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596A -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 Google Patents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596A
KR20160144596A KR1020150080929A KR20150080929A KR20160144596A KR 20160144596 A KR20160144596 A KR 20160144596A KR 1020150080929 A KR1020150080929 A KR 1020150080929A KR 20150080929 A KR20150080929 A KR 20150080929A KR 20160144596 A KR20160144596 A KR 20160144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uide
screen
folding partition
spac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417B1 (ko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아이데코건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데코건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데코건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0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41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Landscapes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사용 시 접어서 보관하고, 필요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상부로 개구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 가이드;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스크린을 감거나 푸는 롤링 장치; 상기 스크린의 상단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지 가이드를 따라 이송하는 승하강 바; 및 상기 지지 가이드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승하강 바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림 수단; 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은 롤 스크린 방식이므로 미사용 시 모든 구성이 몸체 내에 내장되어 부피가 최소화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며 좁은 공간에도 많이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partition}
본 발명은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사용 시 접어서 보관하고, 필요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공간을 구획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사무실이나 식당 등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파티션은 수직으로 구비되는데, 대부분 그 부피가 크고 무거워 이동이 쉽지 않다.
특히 식당과 같은 곳은 연결된 테이블을 분리하고 테이블 간에 파티션을 설치하여 각각의 공간을 형성하기도 한다.
하지만, 종래의 파티션은 그 부피가 크고 넓어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별도의 넓은 보관 장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접이식 파티션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76978호로 등록 되었는바, 그 구조를 살펴보면 내측면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된 한 쌍의 포스트와, 포스트의 가이드 홈에 핀 결합되며 연속되는 'X' 형태로 교차하되 교차하는 지점마다 핀으로 연결한 스크린 바로 구성된다.
이러한 접이식 파티션은 미사용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넓은 보관 장소가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시 스크린 바가 펼쳐지며 격자 모양의 틈새가 형성되어 공간 구획만 할 뿐 프라이버시는 보호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펼쳐지면서 상 하단의 길이가 줄어들어 간격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6978호(2005.02.16)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롤 스크린 방식으로 감았다가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미사용시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롤 스크린 방식임에도 자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상부로 개구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 가이드;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스크린을 감거나 푸는 롤링 장치;
상기 스크린의 상단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지 가이드를 따라 이송하는 승하강 바; 및
상기 지지 가이드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승하강 바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림 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에 공간을 가지며 상부로 개구된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공간 양단에 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 가이드;
상기 공간에 내장되어 스크린을 감거나 푸는 롤링 장치;
상기 스크린의 상단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지 가이드를 따라 이송하는 승하강 바; 및
상기 지지 가이드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승하강 바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림 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가이드는 축이 결합되는 축공을 장공으로 형성하되 지지 가이드 길이 방향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가이드는 그 말단에 스토퍼를 구비하여 승하강 바 승강시 지지 가이드로부터 승하강 바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가이드는 'ㄷ' 모양의 단면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가이드는 말단부에 승하강 바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림 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 수단은 일 부분이 볼록한 판 스프링이며, 지지 가이드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일측에 고정 수단이 구비되어 테이블 등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ㄷ' 모양의 브라켓과, 브라켓의 일단에 나산 결합되는 압박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그 하부에 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되, 상기 받침대는 길게 형성하여 미사용시 받침대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위치되었다가 사용시 양측으로 펼쳐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은 롤 스크린 방식이므로 미사용 시 모든 구성이 몸체 내에 내장되어 부피가 최소화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며 좁은 공간에도 많이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 스크린 방식임에도 지지 가이드에 의해 자립이 가능하며,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조작이 손쉽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하부에 구비된 받침대에 의해 바닥에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수단을 통해 테이블 등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을 구비한 테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9,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은 내부에 