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559A -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559A
KR20160144559A KR1020150080736A KR20150080736A KR20160144559A KR 20160144559 A KR20160144559 A KR 20160144559A KR 1020150080736 A KR1020150080736 A KR 1020150080736A KR 20150080736 A KR20150080736 A KR 20150080736A KR 20160144559 A KR20160144559 A KR 20160144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vacuation route
movable wall
gu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규
이홍명
최진웅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4559A/ko
Publication of KR2016014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 G06Q90/20Destination assistance within a business structure or complex
    • G06Q90/205Building evac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는 건물 내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 중 일부에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동 벽체, 건물 내 구획된 공간에 설치되고, 건물 내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이상 감지 센서 및 이상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고, 최적의 대피 경로에 따라 가동 벽체의 개폐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화재 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비상 사태가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고, 이를 기초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찾아 대피 경로를 마련할 수 있도록 가동 벽체를 제어하고,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제공된다.

Description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vacuation route in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에서 화재 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비상 사태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최적의 대피 경로를 만들고 안내할 수 있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고층 건물의 건축이 많아지고 있다. 고층 건물의 경우 건물 내부가 복잡한 경우가 많아서, 안전 시스템이 충분히 마련되지 않으면 화재 등의 긴급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대형 참사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종래의 화재 경보 시스템의 경우,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경보 시스템으로 화재 발생 여부만 알려주기 때문에 화재 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이 어려워 능동적인 대처가 어려웠다. 또한, 미리 설치된 비상 탈출구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비상 탈출구에 접근하는 것이 어려워 대피로로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아파트와 같은 집합 건물에서는 화재 등의 비상 사태를 대비해서 일부 벽체를 경량 칸막이를 이용해서 설치하거나 대피 공간을 마련하도록 관련 법제화가 되어 있다. 하지만, 경량 칸막이의 경우 경량 칸막이의 위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하여 인지도가 낮아서 활용도가 낮으며, 경량 칸막이를 해체할 시에 추가 도구가 필요해서 개방에 어려움이 있으며,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 내 대피 공간을 마련하는 경우에도 인지도가 낮아 다른 공간으로 사용되어 실제 그 역할을 하지 못하거나, 대피 공간이 협소해서 많은 인원을 임시적으로 대피시키기에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의 화재를 대비한 장치 및 방법은 화재 등이 발생하였을 때 화재 공간에 있는 사람이 직접 상황을 판단하여 미리 마련된 장치나 방법을 이용해야 하는데, 내부 공간이 복잡한 경우 건물 내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미리 마련된 장치나 방법을 적시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어렵다. 더욱이, 건물 내 구조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다급한 상황에서 대처 방법을 찾는 것이 더욱 어려울 수가 있다.
KR2013-002425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 내에 화재 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비상 사태가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고, 이를 기초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찾아 대피 경로를 마련할 수 있도록 가동 벽체를 제어하고,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내 지리에 익숙하지 않고 건물 내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사람에게도 최선의 대피 경로를 직관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물 내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 중 일부에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동 벽체; 상기 건물 내 구획된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건물 내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이상 감지 센서; 및 상기 이상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최적의 대피 경로에 따라 상기 가동 벽체의 개폐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며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상 감지 센서는 열, 가스 및 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이상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이상 상태가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 상기 추정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 대피 경로 설정부; 및 상기 최적의 대피 경로에 따라 상기 가동 벽체의 개폐를 제어하는 가동 벽체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대피 경로 설정부는 상기 구획된 각 공간에 설치된 출입문 및 상기 가동 벽체를 고려하여 상기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 벽체의 개폐 상태를 소리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벽체의 개폐 상태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시각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된 각 공간에서의 대피 방향을 안내하는 시각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 내 최적의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시각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각 안내부는 상기 벽체 또는 