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477A -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477A
KR20160145477A KR1020160014986A KR20160014986A KR20160145477A KR 20160145477 A KR20160145477 A KR 20160145477A KR 1020160014986 A KR1020160014986 A KR 1020160014986A KR 20160014986 A KR20160014986 A KR 20160014986A KR 20160145477 A KR20160145477 A KR 20160145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d
main frame
curtain wall
coup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진
박현종
Original Assignee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36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200037A1/ko
Publication of KR2016014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리창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오목부를 갖는 메인 프레임,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오목부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개방부를 차단하며 폐단면(閉斷面)을 형성하는 결합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 프레임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는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오목부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SLIDING TYPE STEEL CURTAIN WALL}
본 발명은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에 관한 것이다.
커튼월(curtain wall)은 건물에 있어서,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지 않은 건물의 외벽을 말한다. 즉,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은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골조가 지지하며, 커튼월은 건물 내 거주자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튼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커튼월은 외부로부터 비, 바람 등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투명 유리 혹은 반사 유리 등을 사용하여 건물의 외벽 마감처리에 이용된다.
대개 커튼월은 기둥이나 보에 하중의 영향을 덜 주고, 사출 제조가 가능한 알루미늄 등의 가벼운 재료로 제조된다.
이러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커튼월 관련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70525호(선행문헌 1)에 개시되어 있으나,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커튼월의 경우, 녹는점이 낮아 내화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커튼월이 불에 쉽게 녹아 내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커튼월은 열전도율이 높아 단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커튼월은 건물이 부담해야 하는 하중을 부담하지 않고 건물의 외벽으로서의 역할만을 할 수 있는 비내력 건축 구조체로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압출가공으로 제작된 구조체가 많이 적용되었으나, 최근 건물의 화재안전 내화특성 강화 및 고층건물 증대로 인한 구조 강성 요구 증대로 인해 스틸 커튼월의 개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단열 및 내화성능이 우수한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스틸 커튼월을 사용하기도 한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470525호(2014.12.0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저비용, 대량생산이 가능한 고내식, 구조강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리창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오목부를 갖는 메인 프레임;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오목부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개방부를 차단하며 폐단면(閉斷面)을 형성하는 결합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 프레임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는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오목부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단면을 이루며 상기 삽입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오목부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날개부; 이격된 상기 날개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며 유리창을 지지하는 수직바;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 연결부 및 결합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는 실링부가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하부 개방부를 차단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1 밀착부; 및 상기 제1 밀착부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하부 개방부를 차단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2 밀착부; 및 상기 제2 밀착부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밀착부는, 상기 밀폐부와 둔각을 이루며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둔각을 이루는 제2 연결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되 상기 제2 밀착부재와 둔각을 이루는 제3 연결부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하부 개방부를 차단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3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밀착부는, 상기 밀폐부와 직각을 이루며 이격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 절곡부재;와 상기 제1 절곡부재와 직각을 이루며,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2 절곡부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프레임은 오목부의 내측면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하부 개방부를 차단하여 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은 용접 없이도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 시간 및 제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부는 지지부와 결합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의 내부로 외기 및 빗물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링부는 수밀 및 기밀을 유지하여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에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링부는 지지부와 결합 프레임간의 클리어런스(clearance) 부위를 채워 스틸 커튼월의 단열 및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는 실런트(sealan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의 날개부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단면을 이루는 오목부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룸에 따라 삽입 공간부로 삽입된 지지부는 메인 프레임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을 이루는 이격된 날개부 간의 폭은 상부 개방부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지지부가 메인 프레임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 지지부 및 유리창 사이에는 개스킷(gasket)이 더 구비되어 이종재료 부식(Galvanic Corrosion)을 막고 유리보호, 지지기능, 기밀, 수밀, 차음기능 등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틸 커튼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틸 커튼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 결합 프레임 및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틸 커튼월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틸 커튼월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틸 커튼월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틸 커튼월의 단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틸 커튼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틸 커튼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 결합 프레임 및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틸 커튼월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1000)은 메인 프레임(100), 결합 프레임(200), 지지부(300) 및 체결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후술되는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의 