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197A -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197A
KR20160148197A KR1020150084866A KR20150084866A KR20160148197A KR 20160148197 A KR20160148197 A KR 20160148197A KR 1020150084866 A KR1020150084866 A KR 1020150084866A KR 20150084866 A KR20150084866 A KR 20150084866A KR 20160148197 A KR20160148197 A KR 20160148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erobic
reaction tank
bioreactor
anaerobic reaction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협
최용수
최재우
정영미
박찬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84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197A/ko
Publication of KR20160148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53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anaerobic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Abstract

본 발명은 혐기조건으로 운전되는 생물반응조 내에 분리막을 침지시켜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조를 구성하고, 생물반응조를 격벽을 기준으로 2개의 혐기반응조로 구분하여 제 1 혐기반응조는 하수의 혐기성처리를 유도하고 제 2 혐기반응조는 하수의 혐기성처리 및 함께 분리막에 의한 여과처리를 유도함으로써 고액분리 효율을 증대시킴과 함께 분리막의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전체 공정을 중단시킬 필요없이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조건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는 혐기조건으로 운전되는 혐기성 생물반응조; 상기 혐기성 생물반응조 내에 구비되어, 혐기성 생물반응조의 공간을 제 1 혐기반응조와 제 2 혐기반응조로 구분하는 격벽; 및 상기 제 2 혐기반응조 내에 침지되어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된 하수를 대상으로 여과 공정을 진행하는 분리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은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격벽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 1 혐기반응조와 제 2 혐기반응조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처리대상수 이동통로가 구비되거나, 제 1 혐기반응조가 밀폐될 수 있으며, 상기 처리대상수 이동통로를 통해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된 하수가 제 2 혐기반응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Submerged anaerobic membrane bioreactor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혐기조건으로 운전되는 생물반응조 내에 분리막을 침지시켜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조를 구성하고, 생물반응조를 격벽을 기준으로 2개의 혐기반응조로 구분하여 제 1 혐기반응조는 하수의 혐기성처리를 유도하고 제 2 혐기반응조는 하수의 혐기성처리 및 함께 분리막에 의한 여과처리를 유도함으로써 고액분리 효율을 증대시킴과 함께 분리막의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전체 공정을 중단시킬 필요없이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조건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수 및 폐수의 처리에 분리막 생물반응기(membrane bio-reactor; MBR)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분리막 생물반응기는 활성슬러지로 대표되는 생물학적 처리공정과 분리막을 결합하여 고효율로 하수를 처리하는 공정으로서, 슬러지의 침전성에 상관없이 반응조 내의 미생물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시설이 컴팩트하고 고부하 운전이 가능하며 동시에 우수한 처리수질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컴팩트함과 에너지 효율성의 장점으로 폭기조 내에 직접 분리막을 침지하여 처리수를 흡인해내는 형태의 침지식 분리막 생물반응기가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315968호, 한국특허공개 제2000-6588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침지식 분리막 생물반응기를 운전함에 있어서, 이물질에 의한 분리막의 파울링(fouling)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데 이러한 파울링을 제거하기 위해 주기적인 폭기가 요구된다. 침지식 분리막 생물반응기에 적용되는 분리막은 고분자 재질의 분리막이 사용되어 왔으나, 파울링 제거를 위한 세정주기가 짧고 화학적 세정이 제한적이라는 단점 때문에 최근에는 세라믹 재질의 분리막 적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의 침지식 분리막 생물반응기는 대부분의 경우 호기조건 하에서 진행된다. 즉, 생물반응기 내에 분리막을 침지시킨 상태에서 생물반응기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미생물의 호기성 처리를 통해 하수를 처리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호기성 처리는 산소의 공급에 상당한 양의 에너지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혐기성 처리는 산소의 공급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바이오가스를 생성하여 이용 가능한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혐기성처리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성장속도가 느린 혐기성 미생물들을 반응조 내에 고농도로 유지함과 함께 혐기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315968호 한국특허공개 제2000-658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혐기조건으로 운전되는 생물반응조 내에 분리막을 침지시켜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조를 구성하고, 생물반응조를 격벽을 기준으로 2개의 혐기반응조로 구분하여 제 1 혐기반응조는 하수의 혐기성처리 및 함께 분리막에 의한 여과처리를 유도함으로써 고액분리 효율을 증대시킴과 함께 분리막의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전체 공정을 중단시킬 필요없이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조건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는 혐기조건으로 운전되는 혐기성 생물반응조; 상기 혐기성 생물반응조 내에 구비되어, 혐기성 생물반응조의 공간을 제 1 혐기반응조와 제 2 혐기반응조로 구분하는 격벽; 및 상기 제 2 혐기반응조 내에 침지되어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된 하수를 대상으로 여과 공정을 진행하는 분리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은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격벽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 1 혐기반응조와 제 2 혐기반응조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처리대상수 이동통로가 구비되거나, 제 1 혐기반응조가 밀폐될 수 있으며, 상기 처리대상수 이동통로를 통해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된 하수가 제 2 혐기반응조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대상수 이동통로는 상기 격벽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 혐기반응조 및 제 2 혐기반응조의 일측에 각각 바이오가스 포집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이오가스 포집부는 제 1 혐기반응조 및 제 2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 진행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포집한다.
