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379B1 -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 Google Patents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379B1
KR102021379B1 KR1020180023931A KR20180023931A KR102021379B1 KR 102021379 B1 KR102021379 B1 KR 102021379B1 KR 1020180023931 A KR1020180023931 A KR 1020180023931A KR 20180023931 A KR20180023931 A KR 20180023931A KR 102021379 B1 KR102021379 B1 KR 102021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 jacket
airboat
user
life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890A (ko
Inventor
박성영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3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37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7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4Life-rafts
    • B63C2009/042Life-rafts inflat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명조끼(Life Jacket)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물의 온도 또는 사용자 체온에 따라 에어보트를 펼쳐 사용자가 에어보트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는, 복수의 부력재가 내장된 구명조끼 본체; 상기 구명조끼 본체 후면에 접힌 상태로 결합 고정되고, 압축 공기의 공급에 의해 상기 구명조끼 외측으로 팽창하는 에어보트; 상기 구명조끼 본체에 장착되어 수중에 추락되는 것을 감지하여 추락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수중 추락 검출부; 상기 구명조끼 본체 앞면에 장착되어 상기 추락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중에 표류하는 시간을 감지하여 표류시간정보를 생성하는 표류시간 생성부; 상기 구명조끼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추락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중의 온도를 센싱하여 수중온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센싱하여 체온정보를 생성하는 온도측정부; 및 상기 표류시간정보, 상기 수중온도정보 및 상기 체온정보에 따라 안전경고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Life Jacket with an Air Boat}
본 발명은 구명조끼(Life Jacket)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물의 온도 또는 사용자 체온에 따라 에어보트를 펼쳐 사용자가 에어보트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해상사고나 비행기의 추락 등으로 인해 물에 빠져 익사하는 상황을 방지하는 물품으로서, 배는 물론 비행기에도 승객 수만큼 반드시 구명조끼를 탑재하고 수용 가능한 구명보트까지 갖추도록 법에 명시되어 있다. 그 이유는 급격한 날씨 변화나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른 불의의 사고에 생명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레저 활동, 수산 작업, 군사 작전 중에 예측할 수 없는 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라 하더라도 물속에 오래 있다거나 이러한 사고가 추운 날에 발생하는 경우, 저체온증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야간에 바다, 강에 빠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구조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라도 저체온증으로 인해 익사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20-0358778(2004년08월03일)
따라서 사용자가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에어보트 위에 위치하여 저체온증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사용자가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물의 온도 또는 사용자 체온에 따라 에어보트를 펼쳐 사용자가 에어보트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는,
복수의 부력재가 내장된 구명조끼 본체;
상기 구명조끼 본체 후면에 접힌 상태로 결합 고정되고, 압축 공기의 공급에 의해 상기 구명조끼 외측으로 팽창하는 에어보트;
상기 구명조끼 본체에 장착되어 수중에 추락되는 것을 감지하여 추락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수중 추락 검출부;
상기 구명조끼 본체 앞면에 장착되어 상기 추락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중에 표류하는 시간을 감지하여 표류시간정보를 생성하는 표류시간 생성부;
상기 구명조끼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추락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중의 온도를 센싱하여 수중온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센싱하여 체온정보를 생성하는 온도측정부; 및
상기 표류시간정보, 상기 수중온도정보 및 상기 체온정보에 따라 안전경고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는,
상기 구명조끼의 양측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에어보트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가스통; 및
상기 구명조끼 본체 앞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상기 안전경고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LED 모듈 및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안전경고를 제공하는 안전경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통은,
상기 안전경고신호에 따라 저장된 상기 압축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류시간정보, 상기 수중온도정보 및 상기 체온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안전경고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는,
상기 가스의 배출을 수동으로 작동하기 위해 상기 가스통 일측에 연결되는 가스배출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구명조끼에 에어보트가 결합 구비되어 물에 빠진 경우, 구명조끼의 결합된 에어보트가 펼쳐지면서 사용자가 페어보트 위에 안착되어 저체온증으로 인한 익사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명조끼에 에어보트가 결합 구비된 것으로 에어보트에 사용자가 힘겹게 올라가지 않아도 되므로 수중에서 사용자의 에너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보트는 구비한 구명조끼(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의 (a)는 사용자가 구명조끼를 입은 상태에서 추락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b)는 구명조끼에 결합된 에어보트가 펼쳐진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어 "예시적인" 은 "예로서, 일례로서, 또는 예증으로서 역할을 한다."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시적"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들은 다른 양태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하다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만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보트는 구비한 구명조끼(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1)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물에 추락한 상태에서 에어보트가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추락한 상태이고, (b)는 에어보트가 펼쳐진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조끼 본체(10), 에어보트(20), 기울기 조절부(30), 수중 추락 검출부(100), 자이로 센서(200), 표류시간 생성부(300), 온도측정부(400), 제어부(500), 안전경고부(600), 가스통(700) 및 가스배출선(800)을 포함한다.
