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597A -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597A
KR20160147597A KR1020150084591A KR20150084591A KR20160147597A KR 20160147597 A KR20160147597 A KR 20160147597A KR 1020150084591 A KR1020150084591 A KR 1020150084591A KR 20150084591 A KR20150084591 A KR 20150084591A KR 20160147597 A KR20160147597 A KR 20160147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gas
pressure
unit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태
Original Assignee
이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태 filed Critical 이인태
Priority to KR1020150084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7597A/ko
Publication of KR20160147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62Deployment
    • B64D17/72Deployment by explosive or inflata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켜 분출하는 가스발생부, 수축된 상태로 장착되고, 가스발생부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어 사용자를 감싸는 에어백, 감지부와 가스발생부, 에어백을 내부에 수용하는 배낭, 에어백의 팽창 시,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내압센서, 팽창된 에어백의 고압가스를 일부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부, 및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발생수단을 제어하고, 내압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배출부를 제어함에 따라, 팽창된 에어백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자가 배낭을 멘 상태에서 감지부에 의해 물리적 충격 또는 전기적 충격이 감지될 경우, 가스발생부를 작동시켜 에어백을 팽창시킴에 따라, 사용자를 보호하고, 팽창된 에어백이 낙하하여 외부물체나 지면 또는 수면에 충돌할 경우, 가스배출부를 제어하여 에어백의 고압가스를 배출시키되, 내압센서의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압력 이하일 경우, 고압가스 배출을 중단함에 따라, 사용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Description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The control system of the personal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사용자 개인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사망 또는 중상 등의 사고를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어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있는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서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일반 엘레베이터는 자동으로 정지하게 되어 사용을 할 수가 없게 되며, 계단 역시 건물의 면적과 건물의 사용 인원에 비하여 매우 제한적이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피할 수 있는 공간이나 시간이 부족하여 탈출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로 인해, 고층건물에서 탈출하지 못한 사람들은 옥상으로 대피하는 한편, 더 위급한 상황에서는 사망의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고층건물 밖으로 뛰어내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항공기의 경우에는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낙하산 만이 유일한 탈출방법이다.
그리고, 최근 교통량의 증가로 인하여 오토바이를 타는 사람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토바이 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오토바이의 안전장구로는 머리를 보호하는 헬멧 외에는 현재 별다른 방법이 없을 뿐만 아니라, 산악용 오토바이 및 자전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또한, 호수, 강, 바다 등과 같은 곳에서의 익사 방지 및 인명 보호 장비에는 구명 튜브나 구명 조끼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항공기나 고층건물에서 비상탈출을 하기 위한 장비에는 낙하산이 있으나 낙하산을 일반인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훈련을 받아야만 가능하므로 일반인이 비상시에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낙하산은 고층건물이나 고산과 같이 공간이 협소하여 낙하도중에 바위, 나무 또는 벽등에 걸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추락하거나 고산지대, 계곡 등에서 발생하는 이상기류에 의해 추락하는 한편, 낙하거리가 낙하산이 펼쳐지기 위한 최소한의 높이 약 50m, 20층 이상의 고도가 되지 않아 낙하산이 펼쳐지지 않아 추락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인명에 손상을 주는 등의 주변환경, 고도의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저층빌딩이나 절벽에서는 주로 안전띠나 로프를 사용하고 있으나 안전띠나 로프를 이용하여 탈출하는 사람이 도중에 추락할 경우 인명에 막대한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오토바이의 경우 안전장치는 머리를 보호하는 헬멧 이외에는 적적할 보호장구가 없어서 사용자가 필연적으로 부상을 입게 되며, 때때로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등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스포츠카 등과 같이 지붕이 없는 오픈카의 경우에도 유사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수, 강, 바다 등의 수면에서 사람이 물에 빠졌을 때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이 구명조끼나 튜브를 착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겨울이나 수온이 낮은 지역에서 물에 빠진 인명을 빨리 구조하지 않을 경우 저체온증으로 동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감지부와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부, 가스발생부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어 사용자를 감싸는 에어백, 감지부와 가스발생부, 에어백을 내부에 수용하는 배낭, 에어백의 팽창 시,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내압센서, 팽창된 에어백의 고압가스를 일부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부, 및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발생수단을 제어하고, 내압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배출부를 제어함에 따라, 팽창된 에어백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자가 배낭을 멘 