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740A -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 Google Patents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740A
KR20160148740A KR1020150084793A KR20150084793A KR20160148740A KR 20160148740 A KR20160148740 A KR 20160148740A KR 1020150084793 A KR1020150084793 A KR 1020150084793A KR 20150084793 A KR20150084793 A KR 20150084793A KR 20160148740 A KR20160148740 A KR 2016014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input
menu
editing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981B1 (ko
Inventor
류귀진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4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98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20Direct sintering or melting
    • B29C67/008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8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3차원 도면 설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맞춤화된 장신구를 설계하고 이를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하여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은,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하여 장신구를 출력하기 위한 3차원 모델인 장신구 모델 제작 요청을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 시, 장신구 모델의 제작에 관한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 장신구 모델을 생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인 제작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인터페이스 실행부; 제작 인터페이스의 실행 입력을 수신 시, 장신구별 기본 모델을 로드하고, 장신구별로 기설정된 기본 모델에 대한 편집 입력 메뉴를 로드하여, 기본 모델과 편집 입력 메뉴를 제작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도록 하는 편집 메뉴 제공부; 및 입력 수단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장신구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장신구의 기본 모델을 제작 인터페이스에 출력하고, 편집 메뉴 제공부에 의하여 출력된 편집 입력 메뉴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기본 모델을 편집함으로써, 장신구 모델을 제작하는 장신구 모델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TERMINAL FOR MANUFACTURING ACCESSORY USING 3D PRINTER}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3차원 도면 설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맞춤화된 장신구를 설계하고 이를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하여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성 중시 문화 및 소비자 층의 확대에 힘입어, 반지, 팔찌, 귀걸이, 목걸이 등 다양한 장신구의 판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의 장신구 시장은 사용자의 개성에 맞추어 모델이 제작되는 것이 추세이다.
이러한 장신구는 기본적으로, 금형의 틀에 금속 재료를 주입하여 장신구를 제작하는 방식 또는 기본 모델을 구성하는 금속을 디자이너 또는 세공사가 직접 세공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인력의 낭비 및 제작 시간의 증가로 인하여 상기의 최근의 장신구 시장의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최근 상용화된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장신구 제작 방법으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2012-0075931호 등에서는, 3차원 설계도를 이용하여 반지 모형을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형을 제작한 뒤, 제작된 금형을 이용하여 실제 반지를 제작하는 장신구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식은 결국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더라도 금형이 따로 제작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금형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별로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의 장신구를 각각 제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금형이 일일이 제작해야 한다는 점에서 제조 단가의 상승을 피할 수 없고, 제조 시간이 증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사용자별, 디자이너별 맞춤형 장신구 제작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3차원 프린터를 통하여 직접 장신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성적인 장신구를 적은 단가로 빠르게 제조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련된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은,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하여 장신구를 출력하기 위한 3차원 모델인 장신구 모델 제작 요청을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 시, 상기 장신구 모델의 제작에 관한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장신구 모델을 생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인 제작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인터페이스 실행부; 상기 인터페이스 실행부로부터의 상기 제작 인터페이스의 실행 입력을 수신 시, 장신구별 기본 모델을 로드하고, 상기 장신구별로 기설정된 상기 기본 모델에 대한 편집 입력 메뉴를 로드하여, 상기 기본 모델과 상기 편집 입력 메뉴를 상기 제작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도록 하는 편집 메뉴 제공부; 및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장신구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장신구의 기본 모델을 상기 제작 인터페이스에 출력하고, 상기 편집 메뉴 제공부에 의하여 출력된 편집 입력 메뉴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기본 모델을 편집함으로써, 상기 장신구 모델을 제작하는 장신구 모델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 모델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이미지 또는 촬영 사진을 기반으로 사이즈 및 모델 형상을 직접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작된 장신구 모델을 직접 3차원 프린터 및 금속 분말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자이너 등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장신구 모델을 기본 모델로부터 용이하게 편집하고, 이를 바로 3차원 프린터에 전송하여 장신구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개성적인 다양한 장신구의 제작에 있어서의 제조 단가 및 제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작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업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버”란, 다수의 단말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된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을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그 기능에 따라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10, 이하 단말이라 함)은 그 기능을 중심으로, 인터페이스 실행부(11), 편집 메뉴 제공부(12), 장신구 모델 제작부(13)를 주요 구성으로서 포함하며, 장신구 제작부(14) 역시 주요 구성으로서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부가적인 기능 수행을 위하여, 단말(10)은 출력 수단(16), 입력 수단(17), 통신 수단(18) 및 메모리(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단말(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작 인터페이스가 실행 및 출력되고,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용 단말 이외에,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휴대용 PC 및 일반 PC 등 상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단말에 본 발명에서의 단말(10)에 포함될 것이다.
