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371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371A
KR20160145371A KR1020150081882A KR20150081882A KR20160145371A KR 20160145371 A KR20160145371 A KR 20160145371A KR 1020150081882 A KR1020150081882 A KR 1020150081882A KR 20150081882 A KR20150081882 A KR 20150081882A KR 20160145371 A KR20160145371 A KR 20160145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camera module
magne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124B1 (ko
Inventor
안현택
백재호
이병훈
조용완
서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1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1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5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구동 마그네트와 센싱 마그네트를 배럴 홀더의 서로 다른 면에 구비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로부터 상기 배럴 홀더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하며, 상기 배럴 홀더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와 자성체를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자동초점 조정 시에 렌즈 모듈의 위치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된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렌즈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며, 액추에이터로서 마그네트와 코일이 사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은 자동초점 조정시에 렌즈 모듈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가 보이스 코일 모터(VCM)에 구비되는 마그네트의 자기장 또는 코일의 전기장에 영향을 받을 경우 센서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모듈의 위치를 정확히 센싱할 수 있도록 센서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개발이 필요하다.
KR 2014-0142189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동초점 조정 시에 렌즈 모듈의 위치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구동 마그네트와 센싱 마그네트를 배럴 홀더의 서로 다른 면에 구비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로부터 상기 배럴 홀더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하며, 상기 배럴 홀더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와 자성체를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자동초점 조정 시에 렌즈 모듈의 위치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자동초점 조정 시에 렌즈 모듈의 위치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부분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고정 유닛에 센서 부재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센서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고정 유닛(100) 및 이동 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유닛(100)은 렌즈 배럴(210) 및 배럴 홀더(220)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의미하고, 상기 고정 유닛(100)은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 유닛(100)은 상기 이동 유닛(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 유닛(100)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 유닛(20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10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유닛(100)은 액추에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다른 부재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 유닛(100)의 일 측면에는 상기 공간(102)과 연결되는 제1 결합 창(13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유닛(100)은 상기 이동 유닛(200)이 광축 방향(도 1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 유닛(100)에는 상기 이동 유닛(200)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제1 수용 홈(140) 및 제2 수용 홈(14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수용 홈(140, 142)에는 구 형태의 구름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름 부재(700)의 표면에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유닛(100)은 상기 이동 유닛(200)의 렌즈를 통해 굴절되는 빛이 이미지 센서(510)로 입사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 유닛(100)의 바닥에는 대체로 직사각 또는 정사삭 형태의 입사 창(16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유닛(100)은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 유닛(100)의 바닥에는 상기 고정 유닛(100)과 상기 이동 유닛(200)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성된 이물질포집 홈(150)이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포집 홈(150)은 전술된 상기 입사 창(160)의 둘레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 유닛(100)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 홈(140, 142)에 주입되는 윤활제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 유닛(100)의 바닥에는 상기 제1 및 제2 수용 홈(140, 142)을 통해 흘러내리는 윤활제를 수용할 수 있는 윤활유수용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윤활유수용 홈(미도시)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 홈(140, 142)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유닛(200)은 피사체의 상(像)을 이미지 센서로 결상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이동 유닛(200)은 피사체의 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도록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유닛(200)은 정 및 부의 굴절력을 갖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200)은 상기 구름 부재(70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이동 유닛(200)의 일 측면에는 제3 수용 홈(230) 및 제4 수용 홈(232)이 형성된다.
상기 제3 수용 홈(230) 및 제4 수용 홈(232)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3 수용 홈(230) 및 제4 수용 홈(232)은 상기 고정 유닛(100)의 상기 제1 수용 홈(140) 및 제2 수용 홈(142)과 각각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유닛(200)의 상기 제3 수용 홈(230) 및 제4 수용 홈(232)은 상기 구름 부재(7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 유닛(100)의 제1 수용 홈(140) 및 제2 수용 홈(142)과 마주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 내지 제4 수용 홈(140, 142, 230, 232)에는 상기 구름 부재(700)의 원활한 구름 운동을 위한 윤활유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구름 부재(700)는 상기 고정 유닛(100)과 상기 이동 유닛(200)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구름 부재(700)는 상기 제1 및 제2 수용 홈(140, 142)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용 홈(230, 232)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기 구름 부재(700)는 상기 이동 유닛(200)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케 한다.
