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833A -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 Google Patents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833A
KR20160144833A KR1020150081506A KR20150081506A KR20160144833A KR 20160144833 A KR20160144833 A KR 20160144833A KR 1020150081506 A KR1020150081506 A KR 1020150081506A KR 20150081506 A KR20150081506 A KR 20150081506A KR 20160144833 A KR20160144833 A KR 20160144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frame
main body
cover
curt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286B1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5008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28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은, 격자 형상으로 조립되는 수직바와 수평바의 각 실내프레임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고, 단면(斷面)이 'ㄷ'자 형상이며, 개구된 부분이 실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시키면서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폭이 본체보다 길고 양단이 실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각 단부에 체결돌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판부재; 단면이 'ㄷ'자 형상이고, 개구된 부분이 본체의 외측면에 끼워져서 본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단열재; 단면이 'ㄷ'자 형상이고, 판부재에 형성된 체결돌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요부가 개구된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구성되며, 개구된 부분이 제1단열재의 외측면에 끼워져서 제1단열재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실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부재에 형성된 체결돌부와 실내커버에 형성된 체결요부를 널링방식에 의해 일체로 결합시켜 구성하여, 프레임의 강도보강 및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Curtain wall frame having reinforced stiffness and ins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튼월 프레임을 알루미늄으로 제작하고, 특히 실내측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실내프레임을 본체와 실내커버로 분리하여 각각 제작하고 이들 사이에 단열재 및/또는 스틸을 삽입하여 체결 고정시켜 구성한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서 골격을 이루는 구조체인 기둥과 보는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인 반면, 특히 고층건물에서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외벽은, 하중을 지지하지 않고 단지 공간만을 구획하고 있는 비내력벽인데, 벽체가 마치 커튼과 같이 칸막이 역할만 하기 때문에 커튼월(curtain wall)이라고 하며, 한국 건축용어로는 '비내력 칸막이벽'이라고 한다. 커튼월은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과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유리 등으로 마감함으로써 외장용(外粧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커튼월은 주로 고층 건물에서 사용되고, 통상 수평바와 수직바가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격자 형상에 유리벽체를 설치하게 되는데, 수평바와 수직바는 공장에서 동일 규격을 대량 생산하여 현장에서 시공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외벽의 거의 전면을 유리 마감재로 처리하기 때문에 단열성과 기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화 측면에서 열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한 고단열, 고기밀의 커튼월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커튼월의 수평바와 수직바의 재료로 합성수지와 알루미늄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합성수지는 단열성능은 탁월하나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고, 알루미늄은 합성수지보다 높은 강도를 갖지만 열전도율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커튼월의 창호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은 알루미늄 재질로 된 프레임(바)의 열손실이 큰데, 창호성능은 유리벽체와 커튼월 프레임의 평균치로 평가되므로, 유리벽체의 경우에는 표면에 단열필름을 부착하여 보완이 가능하나, 커튼월의 경우에는 알루미늄을 이용한 커튼월 프레임에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1218639호 "이중단열 복합 커튼월 프레임"은 실내프레임과 실외프레임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하여 일체로 조립한 후 실내프레임의 외측 3면에 별도의 단열재를 각각 부착시키는 구조인데, 이는 실내프레임의 외측 3면에 단열재를 각각 별도로 부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단열재를 실내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 삽입만 하기 때문에 시공후에 프레임과 단열재의 신출율 차이 등으로 인하여 실내프레임에서 단열재가 분리 또는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스틸로 된 커튼월 프레임은 무게도 무겁고 프레임끼리 용접하여 연결하고 난 다음 용접부위에 도장을 해야 하므로 시공 자체가 매우 복잡하고 엄청난 하중을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지금까지의 금속재 커튼월 프레임은 대부분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 있는데, 알루미늄이 스틸 보다 강도가 약해서 대형 건물일수록 강한 풍압 등을 견딜 수 없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알루미늄으로 된 커튼월 프레임 내부에 스틸파이프를 삽입하여 강도를 보강하고 있다. 그런데, 내부에 스틸파이프를 삽입하고 나서 알루미늄으로 된 프레임과 스틸파이프를 피스로 체결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스틸파이프와 알루미늄 프레임을 체결하는 피스가 일정 간격으로 체결되므로 밀착 체결도 되지 않고, 시간이 갈수록 피스와 체결부위가 부식되어 체결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직접 시공을 계속하면서 지금까지의 커튼월에 나타났던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 개발을 계속한 끝에 특허등록 제1472311호 "이중단열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을 개발하여 특허받았으며, 프레임의 단열성능 향상을 위해 "이형재질의 결합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을 특허출원 제2015-70200호로 출원했으며,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월 프레임의 실내측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실내프레임을 본체와 다수의 중공부(中空部)가 형성된 실내커버로 분리하여 각각 알루미늄으로 제작하고, 본체와 실내커버 사이에 단열재 및/또는 