이러한 단말(10)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실행부(11), 편집 메뉴 제공부(12), 장신구 모델 제작부(13) 및 장신구 제작부(14)는 단말(10)의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인터페이스 실행부(11)는, 3차원 프린터(20)를 활용하여 장신구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3차원 모델인 장신구 모델의 제작 요청을 입력 수단(17)으로부터 수신하게 되면, 장신구 모델의 제작에 관한 입력 수단(17)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 장신구 모델을 제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인 제작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장신구 모델이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3차원 설계 도면 데이터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장신구 모델을 3차원 프린터(20)에 전송하면, 3차원 프린터(20)는 장신구 모델에 대응하는 장신구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제작 요청이라 함은 예를 들어 제작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행 요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단말(10) 내부의 입력 수단(17)을 통해 단말(10)에 저장된 제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실행 요청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의 제작 요청으로 이해될 수 있다.
편집 메뉴 제공부(12)는 인터페이스 실행부(11)로부터의 제작 인터페이스의 실행 입력을 수신 시, 장신구별로 기설정된 기본 모델(기본 3차원 설계 도면)을 로드하고, 장신구별로 기설정된 기본 모델에 대한 편집 입력 메뉴를 로드하여, 기본 모델과 편집 입력 메뉴를 제작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작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단말(10)의 출력 수단(16)에 출력될 것이다. 편집 메뉴 제공부(12)는 제작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때 기본 모델 및 편집 입력 메뉴 등을 함께 출력 수단(16)에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장신구별로 기설정된 기본 모델이란, 예를 들어 반지의 경우 기본 링 반지의 3차원 설계 도면 등 각 장신구마다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기본 3차원 설계 도면을 의미한다.
편집 입력 메뉴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기본 모델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출력 수단(16)에 출력되어 입력 수단(17)을 통해 선택 입력 및 편집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메뉴를 의미한다.
각 장신구는 서로 다른 형태, 사이즈 및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편집 입력 메뉴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장신구마다 서로 다른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편집 입력 메뉴에는 장신구의 부분 형상을 수정하거나, 사이즈를 변동시키거나, 장신구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재질을 수정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장신구를 편집 시, 장신구의 전체를 수정할 수도 있으나, 기본 모델 중 일부의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수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메모레(15)에 저장되는 기본 모델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복수의 영역 중 전체 또는 적어도 일 영역이 편집 가능한 영역으로서 편집 가능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편집 입력 메뉴는, 상기의 편집 가능 영역마다 편집 입력 메뉴를 통해 기본 모델을 편집할 수 있도록 메모리(15)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지의 경우, 메인 영역, 링 영역, 링 내부면 영역, 링 외부면 영역으로 구분되고, 모든 영역이 편집 가능 영역으로 설정되며, 각 영역을 선택 시 해당 영역에 대한 편집 입력 메뉴가 마련될 수 있다. 