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033A - 주름살 완화 테이프 - Google Patents

주름살 완화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033A
KR20160143033A KR1020150079058A KR20150079058A KR20160143033A KR 20160143033 A KR20160143033 A KR 20160143033A KR 1020150079058 A KR1020150079058 A KR 1020150079058A KR 20150079058 A KR20150079058 A KR 20150079058A KR 20160143033 A KR20160143033 A KR 20160143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wrinkle
layer
structural memb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봉
Original Assignee
정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봉 filed Critical 정기봉
Priority to KR1020150079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3033A/ko
Publication of KR2016014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61M35/006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using sponges, foams, absorbent pads or swabs as sprea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2013/029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transdermal patches (chemical processes exclu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부착되어 주름살을 완화하는 점착성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투명 소재 대상체(帶狀體)인 구조재(10)의 이면에는 점착층(11)이 형성되고, 점착층(11)의 중심부에는 주름완화성 약제로 구성된 선형(線形) 약제층(12)이 대상체인 구조재(10)의 종방향으로 도포 형성되어, 주름살을 형성하는 피부의 함몰부(31)에 약제층(12)이 접촉되도록 부착함으로써, 점착층(11)에 의한 함몰부(31)의 평탄화와 약제층(12)의 피부 침투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약제의 주사 등 복잡하고 부작용이 수반되는 시술 없이도 간편하고 안전한 주름살 완화 처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주름살 완화 테이프{WRINKLE RELIEF TAPE}
본 발명은 피부에 부착되어 주름살을 완화하는 점착성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투명 소재 대상체(帶狀體)인 구조재(10)의 이면에는 점착층(11)이 형성되고, 점착층(11)의 중심부에는 주름완화성 약제로 구성된 선형(線形) 약제층(12)이 대상체인 구조재(10)의 종방향으로 도포 형성되어, 주름살을 형성하는 피부의 함몰부(31)에 약제층(12)이 접촉되도록 부착함으로써, 점착층(11)에 의한 함몰부(31)의 평탄화와 약제층(12)의 피부 침투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름살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외과적 수술이나, 자가지방 또는 콜라겐 등의 주입 또는 보톡스 및 레스틸렌 등의 주름완화성 약제의 주사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기법은 다양한 후유증 또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술과정에서 신체적 및 경제적 부담이 동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약제가 도포된 패취(patch)를 처치 부위에 부착하여 광범위한 부위에 대한 완속한 약제의 침투를 유도하거나, 요철이 형성된 고강도 접착 시트를 부착하여 주름살이 형성된 피부를 강제 인장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각각 공개실용신안 제2008-2925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394890호를 들 수 있다.
주름살은 피부가 평탄성을 상실하여 표면이 상대적으로 요입된 함몰부(31)와 상대적으로 돌출된 융기부(32)가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주름완화성 약제가 단순 도포된 패취를 부착하는 경우 함몰부(31)와 융기부(32) 전체에 걸친 광범위한 약제 침투가 이루어지는 바, 상대적 요입 및 돌출 상태가 유지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주름살 완화 효과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특히, 광범위한 부위에 대한 약제의 침투로 인하여 약제의 과량 침투가 발생될 가능성이 크며, 이로 인하여 약제의 독성으로 인한 문제는 물론 약제에 대한 내성이 형성되는 등 다양한 부작용이 초래될 수 밖에 없다.
한편, 고강도 접착 시트를 부착하여 물리적으로 피부를 인장하는 방식 역시 그 효과가 극히 일시적일 수 밖에 없을 뿐 아니라, 처치 부위가 손상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주름살 형성 부위에 대한 적절한 물리적 변형을 유도함과 동시에 함몰부(31)에 대한 국소적 약제 침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피부에 부착되어 주름살을 완화하는 점착성 테이프에 있어서, 투명 소재 대상체(帶狀體)인 구조재(10)의 이면에는 점착층(11)이 형성되고, 점착층(11)의 중심부에는 주름완화성 약제로 구성된 선형(線形) 약제층(12)이 구조재(10)의 종방향으로 도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살 완화 테이프이다.
또한, 상기 구조재(10)는 원통형 드럼(20)에 권취되되, 구조재(10)의 점착층(11)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권취되고, 드럼(20)의 중심에는 회전축(21)이 형성되며, 회전축(21)의 양단에는 각각 지지판(22)이 결합되고, 회전축(21) 양측 지지판(22)의 회전축(21) 결합부 타측 단은 손잡이(23)에 접합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살 완화 테이프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약제의 주사 등 복잡하고 부작용이 수반되는 시술 없이도 간편하고 안전한 주름살 완화 처치가 가능하다.