상기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물 내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때 건물 내 대피 경로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의 동작에 있어서, (a) 건물 내 벽체로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 내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최적의 대피 경로에 따라 상기 벽체 중 일부에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동 벽체의 개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이상 상태가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b2) 상기 추정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에, d1) 상기 가동 벽체의 개폐 상태를 소리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에, d2) 상기 가동 벽체의 개폐 상태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에, d3) 상기 구획된 각 공간에서 대피 방향을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4)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건물 내 최적의 대피 경로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건물 내에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센서를 이용하여 비상 사태가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찾아 가동 벽체를 개폐하는 방법으로, 상황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어서 비상 사태 시 인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물 내 지리에 익숙하지 않고 건물 내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사람에게도 최선의 대피 경로를 직관적으로 안내 할 수 있어서 대피 시의 혼란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건물 내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의 중앙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에 형성된 음성 안내부와 시각 안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설정되는 최적의 대피 경로와 가동 벽체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의 S220의 세부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건물 내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의 중앙 제어부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에 형성된 음성 안내부와 시각 안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는 가동 벽체(120), 이상 감지 센서(130) 및 중앙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안내부(150) 또는 시각 안내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건물 내 평면도의 일 예인데, 건물 내부는 벽체(110)에 의해 내부가 구획된다. 구획된 각 공간에는 사람들이 평상시에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문(1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물 내부를 구획하는 벽체(110) 중 일부에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가동 벽체(120)가 형성된다. 가동 벽체(120)는 건물 내 공간과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1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동 벽체(120)는 화재 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평상시에 출입하는 출입문(115)으로 대피가 어려울 때 임시적으로 열려서 이웃하는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대피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 강의실 등과 같이 수용 인원이 많은 공간에서는 많은 인원이 빠른 시간 안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의 벽체(110)에 다수의 가동 벽체(120) 또는 크기가 큰 가동 벽체(120)가 형성될 수도 있고, 벽체(110) 전체를 가동 벽체(120)로 구성할 수도 있다. 후술할 내용이지만 가동 벽체(120)는 중앙 제어부(1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자동으로 개폐될 수가 있다.
이상 감지 센서(130)는 건물 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설치될 수가 있고, 건물 내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여기서, 이상 상태라고 하면 건물 내에 화재, 가스 누출 등이 발생하여 안전을 위해 대피가 필요한 비상 사태가 발생한 상황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상 감지 센서(130)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한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일 수가 있다. 또한, 가스 누출이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한 가스 누출 감지 센서일 수가 있다. 또한, 건물 안전과 관련하여 공지된 여러 센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할 내용에는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예로 들며 설명할 것이며, 이때 이상 감지 센서(130)는 열 감지 센서 또는 연기 감지 센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상 감지 센서(130)는 구획된 각 공간에 설치되는데, ⑤번 방과 복도 등과 같이 공간의 넓이가 큰 경우에는 소방법 등의 관련법 규정에 따라 각 공간에 복수개의 이상 감지 센서(130)가 설치될 수가 있다. 각각의 이상 감지 센서(130)는 후술할 중앙 제어부(140)로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이상 감지 센서(130)에서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중앙 제어부(140)에 신호로 알릴 수가 있다.
중앙 제어부(140)는 이상 감지 센서(13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고, 최적의 대피 경로에 따라 전술한 가동 벽체(12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중앙 제어부(140)는 신호 수신부(141), 위치 추정부(142), 대피 경로 설정부(143) 및 가동 벽체 조절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건물내 화재가 발생하여 ①, ②번 방에 있는 이상 감지 센서는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검은색 센서는 화재를 감지한 센서를 나타내고, 흰 센서는 화재를 감지하지 않은 센서를 나타낸다. 이때, 이상 감지 센서(130) 중 ①, ②번 방에 있는 센서는 화재를 감지하였음을 중앙 제어부(140)의 신호 수신부(141)에 알리게 된다. 즉, 신호 수신부(141)는 이상 감지 센서(1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 추정부(142)는 신호 수신부(141)가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는데, ①, ②번 방에 있는 이상 감지 센서(130)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였으므로 이상 감지 센서(130)의 위치와 이상 감지 센서(130)의 감지 범위를 기초로 ①, ②번 방 주위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추정할 수가 있다.