편집 입력 메뉴는 각 영역마다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장신구 모델 제작부(13)는, 입력 수단(17)으로부터 장신구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장신구의 기본 모델을 제작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도록 하고, 편집 메뉴 제공부(12)에 의하여 출력된 해당 장신구의 편집 입력 메뉴에 대한 입력 수단(17)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기본 모델을 편집함으로써, 장신구 모델을 제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기본 모델이 편집되는 중간의 편집된 장신구 모델은 실시간으로 편집이 반영된 형태로 변경되어 제작 인터페이스에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장신구 모델 제작부(13)는 입력 수단(17)으로부터의 편집 입력 메뉴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기본 모델을 편집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출력될 장신구 모델을 제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그 과정을 출력 수단(16)을 통해 출력되는 제작 인터페이스에 반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장신구 제작부(14)는 장신구 모델 제작부(13)를 통해 제작되는 장신구 모델에 대하여, 입력 수단(17)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해당 제작이 완료되었다는 완료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외부의 3차원 프린터(20)에 통신 수단(18)을 통하여 제작이 완료된 장신구 모델을 전송함으로써, 3차원 프린터(20)로부터 제작이 완료된 장신구 모델에 대응하는 장신구가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장신구 모델 제작부(13)의 상세한 기능 수행의 예에 대해서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작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이다. 도 2 내지 4의 제작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장신구 모델 제작부(13)의 기능 수행을 통한 장신구 모델 제작의 예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제작 인터페이스 중 메인 화면(100)의 예를 확인할 수 있다. 메인 화면(100)상에는 장신구를 선택할 수 있는 종류 선택 메뉴(110)가 포함될 수 있다. 모델 화면(120)에는 현재 도 2에서는 기본 모델의 형상(121)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편집에 따라서 편집중인 장신구 모델이 모델 화면(120)에 반영되어 출력될 수 있다.
모델 화면(120)에는 편집 가능 영역(A, B)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편집 가능 영역(A, B)을 확인하고 각 영역마다 또는 전체적인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이즈 화면(130)에서는 장신구 모델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다. 장신구 모델 제작부(13)는, 입력 수단(17)으로부터 편집 입력 메뉴들 중, 사이즈 화면(130) 상의 사이즈 변경 메뉴(131)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이에 대응하는 사이즈(예를 들어 10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기본 모델의 사이즈를 사이즈 입력에 매칭되도록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사이즈 변경 메뉴(131)가 아닌 자동 측정 메뉴(자동 사이즈 변경 메뉴)(132)에 대한 입력 수단(17)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장신구 모델 제작부(13)는 단말(20)에 포함된 촬영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하여, 장신구가 장착되는 신체를 촬영한 이미지인 신체 이미지를 함께 수신하게 되고, 신체 이미지를 분석하여 장신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분인 장신구 부착 영역의 신체의 사이즈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신체의 사이즈에 따라서 기본 모델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영 메뉴(300) 상에 촬영 장치(미도시)를 통해 반지가 장착되는 신체부분인 손가락 부분을 촬영한 신체 이미지(310)가 수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체 이미지(310)의 배경 및 신체의 이미지의 픽셀을 분석하게 됨으로써, 장신구 모델 제작부(13)는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신체를 촬영 시 촬영 장치와 신체 사이의 거리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신체 이미지를 분석 시, 촬영된 신체 이미지 상의 신체의 장신구 부착 영역(C)의 이미지 상의 사이즈를 측정한 뒤, 분석된 거리와 측정된 장신구 부착 영역(C)의 사이즈를 삼각 측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실제 신체의 사이즈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이즈 적용 메뉴(320)을 선택하여 해당 사이즈를 실제로 장신구 모델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각 영역에 대한 형상 편집 메뉴(140)를 확인할 수 있다. 형상 편집 메뉴(140)에 대한 입력 수단(17)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장신구 모델 제작부(13)는 모델(121)의 형상을 편집할 수 있다.
편집 메뉴에는 편집 도구 메뉴(141) 및 이미지 삽입 메뉴(142)를 확인할 수 있다. 편집 도구 메뉴(141)는 입력 수단(17)을 통해 일반적으로 3차원 설계 도면을 편집하기 위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툴(Tool)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메뉴를 의미한다.
