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223A - 냉장고 힌지 - Google Patents

냉장고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223A
KR20160143223A KR1020150079617A KR20150079617A KR20160143223A KR 20160143223 A KR20160143223 A KR 20160143223A KR 1020150079617 A KR1020150079617 A KR 1020150079617A KR 20150079617 A KR20150079617 A KR 20150079617A KR 20160143223 A KR20160143223 A KR 20160143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racket
supporter
coupling hole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183B1 (ko
Inventor
김판수
박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9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183B1/ko
Priority to CN201610352821.0A priority patent/CN106246021B/zh
Priority to US15/171,208 priority patent/US9976328B2/en
Priority to EP16172647.6A priority patent/EP3101373B1/en
Publication of KR2016014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44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힌지는 냉장고의 캐비닛 일측에 고정 장착되며, 개구된 사각형 형상의 결합홀이 형성된 힌지 서포터; 상기 힌지 서포터와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결합되며, 냉장고 도어의 회전 축을 지지하는 힌지 브라켓; 및 상기 힌지 브라켓에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홀의 내측에 밀착 고정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홀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되는 일측에서 상기 제 1 단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연결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힌지 { Hinge for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한편, 냉장고에 장착되는 도어 중 대부분이 회동에 의해 개폐되며, 이를 위해 상기 도어와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는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의 힌지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11755호에 개시되어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11755호에는 통상 본체에 고정되는 힌지판과, 상기 힌지판과 도어를 연결하여 도어의 회전 축이 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힌지가 개시되며, 상기 힌지판은 판금에 의해 기본적인 형상이 형성된 후 수직한 부분과 수평한 부분으로 벤딩되어 최종적인 형상이 형성되고 도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냉장고 본체에 고정 장착되는 구조가 개시된다.
하지만, 근래의 냉장고는 다기능화와 대형화로 인하여 냉장고 도어의 무게가 증가되어 위와 같은 구조의 힌지를 사용하는 경우 힌지의 변형에 의한 도어의 처짐과 그로 인한 도어 단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힌지의 벤딩된 부위의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미국공개특허 US2013/0249371에는 힌지핀이 장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마운팅 플레이트가 리베팅 결합되는 버티컬 플렌지로 구성되며, 마운팅 플레이트가 냉장고 캐비넷에 장착되는 구조의 힌지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힌지는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버티컬 플렌지의 사이에 조립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외관이 좋지 못하며, 표면처리시 도금 또는 고장이 고르게 도포되지 않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마운팅 플레이트와 버티컬 플렌지의 고정 부위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 힌지의 조립시 탈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마운팅 플레이트의 리베팅 가공에 의한 조립시 리베팅 되는 표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 냉장고 캐비넷의 전면에 조립될 때 틈새가 발생하여 정확한 위치와 상태로의 조립이 불가하게 되며, 이로 인한 단차 문제 또는 안정적인 지지가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힌지의 조립시 탈거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힌지는, 냉장고의 캐비닛 일측에 고정 장착되며, 개구된 사각형 형상의 결합홀이 형성된 힌지 서포터; 상기 힌지 서포터와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결합되며, 냉장고 도어의 회전 축을 지지하는 힌지 브라켓; 및 상기 힌지 브라켓에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홀의 내측에 밀착 고정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홀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되는 일측에서 상기 제 1 단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연결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홀과 삽입부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동일 연장선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들의 이웃하는 단부에 상기 제 2 단부가 위치되고, 먼 쪽에 제 1 단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는 가압에 의해 상기 결합홀의 내측을 채울 수 있는 부피만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홀의 개구된 일단에는 외측으로 확장되어 가압 변형된 상기 삽입부의 단부가 수용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 서포터에는, 상기 캐비닛과 접하는 일면에서 상기 결합홀이 수용되도록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와 대향되는 면에는 상기 함몰부와 대응하는 영역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힌지 서포터를 지지하는 브라켓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 지지부는 외측면이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 지지부는 상기 힌지 브라켓의 단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서포터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도금 또는 도장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힌지는, 냉장고의 캐비닛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힌지 서포터; 상기 힌지 서포터를 관통하여 개구되는 제 1 결합홀과 제 2 결합홀; 상기 힌지 서포터와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결합되며, 냉장고 도어의 회전 축을 지지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힌지 브라켓에서 상기 제 1 결합홀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제 1 삽입부; 및 상기 제 1 삽입부의 