공간(11)을 가지며 상부로 개구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양단에 축(13)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 가이드(20); 상기 몸체(10)에 내장되어 스크린(31)을 감거나 푸는 롤링 장치(30); 상기 스크린(31)의 상단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지 가이드(20)를 따라 이송하는 승하강 바(40); 상기 지지 가이드(2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승하강 바(20)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림 수단(50); 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기다란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공간(11)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몸체(10)는 테이블 등이 될 수 있는데, 일단에 상부로 개구된 공간(10)을 형성할 수 있는 물품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중앙의 양 면에는 함몰된 파지홈(12)을 형성하여 이 파지홈(12)을 통해 노출되는 지지 가이드(20)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 가이드(20)는 몸체(10)의 개구된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10)의 공간(11)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가이드(20)는 'ㄷ' 모양의 단면적을 가짐으로써 내부에 슬라이드 홈(21)이 형성되며,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양 지지 가이드(20)의 일단이 몸체(10)와 축(13) 결합된다. 따라서, 몸체(10)의 양단을 중심으로 지지 가이드(20)는 회동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축(13)이 결합되는 말단부를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수직(90˚)으로 위치했을 때 지지 가이드(20)의 일면이 몸체(10)의 측벽에 밀착되어 더 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한다. 즉, 0˚~ 90˚사이에서만 회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지지 가이드(20)는 슬라이드 홈(21)의 개구된 부분이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하여 그 내부로 승하강 바가 위치함에 따라 몸체(10)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가이드(20)는 축(13)이 결합되는 축공(22)을 장공으로 형성하되 지지 가이드(20)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축공(22)을 장공을 형성하면 지지 가이드(20)가 수직으로 위치했을 때 하부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지지 가이드(20)가 하강하면 지지 가이드(20)의 수직면이 몸체(10)의 수직면과 밀착됨으로써 지지 가이드(20)는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지지 가이드(20)를 수직으로 위치시킨 후 하강시키면 손을 놓아도 지지 가이드(20)는 움직이지 않아 손이 자유롭게 된다.
상기 롤링 장치(30)는 몸체(10) 내에 고정되어 스크린(31)을 감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몸체(1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지며 그 내부에 스크린(31)이 감긴 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가느다란 인출 홈(32)이 형성되어 인출 홈(32)을 통해 스크린(31)이 인출된다. 이러한 롤링 장치(30)에 보관되는 스크린(31)은 플랙시블한 소재로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감으려 하는 롤링 수단(미도시)에 의해 항상 감긴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승하강 바(40)는 롤링 장치(30)로부터 노출되는 스크린(31)의 말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기다란 봉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승하강 바(40)는 사각 모양으로 형성함이 후술되는 걸림 수단(50)에 걸림 되기 좋다. 또한, 승하강 바(40)의 폭은 롤링 장치(30)의 인출 홈(32)보다 두꺼우면 되나 지지 가이드(20)의 슬라이드 홈(21)보다 약간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승하강 바(40)는 지지 가이드(20)가 수직으로 위치하면 그 양단이 지지 가이드(20)의 슬라이드 홈(21)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승하강 바(40)가 승강하면 이에 연결된 스크린(31)이 롤링 장치(30)로부터 풀리면서 벽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 가이드(20)의 말단에는 걸림 수단(50)을 구비하여 승하강 바(40)가 승강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걸림 수단(50)은 일 부분이 볼록한 판 스프링이 이용된다. 즉, 기다란 판의 일부분을 다단 절곡 또는 만곡시켜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볼록한 부분이 외력에 의해 눌릴 경우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여기서 볼록한 부분의 선후단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걸림 수단(50)은 지지 가이드(20)의 슬라이드 홈(21)을 기준으로 양 측벽에 동일한 높이로 형성한다. 결국, 하나의 지지 가이드(20)에 두 개씩 구비되어 승하강 바(40)의 양단을 양측에서 받치게 된다. 이와 같은 걸림 수단(50)에 의해 상기 승하강 바(40)가 승강하면 걸림 수단(50)과 접촉함과 동시에 걸림 수단(50)의 볼록한 부분이 압축되고, 승하강 바(40)가 걸림 수단(50)을 통과하는 즉시 원상태로 복원되어 승하강 바(40)의 하단을 받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승하강 바(40)는 사용자에 의해 큰 힘으로 하강시키지 않는 한 하강하지 못한다. 즉, 걸림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지지 가이드(20)는 그 말단, 즉 상단에 스토퍼(23)를 구비하여 승강하는 승하강 바(40)가 지지 가이드(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스토퍼(23)는 지지 가이드(20)를 수평으로 위치했을 때 하강한 승하강 바(40)에 걸림되지 않는 길이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파티션은 미사용 시 모든 구성이 몸체(10) 내에 내장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러한 접이식 파티션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몸체(10)의 파지홈(12)으로 노출된 양 지지 가이드(20)를 파지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의 양 지지 가이드(20)를 회동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시킨다. 이때, 양 지지 가이드(20)는 몸체(10)와 연결된 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직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 가이드(20)를 하강시키면 지지 가이드(20)의 축공(22)이 장공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지 가이드(20)는 장공의 길이만큼 하강한다. 이와 같이 지지 가이드(20)가 하강하면 손을 놓아도 지지 가이드(20)는 수직 상태를 유지하여 회동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바(40)를 잡고 들어올리면 승하강 바(40)의 양단이 지지 가이드(20)의 슬라이드 홈(21)에 위치한 상태로 승강한다. 이 과정에서 승하강 바(40)와 연결된 스크린(31)이 같이 승강하며 펼쳐진다. 승강하는 승하강 바(40)의 양단이 걸림 수단(50)과 접하게 되면 양 걸림 수단(50)은 볼록한 부분이 압축되고 승하강 바(40)가 통과하는 순간 다시 원상태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하던 승하강 바(40)는 지지 가이드(20)의 말단에 구비된 스토퍼(23)에 걸림 되어 더 이상 승강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하강 바(40)를 놓으면 롤링 장치(30)에서 스크린(31)을 감으며 잡아당기는데, 승하강 바(40)의 하단이 걸림 수단(50)에 걸림되어 하강하지 못함으로써,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스크린(31)이 펼쳐진다.
