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019A -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019A
KR20160146019A KR1020150082520A KR20150082520A KR20160146019A KR 20160146019 A KR20160146019 A KR 20160146019A KR 1020150082520 A KR1020150082520 A KR 1020150082520A KR 20150082520 A KR20150082520 A KR 20150082520A KR 20160146019 A KR20160146019 A KR 20160146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vehicle
signal
external device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철
정의석
최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6019A/ko
Publication of KR2016014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29/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차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복수의 ECU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차량 신호들을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신호 라이브러리; 상기 신호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차량 신호들 중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응하는 차량 신호들을 추출하는 신호 추출부; 상기 추출된 차량 신호들을 미리 정의된 형태의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 중에서 외부 장치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선택하는 신호 선택부; 및 상기 신호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신호들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제공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INTERFAC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신호들을 변환하여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경우 전자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들 사이를 연결하는 차량용 네트워크 기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상기 ECU들은 차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토콜로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ECU들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차량 신호들은 고유의 값을 가지고 있으며, 차량 외부의 장치로는 해독이 불가능하다.
차량의 배출 가스와 관련된 데이터가 배출 가스에 대한 규제를 만족하는지 진단하기 위하여 진단용 툴과 같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OBD-Ⅱ 포트가 스티어링 휠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OBD-Ⅱ 포트는 핀 형상 및 핀 할당이 규정되어 있다. 상기 규정된 핀 할당에 따라 진단용 툴은 OBD-Ⅱ 포트를 통해 각종 검출치, 이상 코드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최근 운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차량용 튜닝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지만, 상기 차량 신호들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없어 그 기능이 제한적이다. 운전자에게 차속, 엔진 RPM 등의 차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OBD-Ⅱ 포트에 접속할 수 있는 튜닝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지만, 상기 OBD-Ⅱ의 핀 할당이 규정되어 있어 이용할 수 있는 차량 신호들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 장치가 필요로 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차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복수의 ECU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차량 신호들을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신호 라이브러리; 상기 신호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차량 신호들 중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응하는 차량 신호들을 추출하는 신호 추출부; 상기 추출된 차량 신호들을 미리 정의된 형태의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 중에서 외부 장치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선택하는 신호 선택부; 및 상기 신호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신호들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제공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부는, OBD-Ⅱ 포트를 통해 차량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선택부는, 상기 커넥터에 상기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외부 장치의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외부 장치의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 중에서 상기 외부 장치의 식별자에 따른 신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 가능한 차량 신호들의 항목을 목록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복수의 ECU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차량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신호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차량 신호들 중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응하는 차량 신호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차량 신호들을 미리 정의된 형태의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 커넥터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의 제공을 결정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 중에서 상기 외부 장치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신호들을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차량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OBD-Ⅱ 포트를 통해 차량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식별자가 전달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의 제공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식별자에 따른 신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차량 신호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의 제공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가 필요로 하는 차량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식이 오래된 차량의 운전자들도 새로운 기능의 외부 장치를 차량에 장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 신호들을 사용하는 다양한 외부 장치들의 개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외부 장치로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외부 장치로서 차속 게이지 및 차속 감응 무드 조명이 접속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신호 수신부(110), 신호 라이브러리(120), 신호 추출부(130), 신호 변환부(140), 신호 선택부(150), 및 커넥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재 통신 네트워크(5)에는 복수의 ECU(10A 내지 10F)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ECU(10A 내지 10F)들은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로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FlexRa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는 상기 복수의 ECU(10A 내지 10F)와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복수의 ECU(10A 내지 10F)가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 부하가 증가하므로 복수의 차재 통신 네트워크(5A 및 5B)가 이용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20)는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ECU들 사이의 상호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20)는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하여 ECU들이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호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110)는 상기 게이트웨이(20)로부터 차량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신호들은 제어 신호 및 상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ECU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제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차량을 시동시키는 신호, 헤드 램프 등 각종 램프를 턴 온시키거나 턴 오프시키는 신호, 공조 장치 등을 턴 온시키거나 턴 오프시키는 신호 등 차량에 탑재된 장치들을 제어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신호는 현재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상태 신호는 차속 신호, 연료 신호, 가속 페달 위치 신호, 브레이크 페달 위치 신호, 요 레이트(yaw rate) 신호, 온도 신호 등 차량에 탑재된 장치들의 현재 상태에 대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부(110)는 상기 차량 신호들을 신호 추출부(130)로 전달한다.
