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155A - 다기능 센서 감지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센서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155A
KR20160147155A KR1020150083275A KR20150083275A KR20160147155A KR 20160147155 A KR20160147155 A KR 20160147155A KR 1020150083275 A KR1020150083275 A KR 1020150083275A KR 20150083275 A KR20150083275 A KR 20150083275A KR 20160147155 A KR20160147155 A KR 20160147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ain body
groove
battery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민
유갑상
Original Assignee
베이스코리아아이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스코리아아이씨(주) filed Critical 베이스코리아아이씨(주)
Priority to KR102015008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7155A/ko
Priority to PCT/KR2016/005408 priority patent/WO2016200075A1/ko
Publication of KR20160147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15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센서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센서와, 외부장치가 탈, 부착되는 커넥터부,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거나 입력하면서 센서에 대한 설정과 센서정보를 제어할 수 있는 표시부, 외부의 통신장치를 연결하거나 또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 상기 센서, 표시부, 인터페이스, 배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성된 본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적인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본체에 원터치 형태로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어 간편하게 분해, 조립이 가능하며,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통해 센서가 자중에 의해 쉽게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센서를 시소형태와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본체에서 센서를 편리하게 탈, 부착하면서 유지보수 및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센서 감지기{Multi-function sensor detectors}
본 발명은 다기능 센서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선택하여 간편하게 원터치 형태로 탈, 부착하면서 사용자의 몸 또는 의복에 부착하거나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장소에서도 편리하게 다양한 수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기능 센서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탈, 부착하여 다양한 정보의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26990호와 같이 센서소켓장치부에 습도 외에 다양한 환경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탈,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센서에 의해 다양한 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센서를 탈, 부착할 경우에 매번 센서를 고정시키는 조립나사 및 어셈블리 덮개를 일일이 분해하거나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센서 감지기는 센서와, 외부장치가 탈, 부착되는 커넥터부,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거나 입력하면서 센서에 대한 설정과 센서정보를 제어할 수 있는 표시부, 외부의 통신장치를 연결하거나 또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 상기 센서, 표시부, 인터페이스, 배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성된 본체로 이루어져, 다양한 환경적인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본체에 원터치 형태로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어 간편하게 분해, 조립이 가능하며,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통해 센서가 자중에 의해 쉽게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센서를 시소형태와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본체에서 센서를 편리하게 탈, 부착하면서 유지보수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제1본체와 제2본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제1본체와 제2본체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거나 분리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분리형으로 제작시 파손된 장비만을 간편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고, 제1본체와 제2본체를 접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원활하게 본체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센서에 형성된 회전홈과 본체에 형성된 센서돌기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도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본체로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에 형성된 파지홈을 통해 센서를 본체에서 용이하게 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적인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본체에 원터치 형태로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어 간편하게 분해, 조립이 가능하며,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통해 센서가 자중에 의해 쉽게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센서를 시소형태와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본체에서 센서를 편리하게 탈, 부착하면서 유지보수 및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제1본체와 제2본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제1본체와 제2본체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거나 분리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분리형으로 제작시 파손된 장비만을 간편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고, 제1본체와 제2본체를 접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원활하게 본체로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센서에 형성된 회전홈과 본체에 형성된 센서돌기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도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본체로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에 형성된 파지홈을 통해 센서를 본체에서 용이하게 탈,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기능 센서 감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다기능 센서 감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다기능 센서 감지기의 다른 실시 예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다기능 센서 감지기의 다른 실시 예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센서 감지기(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0)와 본체(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센서(10)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습도, 온도, 체온, 화학약품, 전류, 전압, 광량, 대기압, 조도, 압력 등을 감지하는 것과 같이 생활장소나 산업현장, 농업현장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현재 생산중인 센서를 하나 이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에 더해, 상기 센서(10)의 일측이나 양측면으로 센서(10)가 후술할 본체(20)에 결합되어 외부의 약한 충격이나 자중에 의해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걸림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면이나 하측 또는 상측으로 후술할 본체(20)와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한 접점(p)이 형성되면서 기계적으로 결합이 가능한 회전홈(12)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10)가 본체(20)와 전기적으로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본체(20)에 결합되는 회전홈(12)에 접점(p)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에 더해, 상기 센서(10)에는 본체(20)에 탈, 부착시 사용자가 센서(10)를 간편하게 파지하여 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파지홈(s)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10)가 회전홈(12)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센서(10)의 상측이나 하측이 본체(20)의 외부로 노출되는데 그 노출되는 부분을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센서(10)의 상측이나 하측 또는 두군데 모두 파지홈(s)을 형성하여, 상기 파지홈(s)에 사용자의 손을 넣어 센서(10)를 편안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본체(20)에서 쉽게 센서(10)를 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홈(s)의 형상이나 위치, 수량 등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는 센서(1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20)는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를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인 탈부착형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 중 어느 하나를 상대적으로 작게 제작한 후, 상대적으로 작은 본체를 큰 본체의 내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핸드폰(도면에 미도시)의 내부에 보조배터리(도면에 미도시)가 결합되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한다.