그리고 파티션의 미사용으로 파티션을 접고자 할 경우에는 승하강 바(20)를 잡은 상태에서 힘을 주어 강제로 하강시키면 걸림 수단(50)의 볼록한 부분이 압축되면서 승하강 바(40)가 하강하는데, 이 과정에서 롤링 장치(30)가 스크린(31)을 감는다. 승하강 바(40)가 하강하여 롤링 장치(30)의 인출 홈(32)에 밀착되면 하강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양 지지 가이드(20)를 잡고 들어올리면 축(13)이 축공(22)의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지지 가이드(20)의 회동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 가이드(20)를 회동시켜 몸체(10)의 내부로 위치시키면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몸체(10)의 상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지지 가이드(20)의 슬라이드 홈(21)으로 승하강 바(40)가 위치된다. 즉, 몸체(10)의 외부로 어떠한 구성도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그 부피가 매우 작아진다. 결국, 좁은 공간에서도 수많은 파티션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을 구비한 테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0')에 본 발명의 파티션이 설치된 것이다.
즉, 일측에 공간(11)을 가지며 상부로 개구된 테이블(10'); 상기 테이블(10')의 공간(11) 양단에 축(13)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 가이드(20); 상기 공간(11)에 내장되어 스크린(31)을 감거나 푸는 롤링 장치(30); 상기 스크린(31)의 상단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지 가이드(20)를 따라 이송하는 승하강 바(40); 상기 지지 가이드(2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승하강 바(40)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림 수단(50); 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테이블(10')의 공간(11)에 지지 가이드(20), 롤링 장치(30), 스크린(31), 승하강 바(40), 걸림 수단(50)을 설치함으로써, 필요시 스크린(31)을 펼쳐 사용하고, 단체로 이용할 때는 접어서 테이블(10')의 공간(11)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테이블(10')에 사용하면 파티션을 이동할 필요가 없고 언제든지 신속 간편하게 펼쳐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하부에 받침대(60)가 구비된 것이다.
즉, 상기 몸체(10)는 그 하부에 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받침대(60)를 구비하되, 상기 받침대(60)는 길게 형성하여 미사용시 받침대(6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위치되었다가 사용시 양측으로 펼쳐지도록 축 결합된다. 그리고 축이 설치되는 몸체(10)의 양측에 보강 턱(14)을 형성하여 수평으로 펼쳐지는 받침대(60)의 상면이 보강 턱(14)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몸체(10)가 측 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보강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은 테이블(10')에 의탁하지 않고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파티션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고정 수단(70)을 구비하여 테이블(10') 등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70)은 'ㄷ' 모양의 브라켓(71)과, 브라켓(71)의 일단에 나산 결합되는 압박구(72)로 구성된다. 따라서 테이블(10')의 단부를 브라켓(71)의 개구된 부분으로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압박구(72)를 회전시키면 압박구(72)와 브라켓(71) 내측면 사이에 테이블(10')이 압박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접이식 파티션은 휴대가 용이하여 식당용 테이블뿐만 아니라 학생용 책상 등에 설치하여 가림막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10 : 몸체 10' : 테이블 11 : 공간
12 : 파지홈 13 : 축 14 : 보강 턱
20 : 지지 가이드 21 : 슬라이드 홈 22 : 축공
23 : 스토퍼 30 : 롤링 장치 31 : 스크린
32 : 인출 홈 40 : 승하강 바 50 : 걸림 수단
60 : 받침대 70 : 고정 수단

Claims (5)

  1. 내부에 공간(11)을 가지며 상부로 개구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양단에 축(13)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 가이드(20);
    상기 몸체(10)에 내장되어 스크린(31)을 감거나 푸는 롤링 장치(30);
    상기 스크린(31)의 말단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지 가이드(20)를 따라 이송하는 승하강 바(40); 및
    상기 지지 가이드(2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승하강 바(40)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림 수단(50);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파티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드(20)는 축(13)이 결합되는 축공(22)을 장공으로 형성하되 지지 가이드(20) 길이 방향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파티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드(20)는 'ㄷ' 모양의 단면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파티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그 하부에 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받침대(60)를 구비하되, 상기 받침대(60)는 길게 형성하여 미사용시 받침대(6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위치되었다가 사용시 양측으로 펼쳐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파티션.
