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410A -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410A
KR20160143410A KR1020150080095A KR20150080095A KR20160143410A KR 20160143410 A KR20160143410 A KR 20160143410A KR 1020150080095 A KR1020150080095 A KR 1020150080095A KR 20150080095 A KR20150080095 A KR 20150080095A KR 20160143410 A KR20160143410 A KR 20160143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oreign matter
roller
holder
blad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한성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한성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5008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3410A/ko
Publication of KR2016014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005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롤러와 접촉되어 상기 롤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블레이드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블레이드홀더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린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ROLLE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블레이드의 교체시 블레이드홀더에 포집된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는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제지, 인쇄, 필름, 식품, 화학공장과 같은 생산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롤러의 표면에는 제조공정 및 작업환경에 따라 냉각수 또는 스케일, 먼지, 오일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이 묻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은 롤러를 통과하는 제품의 표면에 전사(mark) 및 오염을 유발시키게 되므로 결국 제품불량을 야기시키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롤러의 표면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상태로 장시간 설비를 가동할 경우 롤러의 표면이 쉽게 손상 및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에 롤러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가 사용된다. 종래 사용되는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례가 공개특허 제10-2012-0091730호 "이물질 차단부재가 구비된 롤러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개시된 종래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물질 제거장치(10)는 블레이드(11)가 롤러(A)의 표면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접촉하여, 롤러(A) 표면의 이물질(B)을 제거한다.
그런데, 종래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10)는 블레이드(11)에 의해 롤러(A)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B)이 주변설비 및 블레이드(11)와 블레이드홀더(13)의 표면에 고착되면서 작업자가 블레이드를 교체 및 유지보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이물질(B)이 주변설비 및 블레이드홀더(13)에 고착될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이물질을 파쇄해야 하는데, 이는 협소한 공간에서 이물질을 파쇄 및 제거하는 과정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장시간 동안 설비를 중단시켜야 하므로 조업중단으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블레이드홀더에 포집된 이물질을 블레이드의 교체시 청소할 수 있는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이 직접 블레이드홀더와 더스트커버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롤러와 접촉되어 상기 롤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블레이드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블레이드홀더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린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클린블록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표면에 이물질이 직접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필름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홀더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롤러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블레이드홀더 내부로 안내하고 상기 클린블록을 지지하는 더스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홀더는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블레이드삽입슬릿이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클린블록이 구비되어,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후 블레이드를 블레이드홀더로부터 분리할 때 클린블록이 블레이드홀더와 더스트커버 내벽면을 닦으면서 이동하므로 블레이드홀더와 더스트커버 표면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홀더의 상면과 더스트커버의 내측면을 이물질차단필름이 커버하고 있으므로 이물질포집공간으로 포집된 이물질이 블레이드홀더와 더스트커버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클린블록과 이물질차단필름은 블레이드와 일체화된 모듈형태로 구비되어 블레이드홀더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작업공정이 간소화되고, 블레이드홀더와 더스트커버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물질 제거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블레이드와 이물질차단필름 및 클린블록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가 롤러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클린블록이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10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클리닝 대상인 롤러(A) 표면에 접촉되어 롤러(A)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롤러(A) 표면과 접촉되는 블레이드(110)와, 블레이드(110)가 롤러(A) 표면과 접촉되며 선압을 인가하도록 지지하는 블레이드홀더(120)와, 블레이드홀더(120)의 후방에 결합되는 축하우징(130)과, 블레이드홀더(120)의 이격되게 상부에 구비되어 롤러(A)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B)이 블레이드홀더(120) 내부로 포집되도록 하는 더스트커버(140)와, 블레이드(110)의 상면을 커버하여 이물질이 블레이드홀더(12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차단필름(150)과, 이물질차단필름(150)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블레이드(110)의 분리시 함께 이동되며 블레이드홀더(120) 표면을 청소하는 클린블록(160)과, 블레이드(110)가 롤러(A)와 접촉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접촉각도조절부(17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홀더(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롤러(A) 표면의 이물질(B)을 제거한다. 블레이드(110)는 탄성을 갖는 재질,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선단(110a)이 롤러(A) 표면을 일정 압력으로 긁으며 롤러(A)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블레이드(110)는 후술할 블레이드홀더(120)의 블레이드삽입슬릿(125)에 결합된다.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삽입슬릿(125)의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동일한 방식으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분리된다.
