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989A - 엠보싱-적층 장치 - Google Patents

엠보싱-적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989A
KR20160144989A KR1020167027519A KR20167027519A KR20160144989A KR 20160144989 A KR20160144989 A KR 20160144989A KR 1020167027519 A KR1020167027519 A KR 1020167027519A KR 20167027519 A KR20167027519 A KR 20167027519A KR 20160144989 A KR20160144989 A KR 20160144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ossing
roller
embossing roller
rollers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코 몬타냐니
알레싼드로 무케티
마우로 리치
Original Assignee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16014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7Embossing, i.e. producing impressions formed by locally deep-drawing, e.g. using roll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6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 B31F1/28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combined with uniting the corrugated webs to flat webs ; Making double-faced corrugated cardboard
    • B31F1/2845Details, e.g. provisions for drying, moistening, pressing
    • B31F1/2863Corrugating cylinders; Supporting or positioning means therefor; Drives therefor
    • B31F1/2868Exchangeable corrugating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2201/00Mechanical deformation of paper or cardboard without removing material
    • B31F2201/07Embossing
    • B31F2201/0707Embossing by tools working continuously
    • B31F2201/0715The tools being rollers
    • B31F2201/0723Characteristics of the rollers
    • B31F2201/0728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2201/00Mechanical deformation of paper or cardboard without removing material
    • B31F2201/07Embossing
    • B31F2201/0707Embossing by tools working continuously
    • B31F2201/0715The tools being rollers
    • B31F2201/0753Roller supporting, positioning,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2201/00Mechanical deformation of paper or cardboard without removing material
    • B31F2201/07Embossing
    • B31F2201/0771Other aspects of the embossing operations
    • B31F2201/0776Exchanging emboss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2Paper, e.g.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2/00Cleaning articles, e.g. mops, w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엠보싱-적층 장치(1)는 적어도 2개의 측면 부재(203)를 가진 하중 지지 구조체, 제1 플라이(V1)의 웹 재료용의 제1 경로, 및 제2 플라이(V2)의 웹 재료용의 제2 경로를 포함한다. 제1 경로를 따라서, 제1 압력 롤러(211)와 제1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207)가 배열되고, 이들 사이에 제1 플라이(V1)의 웹 재료용의 제1 엠보싱 닙 (215)을 획정한다. 제2 경로를 따라서, 제2 압력 롤러(213)와 제2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209)가 배열되고, 이들 사이에 제2 플라이(V2)의 웹 재료용의 제2 엠보싱 닙(219)을 획정한다. 엠보싱-적층 장치는 또한 복수개의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용의 복수개의 시트(249A 내지 249E)를 포함하는 매거진(245)뿐만 아니라 엠보싱 롤러를 교체하기 위한 적어도 제1 매니퓰레이터(24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엠보싱-적층 장치{EMBOSSING-LAMINATING DEVICE}
본 발명은 다층 또는 여러 플라이(즉, 여러 겹)(multi-ply) 웹 재료(web material), 예를 들어, 특히, 여러 플라이 셀룰로스 재료를 가공처리하기 위한 기계 또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특히 티슈 페이퍼용의 엠보싱-적층 기계 또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셀룰로스 플라이 제품, 예컨대, 두루마리 화장지, 키친 롤, 종이 손수건 및 냅킨, 그리고 유사한 물품의 제조에서, 웹 재료의 플라이(ply)를 1쌍의 강철 롤러에 의해 또는 강철 또는 다른 비교적 뻣뻣한 재료로 이루어진 롤러와 유연한 재료, 예를 들어, 고무로 피복된 롤러로 이루어진 1쌍의 롤러에 의해 형성된 엠보싱 닙(embossing nip)을 통과시켜 엠보싱에 의해 해당 플라이를 가공처리하는 일이 빈번하다. 강철 롤러는 압력 롤러의 탄성적으로 유연한 코팅을 침투하는 돌기부를 갖는다. 엠보싱 롤러와 압력 롤러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은, 해당 엠보싱 롤러와 압력 롤러 사이에 형성된 엠보싱 닙을 통과하는 셀룰로스 재료 플라이의 영구적인 변형을 초래한다. 엠보싱 된 둘 이상의 플라이, 적어도 하나, 일부 또는 전부는, 이어서 함께 여러 플라이 웹 재료를 형성한다. 웹 재료는 감겨서 롤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절단되고 접혀서 손수건, 냅킨 또는 유사물을 형성할 수 있다.
각 플라이는 이어서 1층 이상의 셀룰로스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엠보싱 패턴은 장식적 및 기능적 목적을 위한 것이다. 기능적 관점으로부터, 엠보싱은 제한된 영역을 작성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다수의 플라이를 접착하여 웹 재료를 서로 형성한다. 엠보싱은 또한 웹 재료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고, 그의 유연도 및 흡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공지된 기타 기능을 위하여 이용된다.
엠보싱-적층 장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 상에 엠보싱 공정을 수행하고 둘 이상의 플라이를 함께,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파일 상에 형성된 엠보싱 돌기부들의 적어도 몇몇의 돌출 표면 상에서, 가능하게는 상기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된 접착제를 이용해서 적층에 의해 접착시키는 장치로서 정의된다.
현대의 티슈 페이퍼 전환 라인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엠보싱-적층 장치의 엠보싱 롤러는, 웹 재료의 패턴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그의 기술적-기능적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화장지의 제조로부터 키친 타월의 제조로 그리고 그의 역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변화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소정의 경우에 엠보싱은 단순한 심미성 이상의 기능적 용도를 지니므로, 화장지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엠보싱 패턴은 키친 타월의 제조에 항상 적합한 것은 아니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각종 유형의 완성품의 제조를 위한 셀룰로스 파일들의 일관성, 두께, 중량 및 함량은 또한 제품마다 다른 엠보싱 패턴을 요구하므로 다를 수 있다.
엠보싱-적층 장치 또는 유닛은 엠보싱 롤러 변화 공정을 단순화하고 가속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특정한 특징들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EP 1074382는 3개의 엠보싱 롤러로 이루어진 1세트가 별형 회전 유닛 상에 장착되어, 엠보싱 패턴을 변형시키기 위하여, 이들 3개의 엠보싱 롤러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선택하여 이를 압력 롤러와 협력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엠보싱-적층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필요한 패턴의 유형에 따라서, 3개의 롤러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는 상기 별형 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동작 위치로 가게 된다. EP 1074382에 개시된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별형 회전 유닛은 3쌍의 엠보싱 롤러를 지지하고, 이들 롤러는 선택적으로 동작 위치로 가서 2개의 압력 롤러와 협력하여 상기 별형 유닛을 회전시킨다.
이 공지된 장치는 특히 복잡하고 엠보싱 롤러들을 위하여 무거운 지지 구조체를 필요로 하는데, 이들 롤러는 모두 각각 사용된 엠보싱 롤러의 쌍을 지지하는 동일한 별형 유닛에 의해 여전히 지지된 채로 있다. 또한, 이 공지된 장치는 2개의 롤러가 한번에 교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예를 들어, 2개의 엠보싱 롤러 중 하나를 후속의 가공처리를 위하여 유지한 채로 단지 하나만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몇몇 경우에, 한편, 고정된 반대쪽 플라이의 엠보싱 패턴을 유지한 채로, 하나의 플라이의 엠보싱 패턴만을 변형시키는 데 유용할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는 패턴을 가진 외측 플라이들 중 하나가 마이크로-엠보싱인 한편, 다른 쪽 외측 플라이는 가공처리 순서에 따라서 변할 수도 있는 장식적 모티프로 엠보싱되는 양면 재료의 제작에서 특히 사실이다. EP 1074382에 기재된 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로-엠보싱 롤러들의 전체가 동일할지라도 장식 엠보싱 롤러가 있는 수만큼 많은 마이크로-엠보싱 롤러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것은 롤러의 제조가 매우 복잡하여 롤러의 용장성을 초래하며, 이것은 해당 롤러가 매우 값비싸다는 것을 의미한다.
EP1836045는 EP1074382에 개시된 장치에 관하여 개선된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를 가진 엠보싱-적층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사실상, EP1836045에 개시된 장치는 매거진(magazine) 내에 복수쌍의 엠보싱 롤러를 가지고 상기 쌍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들을 엠보싱-적층 장치에 삽입한다. 이것은 EP 1074382의 경우에서처럼, 모든 엠보싱 롤러가 끼워맞춤되어 있는 기계 내에서, 동일한 별형 유닛에 의해 지지된 엠보싱 롤러들을 갖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것은 엠보싱 장치를 간단화하고 경량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EP 1074382에 의해 허용된 것보다 훨씬 더 큰 양으로 많은 수의 쌍의 대안적인 롤러를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현재 상황과 연관된 결점 및 문제점 중 하나 이상을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해소하는 엠보싱-적층 장치가 제공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측면 부재로 구성된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엠보싱-적층 장치가 제공된다. 두 측면 부재 사이에 제1 플라이의 웹 재료용의 제1 경로와, 제2 플라이의 웹 재료용의 제2 경로가 뻗어 있다. 제1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와 협력하는 제1 압력 롤러가, 제1 경로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1 엠보싱 롤러와 제1 압력 롤러는 제1 플라이의 웹 재료용의 제1 엠보싱 닙을 형성한다. 제2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와 협력하는 제2 압력 롤러가, 제2 경로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2 엠보싱 롤러와 제2 압력 롤러는 제2 플라이의 웹 재료용의 제2 엠보싱 닙을 형성한다. 엠보싱-적층 장치는 또한 각각 제1 또는 제2 엠보싱 롤러를 교체할 수 있는 복수개의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용의 복수개의 시트(seat)가 설치된 매거진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가 또한, 엠보싱 롤러들을 교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니퓰레이터는 제1 엠보싱 롤러 및/또는 제2 엠보싱 롤러를 매거진 내에 포함된 롤러들 중 하나 이상과 교체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거진 내의 엠보싱 롤러의 시트는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엠보싱 롤러의 축과, 그리고 웹 재료의 파일들의 제1 및 제2 경로를 따라 위치된 제1 및 제2 압력 롤러의 축과 대체로 평행한 축을 가진 시트 내에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니퓰레이터는 엠보싱 롤러를 각각의 압력 롤러로부터, 그리고 가능하게는 다른 엠보싱 롤러로부터 멀리 교체되도록 이동시키고, 이어서 매거진으로 그것을 이송하는 이동을 갖는다. 역전 이동은, 그 제거를 위한 교체로서 삽입되도록 엠보싱 롤러를 매거진으로부터 취하여, 엠보싱 롤러를 지지하고 매거진으로부터 취한 다른 엠보싱 롤러와 교체되도록 웹 재료의 각각의 풀리의 가공 처리 및 제거 동안 회전시키는 각각의 가역적 구속 부재를 포함하는, 심압대(tailstock), 또는 다른 지지 및 회전 시스템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의 압력 롤러를 향하여, 그리고 가능하게는 다른 엠보싱 롤러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매니퓰레이터는 엠보싱 롤러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 둘레의 회전 이동을 지닐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니퓰레이터는,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서 직교하는 두 축을 따른 병진 이동을 지닐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축들 중 하나는 평행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수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병진 축을 따른 매니퓰레이터의 이동 또는 축 둘레의 회전 이동은, 제거될 롤러 및 그 자리에 주입될 새로운 롤러의 용이한 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주위 롤러들, 특히 압력 롤러(들) 및 다른 엠보싱 롤러로부터 교체될 필요가 있는 엠보싱 롤러를 자유롭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례상, 본 설명 및 수반되는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용어 "제1 엠보싱 롤러" 및 "제2 엠보싱 롤러"는, 제1 및 제2 엠보싱 닙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제1 및 제2 경로를 따르는 동작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두 엠보싱 롤러를 구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들의 각각은 매거진 내의 엠보싱 롤러들 중 하나로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매거진 내에 수용된 엠보싱 롤러의 각각은 엠보싱-적층 장치 내 제1 또는 제2 엠보싱 롤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매니퓰레이터는 하중 지지 구조체의 측면 부재들 사이에 배열되고, 이들 사이에는, 제1 압력 롤러, 제2 압력 롤러, 제1 엠보싱 롤러, 제2 엠보싱 롤러 및 엠보싱 롤러 매거진이 또한 배열된다.
엠보싱 롤러의 용이한 제거 및 교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압력 롤러와 제2 압력 롤러는, 하중 지지 구조체에 관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압력 롤러가 각각의 엠보싱 롤러에 대해서 가압되는 동작 위치와, 압력 롤러가 각각의 엠보싱 롤러로부터 이격되는 유휴 위치를 취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압력 롤러는, 예를 들어, 하중 지지 구조체에, 전형적으로 하중 지지 구조체의 측면 부재에 그리고 상기 측면 부재들 사이에 힌지된 암(arm)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매니퓰레이터는, 엠보싱 롤러의 각각의 단부와 체결하는(engage), 각각의 엠보싱 롤러의 대향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엠보싱 롤러는 엠보싱 표면을 넘어서, 즉, 예를 들어 조판술(engraving)에 의해서 엠보싱 돌기부가 형성된 표면을 넘어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환형상 트랙 또는 넥부(neck)를 지닐 수 있다.
제1 엠보싱 롤러와 제2 엠보싱 롤러는, 각각 하중 지지 구조체에 의해 운반된 제1 쌍의 심압대와 제2 쌍의 심압대에 의해서 구속될 수 있다. 각 쌍에서의 심압대의 적어도 하나는 모터 기동될 수 있다.