  5. 일측에 공간(11)을 가지며 상부로 개구된 테이블(10');
    상기 테이블(10')의 공간(11) 양단에 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 가이드(20);
    상기 공간(11)에 내장되어 스크린(31)을 감거나 푸는 롤링 장치(30);
    상기 스크린(31)의 상단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지 가이드(20)를 따라 이송하는 승하강 바(40); 및
    상기 지지 가이드(2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승하강 바(40)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림 수단(50);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파티션을 구비한 테이블.
KR1020150080929A 2015-06-09 2015-06-09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KR101745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929A KR101745417B1 (ko) 2015-06-09 2015-06-09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929A KR101745417B1 (ko) 2015-06-09 2015-06-09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596A true KR20160144596A (ko) 2016-12-19
KR101745417B1 KR101745417B1 (ko) 2017-06-09

Family

ID=5773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929A KR101745417B1 (ko) 2015-06-09 2015-06-09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86Y1 (ko) 2017-01-02 2017-08-21 김철윤 음식점 식탁 구획용 파티션
KR20200005901A (ko) * 2018-07-09 2020-01-17 오영학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파티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145A (ko) 2019-11-18 2021-05-26 안광일 테이블용 파티션
KR102353122B1 (ko) 2020-07-23 2022-01-18 문신원 칸막이 승강식 강의실용 테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978Y1 (ko) 2004-12-10 2005-03-10 김형선 접이식 파티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7886A (ja) * 2009-10-22 2011-05-06 Wako Giken Kogyo Kk 折畳式パーテーショ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978Y1 (ko) 2004-12-10 2005-03-10 김형선 접이식 파티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86Y1 (ko) 2017-01-02 2017-08-21 김철윤 음식점 식탁 구획용 파티션
KR20200005901A (ko) * 2018-07-09 2020-01-17 오영학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파티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417B1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417B1 (ko)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US6837467B2 (en) Receiving plate supporting device
MX364632B (es) Dispensador de hojas dobladas en la parte superior de una mesa.
JPWO2009133808A1 (ja) 可搬式スクリーン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伸縮支柱並びに操作具
CN107048783A (zh) 一种便携行李箱式多功能画架
KR101832620B1 (ko) 접철식 캠핑용 그릴
KR20180001186U (ko) 캠핑용 다용도 테이블
TWM508964U (zh) 滑軌裝置及具有該滑軌裝置的伸縮桌
KR100576264B1 (ko) 승강칠판의 최하점 위치결정장치
EP3282893B1 (en) Rectangular frame with height adjustment for a first and/or second device for coupling to the frame
KR101761519B1 (ko) 밀고 당기는 건조대
JP2008100443A (ja) 黒板装置
JP5985254B2 (ja) 折り畳み傘立て
KR20130053970A (ko) 현수막 거치장치
JPWO2013108402A1 (ja) スライド連結装置
KR20150003420U (ko) 높낮이 조절 테이블
KR101866934B1 (ko) 서랍장을 구비한 책상 조립체
KR101777081B1 (ko) 요통 예방 건조대
KR20160132298A (ko) 접이식 우산 거치대
KR101682706B1 (ko) 접이식 우산 거치대
KR20160072596A (ko) 수납선반을 구비하는 테이블 높낮이 조절형 이동 테이블
JP3193609U (ja) ベンチプレス台
JP7001467B2 (ja) 移動間仕切装置
KR10216947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파티션
CN208324721U (zh) 绘画工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