한편, 이미지 삽입 메뉴(142)는 편집 입력 메뉴에 포함된 메뉴로서, 구체적으로 입력 수단(17)으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잇는 메뉴이며, 즉 사용자는 이미지 삽입 메뉴(142)를 선택하여 별도로 자신이 제작하거나 저장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기본 모델을 편집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삽입 메뉴(142)는 이미지를 이용한 편집 메뉴, 즉 이미지 편집 메뉴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장신구 모델 제작부(13)는, 이미지 편집 메뉴인 이미지 삽입 메뉴(142)에 대한 입력 수단(17)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기본 모델을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미지 편집 메뉴(200)의 화면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이미지 편집 메뉴(200) 상에서는 불러오기 메뉴(210)를 통해 사용자가 삽입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삽입할 이미지를 선택하여 이미지 파일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행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편집 가능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행하게 되면, 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장신구 모델 제작부(13)는 편집 가능 영역에 포함된 기본 모델을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모델로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게 되면 장신구 모델 제작부(13)는 선택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의 수신에 따라서, 이미지 파일을 기본 모델의 포맷으로 변경한 가상 편집 모델(220)을 생성하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기본 모델을 변경한다.
한편 가상 편집 모델(220)에 대한 사용자의 수정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하기 메뉴(230)가 존재한다. 이는, 가상 편집 모델(220)에 대한 입력 수단(17)으로부터의 수정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메뉴로서, 사용자는 도 2의 편집도구 메뉴와 유사한 인터페이스로서 편집하기 메뉴(230)를 이용하여 가상 편집 모델(220)을 직접 수정할 수 있다.
한편, 적용 메뉴(240)는 가상 편집 모델(220), 즉 사용자가 로드하고 수정한 모델을 기본 모델에 적용하기 위한 적용 입력의 수행이 가능한 메뉴이다. 즉 장신구 모델 제작부(13)는 적용 메뉴(240)에 대한 입력 수단(17)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 시, 현재 가상 편집 모델(220)로 출력되는 모델을 기본 모델의 영역 중 해당 모델에 대응하는 편집 가능 영역에 적용함으로써, 기본 모델을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직접 자신이 디자인한 이미지 또는 메뉴를 이용하여 장신구 모델로서 3차원 설계 도면을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의 기능은, 사업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사업자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사업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사업자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하여 장신구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3차원 모델인 장신구 모델의 제작 요청을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 시, 상기 장신구 모델의 제작에 관한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장신구 모델을 제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인 제작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인터페이스 실행부;
    상기 제작 인터페이스의 실행 입력을 수신 시, 장신구별 기본 모델을 로드하고, 상기 장신구별로 기설정된 상기 기본 모델에 대한 편집 입력 메뉴를 로드하여, 상기 기본 모델과 상기 편집 입력 메뉴를 상기 제작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도록 하는 편집 메뉴 제공부; 및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장신구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장신구의 기본 모델을 상기 제작 인터페이스에 출력하고, 상기 편집 메뉴 제공부에 의하여 출력된 편집 입력 메뉴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기본 모델을 편집함으로써, 상기 장신구 모델을 제작하는 장신구 모델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장신구 모델 제작부로부터 상기 장신구 모델의 제작에 관한 완료 신호를 수신 시, 외부의 3차원 프린터에 제작이 완료된 장신구 모델을 전송하여, 상기 3차원 프린터로부터 상기 제작이 완료된 장신구 모델에 대응하는 장신구가 출력되도록 하는 장신구 제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모델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이 편집 가능한 편집 가능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편집 가능 영역마다 상기 편집 입력 메뉴를 통해 기본 모델을 편집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모델 제작부는,
    상기 편집 입력 메뉴 중, 입력 수단으로부터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기본 모델을 편집하기 위한 메뉴로서 이미지 편집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상기 이미지 편집 메뉴에 포함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편집 가능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편집 가능 영역에 포함된 기본 모델을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모델로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모델 제작부는,
    상기 선택 입력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기본 모델의 포맷으로 변경한 가상 편집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편집 모델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수정 입력 또는 적용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정 입력에 따라서 상기 가상 편집 모델을 수정한 뒤, 상기 적용 입력에 따라서 상기 기본 모델을 상기 가상 편집 모델로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모델 제작부는,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편집 입력 메뉴 중, 상기 기본 모델에 대한 사이즈 변경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사이즈 변경 메뉴에 대응하는 사이즈 입력을 수신 시, 상기 기본 모델의 사이즈를 상기 사이즈 입력에 매칭되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모델 제작부는,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이즈 변경 메뉴에 포함된 자동 사이즈 변경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장신구가 장착되는 신체를 촬영한 이미지인 신체 이미지를 수신 시, 상기 신체 이미지를 분석하여 장신구 부착 영역의 상기 신체의 사이즈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신체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기본 모델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모델 제작부는,
