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939A - 기능성 신발물품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939A
KR20160143939A KR1020150079322A KR20150079322A KR20160143939A KR 20160143939 A KR20160143939 A KR 20160143939A KR 1020150079322 A KR1020150079322 A KR 1020150079322A KR 20150079322 A KR20150079322 A KR 20150079322A KR 20160143939 A KR20160143939 A KR 20160143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user
foot
sof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승
Original Assignee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원에프알에스 filed Critical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to KR102015007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3939A/ko
Publication of KR2016014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신발에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이 개시된다. 기능성 신발물품은 사용자의 발 바닥을 지지하는 갑피바닥부(upper bottom portion), 및 사용자의 발 측면을 지지하는 갑피측벽부(upper side portion)를 포함하는 갑피부(upper part); 및 갑피바닥부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수평 이동이 가능한 바닥밑창부(bottom sole portion), 및 하단은 바닥밑창부의 측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갑피측벽부에 고정되는 사이드밑창부(side sole portion)를 포함하는 밑창부(outsole part);를 포함하고, 밑창부는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갑피부에 대해 유동성을 갖는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물품{ARTICLE OF FOOTWEAR}
본 발명은 신발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갑피부에 대해 밑창부에 유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도록 개발되었지만, 최근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신발에 대한 인식 또한 많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운동화 한 켤레로 여러 가지 운동을 하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걷기(walking), 뛰기(running), 등산, 축구, 테니스, 야구, 골프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특성화된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발등 및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갑피부분(upper part), 및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부분(sole par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밑창부분을 통해서는 보행 및 주행시 충격이 신체로 전달될 수 있고, 밑창부분이 무거울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밑창부위는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할 수 있으며 가벼운 구조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잘못된 걸음걸이와 걷기에 적합하지 않은 신발을 신으면 신체 기형과 질병을 불러와 건강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밑창부위는 안정적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사람의 발은 체형에 따라 길이가 같아도 발 폭이 다르거나, 발 폭은 같으나 길이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의해 특정 길이와 폭으로 제조되는 특정 사이즈의 신발과 그 사이즈를 선택하는 사람의 발이 정확하게 일치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의 발의 길이는 동일하나 특정 한 사람의 발 폭이 클 경우, 발의 길이에 신발을 맞추게 되면 발의 폭이 큰 사람에게는 신발의 폭이 작아 불편하기 때문에 발의 폭이 큰 사람은 한 단계 위 사이즈의 신발을 선택할 수 밖에 없으나, 한 단계 위 사이즈의 신발을 선택하면 신발의 길이가 길어져 착용감이 떨어지거나, 보행시 신발이 쉽게 벗겨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임산부의 경우 임신중 그리고 출산 전후에 걸쳐 발볼에 잦은 변화가 있어 기존 신발에 많은 불편함을 야기해 왔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보행 및 주행시 신체로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정적인 보행을 유도할 수 있으며, 신체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착화감의 조절을 가능하도록 한 신발물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갑피부에 대해 밑창부가 유동성을 갖는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폭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 및 운동특성에 따라 하중에 대한 반응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신발물품은 사용자의 발 바닥을 지지하는 갑피바닥부(upper bottom portion), 및 사용자의 발 측면을 지지하는 갑피측벽부(upper side portion)를 포함하는 갑피부(upper part); 및 갑피바닥부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수평 이동이 가능한 바닥밑창부(bottom sole portion), 및 하단은 바닥밑창부의 측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갑피측벽부에 고정되는 사이드밑창부(side sole portion)를 포함하는 밑창부(outsole part);를 포함하고, 밑창부는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갑피부에 대해 유동성을 갖는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갑피부에 대해 밑창부가 유동성을 가진다 함은, 갑피부에 대해 밑창부가 폭 방향, 길이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밑창부는 갑피부에 대해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가령, 발 길이에 비해 발 폭이 큰 사람의 경우에는 갑피부에 대해 밑창부가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게 함으로써, 밑창부가 사용자의 발 폭에 맞게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갑피부(upper part)라 함은, 통상의 가죽, 직물,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등을 덮는 갑피(upper portion)와 함께, 밑창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신발의 다른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갑피부는, 갑피와 함께 밑창부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는 미드솔(midsole) 및 인솔(inso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밑창부는 바닥밑창부가 갑피바닥부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갑피부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즉, 사이드밑창부의 하단은 바닥밑창부의 측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갑피측벽부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사이드밑창부의 상단은 통상의 접착 또는 스티치(stitch) 수단에 의해 갑피측벽부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사이드밑창부의 고정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밑창부의 폭 조절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밑창부는 사용자의 발 폭에 대응하여 폭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폭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밑창부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닥밑창부의 상면에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부조절홈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바닥밑창부의 저면에는 상부조절홈 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하부조절홈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밑창부의 외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연장조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조절홈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되며 전술한 상부조절홈 및 하부조절홈과 함께 체형별 발 폭에 따른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신발을 보다 수월하게 신거나 벗을 수 있게 한다.