스틸을 삽입하여 널링방식으로 일체로 체결 고정시켜 프레임의 강도가 보강되고 단열성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는,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은,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프레임과, 실외측에 배치되는 실외커버를 구비하고, 실내프레임과 실외커버가 일체로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바;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프레임과, 실외측에 배치되는 실외커버를 구비하고, 실내프레임과 실외커버가 체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바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바와 수평바의 각 실내프레임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고, 단면(斷面)이 'ㄷ'자 형상이며, 개구(開口)된 부분이 실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시키면서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폭이 본체보다 길고 양단(兩端)이 실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각 단부(端部)에 체결돌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판부재; 단면이 'ㄷ'자 형상이고, 개구된 부분이 본체의 외측면에 끼워져서 본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단열재; 단면이 'ㄷ'자 형상이고, 판부재에 형성된 체결돌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요부가 개구된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구성되며, 개구된 부분이 제1단열재의 외측면에 끼워져서 제1단열재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실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부재에 형성된 체결돌부와 실내커버에 형성된 체결요부를 널링방식에 의해 일체로 결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직바와 수평바의 각 실내프레임은 제1단열재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스틸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틸부재는 단면이 'ㄷ'자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직바와 수평바의 각 실내프레임의 실내커버에는 'ㄷ'자 형상의 내측면을 따라 내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중공부(中空部)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직바는 실내프레임의 판부재의 폭방향 중앙부분에서 실외측을 향해 제1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실외커버의 폭방향 중앙부분에서 실내측을 향해 제2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각 선단(先端) 사이에 제2단열재가 구비되어 이들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수평바는 실내프레임의 판부재의 폭방향 중앙부분에서 실외측을 향해 제1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실외커버의 실내측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 결합되는 연결바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바의 실내측 단부(端部)에는 제3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의 각 선단 사이에 제2단열재가 구비되어 이들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프레임은, 커튼월 프레임의 실내측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실내프레임을 본체와 다수의 중공부(中空部)가 형성된 실내커버로 분리하여 각각 알루미늄으로 제작한 다음, 본체와 실내커버 사이에 단열재 및/또는 스틸을 삽입하여 일체로 체결 고정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스틸에 의해 프레임의 강도가 보강되고 실내커버의 중공부(中空部)와 단열재에 의해 단열성능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또, 본체와 실내커버의 결합방식을 기계에 의해 자동으로 체결이 진행되는 널링방식으로 일체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실내프레임의 체결작업이 매우 수월하고 빠르며, 결합력이 매우 강해서 결합후 어떤 상황에서도 본체와 실내커버가 결합된 실내프레임이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프레임은,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프레임과 실외측에 배치되는 실외커버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하여 일체로 체결시켰기 때문에 실내·외 사이를 이동하는 열이 차단되어, 커튼월의 프레임을 통한 열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어서 커튼월의 단열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켜 에너지 효율 등급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커튼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분리형 프레임 수직바의 분해 및 조립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분리형 프레임의 수직바와 수평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체형 프레임의 수직바와 수평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프레임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커튼월 프레임의 실내측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실내프레임을 본체와 실내커버로 분리하여 제작하고, 이들 사이에 단열재 및/또는 스틸을 삽입하여 널링방식으로 일체로 체결 고정시킴으로써 체결작업도 수월할 뿐만 아니라 커튼월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고 단열성을 현저히 상승시켰다는 점이다.
커튼월 프레임은 수직바(10)와 수평바(20)가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은 수직바(10)와 수평바(20)의 각 실내프레임(11, 21)을 알루미늄 재질의 본체(111, 211) 및 실내커버(12, 22) 사이에 스틸부재(13, 23) 및/또는 제1단열재(14, 24)를 삽입하고, 본체(111, 211)와 실내커버(12, 22)를 널링방식으로 일체로 조립시킨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커튼월은 격자 형상의 프레임 사이에 유리(40)와 같은 판넬이 끼워져야 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수직바(10)는 실내프레임(11)과 실외커버(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수평바(20)는 최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실외커버(25)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수직바(10)에 대하여 설명하면, 시공시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10)는 실내프레임(11)이 실내측에 배치되고 실외커버(15)가 실외측에 배치되는데, 실내프레임(11)과 실외커버(15) 사이에 제2단열재(30)가 구비되어, 이들 실내프레임(11)과 실외커버(15) 및 제2단열재(30)가 일체로 결합되어 연결된 것이다. 실내프레임(11)과 실외커버(15)가 각각 별도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분리형 프레임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도 같다.