엠보싱 롤러의 더욱 용이하고 더욱 효율적인 조작을 위하여,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쌍 내의 두 심압대에는 모두 엠보싱 롤러와 결합하고 이로부터 해제(release)하기 위하여 하중 지지 구조체에 관하여 각각의 엠보싱 롤러의 축과 평행한 이동이 제공된다.
심압대는 토크 트랜스미션 표면에 의해서 엠보싱 롤러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 및 심압대 상의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 효과적인 토크 트랜스미션을 위한 정면 톱니 결합이 또한 심압대와 엠보싱 롤러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롤러와 심압대 간의 결합 표면은, 엠보싱 돌기부가 형성되는 외표면 상에 엠보싱 롤러의 벽 또는 원통형 셸(cylindrical shell) 내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엠보싱 롤러와 압력 롤러 간의 상호 압력에 의해 유발되는 굴곡 뒤틀림으로 인해 저감된 늘어짐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지지 및 회전 시스템은, 이하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심압대 대신에 각 엠보싱 롤러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력 롤러는 엠보싱 롤러를 체결하고 지지하는 것과 유사한 심압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력 롤러는 자유-스핀(free-spinning)하고, 엠보싱 롤러와 접촉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압력 롤러용의 지지 심압대는 어떠한 모터기동도 지니지 않을 수 있는 한편, 엠보싱 롤러의 지지 심압대는 모터기동된다. 이와 같이 해서, 동일한 엠보싱-적층 장치 또는 기계에 사용될 압력 롤러를 작성하기 위하여 마모된 엠보싱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엠보싱 돌기부가 과도하게 마모되어 엠보싱 롤러가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는 경우, 탄성적으로 유연한 재료, 예를 들어, 고무의 층이 외표면에 적용되고, 이것이 압력 롤러로서 이용된다. 엠보싱 롤러용으로 이용되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 롤러용의 심압대를 이용함으로써, 이들이 엠보싱 롤러로서 사용 중인 것으로부터 압력 롤러로서 사용 중 것으로 전환될 때 내부 롤러 구조의 적응이 불필요하다. 탄성적으로 유연한 재료의 외층 또는 코팅을 적용함으로써, 마모된 엠보싱 롤러가 예를 들어 원통형 표면을 연마함으로써 가공 처리되어 어떠한 잔류 엠보싱 돌기부라도 제거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엠보싱 롤러와 제2 엠보싱 롤러는 하중 지지 구조체에 의해서 운반된 각각의 제1 쌍의 심압대 및 각각의 제2 쌍의 심압대에 의해 구속될 수 있고, 각 쌍의 적어도 하나의 심압대는 각각의 엠보싱 롤러를 회전시키도록 모터 구동되며, 각각의 엠보싱 롤러의 심압대 및 지지 부재는, 엠보싱 롤러의 제거를 위하여, 지지 부재가 엠보싱 롤러를 체결한 후에 심압대가 엠보싱 롤러로부터 체결해제되도록; 그리고 엠보싱 롤러를 삽입하기 위하여, 심압대가 엠보싱 롤러와 체결된 후에 지지 부재가 엠보싱 롤러로부터 체결해제되도록 구성되고 제어된다.
각각의 엠보싱 롤러는 엠보싱 롤러의 원통형 표면의 내측에 배열되고 대응하는 심압대 상의 대응하는 볼록 원추면과 협력하는 오목 원추형 표면을 각각의 단부에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엠보싱 롤러는, 엠보싱 롤러의 원통형 표면 내측에 배열되고 각각의 심압대 상의 대응하는 토크 트랜스미션 표면과 협력하는 각각의 토크 트랜스미션 표면을 양 단부에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엠보싱 롤러는, 매니퓰레이터와 협력하는 각각의 환형 채널을 각 단부에 인접하여 포함할 수 있다. 후자는 예를 들어 조작될 롤러의 각 단부를 위하여 반원형 크레들(cradle)의 형태로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들은 동작 위치로부터 매거진으로 그리고 그 역으로 이송되도록 크레들 상의 그들 각각의 환형 채널에 휴지된다. 환형상 채널은 엠보싱 돌기부가 배치되는 엠보싱 롤러의 표면을 넘어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터드(stud) 또는 넥부 상에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매니퓰레이터는 제1 엠보싱 롤러와 제2 엠보싱 롤러를 둘 다 조작하여 매거진에 수용된 각각의 엠보싱 롤러와 교체하도록 배열되고 구성된다. 이 경우에, 엠보싱-적층 장치는 단일의 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가 얻어지고, 이것은 저비용의 신뢰성 있는 드라이버 또는 작동기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엠보싱 롤러를 조작하는 제1 매니퓰레이터와 제2 엠보싱 롤러를 조작하는 제2 매니퓰레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매니퓰레이터가 제1 경로에 배치된 제1 엠보싱 롤러와 협력하여 이 엠보싱 롤러를 매거진으로부터 취해진 엠보싱 롤러와 교체하고, 제2 매니퓰레이터가 제2 경로에 배치된 제2 엠보싱 롤러와 협력하여 이 엠보싱 롤러를 매거진으로부터 취해진 엠보싱 롤러와 교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1 매니퓰레이터와 제2 매니퓰레이터는 각각 그들의 단부에서 엠보싱 롤러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각 쌍의 피벗 암을 포함할 수 있다.
매거진의 시트는 압력 롤러 및 엠보싱 롤러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축 둘레를 회전하는 유닛에 의해 운반될 수 있고, 매거진 내의 엠보싱 롤러는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그들의 축과 배열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엠보싱 롤러를 둘 다 이동시키고 조작하기 위하여 단일의 매니퓰레이터가 있을 때, 매니퓰레이터가 제1 또는 제2 엠보싱 롤러가 위치되는 제1 높이와 매거진이 위치되는, 제1 위치보다 낮은 제2 높이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상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매거진은 제1 및 제2 엠보싱 롤러 하에 그리고 제1 및 제2 압력 롤러 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엠보싱-적층 장치는 저감된 풋프린트(footprint)로 얻어진다.
매거진은 제1 및 제2 엠보싱 롤러의 축 및 매거진에 수용된 롤러의 축에 직교하여 이동 가능한 복수개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병진 이동일 수 있다. 교체 롤러가 수용되어 있는 매거진 또는 오히려 그의 시트는 제1 플라이의 웹 재료 및 제2 플라이의 웹 재료용의 공급 경로들 밑의 공간에서 병진이동하도록 제1 및 제2 엠보싱 롤러 하에 그리고 압력 롤러 하에 위치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매니퓰레이터에는, 매거진이 위치되는 낮은 높이와, 제1 또는 제2 엠보싱 롤러가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더 높은 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 이동이, 그리고 제1 엠보싱 롤러 또는 제2 엠보싱 롤러를 향하거나 이로부터 멀어지는 이동, 바람직하게는 상승 및 하강 이동에 관하여 대체로 횡단하는 병진 이동이 제공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니퓰레이터는, 제1 및 제2 엠보싱 롤러를 향하거나 이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상승 및 하강 이동이 제공되는 슬라이드, 및 상승 및 하강 이동에 관하여 횡단하는 이동이 제공되는 캐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매거진은 캐리지 하에 위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는 캐리지에 의해 운반되는 가이드 상에서 이동 가능하고 캐리지의 이동에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조작될 롤러용의 지지 부재에 실질적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두 축을 따른 병진 이동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엠보싱 롤러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직 평면을 획정하는 매니퓰레이터가 얻어진다.
매니퓰레이터 슬라이드를 운반하는 캐리지가 이어서 상기 제1 플라이 및 제2 플라이 중 하나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된 접착 유닛을 운반하면 특히 컴팩트하고 신뢰성 있는 구조가 얻어진다. 이에 의해 캐리지의 이동은 교체 대상 엠보싱 롤러를 향하거나 이로부터 멀리 롤러 지지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엠보싱 롤러의 쌍을 향하거나 이로부터 멀리 접착 유닛을 이동시켜 엠보싱 롤러의 쌍을 제거하고 교체하는 것을 더욱 쉽게 만든다. 이것에 의해 가동 부재 및 각각의 작동기의 수를 저감하고, 구성 및 제어의 현저한 간략화 및 엠보싱-적층 장치의 증가된 신뢰성이 전체로서 얻어진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매니퓰레이터는 제1 및 제2 엠보싱 롤러에 대해서 제공된다. 두 매니퓰레이터는 바람직하게는 둘 다 하중 지지 구조체의 두 측면 부재 사이에 배열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두 매니퓰레이터는 각각 각각의 제1 및 제2 엠보싱 롤러를 이동시키는 1쌍의 피벗 암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히 2개의 매니퓰레이터가 제공될 경우, 매거진은, 바람직하게는, 엠보싱 롤러 및 각각의 압력 롤러의 축과 대체로 평행한 축 둘레를 회전하는 회전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유닛은 각각의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용의 복수개의 지지 시트를 운반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전 유닛을 구비한 매거진은, 장치의 동작 동안 매거진 내측에서 사용 중 보호되지 않은 채 엠보싱 롤러를 유지한 채로 엠보싱 롤러의 교체를 허용하도록,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이동 가능한 폐쇄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폐쇄 부재는 압력 롤러와 엠보싱 롤러의 축과 평행한 축 둘레에서 이동 가능한 실질적으로 원통형 해치(cylindrical hatch)를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거진은 매거진 내에 수용된 엠보싱 롤러의 제거 및 징치 외측의 다른 엠보싱 롤러와의 교체를 허용하도록 하는 제2 접근을 지닐 수 있다.
엠보싱-적층 장치는 유리하게는 적층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적층 롤러는 제1 및 제2 엠보싱 롤러 중 하나와 적층 닙을 획정한다. 특히 엠보싱-적층 장치에 접착 유닛이 구비된 경우, 적층 롤러는 접착 유닛과 협력하는 동일한 엠보싱 롤러와 협력한다.
추가의 가능한 특징들 및 실시형태들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이하에 기술되며, 이들은 본 발명의 설명의 통합적인 부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질적인 실시형태들을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은 엠보싱-적층 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1A 및 도 1B는 도 1의 확대 상세도;
도 2는 동작 위치에서 지지된 도 1에 도시된 엠보싱-적층 장치의 엠보싱 롤러들 중 하나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3은, 롤러가 지지 심압대로부터 체결 해제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면도;
도 4는 롤러가 지지 부재와 체결된 경우 엠보싱 롤러의 지지 및 회전 부재의 상이한 실시형태의 확대도;
도 4a의 (SX) 및 (DX)는 지지 및 회전 부재가 엠보싱 롤러로부터 체결 해제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확대도;
도 5a 내지 도 5l은 엠보싱-적층 장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엠보싱 롤러 교체의 수순을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10b는 엠보싱-적층 장치의 엠보싱 롤러들 중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매니퓰레이터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엠보싱-적층 장치의 2개의 상이한 가능한 피팅(fittings)의 개략 측면도;
도 13 내지 도 27은 엠보싱 롤러 교체 사이클의 각종 위상에서 엠보싱-적층 장치의 추가의 실시형태의 개략 측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3에서 XIIIA 및 XIIIB로 표시된 상세의 2개의 확대도;
도 28은 도 22의 XXVIII-XXVIII선을 따른 개략 정면도;
도 29는 엠보싱-적층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측면도;
도 30은 도 29의 XXX-XXX를 따른 도면;
도 31은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인 엠보싱-적층 장치의 측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및
도 32는 엠보싱 롤러의 부분 단면도.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혹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은 반드시 일정 척도로 그려져 있지 않다. 또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일 실시형태" 또는 "하나의 실시형태" 또는 "몇몇 실시형태"란 언급은 하나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술된 특정 특성, 구조 혹은 특징은 개시된 주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각각의 경우에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또는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또는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란 어구의 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형태(들)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특정 특성, 구조 혹은 특징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엠보싱-적층 장치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엠보싱-적층 장치는 전체로서 참조부호 (1)로 표시되고, 제1 플라이(V1)의 웹 재료용의 제1 공급 경로와 제2 플라이(V2)용의 제2 공급 경로를 구비한다. 두 플라이(V1 및 V2)는 유리하게는 셀룰로스 재료의 플라이, 전형적으로 티슈 페이퍼 플라이일 수 있다. 두 플라이의 각각은 이어서 서로 결합되고 접착되거나 간단히 중첩된 하나 이상의 층, 시트(sheet) 또는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두 플라이(V1 및 V2)는 엠보싱-적층 장치에 의해 엠보싱되고 함께 접착되어 연속적인 여러 플라이 또는 다층 웹 재료(N)를 형성하고, 엠보싱-적층 장치(1)를 빠져나가 제지 가공 라인 상의 하류 스테이션으로 공급된다.
도 1에서, 참조부호(P1 및 P2)는 개략적으로 두 플라이(V1 및 V2)의 경로를 나타낸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엠보싱-적층 장치(1)는 제1 압력 롤러(5)와 협력하는 제1 엠보싱 롤러(3)를 포함한다. 엠보싱 롤러(3)는 도 1A에 도시된 확대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3P)들이 형성된 원통형 표면을 포함한다. 돌기부(3P)들은 기술적-작용적 기능, 또는 심미적-장식적 기능, 또는 기술적-작용적 기능과 심미적-장식적 기능 둘 다를 가진 엠보싱 모티프를 규정할 수 있다. 제1 압력 롤러(5)는 (5A)로 표시된 유연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유연한,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유사물의 층으로 피복될 수 있다.
제1 엠보싱 롤러와 제1 압력 롤러(5) 사이에는, 엠보싱될 재료의 제1 플라이(V1)용의 경로(P1)가 통과하는 제1 엠보싱 닙(7)이 획정된다.