상태에서 감지부에 의해 물리적 충격 또는 전기적 충격이 감지될 경우, 가스발생부를 작동시켜 에어백을 팽창시킴에 따라, 사용자를 보호하고, 팽창된 에어백이 낙하하여 외부물체나 지면 또는 수면에 충돌할 경우, 가스배출부를 제어하여 에어백의 고압가스를 배출시키되, 내압센서의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압력 이하일 경우, 고압가스 배출을 중단함에 따라, 사용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물리적 또는 전기적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혼합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켜 분출하는 가스발생부, 수축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가스발생부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어 사용자를 감싸는 에어백, 상기 감지부와 가스발생부, 에어백을 내부에 수용하는 배낭, 상기 에어백의 팽창 시,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내압센서, 상기 팽창된 에어백의 고압가스를 일부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스발생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내압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스배출부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팽창된 에어백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배낭을 멘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물리적 충격 또는 전기적 충격이 감지될 경우, 상기 가스발생부를 작동시켜 에어백을 팽창시킴에 따라, 사용자를 보호하고, 팽창된 에어백이 낙하하여 외부물체나 지면 또는 수면에 충돌할 경우, 상기 가스배출부를 제어하여 에어백의 고압가스를 배출시키되, 상기 내압센서의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압력 이하일 경우, 고압가스 배출을 중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팽창된 에어백이 낙하하여 외부물체나 지면 또는 수면에 충돌하여 상기 가스배출부를 통해 고압가스가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발생부를 제어하여 최초 내부압력으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낭에 수축된 상태로 장착되어 펼쳐지기 위한 낙하속도조절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낙하속도조절부는, 상기 가스발생부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유입되면 펼쳐지는 낙하산체, 및 내부에 공급로를 갖고, 상기 낙하산체와 에어백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발생부로부터 고압의 가스를 상기 낙하산체로 공급하기 위한 지지로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스위치와 콘트롤 장치, 속도감지센서, 압력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또한, 상기 가스발생부의 혼합물은, 아지드화 나트륨과 산화철이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가스발생부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되, 내부에 사용자가 위치되기 위한 인명보호공간부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은, 상기 가스발생부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되, 내부에 사용자가 위치되기 위한 인명보호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에어백, 상기 가스발생부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되, 상기 내부에어백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부에어백, 및 상기 가스발생부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되, 상기 내부에어백과 외부에어백 사이에 구비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에어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에어백은 고압을 유지하고, 상기 외부에어백은 중압을 유지하며, 상기 간격에어백은 고압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은 구획된 다수의 팽창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에어백은, 막대 관의 형상과 원통, 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팽창하여 상기 내부에어백과 외부에어백 사이에 다수 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간격에어백은, 상기 내부에어백과 외부에어백 사이에 다수 개 구비되는 제1간격에어백, 및 상기 외부에어백 외측에 다수 개 구비되는 제2간격에어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낭은,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기 위해 멜빵, 신체를 고정하는 제1벨트, 및 상기 에어백을 고정하는 제2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며, 상기 어느 한 팽창공간부는 인접한 다른 팽창공간부와 연통되어 고압가스가 공급 또는 배출되기 위한 입출밸브, 및 상기 에어백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자이로센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에어백은 제어부에 의해 일정 압력보다 낮게 고압가스가 공급되되, 상기 자이로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에어백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된 각 팽창공간부의 내부압력이 상측에 위치된 다른 팽창공간부의 내부압력보다 낮도록 상기 입출밸브를 통해 고압가스를 이동시키고, 외부물체나 지면 또는 수면에 충돌할 경우, 상기 자이로센서의 신호를 실시간 수신하여 하측에 위치된 각 팽창공간부는 해당 입출밸브를 통해 인접한 다른 팽창공간부로 고압가스를 배출하여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된 각 팽창공간부의 내부압력을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유사시에 착용하여 고층건물이나 이에 유사한 곳에서 떨어지거나 뛰어내릴 때, 외부와의 충격을 완화시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있으며, 간단하게 조작 및 자동으로 작동되어 모든 사람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에 낙하속도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에어백 장치 제어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에 낙하속도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에어백 장치 제어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은 감지부(100)와 가스발생부(200), 에어백(300), 배낭(500), 내압센서(600), 가스배출부(700) 및 제어부(800)로 구성된다.
감지부(100)는 물리적 또는 전기적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센서가 사용된다.
일 실시 예로, 감지부(100)는 스위치와 콘트롤 장치, 속도감지센서, 압력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물리적 또는 전기적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나 센서라면 사용 가능함이 다연하다.