양측방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2 결합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홀의 내측에 밀착 고정되는제 2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서포터에는, 상기 캐비닛과 접하는 일면에서 상기 결합홀이 수용되도록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와 대향되는 면에는 상기 함몰부와 대응하는 영역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힌지 서포터를 지지하는 브라켓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삽입부의 단부는 스피닝 가공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함몰부의 내측에서 구속되는 변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변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수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삽입부의 가로 길이는 상기 제 2 삽입부의 가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힌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힌지는 프레스 가공되는 힌지 서포터와 힌지 브라켓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서포터는 프레스 가공시 서포터 함몰부와 대응하는 체적의 브라켓 지지부가 전면에 돌출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의 결합시 상기 브라켓 지지부가 상기 힌지 브라켓의 단부를 감싸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는 상기 삽입부와 결합홀의 결합구조 외에 상기 브라켓 지지부와 상기 힌지 브라켓 사이의 지지구조에 의해 이중으로 지지되어 보다 무거운 하중의 도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삽입부는 단면의 형상이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폭이 다소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결합홀에 수용되어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폭이 큰 쪽은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홀과의 고정기능을 수행하고,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부분은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홀을 메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홀 또는 상기 결합홀과 인접하는 상기 힌지 브라켓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변형으로 인한 틈새나 외관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결합홀의 출구측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의 후단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경사부와 변형된 상기 삽입부의 후단이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홀과 상기 삽입부 사이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와 상기 삽입부의 밀착구조에 의해 상기 힌지 서포터와 힌지 브라켓 사이의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다섯째, 상기 힌지 브라켓의 제 1 삽입부는 상기 힌지 서포터의 제 1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 서포터에 상기 힌지 브라켓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제 2 삽입부는 상기 제 2 결합홀을 관통하여 가압 변형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이 상기 힌지 서포터에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의 가압 변형 부위를 최소화 하면서도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 서포터의 결합구조를 구형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브라켓의 가압에 따른 상기 힌지 서포터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힌지의 장착 구조를 보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힌지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힌지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5-5'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힌지 브라켓과 힌지 핀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 서포터의 가 조립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 서포터의 조립 완료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10-10'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힌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힌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힌지 브라켓과 힌지 서포터의 가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 서포터의 조립 완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15-15'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되고, 냉장실의 도어의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되는 바텀프리즈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할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힌지가 구비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힌지의 장착 구조를 보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3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은 내부의 저장공간이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상부에 냉장실(12)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 바스켓 등이 구비되어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20,3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0)와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실(13)의 내측으로 서랍과 같이 인출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전면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제빙장치(21)와 디스펜서(미도시) 그리고 수납을 위한 각종 바스켓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힌지에 의해 캐비넷(10)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힌지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상단과 상기 캐비넷(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힌지와,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하단과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을 연결하는 중간 힌지(1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지지하는 중간 힌지(100)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며, 설명과 이해의 용이를 위해 "냉장실 도어(20)"를 "도어(20)"라 하며, "중간 힌지(100)"를 "힌지(100)"라고 한다.