엠보싱-적층 장치(1)는 복수개의 돌기부(9P)가 형성된 제2 엠보싱 롤러(9)(도 1B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엠보싱 롤러(9)는, (11A)로 표시된 유연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유연한,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유사물의 층으로 피복될 수 있는 제2 압력 롤러(11)과 협력한다. 제2 엠보싱 롤러(9)와 제2 압력 롤러(11) 사이에는, 웹 재료의 제2 플라이(V2)용의 경로(P2)가 연장되는 제2 엠보싱 닙(13)이 획정된다.
두 엠보싱 롤러(3 및 9) 사이에서 닙(15)이 획정된다. 닙(15)에서, 엠보싱 롤러(3 및 9)는, 플라이들이 각각 엠보싱 닙(7 및 13)에서 개별적으로 엠보싱된 후에 두 플라이(V1 및 V2)를 함께 적층하도록, 각각의 돌기부(3P 및 9P)에서, 서로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다. 두 플라이(V1 및 V2)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방식으로 이들 중 하나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한 적층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엠보싱-적층 장치(1)는, 첨부 도면에 나타낸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 롤러(3, 9) 중 하나, 예를 들어, 엠보싱 롤러(9)와 협력하는 적층 롤러(19)를 포함할 수 있다. 엠보싱 롤러(이 예에서는 (9))와 적층 롤러(19) 사이에는 적층 닙이 제공되고, 이 닙을 통해서 두 플라이(V1 및 V2)가 통과한다.
적층 롤러(19)는 뻣뻣한 재료, 예를 들어 강철의 롤러일 수 있거나, 또는 탄성적으로 유연한 재료(19A), 바람직하게는 제2 압력 롤러(11) 및 제1 압력 롤러(5)의 코팅(11A, 5A) 각각보다 뻣뻣한 탄성적으로 유연한 재료(19A)의 층으로 피복될 수 있다.
엠보싱-적층 장치(1)에 적층 롤러(19)와 적층 닙(17)이 제공될 경우, 플라이(V1 및 V2)의 접착은 적층 닙(17)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엠보싱 롤러(3, 9)는 닙(15)에서 서로에 대해서 가압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엠보싱 롤러(3, 9)는 유리하게는 평행 축을 구비한다. 압력 롤러(5, 11)는 대응하는 엠보싱 롤러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구비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 또는 엠보싱 유닛의 피팅에 있어서, 압력 롤러, 가능하게는 적층 롤러(19)는, 각각의 엠보싱 롤러의 축에 관하여 약간 비스듬한 축과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축에 대해서 비스듬한 위치는 굴곡으로 인한 뒤틀림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롤러의 중심에서의 압력의 저감을 보상하도록 의도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엠보싱-적층 장치(1)는 닙(15) 내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닙(17) 내에서 플라이(V1, V2)를 적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엠보싱 롤러(3, 9)에는 상호 각도 위상을 조절하기 위한 이동 및/또는 중심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동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엠보싱 롤러(9)는 제2 엠보싱 롤러(9) 둘레에 감긴 플라이(V2) 상에 엠보싱에 의해 형성된 돌기부들의 상부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 유닛(21)와 관련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 유닛(21)은 접착제 공급원(23), 아닐록스 롤러(25) 및 클리셰(cliche) 롤러(27)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유닛(21)의 구성은 예로서 도시되고, 예시된 것과는 다른 기타 구성이 가능한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엠보싱-적층 장치(1)는 엠보싱 롤러(3, 9) 사이의 닙(15) 내에 플라이(V1, V2)를 적층할 경우, 두 플라이(V1, V2)는 엠보싱 롤러의 돌기부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서 가압되어, 접착제가 도포된 영역에서 상호 접착을 유발한다. 엠보싱-적층 장치(1)가 적층 닙(17) 내에 플라이(V1, V2)를 적층할 경우, 플라이(V1)는 엠보싱 롤러(9) 둘레에서 적층 닙(17)을 통해서 전진되도록 엠보싱 롤러(3)로부터 탈착되어 플라이(V2) 상에 놓인다. 여기서 플라이(V1, V2)는 적층 롤러(19)에 의해서 엠보싱 롤러(9)의 돌기부(9P)들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서 가압됨으로써 접착을 얻는다.
제1 압력 롤러(5)는 제1 엠보싱 롤러(3)를 향하거나 이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압력 롤러(5)는 엠보싱-적층 장치(1)의 측면 부재(31)들에 (29A)에서 힌지된 1쌍의 암(29)에 의해 지지되며, 이때 이들 측면 부재 사이에 롤러(3, 5, 9, 11, 19)와 접착 유닛(21)이 배열되어 있다.
암(29)들은, 이하에 기술된 목적을 위하여 제1 압력 롤러(5)를 제1 엠보싱 롤러(3)로 향하여 또는 이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중 화살표(f29)로 표시된 방향으로 암(29)들의 회전 이동을 제어하는, 작동기, 예를 들어 유압식, 공압식 또는 전기 작동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압력 롤러(11)는, 측면 부재(31)들에 대해서 (33A)에서 힌지된 1쌍의 암(33)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압력 롤러(11)를 제2 엠보싱 롤러(9)를 향하여 또는 이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중 화살표(f33)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암(33)들의 왕복 회전 이동은 도시하지 않은 유압식, 공압식 또는 전기 작동기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암에 대한 이동 작동기에 의해서, 압력 롤러(5, 11)는 각각의 보싱 롤러(3, 9)에 대해서 가압되므로, 플라이(V1, V2)가 각각의 엠보싱 닙(7, 13)을 통과할 경우, 이들 플라이는 압력 롤러(5, 11) 상의 유연한 코팅(5A, 11A) 내로 엠보싱 롤러 상의 돌기부(3P, 9P)의 침투로 인해 영구적으로 변형된다.
적층 롤러(19)는 유리하게는 적층 롤러(19)를 제2 엠보싱 롤러(9)를 향하여 또는 이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중 화살표(f35)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측면 부재(31)들에 대해서 (35A)에서 힌지된 암(3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공압식, 유압식 또는 전기 작동기 등은, 이중 화살표(f35)의 방향으로 적층 롤러(19)를 이동시키고 그것을 적층 닙(17) 내의 플라이(V1, V2)의 적층을 얻는데 필요한 압력으로 엠보싱 롤러(9)에 대해서 가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접착 유닛(21)은 유리하게는 제2 엠보싱 롤러(9)를 향하여 또는 이로부터 멀리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 이동은 도 1에 표시된 이중 화살표(f21)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고, 도시되지 않은 유압식, 공압식 또는 전기 작동기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엠보싱-적층 장치(1)는 매거진(41)을 포함하되, 여기서 1개 이상의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는 도 1에 예시된 셋업에서 기계 상에 장착된 엠보싱 롤러(3 및 9)와 배열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매거진(41)은 플라이(V1 및 V2)를 접착함으로써 얻어진 웹 재료(N)의 출구 영역 밑에 배치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거진(41)은 유리하게는 롤러(3, 5, 9, 11 및 19)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A-A) 둘레를 회전하는 유닛(43)을 포함한다. 유닛(43)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목적을 위하여 축(A-A) 둘레의 화살표(f43) 방향으로 제어된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셋업에서, (47, 49 및 51)로 표기된 3개의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가 매거진(41) 내에 위치된다. 유리하게는 엠보싱 롤러(47, 49, 51)는 각각의 시트(53, 55, 57) 내에 수용되고, 이에 의해서 매거진(41)이 제공되며, 회전 유닛(43) 상에 형성된다. 후자는 추가의 시트, 바람직하게는 (59 및 61)로 표기된 다른 2개의 시트를 포함하되, 도 1에 도시된 조건에서는 비어 있고, 이들이 2개의 엠보싱 롤러(43, 49 및 51)에 의해 교체될 필요가 있을 경우 엠보싱 롤러(3 및 9)를 입수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거진(41)은 벽 또는 고정된 카터(carter)(63)에 의해 그리고 가동식 해치(65)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해치(65)는, 엠보싱 장치(1) 내에 위치된 엠보싱 롤러들을 매거진 내에 위치된 다른 엠보싱 롤러와 교체하기 위하여, 매거진(41)의 내측으로 접근한다. 유리하게는, 해치(65)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엠보싱 롤러들을 교체하는데 필요한 거리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엠보싱 롤러(3, 9)에 가장 근접한 매거진(41)의 부분에서 위치결정된다. 해치는 또한 가공처리 동안 생성되는 많은 양의 분진(먼지, 경우에 따라서 또한 접착제)으로부터 롤러를 보호하기 위하여 롤러 매거진을 폐쇄하는데 이용된다.
고정된 카터(63) 및 해치(65)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다른 구성이 배제되지 않는다. 카터(63) 및 해치(65)의 원통형 형태는 그의 내부 용적의 사용을 최적화함으로써 매거진(41)의 치수를 저감시킨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거진(41)은 보조 해치(67)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조 해치(67)는 카터(63)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보조 해치(67)는 엠보싱 장치(1)의 작동중에 매거진(41) 내에 엠보싱 롤러를 제거 및/또는 삽입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카터(63) 내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보조 해치(67) 및 각각의 개구부는 유리하게는 엠보싱-적층 장치(1)의 측면 부재(31)들 사이에 장착된 엠보싱 롤러(3, 9)로부터 떨어진 영역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조 해치(67) 및 관련된 개구부는 생략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해치(65)는, 엠보싱-적층 장치(1)가 작업 중인 동안 제2의 하부 개구부를 제공할 필요 없이, 엠보싱 롤러를 매거진(41) 내로 삽입하거나 이로부터 추출하기 위하여, 부재(3, 5, 9, 11)와는 반대쪽 상의 관련된 개구부를 통해 접근하는 이동을 지니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엠보싱-적층 장치(1)는 또한 유리하게는 엠보싱 롤러(3)를 교체하기 위한 제1 매니퓰레이터(71)와, 엠보싱 롤러(9)를 교체하기 위한 제2 매니퓰레이터(7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매니퓰레이터(71, 73)는 이중 화살표(f71 및 f73)의 방향으로 각각 피벗 가능한 1쌍의 암을 포함한다. 피벗 암(71 및 73)은 엠보싱-적층 장치의 측면 부재(31)에 의해 형성된 고정된 구조에 대해서 (71A 및 73A)에서 힌지될 수 있고, 암은 측면 부재(31) 내측 상에 위치된다. 암의 이동은 도시하지 않은 작동기에 의해 제어된다. 피벗 이동, 즉, 힌지(71A, 73A) 둘레의 대안적인 회전에 부가해서, 각각의 매니퓰레이터(71, 73)의 두 암에는 또한 이하에 기술되는 목적을 위하여, 측면 부재(31)들을 향하여 또는 이로부터 멀리 제한된 이동이 제공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엠보싱 롤러(3, 9)의 각각은 넥부를 갖지 않을 수도 있고, 각 쌍의 심압대에 의해서 측면 부재(31)들 사이에서 지지될 수 있다. 엠보싱 롤러(3, 9)용의 지지 및 회전 기구는 실질적으로 등가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들 기구 중 단지 하나만, 더욱 상세하게는 엠보싱 롤러(3)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기구가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롤러(3)가 지지되고 심압대에 대해서 비틀려서 결합된 상태(도 2)에서 그리고 엠보싱 롤러(3)가 심압대로부터 해제되고 엠보싱-적층 장치(1)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매거진(41)으로부터 취해진 다른 엠보싱 롤러로 교체될 수 있는 위치에서, 엠보싱 롤러(3)의 그리고 지지 및 회전 심압대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유리하게는, 엠보싱 롤러(3), 및 마찬가지로 엠보싱-적층 장치(1) 내에 그리고 매거진(41)에 제공된 다른 엠보싱 롤러는, (3A)로 표시된 단부 영역을 갖는다. (75 및 77)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심압대는, 엠보싱-적층 장치의 측면 부재(31)들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이중 화살표(f75 및 f77)로 표시된 축방향 이동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엠보싱 롤러를 체결하고 체결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엠보싱 롤러(3)의 단부(3A)는 개방되고 심압대(75, 77)의 삽입을 허용하며, 이 심압대는 전체적으로 중공의 원통 형태를 가진 엠보싱 롤러(3)의 내측 상에 고정된 원추형 동체(79, 81)와 체결된다. 원추형 동체(79, 81)는 각각 오목 또는 볼록 원추면(79S 및 81S)을 갖는다. 볼록 원추면(79S, 81S)은 각각 대응하는 오목 원추면(75S 및 77S)과 체결되어 심압대(75 및 77)를 제공한다.
심압대(75, 77)의 이동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추면(75S, 79S 및 77S, 81S)의 쌍을 교대로 체결 및 체결해제한다.
이중 화살표(f75 및 f77)의 방향으로의 심압대(75 및 77)의 이동은, 예를 들어, 실린더-피스톤 작동 시스템에 의해서 얻어지며, 이 시스템 내에서 피스톤은 심압대(75, 77) 자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심압대(75, 77)는 각각의 실린더(83, 8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실린더(83, 85)는 엠보싱-적층 장치(1)의 측면 부재(31)들에 고정된다. 심압대(75, 77)에 의하면, 이들은 각각의 실린더-피스톤 작동기를 형성하며, 이중 심압대(75, 77)는 피스톤을 형성하여 밀봉부(75G 및 77G)를 제공한다.