구명조끼 본체(10)는 복수의 부력재가 내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구명조끼 본체(10)는 신체의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좌, 우측 전면부와, 등 부분을 감싸는 후면부와, 좌, 우측 전면부에서 신체의 상반신에 착용하도록 구비된 허리밸트(B)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 좌, 우측 전면부와 후면부 내부에는 부력재가 포함되어 있어 물에 빠졌을 때 부력을 발생하게 된다.
에어보트(20)는 구명조끼 본체(10) 후면에 접힌 상태로 결합 고정되고, 압축 공기의 공급에 의해 상기 구명조끼(1)의 후면에서 외측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보트(20)는 공기의 공급에 의해 팽창하면서 평판 형태로 펼쳐진다. 여기서, 펼쳐진 에어보트(20)의 크기는 사람 한명이 누울 수 있는 사이즈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에어보트(20)의 경우, 구면조끼 본체(10) 후면에서 결합된 상태로 팽창되어 사용자가 보트로 따로 올라가거나 이동하지 않고 바로 보트위에 위치할 수 있다.
수중 추락 검출부(100)는 구명조끼 본체(10)에 장착되어 수중에 추락되는 것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중 추락 검출부(100)는 수압과 수분을 복합적으로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자이로 센서(200)는 구명조끼 본체(10)의 일측에 장착되어 구명조끼의 방위 변화를 측정하여 구명조끼가 전복되는 것(사용자가 수면을 향해 누워있는 상태가 된 것)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표류시간 생성부(300)는 구명조끼 본체(10) 앞면에 장착되어 상기 추락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중에 표류하는 시간을 감지하여 표류시간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온도측정부(400)는 수중온도 측정부(410)와 체온 측정부(420)를 포함한다. 수중온도 측정부(410)는 상기 구명조끼 본체(10) 겉면에 장착되어 상기 추락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중의 온도를 센싱하여 수중온도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체온 측정부(420)는 상기 구명조끼 본체(10)에 안면에 장착되어 상기 추락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온을 센싱하여 체온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00)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수중 추락 검출부(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구명조끼가 수중에 추락되는 지의 여부를 인식함과 아울러, 자이로 센서(2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구명조끼가 전복되는 지의 여부를 인식하여 수중에 추락되어 설정시간이상 전복되었을 때 안전경고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수중에 추락되어 설정시간이상 전복되었을 경우, 사용자의 상태가 의식이 없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설정시간이상 전복되었을 때 생성된 안전경고신호에 따라 가스통(7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가스통(700)의 저장된 상기 압축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보트(20)를 구명조끼 본체(10) 외측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기울기 조절부(30)는 에어보트(20) 후면에 사이드 양측에 각각 하나씩 결합 고정되고, 기울기 센서(미도시)와 무게추(32)를 구비하여 에어보트(20)가 팽창되는 경우, 수중방향으로 무게추(32)를 이동시켜 구명조끼(1)를 장착한 사용자가 물속에 몸이 빠지지 않고 하늘을 향해 에어보트(20)의 위로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울기 조절부(30)는 사용자가 에어보트(20) 위에 안착된 경우, 파도나 바람에 따라 흔들리는 에어보트(20)의 기울기를 기울기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센싱하고 무게추(20)를 움직여서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00)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수중 추락 검출부(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구명조끼가 수중에 추락되는 지의 여부를 인식함과 아울러, 표류시간 생성부(300)로부터 상기 표류시간정보를 수신하고, 온도측정부(400)로부터 수중온도정보 및 상기 체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류시간정보, 상기 수중온도정보 및 상기 체온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안전경고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00)는 안전경고신호에 따라 가스통(7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가스통(700)에 저장된 상기 압축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보트(20)를 구명조끼 본체(10) 외측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400)의 동작에 따라 안전경고를 제공받았으나 에어보트(20)가 팽창하지 않은 경우나 안전경고신호를 제공받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가스의 배출을 수동으로 작동하기 위해 가스통(700) 일측에 연결되는 가스배출선(800)을 잡아당겨 압축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보트(20)를 구명조끼 본체(10) 외측으로 팽창하도록 한다. 