상기 제 2 혐기반응조 내에 복수의 분리막이 이격되어 배치되며, 분리막과 분리막 사이에 기포발생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기포발생장치는 이산화탄소를 분리막의 표면에 분사한다. 또한, 상기 기포발생장치는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 진행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한 하수 처리방법은 상기 제 1 혐기반응조 내에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하수의 혐기처리가 진행되는 단계; 상기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된 하수가 격벽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마련된 처리대상수 이동통로를 통해 제 2 혐기반응조로 이동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혐기반응조의 분리막에 의해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된 하수가 여과 처리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은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격벽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 1 혐기반응조와 제 2 혐기반응조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처리대상수 이동통로가 구비되거나, 제 1 혐기반응조가 밀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혐기성 생물반응조를 2개의 공간(제 1 혐기반응조 및 제 2 혐기반응조)으로 구분하여 하수의 혐기처리(제 1 혐기반응조) 및 분리막에 의한 여과 공정(제 2 혐기반응조)이 독립적으로 진행되도록 함과 함께 연속적인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분리막 표면의 파울링 제어 및 하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수의 혐기처리 공간이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도록 하여 분리막의 교체 등으로 인해 제 2 혐기반응조의 혐기조건이 해제되더라도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조건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격벽에 의해 제 1 혐기반응조가 밀폐되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본 발명은 분리막이 침지된 혐기성 생물반응조를 통해 하수의 혐기처리 및 분리막에 의한 여과가 시계열적으로 진행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교체 등의 이유로 분리막이 혐기성 생물반응조로부터 탈착되더라도 혐기성 생물반응조의 혐기조건이 유지되도록 하여 하수 혐기처리의 연속적인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는 혐기성 생물반응조(10)를 구비한다. 상기 혐기성 생물반응조(10)는 하수의 혐기처리 공간 및 분리막(130)의 침지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혐기성 생물반응조(10)는 혐기조건으로 운전되며, 상기 혐기성 생물반응조(10) 내에서 하수의 혐기처리가 진행됨과 함께 분리막(130)에 의한 처리수 생산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혐기성 생물반응조(10)는 격벽(20)을 기준으로 2개의 공간 즉, 제 1 혐기반응조(110)와 제 2 혐기반응조(120)로 구분된다. 상기 제 1 혐기반응조(110)는 하수의 혐기처리를 유도하며, 상기 제 2 혐기반응조(120)는 혐기처리된 하수에 대한 분리막 여과 과정을 유도한다. 하수는 제 1 혐기반응조(110)로 유입되어 제 1 혐기반응조(110) 내에서의 혐기처리를 거친 후, 제 2 혐기반응조(120)로 이동되며 혐기처리된 하수는 제 2 혐기반응조(120) 내에 구비된 분리막(130)에 의해 여과 처리된다. 상기 제 1 혐기반응조(110) 뿐만 상기 제 2 혐기반응조 역시 혐기조건으로 운전됨에 따라 제 2 혐기반응조(120)에서도 하수의 혐기처리는 진행된다. 한편, 상기 제 1 혐기반응조(110) 및 제 2 혐기반응조(120)에서의 혐기처리 진행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수가 혐기처리됨과 함께 메탄(NH4), 이산화탄소(CO2) 등으로 구성되는 바이오가스가 생성되며, 제 1 혐기반응조(110) 및 제 2 혐기반응조(120) 내에서 생성된 바이오가스는 제 1 혐기반응조(110)의 일측 및 제 2 혐기반응조(120)의 일측에 각각 구비된 바이오가스 포집부(150)로 포집된다.
