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134A -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134A
KR20160148134A KR1020150084533A KR20150084533A KR20160148134A KR 20160148134 A KR20160148134 A KR 20160148134A KR 1020150084533 A KR1020150084533 A KR 1020150084533A KR 20150084533 A KR20150084533 A KR 20150084533A KR 20160148134 A KR20160148134 A KR 20160148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ed
collected
images
len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주) 큐알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큐알온텍 filed Critical (주) 큐알온텍
Priority to KR102015008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134A/ko
Priority to PCT/KR2016/006279 priority patent/WO2016204472A1/ko
Publication of KR20160148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H04N5/225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방 렌즈를 통해 수집된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 및 배경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렌즈를 제외한 다수의 나머지 렌즈를 통해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고화질의 전방 영상을 확보하여 사고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다수의 렌즈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시리얼 형태로 본체에 전달함에 따라 다수의 렌즈의 수집된 영상을 본체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 라인의 수가 감소되어 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실내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DO FOR PROCESSING IMAGE OF BRACKBOX FOR VEHICEL}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렌즈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영상을 최소의 케이블 라인을 통해 본체로 전달하고 본체에서 전방 영상 중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전방 영상 중 배경 영상에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을 다수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블랙 박스는, 자동차 전후방에 설치되는 카메라 및 자동차 내부의 각종 센서와 유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 상태나 사고 시의 상황을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 사고 기록장치에는 주행하는 도로 상태를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획득한 후 디지털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한 후 처리된 영상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되고,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저장된다.
즉, 주행 도로의 영상은 사고 정황 분석에 필요한 이동 물체인 목표물 영상과 사고 정화 분석에 불필요한 배경 영상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일반적인 영상 사고 기록 장치는, 목표물 영상 및 배경 영상이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기록되므로,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대한 낭비를 초래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주행 도로를 영상으로 획득하는 대부분의 선행 기술은 다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 후방 및 실내 상태 등을 포함하는 주행 도로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다수의 렌즈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제한된 화면 동일한 화소 및 사이즈로 표시된다. 이에 사고의 발생 확률이 높은 전방 영상 역시 운전자 기준으로 후방, 좌측, 우측 과 동일하게 화질 및 동일한 크기로 표시되므로 낮은 화질의 영상으로 인한 사고 원인의 분석 및 파악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렌즈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다수의 렌즈 수와의 동일한 수의 케이블 라인을 통해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본체로 송신되므로, 다수의 케이블 라인으로 인해 시스템의 설치 과정이 복잡할 뿐 만 아니라 이로 인해 실내의 환경 미화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다수의 렌즈를 통해 수신된 다수의 영상을 직렬 형태로 다중화한 후 본체로 전달하고 본체에서 다중화된 영상을 역 다중화한 후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전방 영상 중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다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수의 렌즈 중 전방 렌즈를 통해 수집된 전방 영상에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전방 영상에 포함된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를 통해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고화질의 전방 영상을 확보하여 사고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렌즈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시리얼 형태로 변환하여 본체에 전달함에 따라 다수의 렌즈의 수집된 영상을 본체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 라인의 수가 감소되어 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실내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는,
다수의 렌즈를 통해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하나 형태로 수집된 다수 채널의 영상을 직렬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중 전방 렌즈를 통해 수집된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전방 영상에 포함된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를 통해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다수의 렌즈를 통해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하나 형태로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기 설정된 채널 비로 다중화하는 다중화 모듈과,
상기 다중화 모듈의 다중화된 영상을 디지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한 후 기 정해진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영상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채널 비는
병렬 형태로 수집하는 채널 라인의 수와 상기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채널 라인의 수의 비로 설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 방식은,
USB 전송 방식 및 RF 전송 방식 중 하나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영상 송신 모듈의 디지털 형태의 영상을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수신 모듈과, 상기 영상 수신 모듈의 영상을 역 다중화한 후 전방 렌즈를 통해 수집된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영상 처리 모듈은,
전방 영상에 포함된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를 통해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러한 방법은,
다수의 렌즈를 통해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하나 형태로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기 설정된 채널 비로 다중화하는 단계와, 상기 다중화 단계의 다중화된 영상을 디지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한 후 기 정해진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영상 송신 모듈의 영상을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수신 단계와,
상기 영상 수신 모듈의 영상을 역 다중화한 후 전방 렌즈를 통해 수집된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전방 영상에 포함된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를 통해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전방 렌즈를 통해 수집된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전방 영상에 포함된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렌즈를 제외한 다수의 나머지 렌즈를 통해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고화질의 전방 영상을 확보하여 사고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렌즈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시리얼 형태로 본체에 전달함에 따라 다수의 렌즈의 수집된 영상을 본체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 라인의 수가 감소되어 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실내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의 해상도를 보인 예시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의 구동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사고 기록 시스템은, 렌즈부(10)와 본체부(30)를 포함한다.