여기서, 안전경고부(600)는 제어부(400)의 상기 안전경고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LED 모듈(610) 및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모듈(620)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안전경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의 작용에 대해 도 4의 도면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는 사용자가 구명조끼를 입은 상태에서 추락한 상태이고, (b)는 구명조끼에 결합된 에어보트가 펼쳐진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있으며, 선박이 암초에 부딪혀 그 충격에 의해 배가 난파되고, 배에 타고 있던 사용자가 구명조끼를 입은 상태에서 의식이 있는 상태로 바다로 추락한다고 가정한 것이다.
추락 후, 수중 추락 검출부(100)에 의해 사용자가 수중에 추락된 것이 감지된 후 표류시간 생성부(300)는 상기 표류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온도측정부(400)는 수중온도정보 및 체온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400)는 표류시간정보, 상기 수중온도정보 및 상기 체온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안전경고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00)는 안전경고신호에 따라 가스통(7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가스통(700)에 저장된 상기 압축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보트(20)를 구명조끼 본체(10) 외측으로 팽창하도록 한다.
또는 제어부(400)의 동작에 따라 안전경고를 제공받았으나 에어보트(20)가 팽창하지 않은 경우나 안전경고신호를 제공받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가스의 배출을 수동으로 작동하기 위해 가스통(700) 일측에 연결되는 가스배출선(800)을 잡아당겨 압축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보트(20)를 구명조끼 본체(10) 외측으로 팽창하도록 한다.
여기서, 기울기 조절부(30)는 에어보트(20) 후면에 사이드 양측에 각각 하나씩 결합 고정되고, 기울기 센서(미도시)와 무게추(32)를 구비하여 에어보트(20)가 팽창되는 경우, 수중방향으로 무게추(32)를 이동시켜 구명조끼(1)를 장착한 사용자가 물속에 몸이 빠지지 않고 하늘을 향해 에어보트(20)의 위로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울기 조절부(30)는 사용자가 에어보트(20) 위에 안착된 경우, 파도나 바람에 따라 에어보트(20)의 기울기를 기울기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센싱하고 무게추(20)를 움직여서 기울기를 유지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10: 구명조끼 본체(10)
20: 에어보트
30: 기울기 조절부
32: 무게추
100: 수중 추락 검출부
200: 자이로 센서
300: 표류시간 생성부
400: 온도측정부
410: 수중온도 측정부
420: 체온 측정부
500: 제어부
600: 안전경고부
610: LED 모듈
620: 진동모듈
700: 가스통
800: 가스배출선

Claims (5)

  1. 복수의 부력재가 내장된 구명조끼 본체;
    상기 구명조끼 본체 후면에 접힌 상태로 결합 고정되고, 압축 공기의 공급에 의해 상기 구명조끼 외측으로 팽창하는 에어보트;
    상기 구명조끼 본체에 장착되어 수중에 추락되는 것을 감지하여 추락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수중 추락 검출부;
    상기 구명조끼 본체 앞면에 장착되어 상기 추락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중에 표류하는 시간을 감지하여 표류시간정보를 생성하는 표류시간 생성부;
    상기 구명조끼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추락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중의 온도를 센싱하여 수중온도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체온을 센싱하여 체온정보를 생성하는 온도측정부; 및
    상기 표류시간정보, 상기 수중온도정보 및 상기 체온정보에 따라 안전경고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보트 후면 사이드 양측에 각각 하나씩 결합 고정되는 기울기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 조절부는 기울기 센서와 무게추를 구비하여 에어보트가 팽창되는 경우, 수중방향으로 무게추를 이동시켜 구명조끼를 장착한 사용자가 하늘을 향해 에어보트의 위로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명조끼의 양측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에어보트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가스통; 및