그리고 가스발생부(200)는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혼합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켜 분출하는 것으로, 고압의 질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아지드화 나트륨과 산화철의 혼합물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이 가스발생부(200)는 감지부(100)에 의해 물리적 또는 전기적 충격이 감지되면, 제어부(800)에 의해 제어되어 내부에 수용된 혼합물을 순간적으로 분해시켜 고압의 질소 가스를 발생시켜 가스공급용 에어파이프를 통해 에어백(300)으로 분출함에 따라, 에어백(300)을 팽창시키게 된다.
이때, 아지드화 나트륨에는 질소가 질량의 65%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기 감지 부(100)로부터 입력된 물리적 또는 전기적 충격에 의해 3/100초 이내에 아지드화 나트륨을 분해시켜 순간적으로 고압의 질소 가스를 대량으로 발생시키는 것이다.
에어백(300)은 수축된 상태로 장착되고, 가스발생부(200)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어 사용자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또한 배낭(500)은 감지부(100)와 가스발생부(200), 에어백(300)을 내부에 수용하여 사용자가 메고 다니게 된다.
이러한 배낭(500)은 수축된 상태의 에어백(300), 감지부(100), 가스발생부(200) 및 낙하속도조절부(400)을 내부에 장착하는 한편, 멜빵(510) 및 제1벨트(520), 제2벨트(521)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멜빵(510)은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1벨트(520)는 신체를 고정하며, 제2벨트(521)는 에어백(300)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내압센서(600)는 에어백(300)의 팽창 시,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고, 가스배출부(700)는 팽창된 에어백(300)의 고압가스를 일부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어부(800)는 감지부(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발생부(200)를 제어하고, 내압센서(6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배출부(700)를 제어함에 따라, 팽창된 에어백(300)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제어부(800)는 사용자가 배낭(500)을 멘 상태에서 감지부(100)에 의해 물리적 충격 또는 전기적 충격이 감지될 경우, 가스발생부(200)를 작동시켜 에어백(300)을 팽창시킴에 따라, 사용자를 보호하게 된다.
팽창된 에어백(300)이 낙하하여 외부물체나 지면 또는 수면에 충돌할 경우, 가스배출부(700)를 제어하여 에어백(300)의 고압가스를 배출시키되, 내압센서(600)의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압력 이하일 경우, 고압가스 배출을 중단한다.
여기서, 제어부(800)는 팽창된 에어백(300)이 낙하하여 외부물체나 지면 또는 수면에 충돌하여 가스배출부(700)를 통해 고압가스가 배출된 상태에서, 가스발생부(200)를 제어하여 최초 내부압력으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낭(500)에 수축된 상태로 장착되어 펼쳐지기 위한 낙하속도조절부(400)가 더 포함된다.
이 낙하속도조절부(400)는 낙하산체(410)와 지지로프(420)로 구성된다.
낙하산체(410)는 가스발생부(200)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유입되면 펼쳐지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로프(420)는 내부에 공급로(421)를 갖고, 낙하산체(410)와 에어백(300) 사이에 구비되어 낙하산체(410)와 에어백(300)의 간격을 유지하고, 가스발생부(200)로부터 고압의 가스를 낙하산체(41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낙하속도조절부(400)는 배낭(500) 내부에 수축된 상태로 장착되고, 감지부(100)의 신호를 받아 에어백(300)이 팽창될 경우, 제어부(800)에 의해 제어되어 고압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펼쳐져 낙하 속도를 줄여주게 된다.
이때, 낙하산체(410)의 외곽 테두리에 에어파이프(411)가 형성되어 지지로프(420)의 공급로(421)로 공급되는 가스발생부(200)의 고압가스가 공급되어 펼쳐지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로프(420)는 낙하산체(410)의 외곽 테두리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되, 각 지지로프(420)의 하단부는 에어백(3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에어백(300)은 일 실시 예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발생부(200)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되, 내부에 사용자가 위치되기 위한 인명보호공간부를 형성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위치되는 인명보호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에어백(300')은 내부에어백(310')과 외부에어백(320') 및 간격에어백(330')으로 구성된다.
내부에어백(310')은 가스발생부(200)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되, 내부에 사용자가 위치되기 위한 인명보호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에어백(320')은 가스발생부(200)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되, 내부에어백(310')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간격에어백(330')은 가스발생부(200)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되, 내부에어백(310')과 외부에어백(320') 사이에 구비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시킨다.
