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566A -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 - Google Patents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566A
KR20160142566A KR1020150078454A KR20150078454A KR20160142566A KR 20160142566 A KR20160142566 A KR 20160142566A KR 1020150078454 A KR1020150078454 A KR 1020150078454A KR 20150078454 A KR20150078454 A KR 20150078454A KR 20160142566 A KR20160142566 A KR 20160142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ctuator
commercial
robot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651B1 (ko
Inventor
안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테크
Priority to KR102015007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65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28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9Tele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제어기에 있어서 로봇 구동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로봇 구동 명령에 상응하는 로봇 액츄레이터의 제어지령을 하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지령에 따라 로봇 액츄레이터의 모션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부는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과 상용 모션 제어 모듈을 하나의 제어기 내에 모두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로봇 구동 명령 별로 내장용과 상용으로 제어지령을 저장하고, 특정 입력 로봇 구동 명령에 상응하는 내장용과 상용 제어지령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 로봇 구동 명령에 따른 내장용과 상용 제어지령을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과 상용 모션 제어 모듈로 분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자체 서보 제어 액츄레이터와 상용 구동 액츄레이터 제어기를 구동할 수 있는 모션제어부분을 내장하여 전체 모션을 제어함으로, 로봇 제어 시스템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로봇 제어기의 모션제어 확장성을 확보한다.

Description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Apparatus for controlling robot typed in many different acturator}
본 발명은 로봇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액츄레이터를 구동하는 로봇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 제어기는 사용자 설정 명령(예를 들어, 로봇을 1m 이동시키라는 명령)에 따라 액츄레이터를 구동시켜 로봇의 모션을 제어하는 것이다.
기존 로봇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구동기로는 DC/BLDC 서보모터, 스텝(step) 모터, 인덕션모터를 주요 구동기로 사용하고 있다.
구동기의 제어 내용은 위치, 속도, 토크이다.
이러한 구동기를 모션제어기(로봇제어기 포함)를 이용하여 제어하는데, 기존의 제어기는 두 가지 형태의 제품이 있다.
첫 번째는 로봇 전문 메이커에서 자체 전용 액츄레이터 구동 제어기를 로봇 제어기에 포함하여 로봇을 구동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상용 모션 제어기로 상용 서보 모터, 스텝(step) 모터를 구동하는 방법이다. 지령 방식은 통신 또는 펄스(pulse) 방식 사용한다.
전문 로봇 메이커의 로봇 제어기는 추가의 액츄레이터 장착이 불가하며, 상용 구동기를 사용할 수 없어 추가의 액츄레이터 구동이 불가하여 시스템 확장에 제한이 있다.
모션제어기는 상용의 모션제어기로 상용의 구동제어기만을 제어할 수 있어 구동 시스템 구축 시 시스템 금액이 고가이다.
또한, 인버터/서보 속도, 전류 지령형은 아날로그 출력형의 별도의 모션 제어장치를 갖추어야만 제어가 가능하고 고가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자체 서보 제어 액츄레이터와 상용 구동 액츄레이터 제어기를 구동할 수 있는 모션제어부분을 내장하여 전체 모션을 제어함으로, 로봇 제어 시스템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로봇 제어기의 모션제어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 제어기는,
로봇 제어기에 있어서, 로봇 구동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로봇 구동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로봇 구동 명령에 상응하는 로봇 액츄레이터의 제어지령을 하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지령에 따라 로봇 액츄레이터의 모션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부는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과 상용 모션 제어 모듈을 하나의 제어기 내에 모두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로봇 구동 명령 별로 내장용과 상용으로 제어지령을 구분하여 저장하고, 특정 입력 로봇 구동 명령에 상응하는 내장용과 상용 제어지령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 로봇 구동 명령에 따른 내장용과 상용 제어지령을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과 상용 모션 제어 모듈로 분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내장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액츄레이터 제어 정보를 산출하여 통신 또는 데이터 버스로 자체 내장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내장 액츄레이터의 제어 연결 방식을 가지고,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상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펄스 수를 발생시켜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외장 사용 액츄레이터의 제어 연결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내장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액츄레이터 