구성 명칭에 대해서는 간략한 용어인 "스틸 커튼월"의 약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도 3은 스틸 커튼월(1000)의 구성을 손쉽게 파악하도록 메인 프레임(100), 결합 프레임(200) 및 지지부(300)의 단면을 각각 나타낸 예시도로, 도 3의 (a)는 메인 프레임(100)을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이고, 도 3의 (b)는 결합 프레임(200)을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이며, 도 3의 (c)는 지지부(300)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메인 프레임(100)은 스틸 커튼월(100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으로, 메인 프레임(100)의 단면은 삼각 형상, 사각 형상, 오각 형상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건축물의 기둥과 보의 구조부(미도시)에 고정되며 지지부(30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100)은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틸 커튼월(1000)은 내화성능 및 단열 효과가 우수함은 물론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스틸 커튼월(1000)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커튼월에 비해 녹는점이 높아 내화성이 우수하여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커튼월이 쉽게 녹아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 프레임(200)은 절곡 및 롤포밍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롤포밍으로부터 제조되는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 프레임(200)은 선도장이 이루어진 PCM(Pre-Coated Metal) 강판을 절곡하여 스틸 커튼월(1000)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도장이 이루어진 PCM 강판은 스틸 커튼월(1000)의 내식성 및 내후성을 보강하기 위한 아연도금강판에 불소수지가 적용된 강판일 수도 있고, 이외에 또 다른 선도장이 이루어진 강판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선도장이 이루어진 PCM 강판으로부터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 프레임(200)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도장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기에 스틸 커튼월(1000)의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건축용마감자재로서 유리창호의 고정장치인 스틸 커튼월(1000)의 내식성 및 내후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내식, 고내후성 컬러도료가 적용된 선도장 스틸 커튼월(1000)의 경우, 가공 후 도장공정이 삭제됨으로써 스틸 커튼월(1000)의 제조비용 및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 프레임(200)은 반드시 선도장 강판으로부터 롤포밍 작업을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선도장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강판으로도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선도장 처리가 이루어진 않은 강판으로부터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 프레임(200)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 프레임(200)을 성형한 후, 별도의 도장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틸 커튼월(1000)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커튼월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건물 실내 공간의 열손실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100)의 타측은 건축물의 구조부에 고정되고, 메인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지지부(300)가 고정 설치된다. 즉, 메인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삽입 공간부(111)를 형성하는 오목부(110)가 구비되어 지지부(300)는 메인 프레임(10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오목부(110)는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된 구성으로, 오목부(110)는 메인 프레임(100)의 수용 공간부(101) 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오목부(110)는 메인 프레임(100)의 양 끝단이 절곡 형성된 부분으로, 한 쌍을 이루는 오목부(110)는 대칭을 이루게 된다.
이때,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된 오목부(110)의 일단부로부터 메인 프레임(100)의 수용 공간부(101) 측으로 돌출된 오목부(110)의 타단부는 벌려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오목부(110)는 상부 개방부(112)와 하부 개방부(113)를 형성하게 된다. 즉, 한 쌍을 이루는 오목부(110)의 일단부 사이에 개방된 상부 개방부(112)와 오목부(110)의 타단부 사이에 개방된 하부 개방부(113)를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오목부(110)는 상부 개방부(112)와 하부 개방부(113)를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부(300)의 날개부(310)와 연결부(32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111)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하부 개방부(113)의 폭(W2)은 상부 개방부(112)의 폭(W1) 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오목부(110)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단면을 이루며 삽입 공간부(111)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결합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의 수용 공간부(101)에 삽입되며, 하부 개방부(113)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 프레임(200)은 개방된 상태의 하부 개방부(113)를 차단하며, 폐단면(閉斷面)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 프레임(200)은 오목부(110)의 내측면과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메인 프레임(100)의 수용 공간부(101)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하부 개방부(113)를 폐단면 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틸 커튼월(1000)은 별도의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무용접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틸 커튼월(1000)은 제조가 간편하여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프레임(200)은 밀폐부(210), 제1 밀착부(220) 및 지지 플레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210)는 하부 개방부(113)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으로, 밀폐부(210)는 오목부(110)의 타단부와 접촉되어 하부 개방부(113)를 차단함으로써 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밀착부(220)는 밀폐부(210)와 연결되되, 오목부(11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지지 플레이트(230)는 제1 밀착부(220)와 연결되며,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1 밀착부(220)와 지지 플레이트(230)는 밀폐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제1 밀착부(220)와 지지 플레이트(230)는 메인 프레임(100)으로부터 절곡된 오목부(110)와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결합 프레임(200)이 메인 프레임(100)에 삽입 결합됨에 있어, 제1 밀착부(220)와 지지 플레이트(230)는 오목부(110)와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밀폐부(210)는 하부 개방부(113)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과 같이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 프레임(200)은 지지 플레이트(230)가 구비되지 않고 밀폐부(210)와 제1 밀착부(220)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결합 프레임(200)은 제1 밀착부(220)가 오목부(110)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메인 프레임(100)에 지지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 프레임(200)은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메인 프레임(100)에 지지 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지지부(300)는 메인 프레임(100)에 지지 고정된 상태로 유리창(1)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300)는 날개부(310), 연결부(320) 및 수직바(330)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310)는 오목부(110)와 대응되는 경사를 이루며, 오목부(110)의 외측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한 쌍을 이루는 날개부(310)는 대칭을 이루는 오목부(110)의 외측면에 각각 지지되며 지지부(300)를 메인 프레임(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연결부(320)는 한 쌍을 이루며 이격된 날개부(310)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부(320)는 이격된 날개부(310)를 연결하며 날개부(310)를 지지하게 된다.