실내프레임(11)은, 알루미늄으로 일체로 제작된 본체(111)와 판부재(113),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실내커버(12), 본체(111)와 실내커버(12) 사이에 삽입되는 스틸부재(13) 및/또는 제1단열재(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체(111)는 단면(斷面)이 'ㄷ'자 형상이고, 개구(開口)된 부분이 실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판부재(113)가 본체(111)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시키면서 본체(111)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판부재(113)의 폭(수직바에서는 시공시 수평방향의 길이를 말하고, 수평바에서는 시공시 수직방향의 길이를 말하며, 이하 동일하다)이 본체(111)의 폭보다 길고 양단(兩端)이 실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각 단부(端部)에 체결돌부(11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실내커버(12)는 단면이 'ㄷ'자 형상이고, 개구된 부분이 스틸부재(13) 및/또는 제1단열재(14)의 외측면에 끼워져서 실내커버(12)가 스틸부재(13) 및/또는 제1단열재(14)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실내커버(12)의 개구된 양단에는 판부재(113)에 형성된 체결돌부(114)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요부(124)가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다. 판부재(113)에 형성된 체결돌부(114)와 실내커버(12)에 형성된 체결요부(124)는 기계에 의해 자동으로 체결이 진행되는 널링방식으로 일체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체결 결합작업이 매우 수월하고 빠르며, 결합력이 매우 강해서 결합후 어떤 상황에서도 본체(111)와 실내커버(12)가 결합된 부분이 분리되지 않는다.
실내커버(12)에는 'ㄷ'자 형상의 내측면을 따라 내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중공부(中空部)(122)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을 조립했을 때, 실외커버(12)의 내측과 스틸부재(13) 및/또는 제1단열재(14)의 외측면이 밀착되면서 중공부(122)가 공기로 채워진 빈 공간이 되어 단열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단열성 향상에 도움을 주게 된다.
스틸로 제작된 스틸부재(13)와 단열재로 제작된 제1단열재(14)는 단면이 'ㄷ'자 형상이고, 'ㄷ'자 형상의 개구된 부분이 본체(111)의 외측면에 끼워져서 본체(11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본체(111)와 실내커버(12) 사이에는 스틸부재(13)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1단열재(14)만 삽입될 수도 있으며, 이들 모두가 삽입될 수도 있는데, 스틸부재(13)와 제1단열재(14) 모두 삽입될 때는 삽입되는 순서를 바꿔도 상관없다.
스틸부재(13)와 제1단열재(14)가 본체(111)에 결합되는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스틸부재(13)와 제1단열재(14)에서 'ㄷ'자 형상의 개구된 양단(兩端)을 각각 내측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시키고, 본체(111)와 판부재(113)가 만나는 지점에서 본체(111)부분에 내측으로 요부(凹部) 형상의 절곡삽입부(112)를 형성하여, 스틸부재(13)와 제1단열재(14)의 단부 절곡된 부분을 절곡삽입부(112)에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공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바(20)는 실내프레임(21)이 실내측에 배치되고 실외커버(25)가 실외측에 배치되는데, 수직바(10)와 수평바(20) 사이에 유리(40)를 끼우고 유리(40)를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실외커버(25)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바(20)에서 실내프레임(21)의 구조 및 기능이 수직바(10)의 실내프레임(11)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단지 도면부호만 '2'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붙였을 따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형 프레임에서 수직바(10)는, 실내프레임(11)의 판부재(113)의 폭방향 중앙부분에서 실외측을 향해 제1결합부(115)가 돌출 형성되고, 실외커버(15)의 폭방향 중앙부분에서 실내측을 향해 제2결합부(151)가 돌출 형성되며, 제1결합부(115)와 제2결합부(151)의 각 선단(先端) 사이에 제2단열재(30)가 구비되어 이들이 일체로 결합되면서 실내프레임(11)과 실외커버(15)가 일체로 고정되어 구성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형 프레임에서 수평바(20)는, 실외커버(25)를 분리 가능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수직바(10)에 비해 연결바(26)를 더 구비해야 한다. 연결바(26)의 실외측 방향 선단부분에는 실외커버(25)와 결합되는 착탈홈(26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커버(25)의 실내측 방향으로는 상기 착탈홈(262)과 체결 결합되는 체결부(251)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착탈홈(262)에 체결부(251)를 밀어서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한다.