가압된 유체, 예를 들어, 오일을 대안적으로 밀봉부(75G 및 77G)가 실린더(83, 85)의 내부 용적을 분할하는 2개의 챔버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내로 도입함으로써, 심압대(75 및 77)를 화살표(f75 및 f77)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들을 체결하고 엠보싱 롤러(3)로부터 이들을 체결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 심압대(75 및 77)는 각각 실린더(83, 85)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외부 동체(74, 78)를 포함한다. 원통형 형상일 수 있는 외부 동체(74, 78)의 내측 상에는, 각각의 회전 샤프트(76, 80)가 수용된다. 샤프트(76, 80)는 공축이고 그들의 축은 도면에서 B-B로 표시되어 있다. 원추면(75S, 77S)은 측면 부재들의 내측을 향하여 대면하는 회전 샤프트(76, 80)의 단부 상에 형성된다. 회전 샤프트(76, 80)는 외부 동체(74, 78)의 내측 상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므로, 이들은 외부 동체(74, 78) 내측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지만, 화살표(f75, f77)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구속되고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심압대(75, 77)의 각 외부 동체(74, 78)에는 외부 동체(74, 78)에 강고하게 구속되고 각각의 슬라이드(31) 내 시트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된 각각의 암(87, 89)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배열은 심압대(75, 77)를 (f75) 및 (f77)의 방향으로 이동시키지만 외부 동체(74, 78)가 축(B-B) 둘레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심압대(75)들은, 예를 들어, 전기 모터(90)에 의해 모터-구동될 수 있고, 이는 심압대(75, 77)가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경우 샤프트(76)를 회전시키고 결과적으로 엠보싱 롤러(3) 및 샤프트(80)를 회전시킨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동 디스크(91)는 심압대(77)의 샤프트(80) 상에 끼워맞춤될 수 있고, 브레이크 슈(brake shoe)(93)와 협력한다. 제동 시스템(91, 93)은 엠보싱 롤러가 교체될 필요가 있을 경우 또는 엠보싱-적층 장치의 동작 동안 임의의 다른 이유로, 심압대(75, 77)의 샤프트(76, 80) 및 엠보싱 롤러(3)를 제동시키는데 이용된다.
도 4는 심압대(77, 75)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것과 동등하거나 등가인 부분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심압대(75 및 77)는 각각 볼록 원추면(75S 및 77S)을 구비하고, 이들 원추면은 엠보싱 롤러(3) 내측에 수용된 블록(79, 81) 상에 형성된 오목 원추면(79S 및 81S)과 협력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심압대(75, 77)(또는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트(76, 80))와 엠보싱 롤러(3) 사이의 비틀림 결합은 각각 엠보싱 롤러(3)의 블록(79 및 81) 상에 형성되어 심압대(75 및 77) 상에 형성된 대응하는 정면-체결 톱니(75D 및 77D)와 협력하는 정면-체결 톱니(79D 및 81D)에 의해서 더욱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정면-체결 톱니는 또한 대안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정면-체결 톱니는 또한, 조판 시, 모터와 조판된 엠보싱 패턴 간에 각도 위상을 제공하고 이를 동작 동안 에러 없이 유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롤러의 변화 및 조판된 엠보싱 패턴의 결과적인 변화의 이벤트 시 각도 위상을 찾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지금까지 기술된 엠보싱-적층 장치는 교체될 필요가 있는 엠보싱 롤러의 수에 기초하여 각종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l에 나타낸 수순은 두 엠보싱 롤러(3, 9)가 매거진(41)에 수용된 3개의 엠보싱 롤러(47, 49 및 51) 중 2개로 변화되는 동작 모드를 예시한다. 이 분야의 전문가라면, 도 5a 내지 도 5l에 나타낸 수순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된 동작 모드가 예를 들어 얼마나 많은 롤러가 교체될 필요가 있는지(1개 혹은 2개)에 따라 그리고/또는 얼마나 많은 롤러가 매거진(4) 내에서 이용 가능한지에 따라서 상이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엠보싱-적층 장치(1)의 가능한 동작 모드 중 단지 하나인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l에 나타낸 동작 수순에 있어서, (47) 및 (49)로 표시된 매거진(41) 내에 단지 2개의 교체 엠보싱 롤러가 있다. 이들은 기계 내에 위치된 2개의 롤러(3 및 9)를 동시에 교체한다.
도 5a 내지 도 5l에 도시된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다. 도 5a에서, 엠보싱-적층 장치(1)는, 두 플라이(V1 및 V2)가 경로(P1 및 P2)를 따라서 공급되어 두 엠보싱 닙(7 및 13) 내에서 엠보싱되고 적층 닙(17)에 적층되고 접착되는 동작에 있다. 매니퓰레이터(71 및 73)는 휴지 위치에 있다. 매거진(41)은 폐쇄되어 있다.
도 5b는, 엠보싱-적층 장치(1)가 중지된 후에, 두 압력 롤러(5 및 11)가 각각의 엠보싱 롤러(3 및 9)로부터 멀리 이동되고, 적층 롤러(19)가 엠보싱 롤러(9)로부터 멀리 이동된 후속의 위상을 도시한다. 접착 유닛(21)은 엠보싱 롤러(9)로부터 멀리 이동되었다.
다음의 도 5c는 매니퓰레이터(71 및 73)가 엠보싱 롤러(3 및 9)를 체결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위상을 도시한다. 매니퓰레이터(71, 73)의 조합은 도 6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엠보싱 롤러들이 도 3에 도시된 위치를 취하는 심압대(75 및 77)에 의해 해제되기 전에, 이들 매니퓰레이터가 엠보싱 롤러(3 및 9)의 단부와 체결되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은 순간이면 충분하다.
도 5d는 엠보싱 롤러(3 및 9)를 엠보싱-적층 장치(1) 내의 그들의 위치로부터 매거진(41) 내로 이송하는 이송 위상을 도시한다. 이 이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매거진(41)은, 예를 들어, 매거진(41)의 회전축(43)의 축(A-A) 둘레에 해치(65)를 회전시킴으로써 개방되었다. 매거진(41)의 두 자유 시트(59 및 61)는 해치(65)에 의해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진 개구부의 영역에 위치된다. 엠보싱-적층 장치(1) 내의 위치로부터 매니퓰레이터(71 및 73)에 의해 취해진 엠보싱 롤러(3 및 9)는 이들 시트 내에 배치된다.
도 5e는, 엠보싱 롤러(3 및 9)가 시트(59 및 61) 내에서 해제되고 매니퓰레이터(71 및 73)가 멀리 이동하여 엠보싱 롤러(3 및 9)로부터 체결 해제되어 매거진(41)의 회전 유닛(43)의 회전을 허용하는 다음 위상을 도시한다. 도 5f는 회전(화살표(f43), 도 5e) 후에 회전 유닛(43)이 위치되는 위치를 도시한다. 내부에 이미 작업 중인 엠보싱 롤러(3 및 9)가 삽입되어 있는 두 시트(61 및 59)는 매거진(41)의 하부에 위치되는 한편, 엠보싱 롤러(47 및 49)가 위치되어 있는 시트(53 및 55)는 매거진(41)의 개구부의 영역에 위치결정된다. 빈 시트(57)는 이 동작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일단 도 5f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회전 유닛(43)은 정지 상태인 채로 있고 매니퓰레이터(71 및 73)는 도 5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하여 엠보싱 롤러(47 및 49)를 픽업한다.
일단 매니퓰레이터(71 및 73)가 엠보싱 롤러(47, 49)의 단부와 체결되면, 상기 매니퓰레이터들은 엠보싱 롤러를 도 5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싱-적층 장치(1)의 측면 부재(310들 사이의 동작 위치로 이송한다. 일단 엠보싱 롤러(47 및 49)가 심압대(75 및 77)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이 위치에 도달하면, 심압대는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여 엠보싱 롤러(47 및 49)를 비틀림 체결하고 지지한다. 매니퓰레이터(71 및 73)는 이어서 엠보싱 롤러(47 및 49)로부터 체결 해제되어, 도 5i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매거진(41)은 해치(65)를 회전시킴으로써 재차 폐쇄될 수 있다.
도 5j는, 압력 롤러(5 및 11)가 적층 롤러(19)와 함께 (롤러(3, 9)를 교체하는) 각각의 엠보싱 롤러(47, 49)를 향하여 도로 가서 이들 엠보싱 롤러에 대항하여 가압하는 다음의 위상을 도시한다. 접착 유닛(21)은 엠보싱 롤러(49) 바로 옆으로 간다.
도 5k에서, 엠보싱-적층 장치(1)는 제조를 재개하고, 플라이(V1 및 V2)는 공급 경로(P1 및 P2)를 따라 공급되어 엠보싱-적층 장치에 대한 출구에서 여러 플라이 웹 재료(N)를 형성한다.
다음의 도 5l은, 다음 동작 사이클에서 엠보싱 롤러(47 및 49)가 엠보싱 롤러(3 및 9) 이외의 다른 롤러에 의해 교체될 필요가 있을 경우, 매거진(41) 내로 방출되는 엠보싱 롤러(3 및 9)를 저장 영역으로부터 취해질 수 있는 다른 엠보싱 롤러와 교체하는 추가의 가능한 위상을 도시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보조 해치(67)에 의해 폐쇄된 매거진(41)의 하부 개구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 하부 개구부는 가이드(101)의 영역에서 배치될 수 있고 이 가이드를 따라서 셔틀(103)이 이동할 수 있고, 이어서 매거진(41)의 하부 개구부 하에 배치되어 매거진(41) 내에 수용된, 다른 롤러와 교체될 필요가 있는 엠보싱 롤러를 입수할 수 있다.
도 5l은 엠보싱 롤러(9)가 매거진(41)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셔틀(103) 상에 배치된 위상을 도시한다. 셔틀(103)은 매거진(41) 밑에 도입되도록 회전 부분(43)의 회전축(A-A)에 대해서 평행 또는 직교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이 이동은 축(A-A)에 대해서 평행하고 특정 가이드 상에서 달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거진(41)에서 교체될 롤러들이 예를 들어 해치(65)에 의해 폐쇄된 개방부를 연장시킴으로써 위로부터 삽입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현가된 이송 장치는 예를 들어 천장 주행용 크레인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10b는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니퓰레이터(71, 73)의 구성 및 이동을 더욱 상세히 예시하고 있다. 2개의 매니퓰레이터(71, 73)는 이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전 암의 길이만이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따라서, 도 6a 내지 도 10B는 단지 하나의 매니퓰레이터, 더욱 정확하게는 장치(71)를 도시하는 바, 그 이유는 매니퓰레이터(73)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이해되기 때문이다.
도 6a 내지 도 10b는 엠보싱 롤러를 취하여 매거진(41) 내로 이송하고 해제하는 수순을 도시한다. 도 6a, 도 7a, 도 8a, 도 9a 및 도 10a는 매니퓰레이터(71)의 회전운동이 예시된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대응하는 도 6b, 도 7b, 도 8b, 도 9b 및 도 10b는, 엠보싱 롤러 및 심압대의 축을 따른, 매니퓰레이터(71)의 피벗 암의 상대 이동 및 심압대와 엠보싱 롤러의 이동의 개략 단면도를 예시한다.
매니퓰레이터(71, 73)의 부분을 형성하는 피벗 암은, 심압대(75, 77)에 대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6a, 도 7a, 도 8a, 도 9a 및 도 10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초기에 참조하면, 매니퓰레이터(71)는 엠보싱 롤러(3)를 체결하는 위치에서 그의 피벗 암과 정렬된다. 도면에서 (71B)로 표시된 피벗 암은, 각각 피벗축 또는 받침점(fulcrum)(71A)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원위 단부에, 즉, 축(71A) 둘레에 선회된 단부와는 반대쪽의 암(71B)의 단부에 위치되는 단부 핀(71P)을 구비한다.
암(71B)들에는 엠보싱 롤러를 향하여 그리고 이를 향하여 이동하기 위하여 화살표(fx)(도 6b)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이동이 제공되며, 이러한 엠보싱 롤러는 엠보싱-적층 장치(1)로부터 매거진(41)으로 또는 그 반대로 체결되고 이송되어야 한다.
도 6b는 암(71B)들이 엠보싱 롤러를 간섭하지 않도록 엠보싱 롤러(3)로부터 충분한 거리에 있는 위치를 도시한다. 암(71B)들의 핀(71P)은 상부 영역에서 롤러(3)의 정면에서 그의 외측에 위치된다.
도 7A 및 도 7B는 화살표(fx)로 표시된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이동된 암(71B)들에 의해 취해진 다음 위치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해서, 암(71)들의 핀(71P)들은 엠보싱 롤러(3)의 각각의 단부(3A)의 에지 둘레에 제공된 환형상 채널(3C)에 삽입되었다. 핀(71P)들 및 채널(3C)의 위치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위치에서, 핀(71P)과 채널(3C) 간의 상호 접촉이 없이 오히려 예를 들어 1 내지 2㎜의 작은 상호 간격이 있도록 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다음 위상에서, 심압대(75 및 77)는 매니퓰레이터(71)의 암(71B)들의 핀(71P)들 상에 그의 채널(3C)에서 해당 롤러를 휴지시킨다.
일단 심압대(75, 77)가 매니퓰레이터(71)의 암(71B)들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각각의 측면 부재(31)들을 향하여 인입된다면, 매니퓰레이터는 축(71A) 둘레를 회전함으로써 엠보싱 롤러(3)를 매거진(41)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매니퓰레이터(71)의 암(71B)들이 엠보싱 롤러(3)를 매거진(41) 내로 삽입하기 위한 위치에 도달하도록 회전되는 위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이 위치는 도 5d에 예시된 것에 대응한다.