렌즈부(10)는 다수의 렌즈(L1-Ln)을 통해 수신된 다수의 영상을 다중화하여 전송하도록 구비되고, 본체부(30)는 렌즈부(10)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영상을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상기 렌즈(L1-Ln)는 수신되는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한 후 출력하는 고체촬상소자 이미지 센서(CCD: charge-coupled device) 또는 수신되는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CMOS 이미지 센서(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중 하나로 구비되고, 이러한 CCD 이미지 센서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통해 주행 도로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수집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렌즈(L1-Ln)는 소정 수로 그룹핑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영상을 획득하는 4개의 렌즈가 하나로 그룹핑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차량의 지붕에 설치될 수 있고, 4개의 렌즈 중 전방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후방, 좌측 및 우측 렌즈가 하나로 그룹핑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차량의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의 세부구성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상기 렌즈부(10)는, 다수의 렌즈(L1-Ln)를 통해 수신된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영상을 기 설정된 채널 비로 다중화하는 다중화 모듈(11)과, 상기 다중화 모듈(11)의 영상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케이블 라인을 통해 본체부(30)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 모듈(13)을 포함한다.
즉, 상기 렌즈(L1-Ln)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영상은 병렬 형태로 다중화 모듈(11)에 전송되고, 다중화 모듈(11)은, 각각의 영상을 기 설정된 채널 비로 다중화하며, 상기 다중화 모듈(11)의 출력 라인의 수는 채널 비에 따라 결정되며, 다중화 모듈(11)의 영상은 시리얼 형태로 변환되어 영상 송신 모듈(13)로 전달된다.
상기 영상 송신 모듈(13)은, 다중화 모듈(11)의 다중화된 영상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후 기 정해진 전송 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영상을 전송 방식에 따라 변환하는 기술은 기술적 선택 사항일 뿐 필수 조건은 아니다.
상기 영상 송신 모듈(13)은 다중화된 영상을 USB 전송 방식 또는 RF 전송 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송수신할 수 있으며, USB 전송 방식의 영상 송신 모듈(13)은 다중화된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USB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2 채널의 USB 포트를 포함하며, USB 케이블이 각 USB 포트에 연결되어 변환된 USB 신호를 영상을 송수신한다.
또한, 전송 방식이 RF 전송 방식인 경우 영상 송신 모듈(13)은 다중화 모듈(11)의 영상을 RF 신호로 변환하여 기 설정된 1 채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향후 신호 전송 방식을 발달에 따라 향상된 전송 방식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30)는 상기 영상송신모듈(13)의 영상을 수신하여 변환하는 영상 수신 모듈(31)을 포함한다.
영상 수신 모듈(31)은 영상 송신 모듈(13)로부터 USB 신호 또는 RF 신호를 광신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본체부(30)는 영상 수신 모듈(31)의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처리하고,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전방 영상 이외의 나머지 영상을 서브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 모듈(33)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목표물 영상은 사고 상황 분석 대상이 되는 이동 영상으로 주행 중인 차량이고, 배경 영역은 사고 상황 분석과 무관한 정지 영상으로 도 1의 도시된 본넷 등을 의미한다.
영상 처리 모듈(33)은 영상 수신 모듈(31)의 수신된 영상과 외부에 마련된 G센서(71), GPS(72), 및 마이크(73)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정보와 캔 통신을 통해 차량 연동 수신기(74)로부터 공급된 차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메모리(75)의 소정 영역에 저장하도록 처리하고, 표시부(76)에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영상 수신 모듈(31)의 영상에는 목표물 영상과 배경 영상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에 영상 처리 모듈(33)은 수신되는 전방 영상에 대해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영상 처리 모듈(33)은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B)에 전방 영상 이외에 수신되는 나머지 영상을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4개의 렌즈를 통해 주행 도로 상태를 나타낸 영상을 수집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시스템인 경우 나머지 영상은 후방, 좌측, 및 우측 영상이며 상기 후방, 좌측, 및 우측 영상은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서브 화면(B)로 표시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 모듈(33)의 구동에 따라 표시부(76)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 3에 도시된 표시부(76)의 메인 화면와 서브 화면의 해상도를 보인 예시도들이다.