블레이드홀더(120)는 블레이드(110)가 롤러(A)로 일정 압력으로 접촉되도록 블레이드(110)를 지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홀더(12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부홀더(121) 및 하부홀더(123)를 포함한다. 상부홀더(121)와 하부홀더(123) 사이에 블레이드(110)가 삽입되는 블레이드삽입슬릿(125)이 형성된다.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삽입슬릿(125)을 통해 상부홀더(121)와 하부홀더(123)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사이에서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상부홀더(121)의 상부에는 블레이드(110)의 위치를 고정하는 블레이드위치조절나사(127)가 구비된다. 블레이드위치조절나사(127)는 블레이드(110)가 롤러(A)에 밀착된 상태로 이물질(B)을 제거할 때, 마찰 및 진동 등의로 쉽게 위치가 변경되고, 수평각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블레이드위치조절나사(127)는 상부홀더(121)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사결합된다. 블레이드위치조절나사(127)는 상부홀더(121)를 관통하여 삽입된 후 사용자가 조작하는 회전수에 따라 하부홀더(123)의 상면에 맞닿는 위치가 조절되어 블레이드(110)를 상부홀더(121)와 하부홀더(123) 사이에 구속시킨다.
블레이드(110)를 블레이드홀더(120)로부터 분리할 때는 블레이드위치조절나사(127)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홀더(121)와 하부홀더(123) 사이의 간격을 넓힌다.
한편, 블레이드위치조절나사(127)의 일측에는 블레이드홀더(120)를 축하우징(130)에 결합시키는 홀더하우징고정나사(129)가 구비된다. 홀더하우징고정나사(129)가 상부홀더(121)를 관통하여 축하우징(130)에 결합되어 블레이드홀더(120)가 축하우징(130)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축하우징(130)은 블레이드(110)가 롤러(A)와 접촉되는 접촉각도를 조절한다. 블레이드(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A)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접촉되어 롤러(A) 표면의 이물질(B)을 제거한다. 축하우징(130)은 블레이드홀더(120)와 결합되어 블레이드홀더(12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블레이드홀더(120)를 지지한다.
여기서, 축하우징(130)은 접촉각도조절부(170)에 의해 롤러(A)와의 접촉각도가 조절된다. 축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접촉각도조절부(170)에 의해 접촉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축(131)이 블레이드홀더(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각도조절축(131)의 일단에는 휠기어(133)가 형성되어 접촉각도조절부(170)의 웜기어(173)와 기어결합된다.
더스트커버(140)는 블레이드홀더(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물질(B)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블레이드홀더(120)와 더스트커버(140) 사이의 이물질포집공간(147)에 포집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더스트커버(140)는 클린블록(160)이 이물질포집공간(147) 내부에 위치되고 이동되도록 클린블록(160)을 지지한다.
더스트커버(140)는 축하우징(130)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판(141)과, 하우징결합판(141)으로부터 롤러(A)를 향해 전방으로 연장된 이물질안내판(143)과, 하우징결합판(141)의 선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부홀더(121)와 연결되는 홀더결합판(145)을 포함한다.
하우징결합판(141)은 축하우징(130)의 상면에 하우징결합나사(141a)에 의해 고정된다. 하우징결합판(141)이 축하우징(130)에 고정되어 이물질안내판(143)이 상부홀더(121)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가 고정된다.
이물질안내판(143)과 홀더결합판(145)은 롤러(A)를 향해 개구가 형성된 "ㄷ"자 형태로 결합된다. 이물질안내판(143)과 홀더결합판(145) 및 상부홀더(121)에 의해 형성된 이물질포집공간(147) 내에 롤러(A)로부터 분리된 이물질(B)이 포집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A)와 일정각도 경사지게 블레이드(110))가 롤러(A)와 접촉하며 롤러(A) 표면의 이물질(B)을 분리시키면, 분리된 이물질(B)이 개구를 통해 이물질포집공간(147)에 수용된다. 이물질안내판(143)은 롤러(A) 표면에서 분리된 이물질(B)이 주변으로 비산되어 다시 롤러(A) 표면에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물질(B)을 이물질포집공간(147)으로 안내한다.
여기서, 이물질안내판(143)의 선단에는 수직하게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곡형성된 클린블록지지판(143a)이 구비된다. 클린블록지지판(143a)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린블록(160)의 상부 외면을 접촉지지하여 클린블록(16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A)의 표면 청소가 완료된 후, 블레이드(110)를 블레이드홀더(120)로부터 분리할 때, 클린블록(160)이 상부홀더(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지지한다. 즉, 상부홀더(121)와 더스트커버(140) 사이에서 클린블록(160)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클린블록(160)을 접촉지지한다.
이물질차단필름(150)은 상부홀더(121)와 홀더결합판(145)을 커버하여 이물질(B)이 상부홀더(121)와 홀더결합판(145) 표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물질차단필름(150)은 합성수지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필름 형태로 형성된다.