일단 도 9B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했다면, 엠보싱 롤러(3)는 매니퓰레이터(71)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이것은 화살표(fx')(도 10B)로 표시된 방향으로 2개의 암(71B)을 이동시키고, 이들을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켜서 엠보싱 롤러(3)의 각각의 채널(3C)로부터 핀(71P)들을 체결해제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엠보싱 롤러(3)는 매거진(41)의 회전 유닛(43) 내의 각각의 시트 내로 해제되고 매니퓰레이터(71)는 축(71A) 둘레를 회전하여 회전 유닛(43)의 경로로부터 이동하여, 이 회전 유닛을 1 또는 2 단계 회전시켜서 매거진 시트들 중 하나로부터 새로운 엠보싱 롤러를 취하는 후속의 위상을 수행하게 하용할 수 있다. 새로운 엠보싱 롤러를 취하기 위하여 매니퓰레이터(71)에 의해 수행된 이동은 도 6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위에서 기재된 것과는 실질적으로 반대이다.
위에서 기재된 엠보싱 롤러 이송 이동 동안, 핀(71P)은 환형상 채널(3C) 내측에서 롤링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매거진을 향한 엠보싱 롤러(3)의 이송 동안에 엠보싱 롤러(3)와 핀 사이의 이동을 하용하는데 요구되는 자유도를 얻는다.
위에서 기술된 엠보싱-적층 장치는 도 5a 내지 도 5l의 수순을 참조하여 앞서 예시된 것에 부가해서 상이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은 3개의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가 매거진(41) 내에 배열되고 엠보싱-적층 장치(1) 내에서 일시적으로 위치된 2개의 엠보싱 롤러(3, 9)를 교체할 수 있는 형태를 예시한다. 이 도면에서, 엠보싱 롤러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 엠보싱-적층 장치(1)의 하부에 있는 엠보싱 롤러(AF)(도 1에서 (3)으로 표시된 엠보싱 롤러에 대응함);
- 엠보싱-적층 장치(1)의 상부에 있는 엠보싱 롤러(AD)(도 1에서 (9)로 표시된 엠보싱 롤러에 대응함);
- 매거진(41)에 배열된 3개의 엠보싱 롤러(IF, ID1, ID2).
예를 들어, 문자 A로 표기된 롤러는 키친 롤의 제조를 위하여 의도된 웹 재료(N)를 엠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AD)에는 장식 패턴이 제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플라이(V2)가 가공처리되는 한편 엠보싱 롤러(AF)에는 배경 패턴이 제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플라이(V1)가 엠보싱된다. 배경 패턴은, 예를 들어, 주로 기술적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엠보싱의 형성을 위한 작은 치수를 가진 간단한 기하학적 형상(절단된 원추형 또는 절단된 각뿔형)을 지닌 복수개의 돌기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엠보싱 롤러(IF, ID1 및 ID2)에는, 화장지의 제조를 위하여 의도된 돌기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IF)는 플라이(V1) 상에 배경 엠보싱, 예를 들어, 마이크로-엠보싱을 생성하도록 의도된 돌기부들을 가질 수 있다. 엠보싱 롤러(ID1 및 ID2)는 위생 제품의 상부 또는 외부 플라이(V2)를 가공처리하기 위하여 2개의 상이한 장식으로 조판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셋업된 기계는 키친 롤의 제조를 위하여 의도된 웹 재료(N)를 제조하도록 배열되고, 여기서 플라이(V1)는 엠보싱 롤러(AF)에 의해서 배경 엠보싱으로 엠보싱되고, 감기 동작 동안 롤의 외부에 있는 플라이(V2)는 롤러(AD)에 의해서 장식 엠보싱이 부여된다.
이 기본적인 구성에서부터 제2 제품, 예를 들어, 화장지의 제조로 전환하기 위하여, 절차는 기계를 중지시키고 예를 들어 동시 이동에 의해서 두 롤러(AD, AF)를 각각 롤러(ID1 및 IF)로 교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플라이(V1) 상에 롤러(IF)에 의해 제공된 동일한 배경 엠보싱 설계와 플라이(V2) 상의 상이한 패턴을 가진 위생 재료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면, 엠보싱 롤러(ID1)를 위에서 기재된 바와 유사한 절차에 의해서 엠보싱 롤러(ID2)로 교체하는데 충분하고, 이때 단일의 엠보싱 롤러는 2개 대신에 교체된다.
매거진(41)에 제3의 조판된 롤러를 부가함으로써, 엠보싱-적층 장치(1)의 셋업 시에 더 큰 가요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매거진(41)이 4개의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IF, ID1, ID2 및 ID3)를 수용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이 셋업에 의해서, 상기 기계는, 도 12에 도시한 구성에서 엠보싱-적층 장치(1)의 동작 위치에 있는 롤러(AD 및 AF)를 이용해서 제품, 예를 들어, 키친 롤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2는 엠보싱-적층 장치(1)의 동작위치이다. 엠보싱 롤러의 적절한 교체에 의해서, 엠보싱-적층 장치는 엠보싱 롤러(AF)를 엠보싱 롤러(IF)로 그리고 엠보싱 롤러(AD)를 3개의 엠보싱 롤러(ID1, ID2 및 ID3)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로 교체함으로써, 3가지 상이한 유형의 위생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후자의 엠보싱 롤러들은 3가지 대안적인 패턴으로 조판되는 장식을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거진(41)의 1개 또는 2개의 롤러가 키친 롤의 제조를 위하여 하나의 플라이를 처리하도록 의도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들 롤러는 엠보싱-적층 장치(1)에 있는 롤러(AD)를 교체할 것인 반면, 롤러(AF)는 변화되지 않는다.
단, 도 12에 도시된 배열의 경우에, 롤러(AD 및 AF)의 교체는 2가지 위상에서 일어나는데, 그 이유는 단지 하나의 자유 시트가 엠보싱 롤러를 교체하기 위한 매거진(41)에서 입수 가능하기 때문임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제1 엠보싱 롤러(AD)는 매니퓰레이터(73)에 의해서 엠보싱 롤러(ID1, ID2 또는 ID3) 중 하나로 교체될 것이고, 이어서 엠보싱 롤러(AF)는 매니퓰레이터(71)에 의해서 엠보싱 롤러(IF)로 교체될 것이거나, 그 반대이어도 된다.
매거진(41) 내의 시트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엠보싱 롤러를 교체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제품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거진(41)으로부터의 엠보싱 롤러를, 예를 들어 슬라이드(103)(도 5l)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엠보싱-적층 장치의 융통성이 더욱 증가된다.
매니퓰레이터(71, 73)의 암들의 회전 이동은, 한번에 하나의 엠보싱 롤러를 이동시킬 경우에, 주위의 롤러들, 특히 압력 롤러 및/또는 적층 롤러 및/또는 다른 엠보싱 롤러와의 충돌 없이, 각각의 엠보싱 롤러를 동작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이를 매거진 내로 삽입하고, 그리고 매거진으로부터 롤러를 추출하고 이를 동작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3 내지 도 28은 엠보싱-적층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27은 상부 엠보싱 롤러를 교체하는 공정의 각종 위상에서 엠보싱-적층 장치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웹 재료(N)를 제조하는 위상에서 엠보싱-적층 장치(200)를 도시한다. 웹 재료(N)는 2개의 연속 플라이(V1, V2)를 접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도 13에서 플라이(V1 및 V2)의 두 경로는 전체로서 (P1 및 P2)로 표시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웹 재료(N)를 구성하는 파일의 개수는 2개보다 많을 수 있고, 그리고 2개보다 많은 플라이 공급 경로가 있을 수 있다.
각각의 플라이(V1, V2)는, 이어서 예를 들어, 엠보싱-적층 장치(200)의 상류에 있는 플라이-접착 유닛 또는 엠보싱 유닛에 의해서 중첩되어 가능하게는 접착되는 하나 이상의 층, 시트 또는 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엠보싱-적층 장치(200)는 (201)로 전체로서 표시된 하중 지지 구조체를 구비한다. 하중 지지 구조체는 두 측면 부재(203) 및 베이스 구조체(205)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중 지지 구조체(201)의 두 측면 부재(203) 사이에는 제1 엠보싱 롤러(207)와 제2 엠보싱 롤러(209)가 배열될 수 있다. 제1 엠보싱 롤러(207)에는 도 13A에서 확대하여 상세를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싱 돌기부(207P)들이 제공될 수 있는 한편, 제2 엠보싱 롤러(209)에는 도 13B에 예시된 확대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싱 돌기부(209P)들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엠보싱 롤러(207)는 제1 압력 롤러(211)와 협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력 롤러(211)는 유연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유연한, 예를 들어 고무의 외부층(211A)으로 피복될 수 있다. 제2 엠보싱 롤러(209)는 제2 압력 롤러(213)와 협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력 롤러(213)는 또한 유연한 재료, 특히 탄성적으로 유연한 재료의 외부층(213A)으로 피복될 수 있다.
참조부호(207X, 209X, 211X 및 213X)는 각각 두 엠보싱 롤러(207, 209)의 회전축 그리고 두 압력 롤러(211, 213)의 회전축을 나타낸다. 이들 축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1 엠보싱 롤러(207)와 제1 압력 롤러(211)는 이들 사이에 제1 엠보싱 닙(215)을 형성하고, 이 닙을 통해서 제1 플라이(V1)가 제1 엠보싱 롤러(207)의 돌기부(207P)들에 의해 엠보싱되도록 가압된다. 압력 롤러(211)에 유연한 외부 코팅(211A)이 제공될 경우, 돌기부(207P)들은 제1 압력 롤러(211)에 대항하여 가압되어 유연한 코팅(211A)을 침투하고, 이에 의해서 플라이(V1)를 영구적으로 변형시킨다.
제2 엠보싱 롤러(209)와 제2 압력 롤러(213)는 제2 엠보싱 닙(217)을 형성하고, 이 닙을 통해서 제2 플라이(V2)가 통과한다. 제2 플라이(V2)는, 제1 플라이(V1)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엠보싱 롤러(213)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제2 엠보싱 롤러(209)의 돌기부(209P)들의 영향에 의해 엠보싱된다. 이 롤러에 탄성적으로 유연한 코팅(213A)이 제공되면, 엠보싱 돌기부(209P)들은 유연한 코팅을 침투하여 플라이(V2)의 영구적인 변형을 유발한다.
두 압력 롤러(211, 213)는, 이하에 설명되는 목적을 위하여, 각각의 엠보싱 롤러(207, 209)를 향하여 또는 이로부터 멀리 이동을 허용하는 암 또는 기타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작동기(도시 생략), 예를 들어 실린더-피스톤 작동기는, 제1 엠보싱 롤러(207)에 대해서 압력 롤러(211)을 그리고 제2 엠보싱 롤러(209)에 대해서 제2 압력 롤러(213)를 가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엠보싱 롤러(207, 209)은 팁-투-팁(tip-to-tip) 작업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즉, 그들의 돌기부(207P, 209P)가 2개의 엠보싱 롤러(207, 209) 사이에 형성된 닙(219) 내에서 서로에 대해서 가압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엠보싱-적층 장치(200)는 엠보싱 롤러(209)에 대항하여 가압되고 이와 함께 적층 닙(223)을 형성하는 적층 롤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두 플라이(V1 및 V2)는 제2 엠보싱 롤러(209)와 적층 롤러(221)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닙(219)에서 엠보싱 롤러(207, 209)는 서로 다소 떨어져 있으므로, 두 플라이(V1, V2)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 경우 엠보싱 유닛은 소위 '네스티드'(nested) 수법을 이용해서 엠보싱된 재료를 작성할 수 있고, 플라이(V2)의 엠보싱 돌기부들은 플라이(V1)의 엠보싱 돌기부들 사이에 네스팅되거나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엠보싱-적층 장치(200)는 대안적으로 팁-투-팁 수법을 이용해서 또는 네스티드 수법을 이용해서 작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엠보싱 롤러들은 그들의 축에 대해서 평행하거나 직교하여 이동 가능하고 적층 롤러는 대안적으로 활성 위치에서 그리고 비활성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것이 가능하다.
엠보싱-적층 장치(200)는 접착제 전달 유닛(225)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전달 유닛(225)은 접착제 공급원(227), 접착제 공급원(227)으로부터 접착제를 취하는 제1 패턴화된 롤러 또는 아닐록스 롤러(229), 및 패턴화된 롤러(229)로부터 접착제를 입수하고 이 접착제를 제2 엠보싱 롤러(209)에 부착하는 엠보싱된 플라이(V2)의 부분에 분배시키는 제2의 도포기 클리셰 롤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제는 엠보싱 돌기부(209P)들에 의해 엠보싱된 플라이의 부분들 상에, 엠보싱 롤러(209)에 제공되는 엠보싱 돌기부(209P)의 헤드의 적어도 몇몇의 영역에 도포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 전달 유닛(225)은 이중 화살표(f233)의 방향으로, 예를 들어 고정된 구조물(201)의 요소에 의해 운반된 가이드(235)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또는 캐리지(233) 상에 장착된다. 이중 화살표(f233) 방향으로의 이동은, 도시하지 않은, 특정 작동기, 예를 들어, 실린더-피스톤 작동기, 전기 모터에 의해, 또는 임의의 기타 유형의 적절한 작동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캐리지(233)는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직립부(237)들과 연관되며, 이들 상의 가이드들은 직립부(들)(237)를 따라서 이중 화살표(f239)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239)의 이동을 위하여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면 부재(203)들 바로 옆에 배치된 두 직립부(237)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슬라이드(239)는 각 직립부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단지 하나의 직립부 및 하나의 슬라이드만이 보이지만, 제2 직립부 및 제2 슬라이드가 도면에서 보이는 직립부 및 슬라이드 뒤에 위치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적절한 작동기(도시 생략)가 슬라이드(239)의 또는 각 슬라이드(239)의 이중 화살표(f239)의 방향으로의 상승 및 하강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모터, 예를 들어 전기 모터 또는 유압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나사산 형성 바가 있을 수 있다. 나사산 형성 바는 슬라이드에 의해 운반된 암 너트(female nut)와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풀리(pulley)들 둘레에 감겨 있는 톱니형 벨트 또는 기타 연속 가요성 부재를 포함하는 기구가 제공될 수 있고, 풀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모터 기동된다. 슬라이드(239)는 연속 가요성 부재의 일부분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벨트의 이동은 수직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의 이동을 유발한다. 더욱 추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239) 또는 각각의 슬라이드(239)의 수직 이동은, 슬라이드 상의 랙 및 피니언 시스템에 의해서, 예를 들어 직립부(237)에 고정된 랙 및 모터기동식 피니언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2개의 직립부 및 2개의 슬라이드가 제공될 경우, 2개의 슬라이드(239)의 동시 상승 및 하강 이동을 얻기 위하여, 2개의 슬라이드용의 이중 상승 및 하강 기구가 사용되어 적절하게 전자적으로 조화되고 동기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슬라이드(239)는 엠보싱-적층 장치(200)에 장착된 엠보싱 롤러(207 및/또는 209)를 이하에 기술된 매거진 내에 수용된 다른 엠보싱 롤러와 교체를 위하여 엠보싱 롤러를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각각의 매니퓰레이터(241)를 운반한다. 2개 이상의 슬라이드(239)가 제공될 경우, 매니퓰레이터(241)의 세트는 엠보싱 롤러의 이동을 위한 매니퓰레이터를 구성한다.