수직바(330)는 연결부(320)의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된 상태로 유리창(1)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30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알루미늄의 외측면에는 폴리아미드가 덮혀질 수도 있다. 또는, 지지부(300)는 메인 프레임(100)과 같이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실링부(510)는 날개부(310), 연결부(320) 및 결합 프레임(200)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어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로 외기 및 빗물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실링부(510)는 수밀 및 기밀을 유지하여 스틸 커튼월(1000)에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링부(510)는 지지부(300)와 결합 프레임(200)간의 클리어런스(clearance) 부위를 채워 스틸 커튼월(1000)의 단열 및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는 실런트(sealan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링부(510)는 지지부(300)와 결합 프레임(200) 사이 이외에도 수직바(330)와 유리창(1) 사이에도 구비되는 등 각 구성이 결합됨에 있어 클리어런스가 발생되는 부위를 채워 스틸 커튼월(1000)의 단열 및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유리창(1)을 지지하는 수직바(330)의 양단부에는 단열부재(5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부재(520)는 폴리우레탄 폼(Closed Cell)으로 이루어져 창호 틈새를 충진시키며 수밀, 기밀 및 창호의 단열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단열부재(520)의 충진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열부재(520)의 충진 후 기밀테입으로 마감을 하여 기밀효과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스틸 커튼월(1000)에는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재질의 개스킷(gasket, 5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개스킷(530)은 서로 다른 금속이 접촉하여 한쪽 금속의 산화가 촉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바(330) 및 유리창(1)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개스킷(530)은 유리창(1) 사이에도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으로 빗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개스킷(530)은 유리보호, 지지기능, 기밀, 수밀, 차음 기능 등을 이루게 된다.
한편, 체결부재(400)는 결합 프레임(200)을 메인 프레임(100)에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체결부재(400)는 메인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 결합홀(105)과 결합 프레임(200)에 형성된 제2 결합홀(201)과 나사 결합되어 결합 프레임(200)을 메인 프레임(100)에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 결합홀(105)은 메인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2 결합홀(201)은 결합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결합홀(105)와 제2 결합홀(201)은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 프레임(20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틸 커튼월(1000)은 수평부재(transom) 및 수직부재(mullion)로 공용 사용이 가능하며, 스틸 커튼월(1000)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는 기계적 체결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틸 커튼월(1000)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건축물 창호시스템의 구조 및 높이에 따라 스틸 커튼월(1000)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틸 커튼월의 사용 상태도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틸 커튼월(1000)은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로 공용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달리,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커튼월의 경우에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공용으로 사용되지 못한다. 즉,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다. 예로, 강도가 약한 알루미늄으로 커튼월을 제조할 경우에는 하중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수직부재는 수평부재보다 두께를 더 두껍게 하거나 절곡 부위를 더 많이 형성하여 강도를 높이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커튼월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제조시, 서로 다른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어려움이 있고, 커튼월의 설치시에도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별도로 구분한 상태에서 커튼월을 설치해야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반해, 스틸 커튼월(1000)은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의 공용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스틸 커튼월(1000)의 제조 작업 및 설치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틸 커튼월(1000)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끼움 방식 및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5의 (a)는 끼움 방식을 통해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직부재에는 제1 결합부재(610)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1 결합부재(610)에는 수용 공간부(101)에 삽입되어 수평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고정부재(611)가 구비되며, 지지 고정부재(611)는 수용 공간부(101)에 끼움 결합을 통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는 결합될 수 있다.