도 4는 이물질차단필름(150)과 블레이드(110) 및 클린블록(16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차단필름(150)과 블레이드(110) 및 클린블록(160)은 서로 결합된 하나의 모듈형태로 구비된다. 이물질차단필름(150)의 선단영역(151)은 블레이드(110)의 표면에 제1접착제(C)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반면, 이물질차단필름(150)의 후단영역(153)은 자유단 형태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110)가 블레이드삽입슬릿(125)에 삽입될 때, 후단영역(15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삽입슬릿(125)에 함께 삽입되지 못하고 상부홀더(121)의 상면과 홀더결합판(145)의 일부를 덮는다.
이물질차단필름(150)의 전체 길이는 후단영역(153)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결합판(145)의 일부를 덮어 이물질포집공간(147)을 커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물질포집공간(147)으로 이물질(B)이 수용되더라도 이물질차단필름(150)의 상면에 적재되어 이물질(B)이 직접 상부홀더(121)와 홀더결합판(145)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이물질(B)이 상부홀더(121)와 홀더결합판(145) 표면에 고착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물질차단필름(150)을 일정길이(ℓ)만큼 제1접착제(C)에 의해 블레이드(110)와 결합되므로 블레이드(110)가 블레이드홀더(120)로부터 분리되면 함께 분리된다.
클린블록(160)은 이물질차단필름(15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블레이드(110)의 분리시에 이물질포집공간(147)에 수용된 이물질(B)을 청소한다. 클린블록(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차단필름(150)의 일단부에 제2접착제(D)에 의해 고정된다. 클린블록(160)의 하면에 제2접착제(D)에 의해 이물질차단필름(150)의 상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블레이드(110)가 블레이드홀더(120)에 삽입될 때 함께 이물질포집공간(147)으로 삽입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홀더(120)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110)가 롤러(A)와 접촉하며 이물질(B)을 제거할 때는 블레이드홀더(120)의 일단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A)의 이물질 제거를 완료하고 블레이드(110)가 블레이드홀더(120)로부터 제거될 때 이동하며 이물질포집공간(147)의 이물질(B)을 청소한다.
블레이드(110)가 블레이드홀더(12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될 때, 클린블록(160)도 상부홀더(121)와 더스트커버(140)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클린블록(1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포집공간(147)의 형상과 크기에 맞게 구비되므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부홀더(121)의 상면, 더스트커버(140)의 내면을 닦으면서 지나간다. 이에 따라 이물질포집공간(147) 내부의 이물질(B)들을 빗자루와 같이 쓸면서 지나간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이물질차단필름(150)이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이물질차단필름(150)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물질차단필름(150)이 없는 경우 클린블록(160)은 상부홀더(121)와 더스트커버(140) 내측면에 직접 부착된 이물질(B)들을 이동압력으로 청소하여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클린블록(160)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이물질(B)을 깨끗이 제거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접촉각도조절부(170)는 블레이드(110)가 롤러(A)와 접촉되는 접촉각도를 조절한다. 접촉각도조절부(170)는 축하우징(130)의 일측단에 결합된다. 접촉각도조절부(170)는 조절하우징(171)과, 조절하우징(171)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각도조절축(131)의 휠기어(133)와 치합되는 웜기어(173)를 포함한다.
웜기어(173)의 상부에는 조절핸들(175)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절핸들(175)을 회전하여 블레이드(110)가 롤러(A)와 접촉되는 접촉각도를 조절한다. 조절핸들(175)을 회전시키면, 웜기어(173)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휠기어(133)가 회전하면서 각도조절축(131)이 회동되어 접촉각도가 조절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100)의 동작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롤러(A) 표면의 이물질(B)을 제거하기 위해 블레이드(110)를 블레이드홀더(120)에 결합시킨다. 블레이드(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차단필름(150) 및 클린블록(160)과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구비된다.
블레이드(110)는 롤러(A)의 이물질(B)을 제거할 때 블레이드홀더(120)에 결합되고, 해당 롤러(A)의 이물질 제거가 완료되면 블레이드홀더(120)로부터 분리된다. 즉, 블레이드(110)와 이물질차단필름(150) 및 클린블록(160)은 1회용으로 사용된다.
작업자는 블레이드(110)를 블레이드삽입슬릿(125)으로 삽입하여 블레이드(110)를 블레이드홀더(120)에 고정한다. 이 때, 블레이드(110)의 상면에 배치된 이물질차단필름(150)은 블레이드(1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부홀더(121)의 상면을 덮으며 이동된다. 동시에 클린블록(160)은 이물질포집공간(147)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된다.
블레이드(110)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차단필름(150)이 상부홀더(121)와 홀더결합판(145)을 덮고, 클린블록(160)은 블레이드홀더(120)의 일측단부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접촉각도조절부(170)의 조절핸들(175)을 조작하여 블레이드(110)가 롤러(A)와 접촉되는 접촉각도를 조절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0)가 일정각도 경사지게 롤러(A)의 표면과 접촉되고, 롤러(A)의 회전에 따라 롤러(A)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제거된 이물질(B)은 이물질안내판(143)의 안내에 의해 이물질포집공간(147)에 수용된다.