도 2는 상기 힌지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힌지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5-5'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힌지 브라켓과 힌지 핀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힌지(100)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는 힌지 서포터(200)와, 상기 도어(20) 하단에 삽입되어 회전축 역할을 하는 힌지 핀(400), 그리고, 상기 힌지 핀(400)이 장착되며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20)를 지지하는 힌지 브라켓(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서포터(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20)의 무게에 따라서 다양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서포터(200)는 상기 도어(20)의 하단과 대응하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부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리어(11)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서포터(200)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외측 둘레가 라운드 지도록 성형됨은 물론 다수의 체결홀(210,220)과 결합홀(230)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외관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힌지 서포터(200)에는 상기 힌지 서포터(200)가 상기 캐비넷(1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홀(210,22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210,220)은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체결홀(210)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체결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체결홀(210)은 상기 결합홀(230)이 형성되는 일측방에 구비되며, 복수개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체결홀(210)이 형성되는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측단은 상기 메인 체결홀(210)의 형상을 따라서 라운드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체결홀(210)은 입구보다 출구의 내경이 더 작게 형성되며, 입구에서 출구록 갈수록 경사지는 형상의 테이퍼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도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메인 체결홀(21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500)가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두께에 관계없이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체결홀(220)은 상기 결합홀(230)이 위치되는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타측에 상하로 위치되며, 상기 결합홀(230)의 상방과 하방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서브 체결홀(220)은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홀(230)과 간섭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체결홀(220)은 상기 메인 체결홀(210) 보다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와 형성되는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구조와 형상은 동일하여 내측면이 상기 테이퍼부(2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체결홀(210)과 서브 체결홀(220)에는 체결부재(500)가 체결되어 상기 힌지 서포터(200)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재(500)는 각각 상기 메인 체결홀(210)과 서브 체결홀(220)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넷(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체결부재(500)는 상기 체결홀(210,220)에 안착되는 헤드부(510)와 상기 체결홀(210,220)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넷(10)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5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210,220)의 입구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헤드부(510)의 전면에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 조작 가능하도록 공구홈(5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510)의 둘레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면(5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512)은 상기 체결홀(210,220)에 형성되는 테이퍼부(211)와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500)의 크기와 관계없이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520)는 상기 안착면(512)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홀(210,220)의 출구측 내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520)는 상기 캐비넷(10)의 내측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500)는 상기 체결홀(210,220)에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면(512)은 상기 테이퍼부(211)와 완전히 밀착되고, 상기 체결부(520)는 상기 체결홀(210,220)을 지나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을 뚫고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500)의 안착면(512)과 상기 체결홀(210,220)의 테이퍼부(211)의 경사는 상기 체결부재(500)와 체결홀(210,220)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지지하중에 따라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두께가 달라지더라도 동일한 체결부재(500)를 이용하여 상기 힌지 서포터(20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체결부재(500)는 상기 메인 체결홀(210)과 서브 체결홀(220)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각각 다른 크기의 체결부재(500)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힌지 서포터(200)에는 결합홀(23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230)은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상하폭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 서포터(200)가 연장되는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230)은 상기 힌지 브라켓(300)에 형성되는 삽입부(31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230)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브라켓 지지부(240) 및 서포터 함몰부(250)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는 상기 힌지 브라켓(300)이 삽입되는 방향인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상기 결합홀(230)의 외측 영역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브라켓 지지부가 형성하는 내측의 공간에 한쌍의 상기 결합홀(230)이 모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는 전방으로 돌출될수록 그 두께가 얇아질 수 있도록 외측면의 형상이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300)이 상기 힌지 서포터(2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의 단부가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외측면과 이어지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의 내측면은 상기 힌지 브라켓(300)의 외측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힌지 브라켓(30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에 의해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힌지 브라켓(300)이 접하는 부분은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조립시 발생되는 틈새와 라인이 최소화 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힌지 브라켓(300)의 결합 후 도금 또는 도장과 같은 표면처리가 실시될 때, 불량이 발생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표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 위치와 반대되는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후면에는 서포터 함몰부(250)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 함몰부(25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서포터 함몰부(250)의 함몰된 부피는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의 돌출된 부피와 동일하게 된다. 즉,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힌지 서포터(200)를 가공함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함몰부(250)를 함몰 성형하는 만큼의 소재가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 함몰부(250)의 깊이는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의 돌출된 높이와도 비례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가 더 돌출될수록 상기 서포터 함몰부(250)는 더 함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 함몰부(250)의 내측 영역에는 상기 결합홀(23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230)은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힌지 브라켓(300)의 삽입부(310)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230)은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의 좌우 양측단에서 다소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230)의 출구측의 둘레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확장부(231)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231)는 힌지 서포터 후면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결합홀(230)의 출구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310)가 변형에 의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제제공하게 된다.