이에 더해, 상기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는 볼트나 핀과 같은 결합부재(도면에 미도시) 등에 의한 방법이나, 홈과 돌기의 결합과 같은 결합수단(도면에 미도시)과 같은 방법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 외에 현재 일반적으로 다른 구성을 결합, 분리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에는 전선 또는 스피커와 같은 외부장치(도면에 미도시)가 결합되거나 또는 상술한 센서(10)가 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부(21)에 결합되는 외부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외부장치에 잭(도면에 미도시) 또는 핀(도면에 미도시)과 같은 결합형태나 볼트(도면에 미도시)와 같은 결합형태 또는 돌기(도면에 미도시) 및 홈(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어 상술한 형태와 결합될 수 있는 홈이나 돌기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커넥터부(21)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도면에 미도시)나 그 외 다른 휴대단말기에 다른 외부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부(21)가 홈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21)에 센서(10)가 결합될 때, 센서(10)에는 홈 형태의 커넥터부(21)에 결합될 수 있는 잭(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부(2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경우 센서(10)에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 및 센서(10)의 정보 및 센서(10)와 본체(20)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내용 및 제어내용을 소리나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는 표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2)는 스피커(도면에 미도시), 액정화면(도면에 미도시)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2)를 통해 센서(10)로부터 감지된 신호 및 센서(10) 및 본체(20)를 원활하게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버튼(도면에 미도시) 등이나 스위치(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본체(20a)에 외부의 통신장치(도면에 미도시), 디스플레이(도면에 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외부장치를 연결하거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3)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20a)에 형성된 인터페이스(23)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본체(20a)의 내부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24)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24)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본체(20a)의 내부에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도면에 미도시)의 중앙처리장치(도면에 미도시)와 같이 모든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본체(20b)에는 센서(10)를 분리,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나 이상의 센서(10)가 끼워지는 센서홈(k3)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면서 센서홈(k3)의 사이마다 격벽(k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센서홈(k3)에는 센서(10)에 형성된 걸림홈(11)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걸림돌기(k1)가 센서(10)의 걸림홈(11)과 동일한 수량 및 동일한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센서(10)에 형성된 회전홈(12)에 대응되어 상기 센서(10)가 센서홈(k3)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센서돌기(k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10)의 회전홈(12)에 센서돌기(k2)가 결합될 때, 홈과 돌기의 기계적인 구조에 의한 결합방법 및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10)와 본체(20)와의 원활한 결합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해 회전홈(12)과 센서돌기(k2)에 각각 접점(p)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20)를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를 각각 탈부착형으로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20)를 제1, 2본체(20a, 20b)와 같이 탈부착형으로 형성할 경우, 제1본체(20a)는 본체(20)를 전반적으로 운영, 제어하는 제어장치(도면에 미도시)로 운영할 수 있고, 제2본체(20b)는 센서(10)를 본체(20)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합부재(도면에 미도시)로 운영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본체(20)를 제1, 2본체(20a, 20b)와 같이 탈부착형으로 형성할 경우,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를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 등을 통해 조립할 수도 있으면서 접점(p) 등을 각각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센서(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원활하게 본체(20)로도 전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10)와 본체(20)와의 접속 및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와의 접속을 위해 형성된 접점(p)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현재 일반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나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본체(20)에는 외부와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도면에 미도시)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서(10)에는 걸림홈(11)과 회전홈(12)이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였으며, 본체(20)에는 걸림돌기(k1) 및 센서돌기(k2)가 형성된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상술한 형태는 서로 교차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혼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에는 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수치나 