이 때, 이물질포집공간(147)을 형성하는 상부홀더(121)와 홀더결합판(145)의 내벽면은 이물질차단필름(150)에 의해 덮혀 있으므로 이물질(B)이 직접 상부홀더(121)와 홀더결합판(145)에 부착 또는 고착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 상태로 이물질(B)이 이물질포집공간(147) 내에 점차 수용되고, 롤러(A) 표면의 이물질(B) 제거가 완료된다. 작업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린블록(160)이 배치된 반대방향으로 블레이드(110)를 외부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110)가 블레이드홀더(120)로부터 천천히 분리되고, 클린블록(160)은 작업자가 당기는 압력에 의해 이물질포집공간(147) 내부를 따라 이동된다.
클린블록(160)은 상부홀더(121)와 홀더결합판(145) 및 이물질안내판(143)의 내벽면과 접촉하면서 이동되므로, 이들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B)을 제거한다. 이에 의해 상부홀더(121)와 더스트커버(140) 내벽면에 잔여 이물질이 전혀 존재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추가적인 유지관리 및 청소를 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클린블록이 구비되어,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후 블레이드를 블레이드홀더로부터 분리할 때 클린블록이 블레이드홀더와 더스트커버 내벽면을 닦으면서 이동하므로 블레이드홀더와 더스트커버 표면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홀더의 상면과 더스트커버의 내측면을 이물질차단필름이 커버하고 있으므로 이물질포집공간으로 포집된 이물질이 블레이드홀더와 더스트커버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클린블록과 이물질차단필름은 블레이드와 일체화된 모듈형태로 구비되어 블레이드홀더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작업공정이 간소화되고, 블레이드홀더와 더스트커버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110 : 블레이드
120 : 블레이드홀더 121 : 상부홀더
123 : 하부홀더 125 : 블레이드삽입슬릿
127 : 블레이드위치조절나사 129 : 홀더하우징고정나사
130 : 축하우징 131 : 각도조절축
133 : 휠기어 140 : 더스트커버
141 : 하우징결합판 141a : 하우징결합나사
143 : 이물질안내판 143a : 클린블록지지판
145 : 홀더결합판 147 : 이물질포집공간
150 : 이물질차단필름 151 : 블레이드결합단
153 : 커버결합단 160 : 클린블록
170 : 접촉각도조절부 171 : 조절하우징
173 : 웜기어 173a : 조절핸들

Claims (4)

  1. 롤러와 접촉되어 상기 롤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블레이드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블레이드홀더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린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클린블록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표면에 이물질이 직접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홀더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롤러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블레이드홀더 내부로 안내하고 상기 클린블록을 지지하는 더스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홀더는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블레이드삽입슬릿이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50080095A 2015-06-05 2015-06-05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20160143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95A KR20160143410A (ko) 2015-06-05 2015-06-05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95A KR20160143410A (ko) 2015-06-05 2015-06-05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410A true KR20160143410A (ko) 2016-12-14

Family

ID=5757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095A KR20160143410A (ko) 2015-06-05 2015-06-05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34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229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포스코 피처리물 청소장치
KR20200039275A (ko)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이물 제거 장치 및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229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포스코 피처리물 청소장치
KR20200039275A (ko)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이물 제거 장치 및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07119B (zh) 一种单晶硅棒加工装置
KR101783941B1 (ko) 전후 이동이 가능한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20160143410A (ko)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101767832B1 (ko) 시편 가공장치
JP4825867B2 (ja) ワイヤソーシステム
TW200721290A (en) Cutting device
KR20120091730A (ko) 이물질 차단부재가 구비된 롤러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50006143A (ko) 이물질 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8221449A (ja) ドクター刃研磨装置およびドクター刃研磨方法
CN211515564U (zh) 一种轧辊清洁装置
CN103317606B (zh) 切削装置
TWI515084B (zh) 密封式打磨裝置
KR101754113B1 (ko) 리텝핑 장치
JP4890210B2 (ja) ドクター装置のドクターブレード装着方法、ブレード差込溝のクリーニング方法、および、クリーニング用ブレード
KR20160125474A (ko) 유리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10494B1 (ko) 롤 폴리셔
KR20190050511A (ko) 오일 스키머
KR101896064B1 (ko) 오일 스키머
KR20160143147A (ko) 롤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CN210757032U (zh) 一种提高除锈效果的除锈机
CA2845873A1 (en) Device for retaining doctor blades
KR101990670B1 (ko) 회전 테이블 장치
KR20210029044A (ko) 칼날세척장치
CN219666846U (zh) 一种带有除尘功能的防偏覆膜裁切一体机
KR200361279Y1 (ko) 롤러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