대피 경로 설정부(143)는 위치 추정부(142)가 추정한 위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데, 도 1에서는 최적의 대피 경로의 일부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물 내에 있는 모든 인원들이 대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화재가 발생한 위치 주변 공간뿐만 건물 내 모든 공간에 대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①, ②번 방에 있는 사람들은 가동 벽체(120b)를 통해 ③ 또는 ④번 방의 출입문을 이용하고, 나머지 방들에 있는 사람들은 각 방의 출입문을 이용해서 복도로 이동하여 중앙의 엘리베이터나 비상 계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대피 경로 설정부(143)는 건물 내 출입문(115), 가동 벽체(120), 및 건물 내 인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①, ②번 방 사이에 있는 가동 벽체, ②, ③번 방 사이에 있는 가동 벽체, ③, ④번 방 사이에 있는 가동 벽체(120b)가 열려야 한다. 가동 벽체 개폐 조절부(144)는 대피 경로 설정부(143)에 의해 설정된 경로에 따라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전기적인 신호로 가동 벽체(120)의 개폐를 제어하는데, 도 1에서는 ①, ②번 방 사이에 있는 가동 벽체, ②, ③번 방 사이에 있는 가동 벽체, ③, ④번 방 사이에 있는 가동 벽체(120b)를 열고 나머지 가동 벽체(120a)들은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가 있다. 화재 발생 지점에 따라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고, 가동 벽체(120)를 어떻게 제어하는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로 예를 들어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가동 벽체(120)의 개폐 상태 또는 대피 경로를 사람들이 더욱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안내부(150) 또는 시각 안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안내부(150)는 가동 벽체(120)의 개폐 상태를 스피커 등을 이용해서 소리로 안내할 수가 있다. 도 3은 벽체(110)에 형성된 가동 벽체(120)를 도시하고 있는데, 중앙 제어부(140)의 가동 벽체 개폐 조절부(144)로부터 가동 벽체(120)가 열리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가동 벽체(120)가 열림과 동시에 음성 안내부(150)가 소리로 신호를 주면 사람들은 더욱 직관적으로 대피 방향을 인지할 수가 있다. 이때, 소리는 가동 벽체(120) 근처에서 울리도록 하여 가동 벽체(120)의 위치를 안내하는 알람일 수도 있고, '화재가발생했습니다. 여기 비상문으로 대피해주십시오'와 같은 안내 방송일 수도 있다.
또한, 벽체나 천정에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나 발광 램프 등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가동 벽체(120)의 개폐 여부 또는 대피 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가동 벽체(120)가 열렸을 때 가동 벽체(120) 근처에 램프가 깜박이도록 하여 사람들에게 가동 벽체(120)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릴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도 3에서와 같이 화살표를 이용하여 대피 경로 설정부(143)에서 설정한 최적의 대피 경로에 따라 각 공간에서의 대피 방향을 안내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각 공간 마다 대피 방향을 도면에서와 같이 안내한다면 사람들은 벽체에 있는 화살표 방향으로만 따라 이동하면 안전하게 대피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①번 방에 있는 사람은 ①번 방의 벽체에 그려진 화살표 방향을 보고 가동 벽체를 이용해 ②번 방으로 이동하고, ②번 방에서는 ②번 방의 벽체에 그려진 화살표 방향을 보고 가동 벽체를 이용해 ③번 방으로 이동할 수가 있을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특정 공간에 있는 사람은 건물 전체 상황을 판단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각 공간에서의 시각 안내부(160)에 의해 대피 방향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하는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신속하게 대피가 가능하다. 