엠보싱 롤러 교체 사이클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매니퓰레이터(241)에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의 배합 이동이 제공된다. 이것은 엠보싱 롤러를 각각의 압력 롤러로부터 멀리 그리고/또는 다른 엠보싱 롤러로부터 하향 병진 이동에 의해 매거진으로 이송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중 화살표(f233)의 방향으로의 캐리지(233)의 이동은, 캐리지(233)의 두 가능한 위치를 도시하는 도 13 및 도 14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립부(들)(237)의 수평 이동도 유발한다. 따라서, 심지어 슬라이드 또는 슬라이드들(239) 및 매니퓰레이터(241)도 캐리지(233)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병진이동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들)(239)는 예를 들어 하부 위치(도 13 및 도 14)와 상부 위치(도 17 및 도 18)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슬라이드(들)(239) 및 따라서 매니퓰레이터(241)에는, 이하에 기재된 사이클에 따라서 엠보싱 롤러를 이동시켜 이들을 교체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서 직교하는 2개의 병진 축의 방향으로의 이동, 각각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이 제공된다.
베이스 구조체(205)는 복수개의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용의 매거진(245)과 연관될 수 있고, 이들 엠보싱 롤러는 도 13에 예시된 배열에서 하중 지지 구조체(201)의 측면 부재(203)들 사이에 장착된 두 엠보싱 롤러(207, 209)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교체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거진(245)은 베이스 구조체(205) 내측에 수용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거진(245)은 매거진(245) 내에 수용된 스페어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선택을 허용하도록 이중 화살표(f247)의 방향으로 병진 이동이 제공되는 유닛(247)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거진(245)은 5개의 시트(249A, 249B, 249C, 249D 및 249E)를 포함하되, 각각은 각각의 엠보싱 롤러를 수용하도록 적응된다. 도 13에 예시된 구성에 있어서, 매거진(245)은 시트(249A, 249B, 249D 및 249E)에 각각 수용된 4개의 엠보싱 롤러(251, 253, 255 및 257)를 포함한다. 도 13에 예시된 조건에서, 중간의 시트(249C)는 비어 있고, 접착 롤러(231) 밑의 대략 중앙 위치에 위치된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구조체(205)는 유닛(247)의 길이보다 큰 이동 방향(f247)에 있어서 베이스 구조체(205)의 치수를 구비하므로, 후자는 베이스 구조체(205) 내측으로 이동되어, 캐리지(233)가 엠보싱 롤러(207, 209)로부터 멀리 이동될 경우 베이스 구조체(205)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는 경로(261)들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시트(249A 내지 249E)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가져갈 수 있다. 엠보싱 롤러들은, 이하 설명한 바와 같이, 경로(261)를 통하여 매거진으로부터 멀어지고 그리고 향하여 이송된다.
작업 위치에서 기계에 있는 엠보싱 롤러(207, 209)는, 측면 부재(203)들 사이에 전체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엠보싱 롤러(207, 209)는 측면 부재(203)들 상에 장착된 심압대(75, 77)에 의해서 유지되고 회전될 수 있다. 심압대(75, 77)(도 13 내지 도 28에는 도시되지 않음)는 도 2, 도 3, 도 4, 및 도 4a의 (SX) 및 (DX)를 참조해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엠보싱 롤러(207, 209)는 심압대(75, 77)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심압대(75, 77)로부터 체결 해제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두 심압대(75, 77)에는 매니퓰레이터(241) 상의 각각의 엠보싱 롤러를 해제하기 위하여 또는 이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엠보싱 롤러(207, 209)의 회전축(207X, 209X)에 대해서 평행한 이동이 제공될 수 있다.
각 엠보싱 롤러를 픽업해서 동작 위치(도 13에서의 엠보싱 롤러(207, 209))로부터 매거진(245) 내의 시트(249A 내지 249E)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 내의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엠보싱 롤러에는, 특히 도 28에서 2개의 엠보싱 롤러(207 및 209)에 대해서 도시된 칼라(collar) 또는 환형상 융기부(265)가 제공될 수 있다. 매거진(245) 내의 스페어 엠보싱 롤러(251, 253, 255, 257, 259)에는 또한 유사한 환형상 융기부(265)가 제공된다.
환형상 융기부(265)는 환형상 채널(265A)을 획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융기부는 매니퓰레이터(241)의 각각의 반달형 지지 요소(241A)와 체결된다.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매니퓰레이터(241)는, 이중일 수 있고, 동기해서 이동 가능한 두 슬라이드(239)에 의해서 운반된 2개의 반달형 지지 요소(241A)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2개의 반달형 지지 요소(241A)를 운반하는 단지 하나의 슬라이드(239)가 있을 수 있다.
선택된 배열이 무엇이든지 간에, 일반적으로 매니퓰레이터(241)는, 기계 내에 있는 하나, 다른 하나 또는 둘 다의 엠보싱 롤러(207, 209)를 매거진(245) 내에 있는 엠보싱 롤러(251 내지 257) 중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교체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엠보싱 롤러(207 또는 209, 251 내지 257) 중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체결하여 이들을 이하에 기술된 방식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환형상 융기부 또는 칼라(265)는 각각의 롤러(207, 209)의 원통형 표면의 조판된 영역 외측에 위치되고, 여기서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싱 돌기부(209P, 207P)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매니퓰레이터(241)와 엠보싱 롤러(207, 209) 사이(그리고 마찬가지로 다른 엠보싱 롤러(251 내지 257)와)의 접촉은 엠보싱 롤러의 외표면 상의 조판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도 13 내지 도 27은 제2 엠보싱 롤러 또는 상부 엠보싱 롤러(209)를 교체하기 위한 동작의 수순을 예시한다. 이 수순은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의 하부 엠보싱 롤러(207)가 실질적으로 유사한 동작 수순을 이용해서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3에서 엠보싱-적층 장치(200)는 동작 조건에 있고 제1 플라이(V1) 및 제2 플라이(V2)는 엠보싱 롤러를 향하여 화살표(f1 및 f2)로 표시된 방향으로 전진하여, 롤러(207, 211)의 쌍과 롤러(209, 213)의 쌍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엠보싱되도록 한다. 엠보싱된 플라이들은 엠보싱 롤러(209)와 적층 롤러(221) 사이에서 접착되고 적층되며, 결과적으로 여러 플라이 웹 재료(N)를 형성하며, 이 재료는 하류 스테이션,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리와인더를 향하여 이중 화살표(fN)의 방향으로 전진한다. 압력 롤러(213)는 엠보싱 롤러(209)에 대향하여 가압되는 한편 압력 롤러(211)는 엠보싱 롤러(207)에 대항하여 가압되고, 적층 롤러(221)는 엠보싱 롤러(209)에 대항하여 가압되어 플라이(V1, V2)를 결합시킨다.
하나의 또는 둘 다의 엠보싱 롤러(207, 209)가 매거진(245)에 위치된 다른 엠보싱 롤러와 교체될 필요가 있을 경우, 우선 플라이(V1, V2)이 공급이 중단되고 엠보싱-적층 장치(200)의 각종 롤러의 이동이 중단된다. 캐리지(233)는 엠보싱 롤러(207, 209)로부터 그리고 압력 롤러(211, 213)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다. 도 14는 캐리지(233)가 측면 부재(203)들의 쌍으로부터 그리고 엠보싱 롤러(207, 209)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매거진(245) 내의 빈 시트(249C) 위쪽의 개구부(271)를 떠나는 단계를 도시한다.
다음 단계에서, 매니퓰레이터(241)는 베이스 구조체(205)의 내측 또는 영역에서 하부 위치로부터 상승될 수 있고, 여기서 엠보싱-적층 장치(200)의 정상 동작 동안 유지된다. 매니퓰레이터(241)는 지지 요소(241A)들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엠보싱 롤러(209)의 칼라 또는 환형상 융기부(265)의 높이에서 대체로 위치되는 위치로 상승된다.
이들 엠보싱 롤러 교체 동작 동안, 엠보싱 롤러를 지지하고 있는 심압대들 사이에서의 위치로부터 엠보싱 롤러를 제거하기 전에 적절한 순간에, 교체될 엠보싱 롤러와 협력하는 적어도 압력 롤러는 각각의 엠보싱 롤러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엠보싱 롤러의 제거를 허용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든 압력 롤러 및 라미네이트 롤러는 교체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엠보싱 롤러로부터 멀리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와 같이, 예를 들어, 웹 재료(N)와 플라이(V1, V2)를 제거함으로써 롤러들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단계(도 16)에서, 캐리지(233)는 매니퓰레이터(241)의 지지 요소(241A)들을 칼라(265) 밑으로 가져가도록 일단 측면 부재(203)들을 향하여 재차 이동될 수 있다.
지지 요소(241A)들을 운반하는 슬라이드(239) 또는 슬라이드(239)의 쌍의 후속의 약간의 상승에 의해 후자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싱 롤러(209)의 칼라 또는 환형상 융기부(265)와 접촉하게 된다.
이들 위상 동안, 엠보싱 롤러(209)(및 다른 엠보싱 롤러(207))는 심압대(75, 77)에 의해 지지된다(도 2 내지 도 4). 일단 지지 요소(241A)들이 환형상 융기부(265)와 접촉하게 되면, 심압대(75, 77)는 엠보싱 롤러(209)로부터 그의 축 이동에 의해 멀리 이동될 수 있고, 엠보싱 롤러(209)는 해제되고 이어서 지지 요소(241A)들에 의해지지된다.
다음 동작 단계에서, 캐리지(233)는 일단 재차 측면 부재(203)들의 쌍으로부터 그리고 하부 엠보싱 롤러(207)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다. 이 이동에 있어서(도 18), 매니퓰레이터(241)는 제2 엠보싱 롤러(209)을 측면 부재(203)들로부터 추출하거나, 임의의 경우에 이전의 단계까지 엠보싱 롤러(209)를 지지한 심압대(도 18에서는 보이지 않음)로부터 상기 엠보싱 롤러를 멀리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매니퓰레이터(241)는 하강되어 지지 요소(241A)들을 매거진(245)의 시트(249C)의 높이로 가져갈 수 있다. (다른 시트(249A, 249B, 249D, 249E)와 마찬가지로) 시트(249C)는 더 큰 직경의 영역에서 엠보싱 롤러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엠보싱 돌기부(207P, 209P)를 형성하는 조판술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해서, 엠보싱 롤러(209)는 사실상 시트(249C)를 획정하는 지지 표면 상에 휴지되는 한편 지지 요소(241A)들은 상기 낮은 위치로 하강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249A 내지 249E)의 지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엠보싱 롤러의 원통형 표면 상에 엠보싱 돌기부보다 유연하고/하거나 더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엠보싱 롤러 상의 조판술에 대한 손상은 이들이 매거진(245) 내에 보관될 경우 회피된다.
엠보싱-적층 장치(200)로부터 바로 취해진 엠보싱 롤러(209)가 엠보싱 롤러(253)로 교체될 필요가 있다면, 예를 들어, 엠보싱 롤러 교체 공정에서의 다음 단계는 가동 유닛(247)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도면에서) 1스텝 병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도 20 참조) 엠보싱 롤러(253)는 개구부(271)의 영역에서 이동될 것이고, 매니퓰레이터(241)의 지지 요소(241A)들 위쪽에 위치결정되고, 이 지지요소는 여전히 그들의 하부 위치에 있다.
이어서, 엠보싱 롤러(253)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니퓰레이터(241)에 의해 상승되어 엠보싱 롤러(253)의 축(253X)을 측면 부재(203)들에 의해 운반된 심압대(도시 생략)의 높이까지 가져갈 수 있다. 도 22는 캐리지(233)가 병진이동하여 일단 재차 측면 부재(203)들 옆으로 이동하고 축(253X)을 구비한 엠보싱 롤러(253)를 두 심압대의 축과 정렬하여 운반하는 다음 단계를 도시한다.