상기 결합홀(230)에 상기 삽입부(310)가 삽입되면 상기 삽입부(310)의 후단부는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배면의 높이보다 더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결합홀(230)의 출구측 보다는 더 돌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결합홀(230)의 출구측으로 노출된 상기 삽입부(310)의 후단을 프레스로 누르거나 리베팅을 통해 가압하여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삽입부(310)의 후단이 상기 확장부(23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의 후단은 상기 힌지 서포터에 걸림 구속되는 형태가 되며,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상기 힌지 브라켓(300)은 쉽게 분리되지 않고 서로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 브라켓(30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금속소재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 브라켓(300)은 도어(20)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구조의 특성상 그 두께가 힌지 서포터(200)의 두께보다는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힌지 브라켓(300)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전체적인 형상은 물론 힌지 핀(400)이 삽입되는 핀 삽입홀(320)과, 상기 힌지 핀(400)의 고정을 위한 브라켓 함몰부(330), 그리고 상기 삽입부(310)의 형상이 성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부(310)는 상기 힌지 브라켓(300)의 후단에서 나란하게 한쌍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으로 삽입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310)는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310)가 상기 결합홀(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 변형되어 상기 결합홀(230)과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삽입부(310)는 상기 결합홀(230)를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며, 그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10)의 단면 형상은 도 4 에서와 같이 삽입부(310)의 양단을 형성하는 제 1 단부(311)와 제 2 단부(312) 그리고, 상기 제 1 단부(311)의 제 2 단부(312)의 사이를 연결하는 한쌍의 경사부(3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부(311)와 제 2 단부(312)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단부(311)와 제 2 단부(312) 사이의 상단과 하단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31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1 단부(311)는 상기 힌지 브라켓(300)의 외측을 향하는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홀(230)의 상하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단부(312)는 상기 제 1 단부(311)와 대향되는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홀(230)의 상하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단부(312)의 길이는 상기 제 1 단부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313)는 상기 삽입부(310)의 상단과 하단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단부(311)와 제 2 단부(312)를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313)는 제 1 단부(311)측에서 제 2 단부(312)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310)는 한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되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삽입부(310)는 각각의 상기 제 2 단부(312)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부(310)의 상하 폭이 큰 제 1 단부(311)가 바깥쪽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홀(230)과의 결합시 상기 삽입부(310)의 바깥쪽 부분이 힌지 서포터(200)와의 강하게 구속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3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10)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방향 폭은 상기 삽입부(310)의 가로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세로방향 폭은 상기 제 1 단부(311)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310)의 삽입시 상기 제 1 단부(311) 및 제 2 단부(312)는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313)는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부(313)와 상기 결합홀 내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단부(311)측에서 제 2 단부(312)측으로 갈수록 더 커지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310)가 상기 결합홀(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310)의 후단이 가압되어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면 및 상기 확장부(231)에 상기 삽입부(310)가 완전히 밀착되어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삽입부(310)가 상기 결합홀(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홀(230)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기 삽입부(310)의 후단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삽입부(310)의 후단은 변형된다.
이때, 상기 제 1 단부(311)의 변형과 동시에 상기 제 2 단부(312)까지 변형되며 상기 경사부(313)가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변형되어 상기 삽입부(310) 전체가 상기 결합홀(230) 특히 상기 확장부(231)를 채워서 상기 삽입부(310)가 상기 결합홀(230) 내에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부(311)는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홀(230)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경사부(313) 및 제 2 단부(312)는 상기 삽입부(310)와 결합홀(230)의 사이 공간을 메우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310)는 가압에 의한 변형시에도 상기 결합홀(230)의 외측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핀 삽입홀(320)은 상기 힌지 핀(400) 하단의 형상과 대응하는 사각형 형상의 홀로 상기 힌지 브라켓(3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핀 삽입홀(320)에 상기 힌지 핀(4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핀(400)은 고정되며, 상기 도어(20)의 하단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도어(20)의 회전 축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핀 삽입홀(320)과 상기 힌지 핀(400) 사이에는 와셔(4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셔(410)는 상기 힌지 핀(400)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300)의 안착시 상기 도어(20) 또는 상기 도어(20)의 회전축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셔(41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이 내 마모성이 강하고 윤활성능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20)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힌지 브라켓(300)의 하면에는 브라켓 함몰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함몰부(330)는 상기 핀 삽입홀(320)의 하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핀 삽입홀(320)의 출구측 외측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함몰부(330)는 상기 핀 삽입홀(320)과 같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핀 삽입홀(320)의 외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핀(400)이 상기 핀 삽입홀(3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함몰부(330)의 공간 내에서 상기 힌지 핀(400) 하단을 코킹 또는 용접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300)에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이때 고정 작업이 완료된 상기 힌지 핀(400)의 하단은 상기 브라켓 함몰부(330) 내측 영역에 위치되어 힌지(100) 하부의 다른 도어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힌지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 서포터의 가 조립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8-8'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힌지(100)의 제조를 위해서는 우선,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힌지 브라켓(300) 그리고 힌지 핀(400)을 가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상기 힌지 브라켓(300)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은 물론 세부 구조까지 성형 된다.