이와 달리, 상기 신호 수신부(110)는 OBD-Ⅱ 포트(30)로부터 차량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OBD-Ⅱ 포트(30)는 핀 할당이 규정되어 있어, OBD-Ⅱ 포트(3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신호들은 게이트웨이(2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신호들보다 그 종류가 제한적일 수 있다.
신호 라이브러리(120)는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상기 신호 라이브러리(120)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차량 신호들이 목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은 당업자가 차량에 탑재된 장치들의 기능들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차량 신호들로 설정할 수 있다.
신호 추출부(130)는 상기 신호 라이브러리(120)를 참조하여 상기 차량 신호들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응하는 차량 신호들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차재 통신 네트워크(5A 및 5B)를 통해 ECU들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차량 신호들을 후술하는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는 것은 신호 변환부(140)의 부하를 증가시키므로 신호 추출부(130)는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응하는 차량 신호들을 추출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140)는 상기 추출된 차량 신호들을 미리 정의된 형태의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차재 통신 네트워크(5A 및 5B)를 통해 송수신되는 차량 신호들을 형태 그대로 외부 장치(200)에 제공하는 것은 ECU(10A 내지 10F)의 보안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신호 변환부(140)는 상기 추출된 차량 신호들을 신호 식별자와 신호값만을 가지는 형태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60)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 장치(200)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는 장치이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으므로, 신호 변환부(140)는 상기 추출된 차량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신호 선택부(150)는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 중에서 외부 장치(200)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200)가 상기 커넥터(160)에 접속되면, 외부 장치(200)의 식별자가 신호 선택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신호 선택부(150)는 외부 장치(200)의 식별자를 기초로 외부 장치(200)의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 중에서 상기 외부 장치(200)의 식별자에 따른 신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차량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에 사용 가능한 차량 신호들의 항목이 목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원하는 차량 신호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는 다이얼 노브, 터치 패드,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차량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튜닝 제품 제조업체에서 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의 인증을 위해 외부 장치(200)마다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연비 게이지, 속도 게이지, 요 레이트 게이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은 신호 수신부(110)가 게이트웨이(20)로부터 차량 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시작된다(S100). 이와 달리, 상기 신호 수신부(110)는 OBD-Ⅱ 포트(30)로부터 차량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신호 추출부(130)는 신호 라이브러리(120)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차량 신호들 중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응하는 차량 신호들을 추출한다(S110).
신호 변환부(140)는 상기 추출된 차량 신호들을 상기 미리 정의된 형태의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한다(S120).
커넥터(160)에 외부 장치(200)가 접속되면, 신호 선택부(150)는 상기 외부 장치(200)로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30). 예들 들어, 상기 외부 장치(200)의 식별자가 전달되면, 신호 선택부(150)는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의 제공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차량 신호의 항목이 선택되면, 신호 선택부(150)는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의 제공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S130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의 제공을 결정하면, 신호 선택부(150)는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 중에서 상기 외부 장치(200)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선택할 수 있다(S140). 즉, 상기 외부 장치(200)의 식별자가 전달되면, 신호 선택부(150)는 상기 외부 장치(200)의 식별자에 따른 신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차량 신호의 항목이 선택되면, 신호 선택부(150)는 상기 선택된 항목에 따른 신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신호들은 커넥터(160)를 통하여 외부 장치(200)로 제공된다(S15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외부 장치로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장치(200)로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GPS부(210), 지도 데이터베이스(220), 제어부(230), 및 표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GPS부(210)는 적어도 3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즉, 차량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베이스(220)에는 주행 경로 계산에 필요한 지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230)는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100)로부터 차속 신호, 턴 시그널 램프 신호, 및 연료 소비량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 형태로 전달되면,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주행 정보는 차량의 위치 정보, 차속 정보, 턴 시그널 정보, 연료 소비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를 향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출하 시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탑재되지 않은 경우에도 별도로 생산된 외부 장치(200)로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외부 장치로서 차속 게이지 및 차속 감응 무드 조명이 접속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장치(200)로서 차속 게이지 및 차속 감응 무드 조명이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접속될 수 있다.