갑피바닥부의 저면에는 상부조절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는 상부조절홈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는 대응되는 상부조절홈 상에 배치됨으로써, 갑피부에 대한 상부조절홈의 배치 상태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며, 보다 안정적인 폭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가이드돌기와 상부조절홈의 표면의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갑피바닥부는 밑창부보다 연질 소재로 형성된 연질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질바닥부는 스펀지 또는 발포 수지와 같은 연질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밑창부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질바닥부의 저면에는 상부조절홈에 대응하는 연질돌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연질돌기는 상부조절홈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갑피바닥부와 바닥밑창부의 사이에는 브릿지부가 제공될 수 있다. 브릿지부는 갑피바닥부의 저면과 바닥밑창부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연결하도록 제공되어, 갑피부에 대한 밑창부의 유동을 소정 유동 범위 내에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신발에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갑피부에 대해 밑창부가 상하, 좌우, 전후 방향을 따라 유동성을 가질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에 일률적인 사이즈로 제작된 기성화의 경우, 발 폭이 넓거나 특이한 체형을 가진 사용자가 신발을 신었을 시 통증이나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갑피부에 대해 밑창부가 유동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통증이나 압박감 없이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즈별 제품을 보다 세분화할 필요없이 사용자 체형별 다양한 발 폭 사이즈를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의 착용감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장기간 착용시에도 신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발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밑창부 상에 상부조절홈 및 하부조절홈을 형성하여, 바닥밑창부가 폭 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밑창부의 폭 조절을 보다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중 및 운동특성에 따라 하중에 대한 반응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브릿지부를 이용하여 갑피부에 대한 밑창부의 과도한 유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동성을 가짐과 동시에 적절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으로서, 폭 조절 가능한 밑창부의 구조 및 조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으로서, 폭 조절 가능한 밑창부의 구조 및 조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은 갑피부(upper part)(100) 및 밑창부(outsole part)(200)를 포함한다.
상기 갑피부(100)는 사용자의 발 바닥을 지지하는 갑피바닥부(110), 및 갑피바닥부(110)의 측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 측면을 지지하는 갑피측벽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갑피바닥부(11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사용자의 발 바닥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갑피바닥부(110)는 사용자의 발 바닥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갑피바닥부가 사용자의 발 바닥 가장자리 부위만을 지지하거나, 사용자의 발바닥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갑피바닥부(110)는 단층 구조로 제공되거나, 서로 다른 재질의 다층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갑피바닥부의 재질 및 적층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갑피바닥부(10)는 후술할 밑창부(200)의 좌우 확장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갑피측벽부(120)는 갑피바닥부(110)의 측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 측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갑피측벽부(120)가 사용자의 발 측면을 지지한다 함은, 갑피측벽부(120)가 사용자의 발 측면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거나 사용자의 발등 전체를 지지하는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갑피측벽부(120)는 통상의 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또는 메쉬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갑피측벽부(120)의 재질 및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밑창부(200)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하기 위해 갑피부(100)에 연결되되, 갑피부(100)에 대해 유동성을 갖도록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밑창부(200)는 바닥밑창부(210) 및 사이드밑창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밑창부(200)는 통상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밑창부(200)의 재질 및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밑창부(200)는 지면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접촉 및 마찰에 강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밑창부(210)는 갑피바닥부(110)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갑피바닥부(110)에 대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사이드밑창부(220)는 바닥밑창부(210)가 갑피바닥부(110)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갑피부(100)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사이드밑창부(220)의 하단은 바닥밑창부(210)의 측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갑피측벽부(12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사이드밑창부(220)의 상단은 통상의 접착 또는 스티치(stitch) 수단에 의해 갑피측벽부(120)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밑창부(200)가 갑피부(100)에 대해 유동성을 갖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갑피부(100)에 대해 밑창부(200)가 유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갑피부(100)에 