    상기 신체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 이미지에 포함된 신체를 촬영 시 촬영 장치와 신체 사이의 거리를 분석하고, 상기 신체 이미지 상의 신체의 장신구 부착 영역의 사이즈를 측정한 뒤, 상기 분석된 거리와 상기 측정된 장신구 부착 영역의 사이즈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의 사이즈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입력 메뉴는,
    상기 기본 모델에 설정된 장신구의 재질을 수정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KR1020150084793A 2015-06-16 2015-06-16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KR10170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793A KR101705981B1 (ko) 2015-06-16 2015-06-16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793A KR101705981B1 (ko) 2015-06-16 2015-06-16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740A true KR20160148740A (ko) 2016-12-27
KR101705981B1 KR101705981B1 (ko) 2017-02-13

Family

ID=5773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793A KR101705981B1 (ko) 2015-06-16 2015-06-16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9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829A1 (ko) * 2018-01-23 2019-08-01 주식회사 파트론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5513B1 (ko) * 2018-10-22 2020-03-31 주식회사 유씨드 3d도면 온라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56998B1 (ko) * 2022-10-05 2023-07-19 윤주원 3d도면을 제공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0415B (zh) * 2018-12-10 2022-03-11 梦工场珠宝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珠宝3d打印制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506A (ja) * 2001-12-28 2003-07-11 Canon Electronics Inc サーバ、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40148208A (ko) * 2013-06-21 2014-12-31 주식회사 삼도쥬얼리 정밀 장신구 제조 방법 및 제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506A (ja) * 2001-12-28 2003-07-11 Canon Electronics Inc サーバ、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40148208A (ko) * 2013-06-21 2014-12-31 주식회사 삼도쥬얼리 정밀 장신구 제조 방법 및 제작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829A1 (ko) * 2018-01-23 2019-08-01 주식회사 파트론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95585A (ko) * 2018-01-23 2019-08-16 (주)파트론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5513B1 (ko) * 2018-10-22 2020-03-31 주식회사 유씨드 3d도면 온라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56998B1 (ko) * 2022-10-05 2023-07-19 윤주원 3d도면을 제공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981B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8390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server kit by a server management system
EP3874461B1 (en) 3d avatar rendering
CN112219229B (zh) 优化的头像资产资源
US20200004759A1 (en) Generative content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11922564B2 (en) Generative content system that supports location-based services and methods therefor
CN109597814B (zh) 一种后台管理信息系统的在线快速交付系统
KR101705981B1 (ko)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을 위한 단말
US20200007556A1 (en) Server kit configured to marshal resource calls and methods therefor
US20120194541A1 (en) Apparatus to edit augmented reality data
US11798243B2 (en) Crowd sourced mapping system
KR102174766B1 (ko) 기반 모델 생성, 맞춤화 및 모델 시각화를 위한 통합된 환경
TWI471802B (zh) 行動裝置應用程式之轉換方法及可轉換行動裝置應用程式之行動裝置和系統
CN108304676B (zh) 装配体三维模型自动重建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20160350827A1 (en) Apparatus for selling 3d printed jewelry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1303111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lighting plan
KR20140147329A (ko) 락 스크린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0218B1 (ko) 3차원 캐드 도면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
CN109981719A (zh) 信息处理方法及其系统、计算机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CN109062779A (zh) 测试控制方法、主控设备、被控设备及测试系统
US201803734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t selection in virtual reality
CN110516218A (zh) 表格的生成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50356507A1 (en)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total solution in which product design, design community, product manufacturing through design, and marketing are carried out online
CN113436346A (zh) 三维空间内的测距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1482827A (zh) 移动地理信息系统中嵌入企业业务模块的方法
US104095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software applications of wearab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