상세히, 상기 힌지 서포터(200)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메인 체결홀(210)과 서브 체결홀(22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230) 또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 함몰부(250)의 성형시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 또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 브라켓(300) 또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핀 삽입홀(320)과 브라켓 함몰부(330) 그리고 삽입부(310)의 성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부(310)는 제 1 단부(311)와 제 2 단부(312)를 연결하는 경사부(3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성형되며, 상기 제 1 단부(311)는 상기 결합홀(230)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부(312)는 상기 제 1 단부(311)의 폭보다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310)는 한쌍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폭이 짧은 상기 제 2 단부(312)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고, 제 1 단부(311)가 외측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300)의 안정적인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힌지 브라켓(300)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힌지 브라켓(300)을 조립하게 된다. 이를 위해 우선, 상기 삽입부(310)를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310)가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부(310)가 형성된 상기 힌지 브라켓(300)의 단부가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310)는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에서 지지되는 상태가 되며,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에 의해 추가적으로 더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310)가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에서 밀착됨은 물론, 상기 힌지 브라켓(300)의 단부가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에 의해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상기 힌지 브라켓(300)의 서로 인접하는 부분은 라운드 또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310)의 후단은 상기 결합홀(230)의 개구된 후면보다 더 돌출되며, 이때, 상기 삽입부(310)의 돌출된 높이는 상기 삽입부(310)가 가압 변형되었을 때 상기 확장부(231)를 비롯한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을 채울 수 있는 부피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된다.
도 9는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 서포터의 조립 완료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10-10' 단면도이다.
상기 힌지 브라켓(300)이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에 삽입되고, 금형 또는 지그에 의해 상기 삽입부(310)가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에 삽입되어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결합홀(230)을 통과한 상기 삽입부(310)의 후단은 프레스 가공 또는 리베팅 가공에 의한 가압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삽입부(310)와 결합홀(230) 사이에 유격이 없이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상세히, 가조립된 상태의 상기 삽입부(310)의 후단은 상기 결합홀(230)의 출구를 통해서 후방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프레스 또는 리베팅 가공에 의해 상기 삽입부(310)의 후단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삽입부(310)가 변형된다.
이때, 상기 제 1 단부(311)는 이미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과 접하는 상태로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300)이 상기 힌지 서포터(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변형에 의해 상기 경사부(313)는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면을 향하여 변형되며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면과 접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삽입부(310)의 변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310)의 외측면 전체는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면과 접하며, 상기 삽입부(310)의 후단은 상기 결합홀(230) 출구의 확장부(231)측으로 변형되어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부(310)의 변형에 의해, 상기 삽입부(310)의 제 1 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일부는 상기 결합홀(230)과 구속결합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결합홀(230)의 내부를 채워 상기 결합홀(230) 사이의 틈새를 메우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310)는 제 1 단부(311)를 제외하고는 상기 결합홀(230)의 내측면과 단순 접촉되는 정도로의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결합홀(230) 또는 이와 인접하는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힌지 브라켓(300)과 힌지 서포터(200)의 결합시 상기 힌지 브라켓(300)과 힌지 서포터(200)의 결합은 유지하면서도,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변형에 의한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 서포터(200)에 상기 힌지 브라켓(300)이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힌지 브라켓(300)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에 의해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힌지 브라켓(300)은 외측면이 서로 접하는 부분은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상기 힌지 브라켓(300)이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힌지 브라켓(300)의 표면에는 도금 또는 도장과 같은 표면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힌지 브라켓(300)의 표면처리시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힌지 브라켓(300)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조립 틈새나 모서리 부분이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표면처리시 조립 틈새와 모서리 등에 의한 불량 발생이 방지 된다.