위치 제어 정보를 산출하여 통신 또는 데이터 버스로 자체 내장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내장 액츄레이터의 제어 연결 방식을 가지고,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상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통신 타입(type) 또는 펄스 형태로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외장 사용 액츄레이터의 제어 연결 방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센서를 구비하며, 로봇의 메인 전원 온(ON) 시 상기 센서를 온(ON) 시키고 나서 액츄레이터의 Z상 신호가 들어온 시점의 해당 위치를 원점으로 인식하거나 엔코더 없는 스텝(step) 액츄레이터는 원점 센서 만으로 원점을 찾는 오리진 프로세싱 모듈(origin processing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과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 각각은 상기 오리진 프로세싱 모듈이 인식한 원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원점에 해당 액츄레이터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상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는 자체 서보 제어 액츄레이터와 상용 구동 액츄레이터 제어기를 구동할 수 있는 모션제어부분을 내장하여 전체 모션을 제어함으로, 로봇 제어 시스템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로봇 제어기의 모션제어 확장성을 확보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는 자체 내장 서보 제어기와 상용 구동 제어기(스테퍼(stepper), DC/BLDC 서보, 인버터를 하나의 제어기에서 모두 구동할 수 있는 로봇 제어기로, 로봇 구동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로봇 구동 명령에 상응하는 로봇 액츄레이터의 제어지령을 하달하는 제어부(101)와,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하에 내장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102)(servo control module),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하에 외장 사용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상용 모션 제어 모듈(103) 및, 통신 모듈(106)(communication module)(외부 알에스232(rs232), 이더넷(ethernet), 필드버스(fieldbus) 통신)을 포함한다.
제어부(101)는 사용자 설정 로봇 구동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로봇 구동 명령에 상응하는 로봇 액츄레이터의 제어지령을 하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로봇 구동 명령 별로 내장용과 상용으로 제어지령을 구분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설정 로봇 구동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로봇 구동 명령에 상응하는 내장용과 상용 제어지령을 검출하여 입력 로봇 구동 값에 상응하는 내장용과 상용 제어지령을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102)과 상용 모션 제어 모듈(103)로 분기시킨다.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102)은 내장 액츄레이터(예: 교류(AC) 서보 모터(110))의 구동(위치/속도/전류)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102)은 상기 제어부(101)로부터 분기된 내장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액츄레이터 제어 정보(예를 들어, 로봇을 1m 이동시키라는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액츄레이터의 위치 제어 정보)를 산출하여 캔(CAN :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으로 자체 내장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내장 액츄레이터의 제어 연결 방식을 가진다.
상용 모션 제어 모듈(103)은 외장 사용 액츄레이터부(120, 130, 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스테퍼모터(122)(Stepper motor)의 구동을 제어하는 상용 스텝 드라이버(Step driver)(121), 교류(AC) 서보 모터(132)의 구동을 제어하는 상용 교류 서보 드라이버(ac servo driver)(131)에 위치 구동 지령 펄스 제너레이션(pulse generation) 또는 필드 버스 통신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103)은 상기 제어부(101)로부터 분기된 상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펄스 수를 발생시켜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외장 사용 액츄레이터의 제어 연결 구성이나 또는, 상기 제어부(101)로부터 분기된 상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필드 버스 통신 타입(type)으로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외장 사용 액츄레이터의 제어 연결 방식을 가진다. 상기 펄스 수는 바퀴 회전수에 대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고, 로봇 구동 값에 따른 상용 제어 지령에 따라 요구되는 바퀴 회전수만큼 펄스 수가 발생된다.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103)은 이렇게 발생된 펄스 수에 상응하여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위치를 제어한다.
오리진 프로세싱 모듈(105)(origin processing module)은 각 액츄레이터의 기준 원점을 찾는 모듈이다. 상기 오리진 프로세싱 모듈(105)은 제어부(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센서와 엔코더를 구비하며, 최초 로봇의 메인 전원을 온(ON) 시킨 경우 상기 센서를 온(ON) 시키고 나서 액츄레이터의 Z상 신호가 들어온 시점의 해당 위치를 기준 원점으로 인식하거나 엔코더 없는 스텝(step) 액츄레이터는 원점 센서 만으로 원점을 인식한다.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102)과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103) 각각은 상기 오리진 프로세싱 모듈(105)이 인식한 기준 원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기준 원점에 해당 액츄레이터를 위치시킨다.