대해 밑창부(200)가 유동성을 가진다 함은, 갑피부(100)에 대해 밑창부(200)가 폭 방향, 길이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밑창부(200)는 갑피부(100)에 대해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가령, 발 길이에 비해 발 폭이 큰 사람의 경우에는 갑피부(100)에 대해 밑창부(200)가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게 함으로써, 밑창부(200)가 사용자의 발 폭에 맞게 조절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밑창부(200)의 폭 조절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밑창부(200)는 사용자의 발 폭에 대응하여 폭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폭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밑창부(200)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밑창부(210)의 상면에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부조절홈(212)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밑창부(210)의 저면에는 상부조절홈(212) 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하부조절홈(214)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조절홈(212) 및 하부조절홈(214)은 사용자의 발 폭에 대응하여 팽창 또는 수축함으로써 바닥밑창부(210)가 폭 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 폭이 밑창부의 폭과 동일할 경우에는, 도 4과 같이, 상부조절홈(212) 및 하부조절홈(214)에 수축 또는 팽창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밑창부(210)는 원형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의 발 폭이 밑창부보다 클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상부조절홈(212) 및 하부조절홈(214)이 각각 양쪽으로 팽창됨으로써 바닥밑창부(210)의 전체적인 폭이 사용자의 발 폭에 대응하여 늘어날 수 있다. 아울러, 바닥밑창부(210)에 작용하는 압력이 해제될 시(예를 들어, 신발을 벗은 상태)에는 상부조절홈(212) 및 하부조절홈(214)이 다시 원형의 상태로 수축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상기 바닥밑창부(210)는 상면 및 저면에 상부조절홈(212) 및 하부조절홈(214)이 형성된 파도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갖기 때문에, 충격 흡수 및 분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부조절홈(212) 및 하부조절홈(214)이 각각 양쪽으로 팽창된 상태에서 밑창부는 사용자의 발 폭에 맞게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은, 갑피바닥부(110) 및 갑피측벽부(120)를 포함하는 갑피부(100), 바닥밑창부(210) 및 사이드밑창부(220)를 포함하는 밑창부(200)를 포함하고, 바닥밑창부(210)의 상면에는 상부조절홈(212)이 형성되고, 바닥밑창부(210)의 저면에는 하부조절홈(214)이 형성되되, 상기 갑피바닥부(110)의 저면에는 상부조절홈(212)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11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112)는 상부조절홈(2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12)는 대응되는 상부조절홈(212) 상에 배치됨으로써, 갑피부(100)에 대한 상부조절홈(212)의 배치 상태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112)는 대응하는 상부조절홈(212)이 비정상적으로 특정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112)는 대응하는 각 상부조절홈(212)이 고르게 팽창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폭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돌기(112)와 상부조절홈(212)의 표면의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돌기(112)는 상부조절홈(212)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112)와 상부조절홈(212)의 표면의 사이에는 소정 이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은 갑피부(100)와 밑창부(200)의 사이에 완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밑창부(220)의 외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연장조절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조절홈(222)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되며 전술한 상부조절홈(212) 및 하부조절홈(214)과 함께 체형별 발 폭에 따른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장조절홈(222)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을 시 수축 및 팽창되며 갑피부(100)에 대한 밑창부의 상하 방향 유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발을 보다 수월하게 신거나 벗을 수 있게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은, 갑피바닥부(110) 및 갑피측벽부(120)를 포함하는 갑피부(100), 바닥밑창부(210) 및 사이드밑창부(220)를 포함하는 밑창부(200)를 포함하되, 갑피바닥부(110)는 밑창부(200)보다 연질 소재로 형성된 연질바닥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질바닥부(110a)는 스펀지 또는 발포 수지와 같은 연질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질바닥부(110a)의 상면에는 인솔(110b) 또는 다른 완충층(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바닥밑창부(210)의 상면에 상부조절홈(212)이 형성되기 때문에, 착화시 상부조절홈(212)에 의한 이질감이 발바닥에 느껴질 수 있다. 상기 연질바닥부(110a)는 상기와 같은 이질감을 해소함과 동시에, 부드럽고 포근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질바닥부(110a)의 저면에는 상부조절홈(212)에 대응하는 연질돌기(11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연질돌기(112)는 상부조절홈(2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질돌기(112)는 전술한 가이드돌기(112)처럼 갑피부(100)에 대한 상부조절홈(212)의 배치 상태를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은, 갑피바닥부(110) 및 갑피측벽부(120)를 포함하는 갑피부(100), 바닥밑창부(210) 및 사이드밑창부(220)를 포함하는 밑창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밑창부(220)의 상단이 갑피측벽부(120)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사이드밑창부의 상단이 갑피측벽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모두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은, 갑피바닥부(110) 및 갑피측벽부(120)를 포함하는 갑피부(100), 바닥밑창부(210) 및 사이드밑창부(220)를 포함하는 밑창부(200)를 포함하되, 갑피바닥부(110)와 바닥밑창부(210)의 사이에는 