다시 말해, 내부에어백(310')과 외부에어백(320')은 다중 구조의 원통 또는 구의 형상으로 팽창되어 사용자를 보호하고, 간격에어백(330')에 의해 사이 간격이 유지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 완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내부에어백(310')은 고압을 유지하고, 외부에어백(320')은 중압을 유지하며, 간격에어백(330')은 고압을 유지한다.
또한 각 실시 예의 에어백(300, 300')은 구획된 다수의 팽창공간부(302, 312', 322')가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에어백(330')은 막대 관의 형상과 원통, 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팽창하여 내부에어백(310')과 외부에어백(320') 사이에 다수 개 구비된다.
먼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에어백(330')의 일 실시 예는, 간격에어백(330')은 원통 또는 구 형상으로 내부에어백(310')과 외부에어백(320') 사이에 팽창된 상태로 구비되어 사이 간격을 유지함은 물론, 내부에어백(310')과 외부에어백(320')의 팽창이 원활하도록 해주는 동시에 외부에어백(320')이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에어백(330')은 원통 또는 구 형상의 중소형의 사이즈로, 외부에어백(320')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간격에어백(330')은 내부 압력이 중압을 유지하는 것으로, 간격에어백(330')의 일 실시 예는, 간격에어백(330')은 원통 또는 구 형상으로 내부에어백(310')과 외부에어백(320') 사이에 팽창된 상태로 구비되어 사이 간격을 유지함은 물론, 내부에어백(310')과 외부에어백(320')의 팽창이 원활하도록 해주는 동시에 외부에어백(320')과 함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간격에어백(330")은 제1간격에어백(332")과 제2간격에어백(334")으로 구성된다.
제1간격에어백(332")은 내부에어백(310')과 외부에어백(320') 사이에 다수 개 구비되고, 제2간격에어백(334")은 외부에어백(320') 외측에 다수 개 구비된다.
여기서, 제1간격에어백(332")은 원통 또는 구 형상으로 소형의 사이즈로, 고압을 유지하게 되고, 제2간격에어백(334")은 원통 또는 구 형상으로 중소형의 사이즈로, 중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1간격에어백(332")과 제2간격에어백(334")은 내부에어백(310')과 외부에어백(320')과 함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특히, 외부에어백(32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출밸브(900)와 자이로센서(910)가 더 구비된다.
입출밸브(900)는 제어부(800)에 제어되며, 어느 한 팽창공간부(312', 322')는 인접한 다른 팽창공간부와 연통되어 고압가스가 공급 또는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자이로센서(910)는 에어백(300, 300')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자세와 에어백(300, 300')의 자세를 측정하여 상측과 하측을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입출밸브(900)와 자이로센서(910)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를 살펴보면, 제어부(800)에 의해 에어백(300, 300')은 일정 압력보다 낮게 고압가스가 공급된다.
그리고 자이로센서(9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에어백(300, 3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된 각 팽창공간부의 내부압력이 상측에 위치된 다른 팽창공간부의 내부압력보다 낮도록 입출밸브(900)를 통해 고압가스를 이동시키고, 이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다시 말해, 제어부(800)는 자이로센서(9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한 팽창공간부들의 내부 압력을 높게 유지시키도록 해당 입출밸브(900)를 제어하여 고압을 공급 및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후, 에어백(300, 300')이 외부물체나 지면 또는 수면에 충돌할 경우, 하측에 위치된 각 팽창공간부는 해당 입출밸브(900)를 통해 인접한 다른 팽창공간부로 고압가스를 배출하여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2차 충돌에 대비하는 것이다.
또한 추가로 발생되는 충돌에도 대비함이 당연하다.
그리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920)와 히터(930)가 더 포함되어 지속적으로 신호를 발생시키고, 저체온상태가 되지 않도록 체온을 유지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신호발생부(920)와 히터(9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은 배낭에 구비됨이 당연하다.