표면처리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힌지 브라켓(300)에 상기 힌지 핀(400)을 결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우선, 상기 힌지 핀(400)을 상기 핀 삽입홀(320)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핀 삽입홀(320)의 하방으로 노출된 상기 힌지 핀(400)은 상기 브라켓 함몰부(330)의 영역 내에서 코킹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힌지 브라켓(30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 핀(400)의 장착 및 표면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힌지(10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힌지(100) 설치를 위해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상기 힌지를 위치시킨 후 상기 체결부재(500)를 상기 메인 체결홀(210)과 서브 체결홀(220)에 체결하여 상기 힌지(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100)의 고정 장착 후에는 상기 도어(20) 하단의 힌지축과 상기 힌지 핀(4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힌지(100)의 장착 및 상기 도어(2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힌지(100)는 상기 도어(2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도어(20)는 상기 힌지(100)에 의해 상기 캐비넷(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힌지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힌지 브라켓에 제 1 삽입부와 제 2 삽입부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 서포터의 변형 없이 상기 힌지 브라켓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힌지 브라켓의 제 1 삽입부와 제 2 삽입부 구조 및 이와 결합되는 상기 힌지 서포터의 제 1 결합홀과 제 2 결합홀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힌지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힌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힌지 브라켓과 힌지 서포터의 가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힌지(101)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는 힌지 서포터(200)와, 상기 도어(20) 하단에 삽입되어 회전축 역할을 하는 힌지 핀(400), 그리고, 상기 힌지 핀(400)이 장착되며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20)를 지지하는 힌지 브라켓(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서포터(200)에는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의 결합을 위해 관통되는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힌지 서포터(200)에 함몰된 서포트 함몰부(260)의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함몰부(260)와 반대되는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일면에는 상기 서포트 함몰부(260)의 함몰된 체적과 대응하는 체적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브라켓 지지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지지부(240)는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장착시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둘레를 지지하는 것으로,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300)과 힌지 서포터(200)가 서로 접하는 연결부위에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힌지 서포터(200)에는 상기 힌지 서포터(200)가 상기 베리어(1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메인 체결홀(210)과 서브 체결홀(220)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체결홀(210)과 서브 체결홀(220)에는 체결부재(500)가 체결되며, 상기 힌지 서포터(20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일단에서 돌출되는 제 1 삽입부(341)가 삽입되는 제 1 결합홀(271)과, 제 2 삽입부(342)가 삽입되는 제 2 결합홀(27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홀(271)은 상기 제 1 삽입부(341)의 단면과 대응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방에 위치되는 한쌍의 상기 제 2 결합홀(272)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 1 결합홀(271)은 상기 제 1 삽입부(341)의 삽입시 상기 제 1 삽입부(341)의 외측면과 접하며 상기 힌지 브라켓(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홀(271)은 상기 제 2 결합홀(272)과 간섭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결합홀(272)과 동일한 높이에 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홀(272)은 상기 제 2 삽입부(342)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되며, 상기 제 1 결합홀(271)의 좌우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홀(272)의 크기는 상기 제 2 삽입부(342)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삽입부(342)의 압입시 변형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홀(272) 외측에는 상기 원형으로 된 수용부(26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61)는 상기 서포트 함몰부(260)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결합홀(272)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61)는 상기 서포트 함몰부(260)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함몰되며 상기 제 2 삽입부(342)의 가압에 의한 변형 가공시 상기 제 2 삽입부(342)의 단부가 넓게 퍼져 상기 수용부(261)를 채우면서 밀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힌지 브라켓(300)의 일측에는 힌지 핀(400)이 장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회전 축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핀(400)과 먼 다른 일단에는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제 1 결합홀(271) 및 제 2 결합홀(272)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부(341)와 제 2 삽입부(34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삽입부(341)는 상기 제 1 결합홀(271)에 삽입 가능한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삽입부(34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홀(272)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브라켓(300)에 하중이 가해지게 될 때 상기 제 1 삽입부(341)는 상기 제 1 결합홀(271)과 결합된 상태에서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삽입부(341)는 상기 제 1 결합홀(27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삽입부(341)의 후단이 상기 제 1 결합홀(271)의 개구된 후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삽입부(341)에 상기 제 1 결합홀(271)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 브라켓(300)의 후단은 상기 힌지 서포터(200)의 전면과 접하게 되며, 상기 제 1 삽입부(341)의 후단은 상기 제 1 결합홀(271)의 후면 개구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 2 삽입부(342)는 상기 제 1 삽입부(341)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 2 삽입부(342)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삽입부(342)는 상기 제 2 결합홀(27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홀(272)의 개구된 후면을 통과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돌출되는 제 2 삽입부(342)의 길이는 상기 제 2 삽입부(342)의 변형시 상기 수용부(261)를 채울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삽입부(342)는 제 1 삽입부(341) 보다는 크기가 작은 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 결합홀(272)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4는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 서포터의 조립 완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1의 15-15'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2 삽입부(342)는 상기 제 2 결합홀(27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홀(272)을 통과하여 돌출된 부분을 가압하면서 회전시키는 스피닝(spining)가공으로 변형시키게 된다.