제 1 혐기반응조(110)의 혐기처리된 하수가 제 2 혐기반응조(120)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격벽(20) 상부에는 제 1 혐기반응조(110)와 제 2 혐기반응조(120)를 공간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처리대상수 이동통로(30)가 마련된다. 즉, 상기 격벽(20)은 제 1 혐기반응조(110)와 제 2 혐기반응조(120)의 상부 공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제 1 혐기반응조(110) 내의 혐기처리된 하수는 상기 처리대상수 이동통로(30)를 통해 제 2 혐기반응조(120)로 이동된다. 이 때, 처리대상수 이동통로(30)를 격벽(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이유는, 상대적으로 슬러지를 덜 포함하는 상등액을 제 2 혐기반응조(120)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하수가 제 1 혐기반응조(110) 내에서 혐기처리되는 과정에서 하수는 슬러지와 상등액으로 분리되는데, 총 고형물농도(SS)가 낮은 상등액이 제 2 혐기반응조(120)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분리막의 여과 효율을 높임과 함께 분리막의 파울링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대상수 이동통로(30)가 격벽(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구성 이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20)의 하부에 처리대상수 이동통로(30)가 배치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격벽(20)의 하부에 처리대상수 이동통로(30)가 배치되는 경우에도, 격벽(20)에 의해 오염물질이 분리막(130) 표면에 접근하는 것이 1차적으로 제한됨에 따라 분리막의 처리효율 및 분리막의 파울링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혐기반응조(120) 내에는 분리막(130)이 침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분리막(130)은 제 1 혐기반응조(110)로부터 이송된 혐기처리된 하수 즉, 제 1 혐기반응조(110)의 상등액에 대해 여과 공정을 진행하여 처리수를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막(130)으로는 내화학성 및 세척효율이 우수한 세라믹 분리막이 적용될 수 있으며, 세라믹 분리막의 일 예로, 알루미나(Al2O3) 재질의 분리막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혐기반응조(120) 내에 분리막을 구비시킴에 있어서, 복수의 분리막(130)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분리막(130)과 분리막(130) 사이에 기포발생장치(140)가 구비된다. 상기 기포발생장치(140)는 분리막(130)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막세척 공정 진행시 분리막(130) 표면에 기포를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혐기반응조(110) 뿐만 아니라 제 2 혐기반응조(120) 역시 혐기조건 하에 운전됨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장치(140)로부터 분사되는 기포는 산소(O2)가 아닌 기체이어야 하며,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CO2)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발생장치(140)로부터 분사되는 이산화탄소는 상기 제 1 혐기반응조(110)에서 생성되어 바이오가스 포집부(150)에 포집되어 있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할 수 있다. 바이오가스 포집부(150)에 포집되어 있는 바이오가스는 이산화탄소 이외에 메탄 등이 포함되어 있고 메탄은 열원으로 재생 가능함에 따라, 바이오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는 혐기조건으로 운전되는 혐기성 생물반응조(10)가 격벽(20)으로 기준으로 제 1 혐기반응조(110)와 제 2 혐기반응조(120)로 구분되고, 제 1 혐기반응조(110)와 제 2 혐기반응조(120) 사이의 처리대상수 이동통로(30)를 통해 하수의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제 1 혐기반응조(110)에 의한 하수의 혐기처리 및 제 2 혐기반응조(120)에 침지된 분리막에 의한 여과 공정이 독립적으로 진행됨과 함께 순차적으로 연속 진행된다.
제 1 혐기반응조(110)에 의한 하수의 혐기처리 및 제 2 혐기반응조(120)에 침지된 분리막에 의한 여과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교체 등의 이유로 분리막이 제 2 혐기반응조(120)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제 1 혐기반응조(110)와 제 2 혐기반응조(120)가 처리대상수 이동통로(30)를 통해 공간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제 1 혐기반응조(110)의 혐기조건 해제시 제 2 혐기반응조(120) 역시 혐기조건에 영향이 미치게 된다. 분리막 탈착 등으로 인해 제 2 혐기반응조(120)의 혐기조건이 해제되는 경우, 제 1 혐기반응조(110)의 혐기조건이 영향을 받는 것을 배제하기 위해 상기 격벽(20)이 제 1 혐기반응조(110)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20)은 상부에 처리대상수 이동통로(30)가 마련되도록 혐기성 생물반응조(10) 내에 배치되나, 제 1 혐기반응조(110)의 공간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완벽한 격리가 요구되는 경우 격벽(20)을 상부로 이동시켜 제 1 혐기반응조(110)의 공간을 밀폐시켜 제 1 혐기반응조(110)의 혐기조건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20)은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격벽(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처리대상수 이동통로(30)가 마련되거나 제 1 혐기반응조(110)의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도 4 참조).