일단 도 22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심압대는, 매니퓰레이터(241)가 엠보싱 롤러(253)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도록, 일단 롤러(253)를 향하여 재차 이동하여 각각의 단부에서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멀리 이동은 먼저 도 2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23에 도시된 위치로의 하강 이동일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지지 요소(241A)들은 엠보싱 롤러(253)의 칼라 또는 환형상 융기부(265)로부터 체결 해제된다.
다음에, 캐리지(233)는 일단 재차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싱 롤러(253, 207)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개구부(271)를 재개방하고 매니퓰레이터(241)가 베이스 구조체(205)를 향하여 하강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 구조체 내부에서 매니퓰레이터(241)는 엠보싱-적층 장치(200)가 동작을 재개할 경우 수용된 채로 있을 수 있다.
도 25에서, 매니퓰레이터(241)는 그의 하부 위치로 되돌아갔고, 제1의 하부 엠보싱 롤러(207)가 교체될 필요가 없다면, 매니퓰레이터(241)는 이 위치에서 유지되는 한편 캐리지(233)는 도 26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측면 부재(203)들 바로 옆으로 재차 한번 간다. 반대의 경우에, 예를 들어 엠보싱 롤러(207)가 또한 교체될 필요가 있다면, 위에서 기술된 사이클은 매니퓰레이터(241)에 의해서 엠보싱 롤러(207)를 픽업하여, 롤러(209) 대신에 기계 내에 바로 위치된 엠보싱 롤러(253)에 의해 자유롭게 머문 시트(249B) 내로 위치결정함으로써 반복될 수 있다. 롤러(207)는 이 시점에서 매거진(245) 내에 있는 잔류 엠보싱 롤러(251, 257, 259)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교체될 수 있다.
예시된 동작 사이클에서, 제1의 하부 엠보싱 롤러(207)는 교체되지 않고, 따라서 엠보싱-적층 장치(200)가 도 26에 도시된 위치로 되돌아와, 엠보싱 롤러(207 및 253) 둘레의 각각의 경로(P1, P2) 내로 플라이(V1, V2)의 도입을 허용한다. 압력 롤러(211, 213)는, 동작 위치로 갈 수 있고, 즉, 각각의 엠보싱 롤러(207, 253)에 대항하여 가압되고, 적층 롤러(221)는 엠보싱 롤러(253)에 대항해서 가압되는 동작 위치로 간다.
이 지점에서, 엠보싱-적층 장치(200)는 재차 1회 동작하고,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플라이 웹 재료(N)의 제조를 재개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거진(245)의 유닛(247)에는, 베이스 구조체(205)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205A)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매거진(245) 내의 엠보싱 롤러들 중 하나 이상을 저장 영역으로부터 유입되는 다른 것들과 교체하기 위하여, 즉, 엠보싱 롤러의 축에 평행한 횡단 이동이 제공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저장 영역으로부터 엠보싱-적층 장치(200)로 또는 그 반대로 부분(247)을 이송하기 위하여, 2가지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화살표(f247)의 방향과 방향(f247)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하는, 셔틀로서 작용하는 더 많은 가동 유닛(247)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엠보싱 롤러는 예를 들어 포크-리프트 또는 천장 주행용 크레인에 의해서 또는 임의의 다른 조작 시스템에 의해서 가동 유닛(247) 상에 로딩되고 이로부터 언로딩될 수 있고, 매거진(245) 내에 수용된 엠보싱 롤러의 개수는 엠보싱-적층 장치(200)의 모든 제조 요구를 충족하기에 불충분해야만 한다.
엠보싱 장치의 동작 동안, 매거진(245)은 매거진 내로 유입되는 분진(접착제, 셀룰로스 섬유 등)을 방지하도록 바람직하게는 폐쇄된다.
도 29 내지 도 32는 도 13 내지 도 28에 예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엠보싱-적층 장치(200)이 변형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동일한 참조 부호는 앞에서 언급된 도면에 나타낸 것들과 동등 혹은 등가인 부분을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와 도 13 내지 도 28에 도시된 것 간의 주된 차이는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이 변형된 실시형태에서의 엠보싱-적층 장치의 동작은 앞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미 기술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301)는 구조체의 각 측면에 대해서 하나씩 두 직립부(237)에 적용된다. 블록(303)은, 도 13 내지 도 28에 도시된 슬라이드(239)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가이드(301) 상의 각각의 슬라이드(239)와 견고하게 체결된다. 도 29 내지 도 32에 예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슬라이드(239)는 직립부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각각의 직립부(237) 상의 나사산 형성 바(307)와 체결하는 암 너트(305)에 견고하게 접속된다. 각각의 나사산 형성 바(307)는 모터(309), 예를 들어 전기, 유압식 또는 기타 모터에 의해서 회전된다. 각각의 나사산 형성 바(307)는, 모터(309)와는 반대쪽에 있는 각각의 나사산 형성 바(307)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는 각도 인코더(311)와 연관될 수 있다. 인코더(311)는 모터(309)에 의해 제어된 나사산 형성 바(307)의 회전 이동을 이 위상에서 유지하는 것을 허용하므로, 각 슬라이드(239)는 이중 화살표(f239)의 방향으로 동일한 이동을 수행하며, 즉, 슬라이드(239)는 이중 화살표(f239)의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한다.
각각의 슬라이드는 체결 부재(241A)를 운반할 수 있고, 두 체결 부재(241A)는 엠보싱 롤러(207, 209, 251 내지 259)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매니퓰레이터를 조합하여 형성한다. 모터(309)는 엠보싱 롤러의 조작 및 이동을 위하여 체결 부재(241A)의 동기적 상승 및 하강 이동을 제어한다.
엠보싱-적층 장치(200)의 구조물(201)의 측면 부재(203)들은 2개의 시트(321 및 32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1 엠보싱 롤러(207)와 제2 엠보싱 롤러(209)는 위에서 기재된 방식으로 체결된다.
각각의 시트(321, 323)는 고정된 부분(321A, 323A) 및 가동 부분(321B, 323B)에 의해 획정된다. 가동 부분(321B)에는 (325)로 표시된 작동기, 예를 들어 전기 모터, 유압식 모터 또는 다른 작동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이중 화살표(f321)의 방향으로 발진 이동이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시트(323)의 가동 부분(323B)에는, 각각의 작동기, 예를 들어 전기 또는 유압식 모터(327)에 의해 제어된, 이중 화살표(f323)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공된다. 가동 부분(321B, 323B) 및 각각의 모터(325, 327)의 배열은 제1 엠보싱 롤러(207)에 대해서 그리고 제2 엠보싱 롤러(209)에 대해서 각각 두 대향하는 시트(321, 323)를 획정하기 위하여, 두 측면 부재(203) 상에서 반복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다 큰 안전성을 위하여, 시트(321, 323)의 가동 부분(321B, 323B)에는, 폐쇄된 시트 위치에 로킹하기 위한 기구, 예를 들어, 그리퍼, 래치 또는 다른 로킹 기구가, 예컨대, 유압식 또는 기계식 제어부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3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포괄적인 엠보싱 롤러(207, 209)는 두 단부 또는 넥부(208, 210)를 구비할 수 있고, 각각에는 각각의 지지 및 회전 베어링(331, 333)이 제공된다. 엠보싱 롤러(207, 209)가 엠보싱-적층 장치의 하중 지지 구조체의 측면 부재(203)들 상에 매니퓰레이터(241)에 의해 장착되는 경우, 엠보싱 롤러의 두 지지 및 회전 베어링(331, 333)은 두 대향하는 측면 부재(203) 상의 시트(321 또는 323)에 삽입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롤러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가동 부분(321B 또는 323B)은 특히 첨부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고, 여기서 시트(323)의 위치(323B)는 각각의 엠보싱 롤러(209)의 삽입/제거를 허용하도록 개방되는 한편, 부분(321B)은 동작 위치에서 동작 중인 롤러(207)를 유지하도록 폐쇄된다.
매니퓰레이터(241)에 의한 엠보싱 롤러(207, 209)의 이동은 도 13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기술된 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궤적을 따른다. 매니퓰레이터(241)의 이동, 따라서 이에 의해 운반된 엠보싱 롤러의 이동은, 시트(321 및 323)의 가동 부분(321B, 323B)의 개폐 이동과 동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위에서 언급된 이동들은 유리하게는 각각의 엠보싱 롤러(207, 209)의 단부 또는 넥부(208, 210)가 매니퓰레이터(241)의 대향하는 체결 부재(241A)에 의해 체결된 후에만 각각의 시트(321, 323)의 가동 부분(321B 또는 323B)이 개방되도록 조화를 이룬다. 일단 엠보싱 롤러(207, 209)의 넥부 또는 단부(208, 210)가 체결되었고 그리고 각각의 시트(321, 323)의 가동 부분(321B 또는 323B)이 개방되었다면, 엠보싱 롤러가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밑의 매거진(245)으로부터 취해진 새로운 엠보싱 롤러는 롤러의 회전축(A-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재차 1회 넥부(208, 210) 삽입을 위한 이동과 함께 매니퓰레이터(241)에 의해 삽입될 것인 한편, 시트(321 또는 323)의 가동 부분(321B 또는 323B)이 개방된다. 시트의 이들 가동 부분의 폐쇄 후에만, 그의 시트에 바로 장착된 엠보싱 롤러로부터 매니퓰레이터(241)가 체결 해제된다.
각각의 가동 부분(321B, 323B) 및 작동기(325, 327)를 구비한 시트(321, 323)와, 지지 및 회전 베어링(331, 333)은 엠보싱 롤러(207, 209)용의 지지 및 회전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 지지 및 회전 시스템은 앞서의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기술된 심압대에 의해 형성된 지지 및 회전 시스템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구성한다. 도 29 내지 도 3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유사한 지지 및 회전 시스템은 또한 도 1 내지 도 28에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엠보싱 롤러의 추출 및 삽입을 방해하는 일 없이, 각각의 엠보싱 롤러(207, 209)에 회전 이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각각의 엠보싱 롤러(207, 209)는 두 단부 또는 넥부(208, 210)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 상에 끼워맞춤될 수 있는 풀리(337)(도 32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풀리(337)는 각각의 엠보싱 롤러(207, 209)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계적 트랜스미션의 일부를 구성하고 엠보싱-적층 장치의 하중 지지 구조체의 두 측면 부재(203)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상에 운반된 대응하는 연속 가요성 부재와 협력한다.
예로서, 도 31은 수평면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고 두 중첩하는 엠보싱 롤러(207, 209)를 회전시키도록 의도된 구성으로 배열된 2개의 연속 가요성 부재(339)를 도시한다. 각각의 연속 가요성 부재(339)는 사실상 양면-톱니형성 벨트, 즉, 양면에 톱니를 가진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연속 가요성 부재(339)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연속 가요성 부재(339)는 폐쇄 경로(이 폐쇄 경로에 대해서 각각의 롤러(207 및 209)의 회전축(A-A)이 외부에 있음), 즉, 각각의 엠보싱 롤러의 회전축(A-A)을 둘러싸지 않도록 구성된 경로를 형성한다.
각각의 연속 가요성 부재(339)는 풀리 또는 리턴 휠(return wheel)(341 , 343, 345, 347, 349, 350) 둘레에 감겨질 수 있다. 이들 리턴 부재(341 내지 350) 중 적어도 하나는 모터 기동되고,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두개는 가동축을 지닌다. 예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리턴 부재(347)는 모터기동되고, 각각의 모터(351)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이러한 모터는 각각의 엠보싱 롤러(207, 209)를 회전시키는 모터기동부를 구성한다. 리턴 부재(345)는 피벗 암(353) 상에 장착되고 텐셔너(tensioner)로서 작용할 수 있는 한편, 리턴 부재(349)는 이중 화살표(f349)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2개의 대안적인 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그중 두 번째는 도 31에서 (349X)로 표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엠보싱 롤러(207)와 연관된 연속 가요성 부재(339)는 동작 위치에 도시되는 한편(이때 엠보싱 롤러(207)는 측면 부재(203)들 사이에 장착됨), 엠보싱 롤러(209)와 연관된 연속 가요성 부재(339)는 각각의 엠보싱 롤러(209)는, 그의 시트로부터 제거된 경우 가정되는 위치에 있다.
동작 조건에 있어서, 연속 가요성 부재(339)는 각각의 엠보싱 롤러(207, 209)의 풀리(337) 둘레에 부분적으로 감기고 리턴 부재(345)에 의해서 팽팽하게 된다. 리턴 부재(349)는 위치(349X)에 있다. 엠보싱 롤러(207, 209)가 제거될 필요가 있을 경우, 리턴 부재(349)는, 각각의 가요성 부재(339)를 팽팽하게 해서 리턴 부재(343, 345)에 정접하는 위치로 가져가기 위하여, 위치(349X)로부터 도면에서 (349)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는 한편, 풀리(337)는 각각의 엠보싱 롤러(207, 209)의 멀어지는 이동의 결과로서 제거된다.
이와 같이 해서, 각각의 모터기동부(351)에 의해서 각각의 엠보싱 롤러(207, 209)에 회전 이동을 전달하고 동시에 각 엠보싱 롤러(207, 209)의 그의 축에 직교하는 제거 및 삽입을 허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각각의 엠보싱 롤러의 삽입 및 제거 이동을 간섭하는 이동 트랜스미션 없이, 그의 시트로부터 추출하고 그의 시트에 재삽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주제의 개시된 실시형태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수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특수성 및 상세에 대해서 위에서 충분히 기술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신규한 교시, 원리와 개념,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제의 이점들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는 일 없이 많은 변형, 변화 및 생략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획기적인 사항들의 적절한 범주는 이러한 모든 변형, 변화 및 생략을 포괄하도록 첨부된 청구범위의 최광의의 해석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임의의 공정 또는 방법 단계들의 순서 혹은 수순은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라서 변화되거나 재순서화될 수 있다.