디에이 모듈(104)(DA module)은 인버터와 같이 아날로그 속도 지령 액츄레이터 구동 지령 모듈이다. 예를 들어, 인덕션 서보 모터(142)의 구동을 제어하는 상용 인버터/서보 드라이버(141)에 아날로그 속도 지령 액츄레이터 구동 지령 모듈이다. 상기 디에이 모듈(104)(DA module)은 제어부(101)로부터 분기된 상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전압(예를 들어, 0V ~ 10V 중 어느 하나의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속도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는 먼저, 최초 로봇의 메인 전원을 온(ON) 시킨 경우 각 액츄레이터의 기준 원점을 찾아 각 액츄레이터를 기준 원점에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즉, 최초 로봇의 메인 전원을 온(ON) 시킨 경우 오리진 프로세싱 모듈의 센서를 온(ON) 시키고 나서 각 액츄레이터의 Z상 신호(한 바퀴가 다 돈 경우 1 펄스를 발생시키는 신호)가 들어온 시점의 해당 위치를 기준 원점으로 인식하고,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과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 각각은 상기 오리진 프로세싱 모듈이 인식한 기준 원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기준 원점에 해당 액츄레이터를 위치시킨다.
다음, 사용자 설정 로봇 구동 명령이 입력된 경우(S201), 제어부는 특정 입력 로봇 구동 명령에 상응하는 내장용과 상용 제어지령을 검출하여(S202) 상기 입력 로봇 구동 명령에 따른 내장용과 상용 제어지령을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과 상용 모션 제어 모듈로 분기시킨다.
즉, 로봇 구동 명령 별로 내장용과 상용으로 제어지령을 구분하여 저장하고, 특정 입력 로봇 구동 명령에 상응하는 내장용과 상용 제어지령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 로봇 구동 명령에 따른 내장용과 상용 제어지령을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과 상용 모션 제어 모듈로 분기시킨다.
그러면,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내장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액츄레이터 제어 정보(예를 들어, 로봇을 1m 이동시키라는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액츄레이터의 위치 제어 정보)를 산출하여 캔 통신으로 자체 내장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한다(S203).
그리고,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상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펄스 수를 발생시켜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한다(S204).
상기 펄스 수는 바퀴 회전수에 대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고, 로봇 구동 값에 따른 상용 제어 지령에 따라 요구되는 바퀴 회전수만큼 펄스 수가 발생된다.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은 이렇게 발생된 펄스 수에 상응하여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디에이 모듈(DA module)은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상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전압(예를 들어, 0V ~ 10V 중 어느 하나의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속도를 제어한다(S20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는 자체 서보 제어 액츄레이터와 상용 구동 액츄레이터 제어기를 구동할 수 있는 모션제어부분을 내장하여 전체 모션을 제어함으로, 로봇 제어 시스템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로봇 제어기의 모션제어 확장성을 확보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제어부 102 : 내장 서보 제어 모듈
103 : 상용 모션 제어 모듈 104 : 디에이 모듈
105 : 오리진 프로세싱 모듈 106 : 통신 모듈
110 : 교류(AC) 서보 모터 121 : 상용 스텝 드라이버
122 : 스테퍼모터 131 : 상용 서보 드라이버
132 : 교류(AC) 서보 모터 141 : 상용 인버터/서보 드라이버
142 : 인덕션 서보 모터

Claims (5)

  1. 로봇 제어기에 있어서,
    로봇 구동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로봇 구동 명령에 상응하는 로봇 액츄레이터의 제어지령을 하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지령에 따라 로봇 액츄레이터의 모션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부는,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과 상용 모션 제어 모듈을 하나의 제어기 내에 모두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로봇 구동 명령 별로 내장용과 상용으로 제어지령을 저장하고, 특정 입력 로봇 구동 명령에 상응하는 내장용과 상용 제어지령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 로봇 구동 명령에 따른 내장용과 상용 제어지령을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과 상용 모션 제어 모듈로 분기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내장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액츄레이터 제어 정보를 산출하여 통신 또는 데이터버스로 자체 내장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내장 액츄레이터의 제어 연결 방식을 가지고,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상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펄스 수를 발생시켜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외장 사용 액츄레이터의 제어 연결 구성을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 