브릿지부(40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400)는 갑피바닥부(110)의 저면과 바닥밑창부(210)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연결하도록 제공되어, 갑피부(100)에 대한 밑창부(200)의 유동을 소정 유동 범위 내에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밑창부(200)가 갑피부(100)에 대해 유동성을 갖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갑피부(100)에 대해 밑창부(200)가 과도하게 유동될 경우, 신발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갑피바닥부(110)의 저면과 바닥밑창부(210)의 상면이 브릿지부(400)에 의해 부분적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갑피부(100)에 대한 밑창부(200)의 유동을 소정 유동 범위 내에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400)의 형태 및 배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브릿지부(400)는 소정 유동을 허용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브릿지부(400)가 일률적으로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중에 작용하는 부위에 따라 브릿지부의 형태 및 크기를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띠 또는 튜브 형태로 브릿지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갑피부 110 : 갑피바닥부
120 : 갑피측벽부 200 : 밑창부
210 : 바닥밑창부 220 : 사이드밑창부

Claims (10)

  1. 사용자의 발 바닥을 지지하는 갑피바닥부(upper bottom portion), 및 사용자의 발 측면을 지지하는 갑피측벽부(upper side portion)를 포함하는 갑피부(upper part); 및
    상기 갑피바닥부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수평 이동이 가능한 바닥밑창부(bottom sole portion), 및 하단은 상기 바닥밑창부의 측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갑피측벽부에 고정되는 사이드밑창부(side sole portion)를 포함하는 밑창부(outsole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밑창부는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상기 갑피부에 대해 유동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는 사용자의 발 폭에 대응하여 폭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밑창부의 상면에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부조절홈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밑창부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조절홈 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하부조절홈이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바닥부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조절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가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상부조절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상부조절홈의 표면의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바닥부는 상기 밑창부보다 연질 소재로 형성되는 연질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바닥부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조절홈에 대응하는 연질돌기가 제공되며,
    상기 연질돌기는 상기 상부조절홈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밑창부의 외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연장조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바닥부는 단층 또는 서로 다른 재질의 다층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바닥부의 저면과 상기 바닥밑창부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KR1020150079322A 2015-06-04 2015-06-04 기능성 신발물품 KR20160143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322A KR20160143939A (ko) 2015-06-04 2015-06-04 기능성 신발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322A KR20160143939A (ko) 2015-06-04 2015-06-04 기능성 신발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939A true KR20160143939A (ko) 2016-12-15

Family

ID=5757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322A KR20160143939A (ko) 2015-06-04 2015-06-04 기능성 신발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39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9203B2 (en)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US8959798B2 (en) Shoe sole element
US8266825B2 (en) Shoe sole element
US6951066B2 (en) Cushioning 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56709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detachable upper and lower designs
US20110252665A1 (en) Soft and elastic shoe pad
JP2018515205A (ja) 靴中敷
JP2018515172A (ja) 靴中敷
JP2018515200A (ja) 輪郭形状のサポート靴中敷
TW201715979A (zh) 具有緩衝墊與波狀支撐件之拖鞋及其製造方法
AU2014286929B2 (en) An improved high heeled shoe or boot
KR100960562B1 (ko)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KR101463544B1 (ko)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KR20090127843A (ko) 충격흡수형 신발창
US9974355B2 (en) Padded foot support with a ball of foot depression
JP5458257B2 (ja) インソール及びイン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KR20160143939A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CA3158071A1 (en) Therapeutic shoes, components for use with therapeutic sho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therapeutic shoe
KR101288905B1 (ko)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KR100818789B1 (ko)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JP4850462B2 (ja) 足底板対応履物
KR20170016780A (ko) 기능성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