연결바(26)의 실내측 단부(端部)에는 제3결합부(261)가 형성되어 있어서, 실내프레임(21)의 제1결합부(215)와 연결바(26)의 제3결합부(261) 사이에 제2단열재(30)가 구비되어, 이들이 일체로 결합되면서 실내프레임(21)과 연결바(26)가 일체로 고정되고, 실외커버(25)를 연결바(26) 쪽으로 밀면서 착탈홈(262)에 체결부(251)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 결합시키면 수평바(20)의 조립이 끝나게 된다.
도 6은 실내프레임(11', 21')과 외측커버(15', 25') 사이에 제2단열재(30)를 삽입하지 않은 것인데, 제2단열재(30)를 삽입하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현장에서는 일체형 프레임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도 같다. 도 6 ⒜와 같이, 수직바(10')는 실내프레임(11')과 외측커버(15')가 연결재(16')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으로,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분리형 프레임의 수직바(1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일체형 프레임의 도면부호는 분리형 프레임의 도면부호에 프라임(')만 더 붙였다.
일체형 프레임의 수평바(20')는 제2단열재(30)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분리형 수평바(20)에 비해 연결바(26)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실내프레임(21')과 실외커버(25')가 직접 서로 체결되어 구성되는데, 실내프레임(21')의 판부재(213')의 폭방향 중앙부분에서 실외측을 향해 제1결합부(215')가 돌출 형성되고, 제1결합부(215')의 단부(端部)에는 착탈홈(2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외커버(25')의 실내측으로는 체결부(25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실외커버(25')를 실내프레임(21') 쪽으로 밀면 체결부(251')가 착탈홈(216')에 삽입되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분리형 프레임의 수평바(2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수직바 11 : 실내프레임
111 : 본체 112 : 절곡삽입부
113 : 판부재 114 : 체결돌부
115 : 제1결합부
12 : 실내커버 122 : 중공부
124 : 체결요부
13 : 스틸부재 132 : 절곡부
14 : 제1단열재 142 : 절곡부
15 : 실외커버 151 : 제2결합부
20 : 수평바 21 : 실내프레임
211 : 본체 212 : 절곡삽입부
213 : 판부재 214 : 체결돌부
215 : 제1결합부
22 : 실내커버 222 : 중공부
224 : 체결요부
23 : 스틸부재 232 : 절곡부
24 : 제1단열재 242 : 절곡부
25 : 실외커버 251 : 체결부
26 : 연결바 261 : 제3결합부
262 : 착탈홈
30 : 제2단열재
40 : 유리

Claims (6)

  1. 수직바와 수평바가 격자 형상으로 조립되는 커튼월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의 프레임은,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프레임과, 실외측에 배치되는 실외커버를 구비하고, 실내프레임과 실외커버가 일체로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바;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프레임과, 실외측에 배치되는 실외커버를 구비하고, 실내프레임과 실외커버가 서로 체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바;
    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바와 수평바의 각 실내프레임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고, 단면(斷面)이 'ㄷ'자 형상이며, 개구(開口)된 부분이 실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시키면서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폭이 본체의 폭보다 길고 양단(兩端)이 실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각 단부(端部)에 체결돌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판부재;
    단면이 'ㄷ'자 형상이고, 개구된 부분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끼워져서 본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단열재;
    단면이 'ㄷ'자 형상이고, 상기 판부재에 형성된 체결돌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요부가 개구된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구성되며, 개구된 부분이 상기 제1단열재의 외측면에 끼워져서 제1단열재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실내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부재에 형성된 체결돌부와 실내커버에 형성된 체결요부를 널링방식에 의해 일체로 결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와 수평바의 각 실내프레임은 제1단열재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스틸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틸부재는 단면이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와 수평바의 각 실내프레임은 제1단열재 대신 스틸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틸부재는 단면이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와 수평바의 각 실내프레임의 실내커버에는, 'ㄷ'자 형상의 내측면을 따라 내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중공부(中空部)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5.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는, 실내프레임의 판부재의 폭방향 중앙부분에서 실외측을 향해 제1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실외커버의 폭방향 중앙부분에서 실내측을 향해 제2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각 선단(先端) 사이에 제2단열재가 구비되어 이들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수평바는, 실내프레임의 판부재의 폭방향 중앙부분에서 실외측을 향해 제1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실외커버의 실내측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 결합되는 연결바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바의 실내측 단부(端部)에는 제3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의 각 선단 사이에 제2단열재가 구비되어 이들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6.