본체(20)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어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센서(10) 및 본체(20)에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거나 외부의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거나 상술한 접점(p)을 통한 센서(10)와 본체(20) 간의 통신 외에 다른 통신모듈(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10)를 준비한 후, 센서(10)의 형태에 따라 본체(20)에 형성된 커넥터부(21)에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10)와 본체(20)와의 결합방법은 현재 일반적으로 전기적인 형태로 연결되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가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센서(10)를 본체(20)에 결합할 때, 커넥터부(21)를 이용한 방법 외에 다른 방법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본체(20b)에 형성된 센서홈(k3)에 센서(10)를 끼우면서 센서홈(k3)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센서돌기(k2)와 센서(10)에 형성된 회전홈(12)이 결합되도록 하면, 상기 센서(10)가 센서돌기(k2) 및 회전홈(12)을 기준으로 시소처럼 움직일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센서(10)에 형성된 걸림홈(11)과 센서홈(k3)에 형성된 걸림돌기(k1)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센서(10)가 본체(20)에 보다 강한 고정력으로 고정됨으로써, 본체(20)에서 센서(10)가 쉽게 흔들리거나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상술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센서(10)를 본체(20)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체(20)에 하나 이상의 센서(10)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몸 또는 의복 등에 고정시키거나 휴대하고 다니면서 주변의 환경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20)에 형성된 표시부(22)를 통해 센서(10)의 설정, 작동순서나 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수치확인 및 전원의 온, 오프 등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표시부(22)를 통해 음성과 같은 청각적인 방법이나 문자, 도형과 같은 시각적인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23)를 통해 본체(20)의 내부에 구성된 배터리(24)를 충전하거나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10)와 본체(20)가 기계적인 결합구조 외에 접점(p)을 통한 전기적인 결합이 가능하여 센서(10) 및 본체(20) 간의 데이터가 원활하게 서로 전송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센서(10) 및 본체(20)는 각각 유선 및 무선 등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방법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에서 센서(10)를 분리할 경우에는 커넥터부(21)에 결합된 센서(10)는 손쉽게 센서(10)를 파지하여 힘을 가하면서 커넥터부(21)에서 분리하면 되고, 센서홈(k3)에 결합된 센서(10)는 상기 센서(10)의 일측에 힘을 가하여 상기 본체(20)의 걸림돌기(k1)에 결합되어 있던 센서(10)의 걸림홈(11)이 빠지도록 하여 시소와 같이 일측이 본체(20)의 외측방향으로 튀어나오도록 한 후, 그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센서(10)를 본체(20)에서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센서(10)의 상측이나 하측 또는 두군데 모두 형성된 파지홈(s)에 사용자의 손을 넣으면서 센서(10)를 파지하여 본체(20)에서 센서를 분리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센서홈(k3)의 센서돌기(k2)에 결합되어 있던 센서(10)의 회전홈(12)이 분리되면서 본체(10)에서 센서(10)가 손쉽게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센서(10)가 본체(20)에서 원터치 형태로 손쉽게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유지보수 및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센서
11 : 걸림홈 12 : 회전홈
20 :본체
20a : 제1본체 20b : 제2본체
21 : 커넥터부 22 : 표시부
23 : 인터페이스 24 : 배터리
25 : 제어부 k1 : 걸림돌기
k2 : 센서돌기 k3 : 센서홈
50 : 다기능 센서 감지기

Claims (5)

  1. 센서(10);
    외부장치가 탈, 부착되는 커넥터부(21), 센서(10)에서 측정된 정보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거나 입력하면서 센서(10)에 대한 설정과 센서정보를 제어할 수 있는 표시부(22), 외부의 통신장치를 연결하거나 또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23),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24), 상기 센서(10), 커넥터부(21), 표시부(22), 인터페이스(23), 배터리(24)를 제어하는 제어부(25)가 구성된 본체(2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다기능 센서 감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0)에는 본체(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11)과 회전홈(12)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20)에는 걸림홈(11)에 대응되는 걸림돌기(k1)와 회전홈(12)에 대응되는 센서돌기(k2)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다기능 센서 감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커넥터부(21), 표시부(22), 인터페이스(23), 배터리(24), 제어부(25)가 형성되는 제1본체(20a)와, 상기 걸림돌기(k1), 센서돌기(k2)와 센서(10)가 끼워지는 센서홈(k3)이 포함된 제2본체(20b)로 형성되되, 상기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가 일체형이나 또는 탈부착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고, 제1본체(20a)와 제2본체(20b)가 탈부착형으로 형성될 경우 접점(p)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다기능 센서 감지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0)에 형성된 회전홈(12)과 본체(20)에 형성된 센서돌기(k2)는 각각 전기적으로도 연결되어 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를 본체(20)로 전송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다기능 센서 감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0)에는 파지홈(s)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다기능 센서 감지기.