    상기 구명조끼 본체 앞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상기 안전경고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LED 모듈 및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안전경고를 제공하는 안전경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통은,
    상기 안전경고신호에 따라 저장된 상기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류시간정보, 상기 수중온도정보 및 상기 체온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안전경고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의 배출을 수동으로 작동하기 위해 상기 가스통 일측에 연결되는 가스배출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KR1020180023931A 2018-02-27 2018-02-27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KR102021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31A KR102021379B1 (ko) 2018-02-27 2018-02-27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31A KR102021379B1 (ko) 2018-02-27 2018-02-27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890A KR20190102890A (ko) 2019-09-04
KR102021379B1 true KR102021379B1 (ko) 2019-09-16

Family

ID=6795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931A KR102021379B1 (ko) 2018-02-27 2018-02-27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3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910B1 (ko) * 2002-01-10 2004-08-04 손양현 자동 구명 튜브
KR101264911B1 (ko) * 2011-05-27 2013-05-15 (주)용진기업 발광 구명 조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778Y1 (ko) 2004-05-27 2004-08-11 김창언 방석이 결합된 낚시용 구명조끼
KR100863845B1 (ko) * 2007-04-05 2008-10-15 노재철 개인 휴대용 구명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910B1 (ko) * 2002-01-10 2004-08-04 손양현 자동 구명 튜브
KR101264911B1 (ko) * 2011-05-27 2013-05-15 (주)용진기업 발광 구명 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890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93100A2 (en) Variable-displacement variable-ballast life raft inflated and maintained by a manual pneumatic and or hydraulic lever-amplified torque pump through a range of dedicated fittaments
US7264525B2 (en) Flotation device
US8920205B2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WO2016145543A1 (es) Sistema autónomo de rescate de personas para embarcaciones y naufragios
WO2016191821A1 (en) A self inflating personal safety device
US10358197B2 (en) Lifesaving rope apparatus, life jacket, and water lifesaving device
CA2805051A1 (en) Manual/automatic inflatable water survival device
EP2293973B1 (en) Object location device
WO2014110632A1 (en) Safety device
US10207780B2 (en) Emergency rescue locator
KR101919954B1 (ko) 물 감지센서 및 타이머가 장착된 휴대용 구명조끼
KR102021379B1 (ko) 에어보트를 구비한 구명조끼
CN210364325U (zh) 一种高空作业救生衣
KR200432410Y1 (ko) 구명조끼
KR101961773B1 (ko) 목을 리프팅해줄 수 있는 구명조끼
KR20170086284A (ko)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KR20200031835A (ko)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KR101702095B1 (ko) 구명용 에어밴드
CA2720574C (en) Electronic aquatic survival device
KR102455865B1 (ko) 자동 발사형 구명 장치
CN110329458A (zh) 一种高空作业救生衣
WO2005085063A1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US11097817B2 (en) Marker, recovery and flotation device
KR101888499B1 (ko)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KR20110002172U (ko) 구명 조끼에 장착하는 조난표시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