또 다른 일 예로 벽체나 천장에 후술할 도 4 및 도 5와 같이 건물 전체를 도시하는 지도에 대피 경로 설정부(143)가 설정한 최적의 대피 경로를 눈에 띄게 표시하는 방법으로 전체 대피 경로를 안내하도록 시각 안내부(16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고 가동 벽체(120)가 어떻게 제어 되는지에 대하여 예를 들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와 도 5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설정되는 최적의 대피 경로와 가동 벽체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건물 내 일부를 도시하고 있고, 벽체(110)로 구획된 각 방에는 R11, R13, R31, R33, R41, R43의 이상 감지 센서(130)가 설치되어 있고, 복도에도 A12, A21, A22, A23, A32, A42로 이상 감지 센서(130)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11, 12, 21, 22, 31, 32, 41, 42, 51, 52는 가동 벽체(120)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이상 감지 센서에서 검은색 이상 감지 센서(130)는 화재를 감지한 센서(130)를 나타내고, 흰색 이상 감지 센서(130)는 화재를 감지하지 않은 센서를 나타낸다. 또나, 가동 벽체(120)에서 검은색으로 채워져 있는 가동 벽체(120)는 현재 닫혀 있음을 도시하고 있고, 나머지 가동 벽체(120)는 열려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살펴보면, R11, A12 이상 감지 센서(130)가 화재를 감지하였고, 대피 경로 설정부(143)는 이때 화살표와 같이 각 공간에서의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할 수가 있다. 최적의 대피 경로는 다양한 알고리즘에 의해 설정이 가능하다. 도 4에서는 R11이 있는 방에 있는 사람들이 빨리 대피할 수 있도록 가동 벽체 11 및 21을 열어 이를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R13이 있는 방에서는 출입문의 바깥에 화재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가동 벽체 12, 22를 열어 이를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방들은 화재 발생 지역 대비 안전하므로 가동 벽체를 모두 닫도록 하여 각 공간에서의 최적의 대피 경로를 화살표와 같이 설정할 수가 있다. 물론, 도면에 있는 모든 가동 벽체가 열리도록 하는 방법으로 대피 경로를 확보할 수도 있으나,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서 우선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확보하도록 하고, 대피 경로 설정부(143)는 상황에 따라 최적의 대피 경로를 수정하여 가동 벽체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최적의 대피 경로는 화재 상황이나 대피 인원 등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바뀔 수가 있다.
도 5에서는 복도에 있는 A12, A21, A22, A32 이상 감지 센서(130)가 화재를 감지하였고, 이때 대피 경로 설정부(143)는 화살표와 같이 각 공간에서의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할 수가 있다. A21이 위치한 복도에 화재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A21과 인접한 가동 벽체는 모두 닫도록 하고, 나머지 벽체들은 모두 열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 가동 벽체 51, 52는 닫혀 있는데, 화재 발생 지역과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이므로 건물 내 인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폐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내 대피 인원이 많은 경우에는 대피 경로가 많이 확보될 수 있도록 가동 벽체 51, 52가 열리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의 S220의 세부 순서도이다.
먼저, 중앙 제어부(140)의 신호 수신부(141)는 건물 내 각각의 공간에 설치된 이상 감지 센서(120)로부터 건물 내 이상 상태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10). 다음,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한다(S220).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위치 추정부(142)는 신호 수신부(141)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을 분석하여 이상 상태가 발생한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이상 감지 센서(130)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상 감지 센서(130)의 감지 범위를 알면 화재 발생 지역을 추정할 수 있다(S221). 다음, 대피 경로 설정부(143)는 위치 추정부로부터 추정되는 화재 발생 지역의 위치, 각 공간에서의 출입문의 위치 및 가동 벽체의 위치 및 건물 내 인원 등을 고려하여 건물 내 각 공간에 대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할 수가 있다(S222). 가동 벽체 개폐 조절부(144)는 설정된 최적의 대피 경로에 따라 가동 벽체(120)가 개폐 되도록 각각의 가동 벽체(120)에 개폐 신호를 송신하여 가동 벽체(12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S230).