도 5의 (b)는 볼트 체결 방식을 통해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직부재에는 제2 결합부재(620)가 결합된다. 이러한 수직부재에 결합된 제2 결합부재(620)에는 연장바(621)가 구비되며, 연장바(621)는 수평부재와 볼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결합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는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틸 커튼월의 단면 예시도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의 스틸 커튼월(1100)은 제1 실시예의 스틸 커튼월(1000)과 비교해 볼 때, 오목부(120)와 결합 프레임(700)의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 프레임(700)은 밀폐부(710), 제2 밀착부(720) 및 지지 플레이트(730)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710)는 오목부(120)로부터 형성된 하부 개방부(123)를 차단하며 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2 밀착부(720)는 오목부(120)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밀착부(720)의 일단부는 밀폐부(710)와 연결되고, 제2 밀착부(720)의 타단부는 지지 플레이트(73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2 밀착부(720)는 오목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12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날개부(340) 역시 오목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오목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제2 밀착부(720)가 구비된 결합 프레임(700)은 메인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날개부(340)가 구비된 지지부(300') 역시 삽입 공간부(121)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120)와 날개부(340)는 제2 밀착부(720)와 서로 대응되는 구성으로, 오목부(120)와 날개부(340)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2 밀착부(720)는 밀폐부(7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을 이루게 된다. 즉, 제2 밀착부(720)는 밀폐부(7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쌍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밀착부(720)는 제1 연결부재(721), 제2 연결부재(722) 및 제3 연결부재(7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721)는 밀폐부(710)의 단부와 연결된다. 이때, 제1 연결부재(721)는 밀폐부(710)와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다.
제2 연결부재(722)의 일단은 제1 연결부재(721)와 연결되되, 제1 연결부재(721)와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때, 제2 연결부재(722)는 밀폐부(710)에 대해 수직형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연결부재(723)의 일단은 제2 연결부재(722)와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 플레이트(730)에 연결된다. 이때, 제3 연결부재(723)는 제2 연결부재(722)와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재(721), 제2 연결부재(722) 및 제3 연결부재(723)를 갖는 결합 프레임(700)은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됨에 있어, 육방정계(hexagonal) 형상의 삽입 공간부(121)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다각 형태를 이루는 결합 프레임(700)은 메인 프레임(10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날개부(340)도 오목부(120)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삽입된 상태에서 오목부(120)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 프레임(700)의 결합시, 각 구성간 결합되는 지지면적이 넓게 형성됨에 따라 결합 프레임(700)은 메인 프레임(10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오목부(120)에 지지되는 날개부(340)의 지지면적도 넓게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300')는 오목부(12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재(722)에 지지되는 날개부(340)의 폭(W3)은 상부 개방부(122)의 폭(W1)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지지부(300')가 메인 프레임(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지지 플레이트(730)는 제3 연결부재(723)와 연결되며,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결합 프레임(700)이 메인 프레임(100)에 삽입 결합됨에 있어, 제2 밀착부(720)는 오목부(120)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지지 플레이트(730)는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밀폐부(710)는 하부 개방부(123)를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체결부재(400)는 결합 프레임(700)과 메인 프레임(100)을 더욱더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틸 커튼월의 단면 예시도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의 스틸 커튼월(1200)은 제1 실시예의 스틸 커튼월(1000)과 비교해 볼 때, 오목부(130)와 결합 프레임(800)의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결합 프레임(800)은 밀폐부(810) 및 제3 밀착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810)는 오목부(130)로부터 형성된 하부 개방부(133)를 차단하며 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3 밀착부(820)는 오목부(130)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3 밀착부(820)의 일단부는 밀폐부(8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3 밀착부(820)는 오목부(130)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13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날개부(350) 역시 오목부(130)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오목부(130)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제3 밀착부(820)가 구비된 결합 프레임(800)은 메인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30)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날개부(350)가 구비된 지지부(300") 역시 삽입 공간부(131)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밀착부(820)는 밀폐부(8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을 이루게 된다. 즉, 제3 밀착부(820)는 밀폐부(8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쌍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제3 밀착부(820)는 제1 절곡부재(821) 및 제2 절곡부재(8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곡부재(821)는 밀폐부(810)의 단부와 연결된다. 이때, 제1 절곡부재(821)는 밀폐부(810)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다.