Claims (20)

  1. 엠보싱-적층 장치로서,
    적어도 2개의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하중 지지 구조체;
    제1 플라이(ply)의 웹 재료(web material)를 위한 제1 경로;
    제2 플라이의 웹 재료를 위한 제2 경로;
    상기 제1 경로를 따라서, 제1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와 협력하는 제1 압력 롤러로서, 상기 제1 엠보싱 롤러와 상기 제1 압력 롤러는 상기 제1 플라이의 웹 재료용의 제1 엠보싱 닙(embossing nip)을 획정하는, 상기 제1 압력 롤러;
    상기 제2 경로를 따라서, 제2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와 협력하는 제2 압력 롤러로서, 상기 제2 엠보싱 롤러와 상기 제2 압력 롤러는 상기 제2 플라이의 웹 재료용의 제2 엠보싱 닙을 획정하는, 상기 제2 압력 롤러;
    복수개의 교환 가능한 엠보싱 롤러용의 복수개의 시트(seat)를 포함하는 매거진(magazine); 및
    엠보싱 롤러를 교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를 포함하는, 엠보싱-적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엠보싱 롤러와 선택적으로 체결(engage)되어 해당 엠보싱 롤러를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엠보싱 롤러를 해제(release)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되는, 엠보싱-적층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니퓰레이터는, 선택적으로, 동작 위치로부터 엠보싱 롤러를 취하고; 상기 엠보싱 롤러를 상기 매거진으로 이송하고 상기 엠보싱 롤러를 상기 매거진의 시트들 중 하나에서 해제하고; 각각의 매거진의 시트로부터 엠보싱 롤러를 취하고 해당 엠보싱 롤러를 이송하여 상기 동작 위치에서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되는, 엠보싱-적층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엠보싱 롤러용의 제1 지지 및 회전 시스템 및 상기 제2 엠보싱 롤러용의 제2 지지 및 회전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 및 회전 시스템 및 상기 제2 지지 및 회전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니퓰레이터에 의해서, 상기 제1 엠보싱 롤러와 상기 제2 엠보싱 롤러를, 서로 개별적으로 제거 및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엠보싱-적층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하중 지지 구조체의 상기 측면 부재들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측면 부재들 사이에 상기 제1 압력 롤러, 상기 제2 압력 롤러, 상기 제1 엠보싱 롤러, 상기 제2 엠보싱 롤러 및 상기 매거진이 배열되어 있는, 엠보싱-적층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롤러와 상기 제2 압력 롤러는 각각 상기 하중 지지 구조체에 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압력 롤러가 상기 각각의 엠보싱 롤러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동작 위치와 상기 압력 롤러가 상기 각각의 엠보싱 롤러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위치를 차지하는, 엠보싱-적층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엠보싱 롤러를 취하여 상기 매거진에서 해제하거나 그 반대로 상기 엠보싱 롤러의 각각의 단부와 체결하는, 상기 각각의 엠보싱 롤러의 대향하는 지지 부재들을 포함하는, 엠보싱-적층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제1 엠보싱 롤러와 상기 제2 엠보싱 롤러를 조작하여 상기 매거진 내에 수용된 각각의 엠보싱 롤러와 교체하도록 배열되고 구성된, 엠보싱-적층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엠보싱 롤러가 위치되는 제1 높이와, 상기 매거진이 위치되는,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엠보싱-적층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엠보싱 롤러에 관하여 그리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압력 롤러에 관하여 낮은 높이에 위치되는, 엠보싱-적층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엠보싱 롤러의 축들에 대해서 직교하여, 바람직하게는 병진 이동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수평 방향인, 엠보싱-적층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니퓰레이터에는 상기 매거진이 위치되는 낮은 위치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엠보싱 롤러가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더 높은 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 이동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매니퓰레이터에는, 상기 제1 엠보싱 롤러 또는 상기 제2 엠보싱 롤러를 향하여 또는 이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향하여 또는 이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은 일반적으로 상기 상승 및 하강 이동에 관하여 횡단하는 병진 이동인, 엠보싱-적층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퓰레이터는, 상승 및 하강 이동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엠보싱 롤러를 향하여 그리고 이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상기 상승 및 하강 이동에 대해서 횡단하는 이동이 제공되는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매거진은 상기 캐리지 밑에 위치되는, 엠보싱-적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제1 플라이 또는 제2 플라이 중 한쪽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된 접착 유닛을 운반하는, 엠보싱-적층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를 따른 상기 제1 엠보싱 롤러와, 상기 제2 경로를 따른 상기 제2 엠보싱 롤러는 상기 각각의 엠보싱 롤러를 체결 해제하고 상기 매니퓰레이터에 의한 상기 엠보싱 롤러의 제거 및 상기 매니퓰레이터에 의해서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취해지고 이송된 엠보싱 롤러와의 교체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가역적 구속 부재에 의해서 상기 지지 구조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엠보싱-적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역적 구속 부재는, 각각의 엠보싱 롤러에 대해서, 1쌍의 개방 가능한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 가능한 시트 내에 상기 각각의 엠보싱 롤러용의 지지 베어링이 삽입되고, 각각의 개방 가능한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방 가능한 시트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기를 포함하는, 엠보싱-적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가능한 시트 및 상기 제1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개방 가능한 시트의 상기 개방 및 폐쇄가 상기 매니퓰레이터의 상기 이동과 조화되도록, 상기 엠보싱 롤러가 상기 개방 시트로부터 제거되어야한 할 경우 일단 상기 엠보싱 롤러가 상기 제1 매니퓰레이터에 의해 체결되었을 때에만 상기 개방 가능한 시트가 개방되도록; 그리고 상기 엠보싱 롤러가 상기 개방 시트에 삽입되어야만 할 경우 상기 매니퓰레이터가 상기 엠보싱 롤러를 해제하기 전에 상기 개방 가능한 시트가 폐쇄되도록 구성되고 제어되는, 엠보싱-적층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엠보싱 롤러는 모터기동 장치로부터의 회전 이동을 위하여 트랜스미션과 연관되고, 상기 트랜스미션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엠보싱 롤러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엠보싱 롤러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엠보싱 롤러의 제거 및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취해진 다른 엠보싱 롤러와의 교체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엠보싱-적층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은, 각각의 엠보싱 롤러에 대해서, 상기 롤러의 샤프트 상에 끼워맞춤된 풀리(pulley) 및 상기 엠보싱 롤러가 동작 위치에 장착된 경우 상기 풀리 둘레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연속 가요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속 가요성 부재는, 상기 엠보싱 롤러가 동작 위치에 장착된 경우, 상기 엠보싱 롤러의 회전축을 둘러싸지 않는 폐쇄 경로를 형성하는, 엠보싱-적층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엠보싱 롤러는, 상기 매거진으로 또는 매거진으로부터 이송되는 경우 상기 엠보싱 롤러와 함께 이동되는 1쌍의 지지 및 회전 베어링을 포함하는, 엠보싱-적층 장치.
KR1020167027519A 2014-04-04 2015-04-01 엠보싱-적층 장치 KR20160144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FI2014A000075 2014-04-04
ITFI20140075 2014-04-04
PCT/EP2015/057171 WO2015150452A1 (en) 2014-04-04 2015-04-01 Embossing-lamina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989A true KR20160144989A (ko) 2016-12-19

Family

ID=5094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519A KR20160144989A (ko) 2014-04-04 2015-04-01 엠보싱-적층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220591B2 (ko)
EP (1) EP3126132A1 (ko)
JP (1) JP6764398B2 (ko)
KR (1) KR20160144989A (ko)
CN (1) CN106457734B (ko)
BR (1) BR112016022987B1 (ko)
CA (1) CA2944818A1 (ko)
MX (1) MX2016012956A (ko)
WO (1) WO2015150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60458A1 (it) 2016-01-25 2017-07-25 Futura Spa Sistema per la movimentazione di rulli goffratori
CN107832596B (zh) * 2016-03-14 2020-12-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解锁控制方法及终端设备和相关介质产品
ITUA20162030A1 (it) 2016-03-25 2017-09-25 Perini Fabio Spa Magazzino per rulli goffratori e dispositivo goffratore comprendente il magazzino
DE102016209388A1 (de) 2016-05-31 2017-11-30 Bhs Corrugated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Anlage zur Herstellung von Wellpappe
IT201600086447A1 (it) * 2016-08-22 2018-02-22 Universal Tissue Tech S R L Dispositivo di goffratura con magazzino di rulli goffratori
IT201600086446A1 (it) * 2016-08-22 2018-02-22 Universal Tissue Tech S R L Dispositivo e metodo di goffratura
CA3130340C (en) 2016-12-23 2023-03-07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rolls on an embosser/laminator machine
CN107443808B (zh) * 2017-09-27 2019-07-02 东莞欧德雅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压纹机
EP3729438A1 (en) * 2017-12-18 2020-10-28 Physik Instrumente (PI) GmbH & Co. Kg Positioning system
IT201900003707A1 (it) * 2019-03-14 2020-09-14 Futura Spa Calandra per il trattamento di materiali nastriformi.
BR112022020397A2 (pt) * 2020-04-10 2022-12-20 Koerber Tissue S P A Método e dispositivo para aquecimento de um cilindro de gravação em relevo em um dispositivo de laminação de gravação em relevo
IT202100008501A1 (it) * 2021-04-06 2022-10-06 Gambini Spa Gruppo goffratore a rulli intercambiabili.
IT202100019499A1 (it) 2021-07-22 2023-01-22 Koerber Tissue S P A Un goffratore a rulli multipli e metodo
CN117103903B (zh) * 2023-10-23 2024-01-19 常州市平晖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可快速更换压花辊的压花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0080A (en) * 1970-08-05 1973-05-01 Westvaco Corp Embosser using small diameter embossing rolls
JPS5131286B2 (ko) * 1972-12-15 1976-09-06
DE4041989A1 (de) * 1990-12-21 1992-07-02 Mannesmann Ag Vorrichtung zum schleifen der arbeitswalzen eines planetenwalzwerkes
JP3325603B2 (ja) * 1992-06-23 2002-09-17 株式会社アマダ ロボットを用いた加工システムおよび加工システム用ロボット
DE4413807C1 (de) * 1994-04-20 1995-09-14 Windmoeller & Hoelscher Vorrichtung zum Wechseln der Zylinder an einer Druckmaschine
JPH11198256A (ja) * 1998-01-16 1999-07-27 Niwa Tekkosho:Kk 段形成ロール交換容易な片面段ボール製造装置
ITFI980031A1 (it) * 1998-02-13 1999-08-13 Perini Fabio Spa Dispositivo goffratore e laminatore per materiale nastriforme
JP3337005B2 (ja) * 1999-06-24 2002-10-21 豊和工業株式会社 マシニングセンタの予備工具交換装置
IT246987Y1 (it) * 1999-08-06 2002-05-02 C M G Costruzioni Meccaniche G Macchina trasformabile per la alvorazione superficiale di carta
JP3742537B2 (ja) * 1999-08-31 2006-02-08 株式会社日平トヤマ 工具交換装置および工具交換方法
US6782933B2 (en) * 2001-10-23 2004-08-31 Marquip, Llc Single facer quick change corrugating rolls
JP3086808U (ja) * 2001-12-19 2002-07-05 株式会社不二鉄工所 スリッター等における原反ロール装着装置
ITFI20020113A1 (it) * 2002-06-26 2003-12-29 Perini Fabio Spa Dispositivo goffratore e laminatore con gruppo di cilindri goffratoriintercambiabile
ITFI20040139A1 (it) * 2004-06-18 2004-09-18 O M Futura S P A Apparato di supporto per rulli goffratori e metodo per la sostituzione degli stessi
ITMI20042038A1 (it) * 2004-10-26 2005-01-26 Paper Converting Machine Co Gruppo goffratore per materiale in foglio
ITFI20040258A1 (it) * 2004-12-10 2005-03-10 Perini Fabio Spa Dispositivo goffratore con un rullo goffratore formato da una camicia intercambiabile e contropunte di supporto
ITFI20060042A1 (it) * 2006-02-15 2007-08-16 Perini Fabio Spa Gruppo goffratore a rulli di pressione multipli
AU2006351761B2 (en) * 2006-12-13 2013-07-11 Sca Hygiene Products Gmbh Method for manufacturing a hygiene product,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hygiene product and hygiene product
ITFI20070048A1 (it) * 2007-02-27 2008-08-28 Perini Fabio Spa Gruppo goffratore multi-funzi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22987A2 (ko) 2017-08-15
WO2015150452A1 (en) 2015-10-08
CA2944818A1 (en) 2015-10-08
MX2016012956A (es) 2017-05-01
EP3126132A1 (en) 2017-02-08
JP2017510488A (ja) 2017-04-13
BR112016022987B1 (pt) 2021-10-13
CN106457734B (zh) 2019-08-06
CN106457734A (zh) 2017-02-22
JP6764398B2 (ja) 2020-09-30
US20170028666A1 (en) 2017-02-02
US10220591B2 (en)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4989A (ko) 엠보싱-적층 장치
US11186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rolls on an embosser/laminator machine
EP3500425B1 (en) Embossing device and method
EP3433092B1 (en) Magazine for embossing rollers and embossing device comprising the magazine
US11479010B2 (en) Embossing device with embossing roller storage unit
EP4373664A1 (en) A multiple roller embosser and method for selecting an embosssing rol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