상기 이동 유닛(200)은 렌즈 배럴(210)과 배럴 홀더(22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배럴(210)은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럴 홀더(220)는 액추에이터 유닛(30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렌즈 배럴(210)은 상기 배럴 홀더(22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이동 유닛(200)은 상기 렌즈 배럴(210) 또는 상기 배럴 홀더(2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제품불량에 따른 수리가 용이하다.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이동 유닛(200)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액추에이터 유닛(3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액추에이터 유닛(300)을 통해 초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유닛(300)는 코일(310)과 구동 마그네트(320)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310)은 상기 고정 유닛(100)에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코일(310)은 상기 고정 유닛(100)에 장착되는 기판(4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마그네트(320)는 상기 이동 유닛(200)의 일면에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구동 마그네트(320)는 상기 이동 유닛(200)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유닛(200)의 측면은 상기 구동 마그네트(320)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동 유닛(200)의 측면은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표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소정의 조도로 가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이동 유닛(200)의 측면에는 접착제가 스며들 수 있는 미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마그네트(320)는 제1 극성과 제2 극성을 갖는다. 일 예로, 상기 구동 마그네트(320)의 일 부분은 제1 극성을 가지며, 다른 부분은 제2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1 극성과 제2 극성은 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1 극성과 제2 극성은 상기 광축 방향 또는 이동 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액추에이터 유닛(300)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기판(40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400)은 상기 고정 유닛(100)의 상기 제1 결합 창(130)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 유닛(50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기판(400)에는 이미지 센서(51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속 패드(600)가 형성된다.
상기 기판(400)은 상기 액추에이터 유닛(300)의 상기 코일(31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기판(400)에 인쇄된 회로는 상기 코일(310)과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이동 유닛(200)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이동 유닛(200)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부재(8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부재(800)는 상기 고정 유닛(100)의 측면에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센서 부재(800)는 상기 제1 결합 창(130)과 이웃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기 센서 부재(800)는 상기 코일(310) 및 상기 구동 마그네트(320)와 상당한 거리를 가지므로, 이들 부재(310, 320)에 의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부재(800)에 의한 상기 이동 유닛(200)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200)의 타면에는 상기 센서 부재(800)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도록 구성된 센싱 마그네트(810)가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센서 부재(800)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 유닛(20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센싱 마그네트(8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마그네트(320)가 배치되는 상기 이동 유닛(200)의 일면과, 상기 센싱 마그네트(810)가 배치되는 상기 이동 유닛(200)의 타면은 서로 직교하는 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유닛(200)의 일면과 타면은 상기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서로 직교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센서 부재(800)는 상기 고정 유닛(100)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 부재(800)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고정 유닛(100)에 접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센서 부재(800)는 초음파에 의해 상기 고정 유닛(100)에 융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고정 유닛(100)에는 상기 센서 부재(800)의 가장자리에 융착될 수 있는 구조물이 형성된다.
상기 센싱 마그네트(810)는 N극과 S극을 갖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상기 센싱 마그네트(810)의 N극과 S극은 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 마그네트(810)의 N극과 S극은 상기 이동 유닛(200)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쉴드 캔(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900)은 카메라 모듈(10)을 유해전자파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쉴드 캔(900)은 유해전자파의 차단이 용이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쉴드 캔(900)은 복수의 부재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쉴드 캔(900)은 측면 덮개(910)와 상면 덮개(92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덮개(910)는 상기 고정 유닛(100)의 측면을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면 덮개(920)는 상기 고정 유닛(100)의 상면(피사체와 마주하는 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쉴드 캔(900)은 상기 고정 유닛(100)과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측면 덮개(910) 및 상기 상면 덮개(920)에는 상기 고정 유닛(100)의 걸림 돌기(172, 174)와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걸쇠(912, 914, 922, 924)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걸쇠(912, 914, 922, 924)는 상기 쉴드 캔(900)의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다. 일 예로, 걸쇠(912)는 상기 측면 덮개(910)의 일 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고, 걸쇠(914)는 마주하는 타 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다. 따라서, 걸쇠(912)와 걸쇠(914)는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형태로 배치된다.