이러한 제1 절곡부재(821)는 밀폐부(810)와 오목부(130) 사이에 날개부(350)가 삽입될 수 있는 이격 공간부(825)를 형성하게 된다. 즉, 'ㄴ' 형상을 이루는 날개부(350)의 하부는 이격 공간부(825)에 삽입되어 오목부(130)와 밀폐부(810)에 지지되고, 날개부(350)의 상부는 오목부(130)의 외측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제2 절곡부재(822)는 제1 절곡부재(821)로부터 절곡되며, 오목부(13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결합 프레임(800)에는 메인 프레임(100)에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기에, 결합 프레임(800)은 단순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400)는 결합 프레임(800)과 메인 프레임(100)을 견고히 고정시킨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400)는 메인 프레임(100), 오목부(130) 및 제2 절곡부재(822)와 나사결합되며, 각 구성을 견고히 결합시키게 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메인 프레임 110, 120, 130: 오목부
111: 삽입 공간부 112: 상부 개방부
113: 하부 개방부 200, 700, 800: 결합 프레임
210: 밀폐부 220: 제1 밀착부
230: 지지 플레이트 300: 지지부
310: 날개부 320: 연결부
330: 수직바 400: 체결부재
510: 실링부 520: 단열부재
530: 개스킷 610: 제1 결합부재
620: 제2 결합부재 1000, 1100, 1200: 스틸 커튼월

Claims (6)

  1. 유리창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오목부를 갖는 메인 프레임;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오목부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개방부를 차단하며 폐단면(閉斷面)을 형성하는 결합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 프레임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는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오목부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단면을 이루며 상기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오목부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날개부;
    이격된 상기 날개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며 유리창을 지지하는 수직바;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 연결부 및 결합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는 실링부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하부 개방부를 차단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1 밀착부; 및
    상기 제1 밀착부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하부 개방부를 차단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2 밀착부; 및
    상기 제2 밀착부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밀착부는, 상기 밀폐부와 둔각을 이루며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둔각을 이루는 제2 연결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되 상기 제2 밀착부재와 둔각을 이루는 제3 연결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하부 개방부를 차단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3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밀착부는, 상기 밀폐부와 직각을 이루며 이격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 절곡부재;와
    상기 제1 절곡부재와 직각을 이루며,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2 절곡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KR1020160014986A 2015-06-10 2016-02-05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KR20160145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3659 WO2016200037A1 (ko) 2015-06-10 2016-04-07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994 2015-06-10
KR20150081994 2015-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77A true KR20160145477A (ko) 2016-12-20

Family

ID=577344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986A KR20160145477A (ko) 2015-06-10 2016-02-05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KR1020160015627A KR101916866B1 (ko) 2015-06-10 2016-02-11 일체형 유닛타입의 스틸 커튼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627A KR101916866B1 (ko) 2015-06-10 2016-02-11 일체형 유닛타입의 스틸 커튼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1454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936A (ko) * 2017-03-03 2018-09-12 이태균 Grp를 이용한 개방형 커튼 월 구조
KR101966881B1 (ko) * 2018-11-02 2019-04-08 주식회사 동양씨엔앰 단열 창호 프레임
KR20200134505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인아웃텍 창호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3417B (zh) * 2023-03-03 2024-01-16 江苏非凡重工有限公司 一种装配式钢结构建筑幕墙连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25B1 (ko) 2014-09-02 2014-12-08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알루미늄 단열 커튼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055B1 (ko) * 2013-05-21 2013-11-07 김순석 커튼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25B1 (ko) 2014-09-02 2014-12-08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알루미늄 단열 커튼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936A (ko) * 2017-03-03 2018-09-12 이태균 Grp를 이용한 개방형 커튼 월 구조
KR101966881B1 (ko) * 2018-11-02 2019-04-08 주식회사 동양씨엔앰 단열 창호 프레임
KR20200134505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인아웃텍 창호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866B1 (ko) 2018-11-08
KR20160145478A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083B1 (ko) 단열 및 차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1527077B1 (ko) 단열 커튼월 창호 시스템
KR200440844Y1 (ko) 유리 취부용 프레임
KR101185026B1 (ko) 스틸 알루미늄 조합형 유닛 타입 커튼월
KR20160145477A (ko)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KR101654816B1 (ko) 다중 단열 및 배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1955665B1 (ko) 3d 단열 시스템
KR101491502B1 (ko) 열교 차단용 단열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시스템
KR101670709B1 (ko) 조립성 및 차수력이 개선된 커튼월
KR101470909B1 (ko) 기능성 단열 창호
KR20140132728A (ko) 인터스페이스 구성 요소를 가진 단열 유닛을 위한 스페이서 프레임을 위한 스페이서 프로파일과 단열 유닛
KR20120006963U (ko) 커튼월 시스템 창호
KR101272471B1 (ko) 커튼월의 캡형 결합구조
KR20180027912A (ko) 비노출 타입 커튼월 유닛
KR101662663B1 (ko) 유리 유격 조절이 가능한 커튼월
JP4452766B2 (ja) 外断熱用パネルの取付構造
TWI666376B (zh) 強化絕熱玻璃單元
KR101956069B1 (ko) 3d 단열 시스템
US3566499A (en) Method of mounting sheet material
KR101650001B1 (ko) 커튼월
KR101697739B1 (ko) 복합 커튼월
KR200471476Y1 (ko) 시스템 창호
CN111335797B (zh) 一种泄压门窗及其制造方法
KR101743980B1 (ko) 외단열 패널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66276B1 (ko) 단열 커튼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