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시 수평바는, 실내프레임의 판부재의 폭방향 중앙부분에서 실외측을 향해 제1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의 단부(端部)에는 착탈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외커버의 실내측으로는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착탈홈과 체결부가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KR1020150081506A 2015-06-09 2015-06-09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KR101692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506A KR101692286B1 (ko) 2015-06-09 2015-06-09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506A KR101692286B1 (ko) 2015-06-09 2015-06-09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833A true KR20160144833A (ko) 2016-12-19
KR101692286B1 KR101692286B1 (ko) 2017-01-03

Family

ID=5773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506A KR101692286B1 (ko) 2015-06-09 2015-06-09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2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59B1 (ko) * 2017-07-05 2018-07-13 강성환 가변형 창호 시스템
KR20190086064A (ko) * 2018-01-11 2019-07-22 (주)영남유리산업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이중프레임 구조를 갖는 커튼월
KR20200109943A (ko) * 2019-03-15 2020-09-23 김태한 커튼월용 프레임 구조
KR102306099B1 (ko) * 2020-12-01 2021-09-28 주식회사 다이나믹코어스 구조성능 및 단열성능이 보강된 수직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044B1 (ko) 2018-03-26 2020-03-02 주식회사 미래씨앤이 지진파에 대한 저항성이 개선된 커튼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270B1 (ko) * 2012-04-16 2013-07-17 김화정 커튼월의 단열보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1442B1 (ko) * 2013-03-29 2013-09-24 신환경복합창 주식회사 복합창호의 패널 결합구조
KR101472311B1 (ko) * 2014-02-27 2014-12-12 김순석 이중단열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20150052819A (ko) * 2015-04-13 2015-05-14 임식규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270B1 (ko) * 2012-04-16 2013-07-17 김화정 커튼월의 단열보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1442B1 (ko) * 2013-03-29 2013-09-24 신환경복합창 주식회사 복합창호의 패널 결합구조
KR101472311B1 (ko) * 2014-02-27 2014-12-12 김순석 이중단열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20150052819A (ko) * 2015-04-13 2015-05-14 임식규 단열성 및 강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59B1 (ko) * 2017-07-05 2018-07-13 강성환 가변형 창호 시스템
KR20190086064A (ko) * 2018-01-11 2019-07-22 (주)영남유리산업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이중프레임 구조를 갖는 커튼월
KR20200109943A (ko) * 2019-03-15 2020-09-23 김태한 커튼월용 프레임 구조
KR102306099B1 (ko) * 2020-12-01 2021-09-28 주식회사 다이나믹코어스 구조성능 및 단열성능이 보강된 수직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286B1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286B1 (ko)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KR101472311B1 (ko) 이중단열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697740B1 (ko)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KR101698593B1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US8544224B1 (en) Thermally efficient frames for use in construction of structures using insulated concrete forms (ICF)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KR200483553Y1 (ko) 커튼월 결합구조
KR102040634B1 (ko) 단열구조가 보강된 커튼월
KR101531963B1 (ko)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구조
KR101688430B1 (ko) 이형재질의 결합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KR101754619B1 (ko) 단열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킨 커튼월 프레임
KR102169160B1 (ko) 단열 커튼월
KR101748089B1 (ko)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창호용 프로파일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101827146B1 (ko) 외부보강 조립식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130128520A (ko) 커튼월의 단열박스 결합구조
KR200456085Y1 (ko) 패널 연결용 프레임
KR20210107299A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프레임
KR102217404B1 (ko)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단열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킨 창문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968018B1 (ko) 원형관 골조용 외장판넬 체결구
KR102347365B1 (ko) 2중 단열 커튼월
KR101849919B1 (ko) 방화문 보강 구조물
KR101800818B1 (ko) 이중단열 구조를 구비한 유니트 방식의 커튼월
KR101625501B1 (ko)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JP4520401B2 (ja) 柱・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