상기 제 2 삽입부(342)의 가압 변형에 의해서 상기 힌지 브라켓(300)은 상기 힌지 서포터(2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즉, 단순히 연장되는 형상의 상기 제 2 삽입부(342)는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홀(272)을 통과하여 돌출된 부분이 원판 형상으로 변형되는 변형부(343)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변형부(343)의 형상은 상기 수용부(261)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수용부(261)의 내측을 채우게 됨으로써 상기 제 2 삽입부(342)는 상기 힌지 서포터(200)와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브라켓(300)이 상기 힌지 서포터(200)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삽입부(341)가 상기 제 1 결합홀(271)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제 2 삽입부(342)가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 2 결합홀(272) 및 수용부(261) 내측에 수용되어 서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4)

  1. 냉장고의 캐비닛 일측에 고정 장착되며, 개구된 사각형 형상의 결합홀이 형성된 힌지 서포터;
    상기 힌지 서포터와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결합되며, 냉장고 도어의 회전 축을 지지하는 힌지 브라켓; 및
    상기 힌지 브라켓에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홀의 내측에 밀착 고정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홀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되는 일측에서 상기 제 1 단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연결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과 삽입부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동일 연장선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들의 이웃하는 단부에 상기 제 2 단부가 위치되고, 먼 쪽에 제 1 단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가압에 의해 상기 결합홀의 내측을 채울 수 있는 부피만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의 개구된 일단에는 외측으로 확장되어 가압 변형된 상기 삽입부의 단부가 수용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서포터에는,
    상기 캐비닛과 접하는 일면에서 상기 결합홀이 수용되도록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와 대향되는 면에는 상기 함몰부와 대응하는 영역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힌지 서포터를 지지하는 브라켓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지지부는 외측면이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지지부는 상기 힌지 브라켓의 단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서포터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도금 또는 도장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10. 냉장고의 캐비닛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힌지 서포터;
    상기 힌지 서포터를 관통하여 개구되는 제 1 결합홀과 제 2 결합홀;
    상기 힌지 서포터와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결합되며, 냉장고 도어의 회전 축을 지지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힌지 브라켓에서 상기 제 1 결합홀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제 1 삽입부; 및
    상기 제 1 삽입부의 양측방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2 결합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홀의 내측에 밀착 고정되는제 2 삽입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힌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서포터에는,
    상기 캐비닛과 접하는 일면에서 상기 결합홀이 수용되도록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와 대향되는 면에는 상기 함몰부와 대응하는 영역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힌지 서포터를 지지하는 브라켓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삽입부의 단부는 스피닝 가공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함몰부의 내측에서 구속되는 변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변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수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삽입부의 가로 길이는 상기 제 2 삽입부의 가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힌지.
KR1020150079617A 2015-06-05 2015-06-05 냉장고 KR102426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617A KR102426183B1 (ko) 2015-06-05 2015-06-05 냉장고
CN201610352821.0A CN106246021B (zh) 2015-06-05 2016-05-25 冰箱铰链及其制造方法
US15/171,208 US9976328B2 (en) 2015-06-05 2016-06-02 Refrigerator hin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6172647.6A EP3101373B1 (en) 2015-06-05 2016-06-02 Refrigerator hin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617A KR102426183B1 (ko) 2015-06-05 2015-06-0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223A true KR20160143223A (ko) 2016-12-14
KR102426183B1 KR102426183B1 (ko) 2022-07-29

Family

ID=5609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617A KR102426183B1 (ko) 2015-06-05 2015-06-05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76328B2 (ko)
EP (1) EP3101373B1 (ko)
KR (1) KR102426183B1 (ko)
CN (1) CN1062460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160B1 (ko) 2015-08-03 2023-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9853B1 (ko) 2015-08-03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조방법, 다공성물질패키지, 및 냉장고
KR102525551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0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98210B1 (ko) 2015-08-03 2023-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CN111412714B (zh) 2015-08-03 2022-09-23 Lg电子株式会社 真空绝热体及冰箱