다른 예로, 걸쇠(922)는 상기 상면 덮개(920)의 일 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고, 걸쇠(924)는 마주하는 타 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다. 따라서, 걸쇠(922)와 걸쇠(924)는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쉴드 캔(900)에는 장공(916)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측면 덮개(910)에는 상기 기판(400)의 일 부분을 노출시키는 장공(916)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916)은 상기 측면 덮개(910)의 하단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카메라 모듈(10)은 이미지 센서 유닛(500)을 포함한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이미지 센서 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500)은 이미지 센서(510), 인쇄회로기판(520)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500)은 구동소자(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소자(530)는 드라이버 IC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500)은 상기 기판(400) 및 상기 센서 부재(8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 단자(522, 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인쇄회로기판(520)에는 상기 센서 부재(800)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단자(522)가 형성된다. 다른 예로, 상기 인쇄회로기판(520)에는 상기 기판(400)과 연결되는 제2 연결 단자(524)가 형성된다.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기판(4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520)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기판(400)의 접속 패드(6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520)의 접속 단자(524)는 상기 고정 유닛(100)과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500)의 결합에 의해 쉽게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기판(400)의 접속 패드(60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520)의 접속 단자(522)는 카메라 모듈(10)의 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400)의 접속 패드(60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520)의 접속 단자(524)는 솔더링 작업에 의해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센서 부재(8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520)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센서 부재(800)의 단자(802)와 상기 인쇄회로기판(520)의 접속 단자(522)는 상기 고정 유닛(100)과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500)의 결합에 의해 쉽게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부재(800)의 단자(802)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520)의 접속 단자(522)는 카메라 모듈(10)의 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 부재(800)의 단자(802)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520)의 접속 단자(522)는 솔더링 작업에 의해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접속 패드(600)와 상기 접속 단자(802)가 상기 쉴드 캔(90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 유닛(100)의 단턱(180)은 상기 쉴드 캔(900)이 상기 접속 패드(600)와 상기 접속 단자(802)를 덮지 못하도록 상기 쉴드 캔(900)의 장착 위치를 한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품질검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10)의 품질검사는 상기 접속 패드(600)에 검사 핀을 연결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접속 패드(600)에 솔더(땜납)가 형성되면, 반구형의 솔더와 검사 핀 간의 접촉 신뢰성을 얻기 어렵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패드(600)와 연결되는 검사용 패드(6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검사용 패드(610)를 통해 상기 접속 패드(600)와 검사 핀 간의 전기적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고정 유닛(100)의 상세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고정 유닛(100)은 상기 기판(400)과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 유닛(100)에는 상기 기판(400)의 일 부분이 끼워지도록 구성된 끼움 홈(120)이 형성된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 유닛(100)에는 상기 기판(400)의 결합 구멍(41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돌기(11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유닛(100)은 상기 기판(400)과 외부 단자 간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 유닛(100)의 측면에는 상기 끼움 홈(120)과 연결되는 노출 구멍(124)이 형성된다. 상기 노출 구멍(124)으로는 상기 기판(400)의 접속 패드(600)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유닛(100)은 상기 센서 부재(8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 유닛(100)의 측면에는 상기 센서 부재(800)가 끼워질 수 있는 제2 결합 창(132)이 형성된다.
다음에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 부재(800)를 설명한다.
상기 센서 부재(800)는 센서 몸체(804), 센서(805), 단자(802), 자성체(806)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몸체(804)는 상기 고정 유닛(100)의 측면에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센서 몸체(804)는 상기 제2 결합 창(132)에 끼워질 수 있으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2 결합 창(13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단자(802)는 상기 센서 몸체(804)에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단자(802)는 상기 센서 몸체(804)로부터 대체로 상기 광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806)는 상기 센서 몸체(804)에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자성체(806)는 상기 단자(802)의 돌출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센서 몸체(804)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806)는 상기 고정 유닛(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자성체(806)는 상기 센서 몸체(804)로부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자성체(806)는 상기 센싱 마그네트(810)의 자기력선이 상기 센서(805)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센서(805)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805)는 상기 이동 유닛(20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위치 센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805)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805)는 상기 센서 몸체(804)에 매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805)와 상기 센서 몸체(804)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805)를 금형에 넣고 수지재를 유입시켜 상기 센서 몸체(804)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805)를 상기 센서 몸체(804)에 매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센서(805)와 상기 센서 몸체(804)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805)를 금형에 넣고,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상기 센서(805)와 상기 센서 몸체(804)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지재로는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AA(Poly Aryl Amide), PA(Polyamide), PEEK(Polyether ether ketone), PPS(Polyphenylene Sulfide),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PA(Polyphtalamide), FRP(Fibe Reinforced Plastic) 또는 PC(Poly Carbonate)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수지재의 재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센서(805)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자(802) 및 상기 자성체(806)도 상기 센서 몸체(804)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상기 자성체(806)와 상기 센서 몸체(804)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센서(805)의 감도 향상을 위하여 별도로 요크를 부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805)와 상기 자성체(806)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 유닛(200)의 위치를 센싱할 때 센싱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유닛(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 카메라 모듈