종래의 단순한 약제 침투용 패취(patch)를 탈피하여, 대상(帶狀) 구조재(10)에 점착력을 부여하는 점착층(11)과, 전체 점착층(11) 대비 축소된 선형(線形) 약제층(12)을 복합 구성함으로써, 처치 부위에 긴장력을 형성하여 함몰부(31)의 물리적 융기와 약제의 침투가 동반 수행될 수 있으며, 이로써 주름살 환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처치 부위에 대한 적절한 물리적 변형 유도와 함께 국소적인 약제 침투를 유도함으로써, 충분한 주름살 완화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과도한 물리력의 작용 및 약제의 과량 침투로 인한 부작용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소재로 구조재(10)를 제작하고 부착시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재(10) 표면 중심부에 인식선(15)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주름살 형성 부위에 정확하고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구조재(10)를 드럼(20)에 권취(卷取)하고 드럼(20)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손잡이(23)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계별 대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권취형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도 3 실시예의 사용방식 설명도
도 5는 도 3 실시예의 드럼에 돌출면이 형성된 상태 예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름살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즉, 도 1의 발췌 확대부 및 동 도면의 A-A'선 단면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피부에 부착되어 주름살을 완화하는 점착성 테이프로서, 투명 소재 대상체(帶狀體)인 구조재(10)의 이면에는 점착층(11)이 형성되고, 점착층(11)의 중심부에는 주름완화성 약제로 구성된 선형(線形) 약제층(12)이 대상체인 구조재(10)의 종방향으로 도포 형성되며, 구조재(10)의 점착층(11) 타측 표면 중심부에는 인식선(15)이 표시된다.
대상체인 구조재(10)로는 합성수지제 필름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어 부착시 부착면의 피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구조재(10)의 이면(裏面) 즉, 피부 부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피부에 접촉되는 면에는 점착층(11)이 형성되어 구조재(10)에 점착력이 부여되며, 도 1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점착층(11)의 중심부에는 보톡스 등 주름완화성 약제로 구성된 약제층(12)이 구조재(10)의 중심선을 따라 선형으로 도포된다.
또한, 구조재(10)의 표면 즉, 피부 부착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점선 등의 형태로 인쇄되는 인식선(15)이 표시되는데, 인식선(15) 역시 구조재(10)의 중심선을 따라 표시되어, 결국 인식선(15)과 약제층(12)이 구조재(10)의 표면과 이면의 동일선상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약제층(12)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구조재(10) 부착시 인식선(15)이 주름살의 함몰부(31)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름살 완화 테이프는 도 2에서와 같이, 약제층(12)이 주름살이 형성된 피부의 함몰부(31)에 위치하고 약제층(12) 양측의 점착층(11)은 함몰부(31) 양측의 융기부(32)에 위치하도록 부착되며, 이로써 주름살 형성 부위에 대한 적절한 긴장력 부여와 동시에 함몰부(31)에 대한 국소적 약제 침투가 수행된다.
긴장력 부여 및 약제의 침투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 도 2의 하단부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주름살 완화 테이프를 제거하여도 보톡스 등 마비성 약제가 국소적으로 침투된 함몰부(31)는 긴장 상태 및 융기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주름살 형성 부위가 평탄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름살 완화 테이프는 통상의 의료용 밴드와 같이 점착층(11) 표면에 이형지(離形紙)를 부착하여 점착력을 유지하고 약제층(12)의 소실을 방지한 상태로 유통되거나, 통상의 접착 테이프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롤(roll) 형태로 유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형지가 부착된 형태 또는 롤 형태로 유통될 경우, 구조재(10)에서 이형지를 분리하거나 롤을 풀어 구조재(10)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약제층(12)이 교란 또는 분산되거나, 처치 계획 부위 이외의 부위에 약제층(12)이 접촉되어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손잡이(23)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원통형 드럼(20)에 주름살 완화 테이프를 권취하여 유통하고, 사용시 주름살 완화 테이프 권취체의 외주면을 처치 부위에 밀착한 상태에서 주행시킴으로써, 주름살 완화 테이프가 자연스럽게 권출(卷出)됨과 동시에 긴밀하게 점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구조재(10)는 원통형 드럼(20)에 권취되되, 구조재(10)의 점착층(11)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권취되고, 드럼(20)의 중심에는 회전축(21)이 형성되며, 회전축(21)의 양단에는 각각 지지판(22)이 결합되고, 회전축(21) 양측 지지판(22)의 회전축(21) 결합부 타측 단은 손잡이(23)에 접합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조재(10)는 통상의 롤형 테이프와는 달리 점착층(11)이 드럼(20) 중심측이 아닌 외측에 위치하도록 권취되어, 드럼(20)의 피부 표면상 주행에 의한 구조재(10) 권출시 자연스럽게 점착층(11)이 피부에 밀착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권취형 실시예를 통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이형지의 분리 및 인위적인 권출 조작 없이도 손잡이(23)를 잡고 처치 부위에 드럼(20)을 밀착한 후 이동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주름살 완화 테이프가 긴밀하게 점착됨은 물론 드럼(20)이 피부를 압박하는 마사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 권취형 실시예의 드럼(20) 외주면 중앙부가 외측으로 만곡 돌출되어 돌출면(29)이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전술한 점착층(10) 밀착 및 피부 압박 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10 : 구조재
11 : 점착층
12 : 약제층
15 : 인식선
20 : 드럼
21 : 회전축
22 : 지지판
23 : 손잡이
31 : 함몰부
32 : 융기부