KR1020150083275A 2015-06-12 2015-06-12 다기능 센서 감지기 Ceased KR20160147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275A KR20160147155A (ko) 2015-06-12 2015-06-12 다기능 센서 감지기
PCT/KR2016/005408 WO2016200075A1 (ko) 2015-06-12 2016-05-20 다기능 센서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275A KR20160147155A (ko) 2015-06-12 2015-06-12 다기능 센서 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155A true KR20160147155A (ko) 2016-12-22

Family

ID=5750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275A Ceased KR20160147155A (ko) 2015-06-12 2015-06-12 다기능 센서 감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47155A (ko)
WO (1) WO20162000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8597B (zh) * 2018-01-05 2020-03-27 广州莲印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胎儿监护传感器管理装置
DE102020211488A1 (de) * 2020-09-14 2022-03-17 Zf Friedrichshafen Ag Erfassungsvorrichtung zur Befestigung an oder in ein Fahrzeugbauteil und zur Erfassung von physikalischen und/oder chemischen Größen
CN112082600B (zh) * 2020-09-18 2021-12-10 苏州盖恩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集多种传感器合作运行的多功能在线检测仪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253Y1 (ko) * 1997-05-12 1999-08-02 전주범 전자제품의 리모컨
KR200226990Y1 (ko) * 2000-04-20 2001-06-15 대한민국 다중센서 어셈블리
KR101265788B1 (ko) * 2010-12-24 2013-05-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탈부착 복합 가스센서 모듈
KR101451700B1 (ko) * 2013-08-08 2014-10-22 주식회사 맥스포 대기환경 측정 센서모듈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0075A1 (ko)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85259A (zh) 用于多方位连接的电子模块和模块化电子构建系统
KR20160147155A (ko) 다기능 센서 감지기
WO2014110470A2 (en) A sensing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3189084U (ja) 電子式トルクレンチ
KR200480780Y1 (ko) 학생용 센서로봇
US7701086B2 (en) Remote controlled extension cord with embedded housing for a remote control
JP2017030503A (ja) 自転車用コンポーネント
US20050285562A1 (en) Power converter with output voltage level indicating device
KR101785367B1 (ko)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AU2017423230B2 (en) Electrical equipment and additional functional module associated therewith
US11380498B2 (en) Electrical unit and associated additional functional module
CN214338020U (zh) 智能可视图像采集装置
CN110602286A (zh) 电子设备、传感器扩展装置和电子设备组件
CN116509289A (zh) 一种电源管理单元及清洁机手柄
AU2017423231B2 (en) Electrical equipment and additional functional module associated therewith
CN210463451U (zh) 一种线控器组件及空调器
CN212007543U (zh) 便携式智能测温笔
AU2017423229B2 (en) Electrical equipment and additional functional module associated therewith
KR101005119B1 (ko)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 교체형 분석 모듈을 포함한 다기능 측정장치
KR200422353Y1 (ko) 잔량이 표시되는 배터리
JP2547857Y2 (ja) 圧力センサー装置
CN207884309U (zh) 移动电源
CN110501967A (zh) 电子调速器、控制方法以及控制装置
CN219023115U (zh) 一种集成式心电跳绳
CN215600451U (zh) 储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