100: 고정 유닛
102: 공간
110: 돌기
120: 끼움 홈
124: 노출 구멍
130: 제1 결합 창
140: 제1 수용 홈
142: 제2 수용 홈
150: 이물질포집 홈
160: 입사 창
180: 단턱
200: 가동 유닛
210: 렌즈 배럴
220: 배럴 홀더
230: 제3 수용 홈
232: 제4 수용 홈
300: 액추에이터 유닛
310: 코일
320: 구동 마그네트
400: 기판
410: 결합 구멍
500: 이미지 센서 유닛
510: 이미지 센서
520: 인쇄회로기판
522: 접속 단자
530: 구동소자
600: 접속 패드
610: 검사용 패드
700: 구름 부재
800: 센서 부재
802: 단자
804: 센서 몸체
805: 센서
806: 자성체
810: 센싱 마그네트
900: 쉴드 캔
910: 측면 덮개
916: 장공
920: 상면 덮개

Claims (10)

  1. 일면에 구동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타면에 센싱 마그네트를 구비한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고, 상기 구동 마그네트와 마주보도록 코일이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센서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는,
    센서 몸체;
    상기 센서 몸체에 매립된 홀 센서;
    상기 홀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단자; 및
    상기 센서 몸체에서 연장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센서 몸체에서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 돌출되는 방향과 상기 자성체가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몸체는 수지재로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카메라 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몸체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센서 몸체가 끼워지도록 구성된 결합 창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의 일면과 타면은 서로 직교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기판이 장착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50081882A 2015-06-10 2015-06-10 카메라 모듈 KR102539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882A KR102539124B1 (ko) 2015-06-10 2015-06-10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882A KR102539124B1 (ko) 2015-06-10 2015-06-10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371A true KR20160145371A (ko) 2016-12-20
KR102539124B1 KR102539124B1 (ko) 2023-06-01

Family

ID=5773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882A KR102539124B1 (ko) 2015-06-10 2015-06-1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1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7560A (zh) * 2019-06-14 2020-12-15 三星电机株式会社 便携式电子装置及相机模块
KR20200143187A (ko) * 2019-06-14 2020-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0082A (ja) * 1982-04-30 1983-11-05 Nec Corp ヒステリシス付ホ−ル素子
KR20090008566A (ko) * 2007-07-18 2009-01-22 자화전자 주식회사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027433A (ja) * 2010-07-27 2012-02-09 Tdk Taiwan Corp 電磁式レンズ駆動装置
JP2012177753A (ja) * 2011-02-25 2012-09-13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KR20130060535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40142189A (ko) 2014-10-27 2014-12-11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50044506A (ko) * 2013-10-16 2015-04-27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센서를 갖는 카메라 렌즈 모듈
JP2015107054A (ja) * 2013-11-29 2015-06-08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電磁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るレンズ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0082A (ja) * 1982-04-30 1983-11-05 Nec Corp ヒステリシス付ホ−ル素子
KR20090008566A (ko) * 2007-07-18 2009-01-22 자화전자 주식회사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027433A (ja) * 2010-07-27 2012-02-09 Tdk Taiwan Corp 電磁式レンズ駆動装置
JP2012177753A (ja) * 2011-02-25 2012-09-13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KR20130060535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50044506A (ko) * 2013-10-16 2015-04-27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센서를 갖는 카메라 렌즈 모듈
JP2015107054A (ja) * 2013-11-29 2015-06-08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電磁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るレンズ装置
KR20140142189A (ko) 2014-10-27 2014-12-11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7560A (zh) * 2019-06-14 2020-12-15 三星电机株式会社 便携式电子装置及相机模块
KR20200143187A (ko) * 2019-06-14 2020-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10060392A (ko) * 2019-06-14 2021-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245827B2 (en) 2019-06-14 2022-02-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with rotatable reflection module
CN112087560B (zh) * 2019-06-14 2022-06-03 三星电机株式会社 便携式电子装置及相机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124B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17530B (zh) 镜头移动装置
KR101832568B1 (ko) 카메라 모듈
CN114690363B (zh) 透镜驱动马达、摄像头模块和移动电话
KR20180002077A (ko) 카메라 모듈
US20170017056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CN105739218B (zh) 透镜移动装置
CN105824167B (zh) 镜头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设备
US20180217348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115524826A (zh) 透镜移动装置
CN113391423A (zh) 透镜移动装置和包括该透镜移动装置的摄像头模块
KR20160045382A (ko) 렌즈 구동장치
CN108353121B (zh) 相机模组
KR20160136710A (ko) 카메라 모듈
KR20160009866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39124B1 (ko) 카메라 모듈
KR102556055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50064997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7443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73465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19449A (ko)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20170067329A (ko) 카메라 모듈
KR102541015B1 (ko) 렌즈구동장치 및 카메라장치
CN115268182A (zh) 透镜驱动装置及相机模块
KR102356805B1 (ko) 카메라 모듈
KR102652018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