차속 게이지는 다양한 형태의 차속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출하 시에 클러스터에 일괄적으로 표시되는 형태의 차속이 아닌 운전자는 원하는 형태의 차속을 지시하는 차속 게이지를 차량 주행시 사용할 수 있다.
차속 감응 무드 조명은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100)로부터 차속 신호가 전달되면, 차속 감응 무드 조명은 차속에 따라 설정된 색상으로 발광하여 운전자가 차속을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가 필요로 하는 차량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식이 오래된 차량의 운전자들도 새로운 기능의 외부 장치를 차량에 장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 신호들을 사용하는 다양한 외부 장치들의 개발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ECU 20: 게이트웨이
30: OBD-Ⅱ 포트 100: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
200: 외부 장치

Claims (9)

  1. 차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복수의 ECU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차량 신호들을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신호 라이브러리;
    상기 신호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차량 신호들 중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응하는 차량 신호들을 추출하는 신호 추출부;
    상기 추출된 차량 신호들을 미리 정의된 형태의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 중에서 외부 장치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선택하는 신호 선택부; 및
    상기 신호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신호들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제공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는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는,
    OBD-Ⅱ 포트를 통해 차량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부는,
    상기 커넥터에 상기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외부 장치의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외부 장치의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 중에서 상기 외부 장치의 식별자에 따른 신호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차량 신호들의 항목을 목록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
  5. 차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복수의 ECU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차량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신호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차량 신호들 중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차량 신호들에 대응하는 차량 신호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차량 신호들을 미리 정의된 형태의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
    커넥터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의 제공을 결정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 중에서 상기 외부 장치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신호들을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차량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OBD-Ⅱ 포트를 통해 차량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식별자가 전달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의 제공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식별자에 따른 신호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차량 신호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들 또는 아날로그 신호들의 제공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0082520A 2015-06-11 2015-06-11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 KR20160146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20A KR20160146019A (ko) 2015-06-11 2015-06-11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20A KR20160146019A (ko) 2015-06-11 2015-06-11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019A true KR20160146019A (ko) 2016-12-21

Family

ID=5773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520A KR20160146019A (ko) 2015-06-11 2015-06-11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60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554A (ko) * 2017-12-20 2019-06-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커넥터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554A (ko) * 2017-12-20 2019-06-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커넥터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05116B (zh) 车辆状态监测系统和车辆
KR101112588B1 (ko) 차세대 차량용 화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CN106461938B (zh) 控制显示器亮度的系统和方法以及使用该系统的显示器
CA3101107C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est drive scripts for vehicles
CN107924633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791726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ehicular functions
WO2007114166A1 (ja) 画像情報生成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表示制御装置、移動体用情報表示システム、操縦席用モジュール、および移動体
US9182818B2 (en) Communication system of a motor vehicle
US10752166B2 (en)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automatic driving control device, and vehicle
KR20140093805A (ko) 자동차 계기판 장치 및 자동차 계기판 제어 방법
GB2523359A (en) Determining the status of a vehicle
KR101692054B1 (ko) 디지털 클러스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US20080284678A1 (en) Vehicle display
CN112996686A (zh) 用于具有混合动力驱动的交通工具的、用于适配视觉信号的再现的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06143154B (zh) 车辆的群集信息输出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40106792A (ko) 차량 콤포넌트 제어 유닛 및 차량 콤포넌트 제어를 위한 휴대용 단말
WO2012095944A1 (ja) サービス配信装置及びサービス表示装置
KR20180068624A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571865B (zh) 物联网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339527B1 (ko) 추가적인 차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업데이트장치 및 방법
CN105984375A (zh) 车辆的氛围灯控制系统及控制方法
WO20160128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 varying illuminated display in vehicle
JP2024054211A (ja) 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146019A (ko)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
KR20170041072A (ko) 차량용 소음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