여기서 표시부(76)는 영상이 표시되는 모듈로서, LED(Light Emitted Diod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포함될 수 있다.
즉 3개의 렌즈를 통해 주행하는 주행 도로 상태를 수집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시스템이고 표시부(76)가 UHD(Ultra High Definition) 화질인 경우 전방 영상은 3840 x 1080P 화소의 메인 화면(A)으로 표시되고, 나머지 후방 및 우측 영상은 도 1의 본넷이 표시되는 배경 영역에 각각 1920 x 1080P 화소의 서브 화면(B)로 각각 표시된다.
또한, 4개의 렌즈를 통해 주행하는 주행 도로 상태를 수집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시스템이고 표시부(76)가 UHD 화질인 경우 전방 영상은 3840 x 1440P 화소의 메인 화면(A)으로 표시되고, 나머지 후방 및 우측 및 좌측 영상은 도 1에 표시되는 배경 영역(B)에 각각 1280 x 720P 화소의 서브 화면으로 각각 표시된다.
한편 3개의 렌즈를 통해 주행하는 주행 도로 상태를 수집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시스템이고 표시부(76)가 FHD(Full High Definition) 화질인 경우 전방 영상은 1920 x 600P 화소의 메인 화면(A)으로 표시되고, 나머지 후방 및 우측 영상은 도 1의 본넷(bonnet)이 표시되는 배경 영역에 각각 960 x 480P 화소의 서브 화면(B)으로 각각 표시된다.
4개의 렌즈를 통해 주행하는 주행 도로 상태를 수집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시스템이고 표시부(76)가 FHD 회질인 경우 전방 영상은 1920 x 600P 화소의 메인 화면(A)으로 표시되고, 나머지 후방 및 우측 및 좌측 영상은 도 1에 표시되는 배경 영역(B)에 각각 640 x 480P 화소의 서브 화면으로 각각 표시된다.
이에 따라, 전방 렌즈를 통해 수집된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렌즈를 제외한 다수의 나머지 렌즈를 통해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고화질의 전방 영상을 확보하여 사고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렌즈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시리얼 형태로 본체에 전달함에 따라 다수의 렌즈의 수집된 영상을 본체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 라인의 수가 감소되어 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실내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외부에 마련된 G센서(71), GPS(72), 및 마이크(73)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정보와 캔 통신을 통해 차량 연동 수신기(74)로부터 공급된 차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메모리(75)의 소정 영역에 저장하도록 처리하고, 표시부(76)에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은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되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다수의 렌즈(11)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및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선, 다수의 렌즈(11)는 도로 상태의 영상을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하나 형태로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다수 채널의 영상은 기 설정된 채널 비로 다중화한 후 디지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하고 전송 방식에 따른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본체부(30)로 전송한다(단계 101, 103, 105).
이어 다중화되어 전송된 영상은 본체부(30)의 영상 수신 모듈(31)에 의해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은 영상 처리 모듈(33)로 전송하며 영상 처리 모듈(33)은 수신된 영상을 상기 채널 비로 역 다중화한다(단계 107).
그리고 영상 처리 모듈(33)은 수신되는 전방 영상에 대해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처리하고, 전방 영상에 포함된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B)에 전방 영상 이외에 수신되는 나머지 영상을 표시하도록 처리한다(단계 109, 113).