Claims (2)

  1. 피부에 부착되어 주름살을 완화하는 점착성 테이프에 있어서,
    투명 소재 대상체(帶狀體)인 구조재(10)의 이면에는 점착층(11)이 형성되고;
    점착층(11)의 중심부에는 주름완화성 약제로 구성된 선형(線形) 약제층(12)이 구조재(10)의 종방향으로 도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살 완화 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구조재(10)는 원통형 드럼(20)에 권취되되, 구조재(10)의 점착층(11)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권취되고;
    드럼(20)의 중심에는 회전축(21)이 형성되며;
    회전축(21)의 양단에는 각각 지지판(22)이 결합되고;
    회전축(21) 양측 지지판(22)의 회전축(21) 결합부 타측 단은 손잡이(23)에 접합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살 완화 테이프.
KR1020150079058A 2015-06-04 2015-06-04 주름살 완화 테이프 KR20160143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058A KR20160143033A (ko) 2015-06-04 2015-06-04 주름살 완화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058A KR20160143033A (ko) 2015-06-04 2015-06-04 주름살 완화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033A true KR20160143033A (ko) 2016-12-14

Family

ID=5757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058A KR20160143033A (ko) 2015-06-04 2015-06-04 주름살 완화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30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0051B2 (en) Dressing product
AU2006333988B2 (en) Adhesive patch
US10517767B2 (en) Application of kinesiology tape bandage
KR101488143B1 (ko) 첩부제
EP1967171B1 (en) Production method of an adhesive patch
US20150335870A1 (en) Protective release sheet for microneedle patch
US10172748B1 (en) Inverting digit bandage with deployment strips
CN104334132A (zh) 用于护理个体的医药产品
KR20160143033A (ko) 주름살 완화 테이프
KR200483881Y1 (ko) 고투명 초박형 반창고
JPH0833674A (ja) 患部貼付材
KR20160002587U (ko) 반창고
JPS59501446A (ja) 包帯を患者に適用するための装置
JP4632042B2 (ja) 貼付補助材付き貼付剤
TWM565013U (zh) Easy tearing patch structure
JP4189837B2 (ja) 薬剤投与貼付材
CA2973527C (en) Kinesiology tape bandage
KR200401774Y1 (ko) 상처보호 주름밴드
KR200196050Y1 (ko) 일회용 상처보호구의 권취 시작점 고정구조
US20160038372A1 (en) Skin stretching tape and method of alleviating pain
JPH0670716U (ja) 防水指先救急絆創膏
GB2596842A (en) Medical dressing
JP2001247455A (ja) 貼付用シートとその支持方法
JPH07194648A (ja) 貼付体
JP3144140U (ja) 貼付薬貼り付け補助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