취하여 실린더 형태의 제1 필터를 제조하였다.
2) 제2 필터의 제조
도 1에 나타낸 치수대로, 카본필터 블록부재로서 카본섬유 부직포(A)를 권취하고, 그 위에 전기양성 멤브레인부재(B)를 권취한 다음,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로서,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된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부직포(C)를 권취하여 실린더 형태 제1 필터를 제조하였다.
3) 정수기의 제작
상기에서 수득된 제1 필터와 제2 필터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입수구 및 하부에 배수구가 설치된 각각의 필터 케이스에 연입하고, 제1 필터 케이스와 제2 필터 케이스 사이에 유량계와 압력계를 설치하여 정수기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에서 제작된 정수기에 물을 채워 통수한 후, 용출수 중 은의 용출 농도를 검사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은이 불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결과
mg/L 불검출
(정량한계 0.005)
실험예 2
실시예에서 제작된 정수기에 농도 3.2×103 대장균이 섞인 물 3,500 리터를 통수하고, 통수하는 사이 1리터씩 5회 채수하고, 24시간 보관 후 대장균수를 파악한 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5회 모두에서 99% 이상의 제거율(제균과 항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료명 대장균(CFU/mL)
조제수 농도 통과수 농도 제거율(%)
1회

3.2×103
16 99.50
2회 22 99.31
3회 17 99.46
4회 20 99.37
5회 18 99.43
실험예 3
실시예에서 제작된 정수기를 이용한 용출수에 대해 정수 성능을 확인한 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세균이 존재하지 않고, 유리잔류염소와 클로로포름이 불검출되었고, 색도도 불검출로 무색으로 나타나고, 탁도 또한 0.05NTU의 결과로 음용수로서 적합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항목 단위 결과
상수도 1회 2회 3회 4회 5회
일반세균 CFU/mL 0 0 0 0 0 0
유리잔류염소 mg/L 0.21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클로로포름 mg/L 0.034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색도 -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탁도 NTU 0.06 0.0 0.05 0.05 0.05 0.05

Claims (7)

  1.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로서,
    카본 블록부재 및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필터; 및
    카본 블록부재, 전기양성 멤브레인부재 및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의 카본 블록부재 및 상기 제2 필터의 카본블록부재의 두께비는 1:0.3∼0.7이고,
    상기 제1 필터에서, 상기 카본 블록부재 및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두께비는 1:0.5∼0.7이며,
    상기 제2 필터에서, 상기 카본 블록부재, 전기양성 멤브레인부재 및 세디먼트 블록부재의 두께비는 1:0.7∼0.9:1∼1.5인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및 제2 필터에서, 상기 카본 블록부재는 활성탄 분말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하는 카본 블록부재인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및 제2 필터에서, 상기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는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 중의 은농도는 20∼40ppm인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및 제2 필터에서, 상기 항균성 세디먼트 블록부재는 나노 황토 분말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제1 필터와 제2 필터의 사이에 압력계 및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90107738A 2019-08-30 2019-08-30 항균 및 제균성능이 우수한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10026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738A KR20210026658A (ko) 2019-08-30 2019-08-30 항균 및 제균성능이 우수한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738A KR20210026658A (ko) 2019-08-30 2019-08-30 항균 및 제균성능이 우수한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658A true KR20210026658A (ko) 2021-03-10

Family

ID=7514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738A KR20210026658A (ko) 2019-08-30 2019-08-30 항균 및 제균성능이 우수한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65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513B1 (ko) 2002-06-18 2005-05-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KR20110085096A (ko) 2010-01-19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활성탄소섬유와 이온교환섬유가 포함된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70036666A (ko) 2017-03-22 2017-04-03 주식회사 해넷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흡착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513B1 (ko) 2002-06-18 2005-05-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KR20110085096A (ko) 2010-01-19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활성탄소섬유와 이온교환섬유가 포함된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70036666A (ko) 2017-03-22 2017-04-03 주식회사 해넷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흡착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harupaneedi et al. Membrane-based separation of potential emerging pollutants
Anis et al. Reverse osmosis pretreatment technologies and future trends: A comprehensive review
US9808751B2 (en) Complex filt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complex filter
KR20170036666A (ko)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흡착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KR20160148760A (ko) 항균성 세디먼트필터 부재와 흡착필터 부재를 적층시킨 다층구조의 혼성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CN109414901B (zh) 抗微生物复合过滤材料及其制备方法
US20020005385A1 (en) Water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Amin et al. A review of nanomaterials based membranes for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polluted waters
JP2005313151A (ja) 水の処理方法
KR101799964B1 (ko) 항균 능력이 개선된 정수기 필터 카트리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N210915611U (zh) 复合滤芯及净水系统
CN201010530Y (zh) 复合式净水系统
CN105600973A (zh) 一种饮用水终端杀菌净水器
EP3563928B1 (en) Hollow fiber membrane for filtration of liquids
KR20210026658A (ko) 항균 및 제균성능이 우수한 정수기용 컴팩트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N101704603A (zh) 一种多级水质净化器
JP3569862B2 (ja) 浄水用抗菌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EP3846933A1 (de) Vorrichtung zur mehrstufigen reinigung von trinkwasser
KR102343749B1 (ko) 다중 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CN211078658U (zh) 纯净水水处理生产线
KR200242686Y1 (ko) 음용수 정수기
AU2017210540B2 (en) Filter system
Boussemghoune et al. Preparation of multilayer polyelectrolyte ceramic membrane for water disinfection
KR20010095335A (ko) 키토산을 함유한 정수용 필터 카트리지와 그 제조 방법
AU2021106161A4 (en) 5 in 1 Water Purif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