KR102466469B1 (ko) 2015-08-03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188A (ko)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2973B1 (ko) 2015-08-03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66470B1 (ko) 2015-08-04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MY188662A (en) * 2016-05-26 2021-12-22 Sharp Kk Hinge device and storage provided with same
US10317128B2 (en) * 2017-01-03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07044037B (zh) * 2017-03-29 2019-07-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轨道机构和具有其的滚筒洗衣机
US11421460B2 (en) * 2020-07-31 2022-08-23 Kason Industries, Inc. Pivot hinge bracket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459B1 (ko) * 2005-07-11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의 힌지 장치
KR20120009144A (ko) * 2010-07-22 2012-02-0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보강용 상부힌지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0866A (en) * 1927-05-16 1929-12-24 Kurz Kasch Company Hinge and mounting therefor
US1681032A (en) * 1927-06-07 1928-08-14 Northern Ind Chemical Company Hinged connection
US3065498A (en) * 1959-12-11 1962-11-27 Jervis Corp Hinge device
US3290109A (en) * 1965-07-30 1966-12-06 Gen Electric Refrigerator cabinet including adjustable hinge mounting
JPH0810111B2 (ja) * 1987-03-20 1996-01-31 松下冷機株式会社 断熱箱体の扉支持装置
US5156096A (en) * 1989-10-12 1992-10-20 Lamprey John P Anti-rotational outdoor shelf
JP3634069B2 (ja) * 1996-06-10 2005-03-3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277591B1 (ko) * 1997-09-29 2001-03-02 윤종용 냉장고
US20060017361A1 (en) * 2004-07-23 2006-01-26 Robert Rendel Hinge conduit casing
KR100688940B1 (ko) 2005-07-21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NO20061548L (no) * 2006-04-05 2007-10-08 Frip As Hoydejusteringsanordning for hengsel
WO2008075810A1 (en) * 2006-12-21 2008-06-26 Lg Electronics Inc. A door support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US8011064B2 (en) * 2008-11-25 2011-09-06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hinge cover
DE102010039742A1 (de) * 2010-08-25 2012-03-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festigungsanordnung in einem Kältegerät
DE102010039743A1 (de) * 2010-08-25 2012-03-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ältegerät
US8491070B2 (en) * 2010-10-04 2013-07-23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door pocket hinge assembly
CN102128536B (zh) * 2011-02-21 2012-08-22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铰链装置和具有该铰链装置的冰箱
US20130249371A1 (en) * 2012-03-23 2013-09-26 Whirlpool Corporation Hinge assemblies for a domestic refrigerator
KR20140132522A (ko) * 2013-05-08 2014-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3742014A (zh) * 2013-12-31 2014-04-23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冰箱中铰链、冰箱中铰链的加工方法及冰箱
KR101576740B1 (ko) * 2014-06-20 201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힌지 및 그 제조 방법
US9703327B2 (en) * 2015-06-27 2017-07-11 Intel Corporation Fastenerless hinge which enables thin form factor low cost desig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459B1 (ko) * 2005-07-11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의 힌지 장치
KR20120009144A (ko) * 2010-07-22 2012-02-0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보강용 상부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183B1 (ko) 2022-07-29
CN106246021B (zh) 2018-06-12
US9976328B2 (en) 2018-05-22
US20160356542A1 (en) 2016-12-08
EP3101373B1 (en) 2021-02-17
EP3101373A1 (en) 2016-12-07
CN106246021A (zh)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3223A (ko) 냉장고 힌지
KR101576740B1 (ko) 냉장고 힌지 및 그 제조 방법
CN112923636B (zh) 冰箱
KR101401690B1 (ko) 냉장고 도어핸들 장착구조
US9080808B2 (en) Refrigerator
US20100154457A1 (en) Hinge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60305706A1 (en) Refrigerator
US20070228911A1 (en) Refrigerator
US20130093306A1 (en) Refrigerator
EP2893274B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010564B2 (en) Refrigerator cabinet assembly
KR20090121030A (ko) 슬라이딩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
US9810474B2 (en) Joint members for refrigerator appliance casings
US11692761B2 (en) Refrigerator
US20090095011A1 (en) Can serv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611610B1 (ko) 냉장고
KR100626695B1 (ko) 냉장고 도어 힌지 고정구조
EP4212803A1 (en) Heat-insulated housing of household refrigeration appliance
KR101653312B1 (ko) 냉장고
EP3203168B1 (en) Refrigerator
KR20100022741A (ko) 냉장고
JPH07229678A (ja) 冷蔵庫の庫内灯取付装置
KR20000008802U (ko) 냉장고용 맛냉실 도어의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