10 : 혐기성 생물반응조 20 : 격벽
30 : 처리대상수 이동통로 110 : 제 1 혐기반응조
120 : 제 2 혐기반응조 130 : 분리막
140 : 기포발생장치 150 : 바이오가스 포집부

Claims (6)

  1. 혐기조건으로 운전되는 혐기성 생물반응조;
    상기 혐기성 생물반응조 내에 구비되어, 혐기성 생물반응조의 공간을 제 1 혐기반응조와 제 2 혐기반응조로 구분하는 격벽; 및
    상기 제 2 혐기반응조 내에 침지되어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된 하수를 대상으로 여과 공정을 진행하는 분리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은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격벽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 1 혐기반응조와 제 2 혐기반응조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처리대상수 이동통로가 구비되거나, 제 1 혐기반응조가 밀폐될 수 있으며,
    상기 처리대상수 이동통로를 통해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된 하수가 제 2 혐기반응조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대상수 이동통로는 상기 격벽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혐기반응조 및 제 2 혐기반응조의 일측에 각각 바이오가스 포집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이오가스 포집부는 제 1 혐기반응조 및 제 2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 진행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혐기반응조 내에 복수의 분리막이 이격되어 배치되며, 분리막과 분리막 사이에 기포발생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기포발생장치는 이산화탄소를 분리막의 표면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장치는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 진행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6.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한 하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는, 혐기조건으로 운전되는 혐기성 생물반응조; 상기 혐기성 생물반응조 내에 구비되어, 혐기성 생물반응조의 공간을 제 1 혐기반응조와 제 2 혐기반응조로 구분하는 격벽; 및 상기 제 2 혐기반응조 내에 침지되어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된 하수를 대상으로 여과 공정을 진행하는 분리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혐기반응조 내에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하수의 혐기처리가 진행되는 단계;
    상기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된 하수가 격벽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마련된 처리대상수 이동통로를 통해 제 2 혐기반응조로 이동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혐기반응조의 분리막에 의해 제 1 혐기반응조의 혐기처리된 하수가 여과 처리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은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격벽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 1 혐기반응조와 제 2 혐기반응조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처리대상수 이동통로가 구비되거나, 제 1 혐기반응조가 밀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한 하수 처리방법.
KR1020150084866A 2015-06-16 2015-06-16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KR20160148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866A KR20160148197A (ko) 2015-06-16 2015-06-16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866A KR20160148197A (ko) 2015-06-16 2015-06-16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197A true KR20160148197A (ko) 2016-12-26

Family

ID=5773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866A KR20160148197A (ko) 2015-06-16 2015-06-16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81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4764A (zh) * 2019-07-19 2019-10-08 深圳市惠深博越智慧建造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废水处理装置
WO2023019806A1 (zh) * 2021-08-16 2023-02-23 北控水务(中国)投资有限公司 一种适用高cod废水处理与再生的厌氧自驱动膜反应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883A (ko) 1999-04-10 2000-11-15 박호군 간헐폭기 막활성 슬러지 공정을 사용한 하수처리 방법
KR100315968B1 (ko) 1999-09-27 2001-12-12 정순착 흡입진공압 해제기능을 구비한 침지형 분리막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883A (ko) 1999-04-10 2000-11-15 박호군 간헐폭기 막활성 슬러지 공정을 사용한 하수처리 방법
KR100315968B1 (ko) 1999-09-27 2001-12-12 정순착 흡입진공압 해제기능을 구비한 침지형 분리막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4764A (zh) * 2019-07-19 2019-10-08 深圳市惠深博越智慧建造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废水处理装置
WO2023019806A1 (zh) * 2021-08-16 2023-02-23 北控水务(中国)投资有限公司 一种适用高cod废水处理与再生的厌氧自驱动膜反应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lad et al. Membrane technology in microalgae cultivation and harvesting: a review
US90678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erobic wastewater treatment with membrane
Guibert et al. Aeration performance of immersed hollow-fiber membranes in a bentonite suspension
RU2008113767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WO2008130885A3 (en) Membrane supported biofilm apparatus and process
CN104445600A (zh) 一种基于膜污染原位控制的膜生物反应器及其工艺
WO2016185533A1 (ja) 水処理システム及び水処理方法
CN204211537U (zh) 一体化兼氧mbr膜生物反应器
US201502323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erobic wastewater treatment with membrane distillation
CN203360192U (zh) 一种难降解工业废水处理装置
KR20160148197A (ko) 혐기성 침지식분리막 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KR101667932B1 (ko) 막증류 결합형 혐기하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CN103214147A (zh) 一种炼油废水处理方法及装置
JP2006255580A (ja) 発酵液のアンモニア濃度低減装置および方法
CN204281406U (zh) 一种基于膜污染原位控制的膜生物反应器
CN110382682B (zh) 用于处理湿有机物质以产生沼气的设备和方法
KR101788574B1 (ko) 혐기성 분리막 수처리장치
KR20200000056A (ko) 세라믹 분리막을 이용한 가축분뇨, 축산폐수 또는 축산세척수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JP5456238B2 (ja) 膜分離装置
WO2018076014A1 (en) Method of treating high strength wastewater by anaerobic bio reactor
CN105600929B (zh) 应用连续流生物产电脱盐装置处理含乙腈炼化废水的方法
KR100390524B1 (ko) 침지형 막분리 혐기성 소화용 폐수처리장치
JP2019166441A (ja) 生物処理装置
JP7220739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CN103435147A (zh) 一种自清洁浸没式管式膜生物反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