상기 영상 처리 모듈(33)에서 처리된 영상은 표시부(76)로 전달되어 도 3 및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정해진 화소로 메인 화면(A)와 서브 화면(B)에 표시되고, 저장부(75)의 소정 영역에 저장된다(단계 11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방 렌즈를 통해 수집된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전방 영상에 포함된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렌즈를 제외한 다수의 나머지 렌즈를 통해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고화질의 전방 영상을 확보하여 사고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렌즈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시리얼 형태로 본체에 전달함에 따라 다수의 렌즈의 수집된 영상을 본체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 라인의 수가 감소되어 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실내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전방 렌즈를 통해 수집된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전방 영상에 포함된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렌즈를 제외한 다수의 나머지 렌즈를 통해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고화질의 전방 영상을 확보하여 사고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다수의 렌즈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시리얼 형태로 본체에 전달함에 따라 다수의 렌즈의 수집된 영상을 본체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 라인의 수가 감소되어 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실내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운용의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 더 나아가 성능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차량용 영상 사고 기록 시스템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9)

  1. 다수의 렌즈를 통해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하나 형태로 수집된 다수 채널의 영상을 직렬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중 전방 렌즈를 통해 수집된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전방 영상에 포함된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를 통해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다수의 렌즈를 통해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하나 형태로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기 설정된 채널 비로 다중화하는 다중화 모듈과,
    상기 다중화 모듈의 다중화된 영상을 디지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한 후 기 정해진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영상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비는
    병렬 형태로 수집하는 채널 라인의 수와 상기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채널 라인의 수의 비로 설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은,
    USB 전송 방식 및 RF 전송 방식 중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영상 송신 모듈의 영상을 디지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수신 모듈과,
    상기 영상 수신 모듈의 영상을 역 다중화한 후 전방 렌즈를 통해 수집된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모듈은,
    전방 영상에 포함된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를 통해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7. 다수의 렌즈를 통해 직렬 및 병렬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기 설정된 채널 비로 다중화하는 단계와,
    상기 다중화 단계의 다중화된 영상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후 기 정해진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영상 송신 모듈의 영상을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수신 단계와,
    상기 영상 수신 모듈의 영상을 역 다중화한 후 전방 렌즈를 통해 수집된 전방 영상에 포함된 목표물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전방 영상에 포함된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전방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를 통해 수집된 다수의 영상을 각각의 서브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
KR1020150084533A 2015-06-15 2015-06-15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48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533A KR20160148134A (ko) 2015-06-15 2015-06-15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PCT/KR2016/006279 WO2016204472A1 (ko) 2015-06-15 2016-06-14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533A KR20160148134A (ko) 2015-06-15 2015-06-15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134A true KR20160148134A (ko) 2016-12-26

Family

ID=5754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533A KR20160148134A (ko) 2015-06-15 2015-06-15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48134A (ko)
WO (1) WO20162044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9493A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유엠비컴 바이너리 cdma 모뎀이 내장된 차량용 감시카메라시스템
KR101164365B1 (ko) * 2011-03-31 2012-07-09 박원일 차량용 영상 모니터링 장치의 4채널 화면 분할 방법
KR101918494B1 (ko) * 2011-11-25 2018-11-14 (주)큐알온텍 차량용 영상 사고 처리 기록 시스템의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13200840A (ja) * 2012-03-26 2013-10-03 Sharp Corp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映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映像表示装置
KR101512809B1 (ko) * 2014-02-14 2015-04-20 주식회사 시스토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4472A1 (ko)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71400B (zh) 成像装置和电子设备
CN107888903B (zh) 固态成像设备、固态成像设备的驱动方法和成像系统
US10193627B1 (en) Detection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ources over a high dynamic range
JP2007219082A (ja) 複合現実感表示システム
US11516451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ing processing system
RU2012118689A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данных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JP5948508B2 (ja) ビデオプロセッサ、ビデオプロセッサの作動方法
US11956568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US20120050509A1 (en) Stereoscopic glasses, stereoscopic video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video display system
KR20210045106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JP2005184395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撮影装置
US20070041655A1 (en) Edge enhancement processing unit, endoscope processo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6233717B (zh) 用于在无专用反向信道的情况下传输基于摄像机的参数的系统和方法
KR101918494B1 (ko) 차량용 영상 사고 처리 기록 시스템의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EP3687167A1 (en) Stereo infrared imaging for head mounted devices
KR20160148134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8964058B2 (en) On-board camera system for monitoring an area around a vehicle
RU2012116154A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3d-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3d-из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данных 3d-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данных 3d-изображения
CN219204583U (zh) 一种图像采集装置及电子设备
WO201514186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581533B1 (ko) 스테레오 카메라의 영상 합성장치
US20120328182A1 (en) Image format discrimination device, method of discriminating image format, image reproduc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90004265A (ko) 실시간 입체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US10892287B2 (en) Image sensor with image receiver and automatic image switching
CN109257585B (zh) 一种亮度校正装置及方法、显示装置、显示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