이때, 가동 벽체의 개폐 상태 또는 대피 방향을 소리로 또는 시각적인 방법으로 안내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벽체 115 : 출입문
120 : 가동 벽체 130 : 이상 감지 센터
140 : 중앙 제어부 141 : 신호 수신부
142 : 위치 추정부 143 : 대피 경로 설정부
144 : 가동 벽체 개폐 조절부 150 : 음성 안내부
160 : 시각 안내부

Claims (15)

  1. 건물 내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 중 일부에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동 벽체;
    상기 건물 내 구획된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건물 내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이상 감지 센서; 및
    상기 이상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최적의 대피 경로에 따라 상기 가동 벽체의 개폐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감지 센서는 열, 가스 및 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인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이상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이상 상태가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
    상기 추정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 대피 경로 설정부; 및
    상기 최적의 대피 경로에 따라 상기 가동 벽체의 개폐를 제어하는 가동 벽체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경로 설정부는 상기 구획된 각 공간에 설치된 출입문 및 상기 가동 벽체를 고려하여 상기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벽체의 개폐 상태를 소리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벽체의 개폐 상태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시각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된 각 공간에서의 대피 방향을 안내하는 시각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 최적의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시각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안내부는
    상기 벽체 또는 상기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건물 내 경로 제어 장치.
  10. 건물 내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때 건물 내 대피 경로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의 동작에 있어서,
    (a) 건물 내 벽체로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 내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최적의 대피 경로에 따라 상기 벽체 중 일부에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동 벽체의 개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이상 상태가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b2) 상기 추정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1) 상기 가동 벽체의 개폐 상태를 소리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2) 상기 가동 벽체의 개폐 상태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3) 상기 구획된 각 공간에서 대피 방향을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4) 상기 건물 내 최적의 대피 경로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방법.
KR1020150080736A 2015-06-08 2015-06-08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144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736A KR20160144559A (ko) 2015-06-08 2015-06-08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736A KR20160144559A (ko) 2015-06-08 2015-06-08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559A true KR20160144559A (ko) 2016-12-19

Family

ID=5773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736A KR20160144559A (ko) 2015-06-08 2015-06-08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45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42B1 (ko) * 2017-07-06 2018-04-05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위험 상황 감지 및 대피 알림 시스템
KR101890709B1 (ko) * 2017-12-14 2018-08-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대피용량을 고려한 재난 대피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5866A (ko) * 2019-02-01 2020-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257A (ko) 2011-08-31 2013-03-08 박선식 여닫이형 방화 창문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257A (ko) 2011-08-31 2013-03-08 박선식 여닫이형 방화 창문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42B1 (ko) * 2017-07-06 2018-04-05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위험 상황 감지 및 대피 알림 시스템
KR101890709B1 (ko) * 2017-12-14 2018-08-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대피용량을 고려한 재난 대피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5866A (ko) * 2019-02-01 2020-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7315B1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US119484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uilding evacuation
KR101732181B1 (ko) 소방용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KR101475134B1 (ko)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80411B1 (ko) 방화문 자동 제어장치
KR102580356B1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20190123600A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재실 인원 카운트 방법
KR20160144559A (ko)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101794962B1 (ko)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KR200493371Y1 (ko) 거실제연 시스템
KR20130040372A (ko) 화재감지기 연동 유도등 시스템 및 유도등의 화재감지기 연동방법
KR20160143899A (ko) 지능형 원격제어 led 유도등
JP2012128469A (ja) 情報報知装置およびガス遮断装置
KR102282559B1 (ko)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05965B1 (ko) 비상 화재 발생시 비상문 유도 제어장치
JPH04175997A (ja) 火災時の避難誘導方法
WO2022043650A1 (en) Safety device, door, fire safety systems, and method of indicating the status of a door, and improving fire safety
GB2595958A (en) Safety device, door, fire safety systems, and method of indicating the status of a door, and of improving fire safety
KR20180061814A (ko) 전실화재 방지 시스템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167664B1 (ko) 대피경로 안내장치 및 대피경로 안내방법
KR20230080093A (ko)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