이와 같은,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은 화제나 지진, 해상사고 등의 자연 또는 인공적인 재해가 발생될 경우,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뛰어내릴 경우, 사용하여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이동수단 이용시에도 착용하여 신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레포츠에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감지부 200 : 가스발생부
300, 300' : 에어백 400 : 낙하속도조절부
500 : 배낭 600 : 내압센서
700 : 가스배출부 800 : 제어부
900 : 입출밸브 910 : 자이로센서

Claims (10)

  1. 물리적 또는 전기적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00);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혼합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켜 분출하는 가스발생부(200);
    수축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가스발생부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어 사용자를 감싸는 에어백(300);
    상기 감지부와 가스발생부, 에어백을 내부에 수용하는 배낭(500);
    상기 에어백의 팽창 시,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내압센서(600);
    상기 팽창된 에어백의 고압가스를 일부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부(700);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스발생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내압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스배출부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팽창된 에어백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배낭을 멘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물리적 충격 또는 전기적 충격이 감지될 경우, 상기 가스발생부를 작동시켜 에어백을 팽창시킴에 따라, 사용자를 보호하고,
    팽창된 에어백이 낙하하여 외부물체나 지면 또는 수면에 충돌할 경우, 상기 가스배출부를 제어하여 에어백의 고압가스를 배출시키되, 상기 내압센서의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압력 이하일 경우, 고압가스 배출을 중단하는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0)는,
    팽창된 에어백이 낙하하여 외부물체나 지면 또는 수면에 충돌하여 상기 가스배출부를 통해 고압가스가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발생부를 제어하여 최초 내부압력으로 유지시키는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낭에 수축된 상태로 장착되어 펼쳐지기 위한 낙하속도조절부(400);가 더 포함되는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속도조절부는,
    상기 가스발생부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유입되면 펼쳐지는 낙하산체(410); 및
    내부에 공급로를 갖고, 상기 낙하산체와 에어백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발생부로부터 고압의 가스를 상기 낙하산체로 공급하기 위한 지지로프(420);를 포함하는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가스발생부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되, 내부에 사용자가 위치되기 위한 인명보호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가스발생부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되, 내부에 사용자가 위치되기 위한 인명보호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에어백;
    상기 가스발생부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되, 상기 내부에어백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부에어백; 및
    상기 가스발생부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되, 상기 내부에어백과 외부에어백 사이에 구비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에어백;을 포함하는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에어백은 고압을 유지하고, 상기 외부에어백은 중압을 유지하며, 상기 간격에어백은 고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에어백은,
    막대 관의 형상과 원통, 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팽창하여 상기 내부에어백과 외부에어백 사이에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에어백은,
    상기 내부에어백과 외부에어백 사이에 다수 개 구비되는 제1간격에어백; 및
    상기 외부에어백 외측에 다수 개 구비되는 제2간격에어백;을 포함하는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구획된 다수의 팽창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KR1020150084591A 2015-06-15 2015-06-15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KR20160147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591A KR20160147597A (ko) 2015-06-15 2015-06-15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591A KR20160147597A (ko) 2015-06-15 2015-06-15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597A true KR20160147597A (ko) 2016-12-23

Family

ID=5773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591A KR20160147597A (ko) 2015-06-15 2015-06-15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75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429B1 (ko) * 2018-11-27 2020-03-10 훈쏟쎄타 에어백 장치
KR20200133905A (ko) * 2019-05-21 2020-12-0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추락사고자를 위한 안전 장치
KR20210054707A (ko) * 2019-11-06 2021-05-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429B1 (ko) * 2018-11-27 2020-03-10 훈쏟쎄타 에어백 장치
KR20200133905A (ko) * 2019-05-21 2020-12-0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추락사고자를 위한 안전 장치
KR20210054707A (ko) * 2019-11-06 2021-05-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1833B (zh) 高空防护服
US9439460B2 (en) Inflatable protection safet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04890836B (zh) 一种水上快速救生系统
CN106730431B (zh) 高空坠落保护装置
KR20160147597A (ko) 개인용 에어백 장치의 제어시스템
CN100534550C (zh) 安全防护气囊
WO2016132255A1 (en) Inflatable protection system
CN108968181A (zh) 一种坠落安全防护装置及其安全防护方法
CN103520850A (zh) 一种单向充气防碰撞安全服
CN101318057A (zh) 一种高空跌落的自救方法及自救包
CN210364325U (zh) 一种高空作业救生衣
CN212914231U (zh) 高楼紧急逃生装置
KR100751288B1 (ko) 완강 피난용 구명낙하산
KR100427964B1 (ko) 개인용 에어백 장치
US9027886B1 (en) High altitude escape pod
CN211129814U (zh) 气囊式跌落保护装置
KR20030096996A (ko) 공기쿠션을 이용한 고소(高所) 탈출용 구명장비
CN113476759B (zh) 一种利用电磁力的高空坠落安全保护装置及其控制方法
CN215653505U (zh) 一种具有坠落保护功能的穿戴设备
CN214971288U (zh) 一种用于火灾逃生的跳楼气囊
KR102021379B1 (ko)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CN110329458A (zh) 一种高空作业救生衣
WO2005094944A1 (en) Crash protection airbag
JP2005519656A (ja) 救助用エアジャケット
RU246405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при падении с высо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