제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내장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액츄레이터 위치 제어 정보를 산출하여 통신 또는 데이터버스로 자체 내장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내장 액츄레이터의 제어 연결 방식을 가지고,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상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통신 또는 펄스 타입(type)으로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외장 사용 액츄레이터의 제어 연결 방식을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센서를 구비하며, 로봇의 메인 전원 온(ON) 시 상기 센서를 온(ON) 시키고 나서 액츄레이터의 Z상 신호가 들어온 시점의 해당 위치를 기준 원점으로 인식하거나 엔코더 없는 스텝(step) 액츄레이터는 원점 센서만으로 원점을 인식하는 오리진 프로세싱 모듈(origin processing module);
    을 포함하고,

    상기 자체 내장 서보 제어 모듈과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 각각은,
    상기 오리진 프로세싱 모듈이 인식한 기준 원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기준 원점에 해당 액츄레이터를 위치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모션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상용 제어 지령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용 외장 액츄레이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
KR1020150078454A 2015-06-03 2015-06-03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 KR101713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454A KR101713651B1 (ko) 2015-06-03 2015-06-03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454A KR101713651B1 (ko) 2015-06-03 2015-06-03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566A true KR20160142566A (ko) 2016-12-13
KR101713651B1 KR101713651B1 (ko) 2017-03-13

Family

ID=5757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454A KR101713651B1 (ko) 2015-06-03 2015-06-03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6853A (zh) * 2018-01-17 2018-07-27 广东工业大学 一种打磨机器人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068A (ko) * 1995-02-14 1996-09-17 이종수 로봇의 원점 수행방법
KR0160673B1 (ko) * 1995-02-13 1999-01-15 김광호 트윈 xy 로봇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58182A (ko) * 2010-11-29 2012-06-07 한국과학기술원 다수의 범용 포트들을 이용한 로봇 키트 컨트롤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673B1 (ko) * 1995-02-13 1999-01-15 김광호 트윈 xy 로봇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
KR960031068A (ko) * 1995-02-14 1996-09-17 이종수 로봇의 원점 수행방법
KR20120058182A (ko) * 2010-11-29 2012-06-07 한국과학기술원 다수의 범용 포트들을 이용한 로봇 키트 컨트롤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6853A (zh) * 2018-01-17 2018-07-27 广东工业大学 一种打磨机器人系统
CN108326853B (zh) * 2018-01-17 2021-08-24 广东工业大学 一种打磨机器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651B1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07541A1 (fr) Dispositif de contrôle d'un servomoteur
JPS6188782A (ja) デイジタルサーボ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9201418B1 (en) Servo motor drive
CN101933220B (zh) 电动机、用于控制电动机的设备以及用于起动电动机的方法
CN103457525A (zh) 电机驱动电路
CN104009679A (zh) 伺服电机的控制系统
JP5622125B2 (ja) 多軸モータ駆動システム及び多軸モータ駆動装置
CN205566144U (zh) 一种多电机速度伺服驱动控制结构
KR101866508B1 (ko) 스테핑 모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5204441A (zh) 手推示教式五轴抛光打磨机器人
CN209497405U (zh) 一种agv伺服电机驱动控制系统
KR101713651B1 (ko) 다종 액츄레이터 구동형 로봇제어기
Walęcki et al. Research oriented motor controllers for robotic applications
US7339334B2 (en) Real-time responsive motor control system
TW200713790A (en) AC servo drive without current sensor
US10082783B2 (en) Computer numerical control servo drive system
DE602006010875D1 (de) 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elektrischen synchronmotors insbesondere für haushaltsgeräte
CN102195544B (zh) 电动机驱动装置
CN111740648B (zh) 一种采用无刷直流电机的智能执行器及其控制方法
US9836040B2 (en) Motor control device, motor control system and motor control method
CN104158470A (zh) 一种用于雷达伺服系统的驱动器
CN108494297A (zh) 总线型直流无刷驱动装置
CN103731073A (zh) 控制驱动一个被驱动体的多个电动机的电动机控制装置
EP2953260A1 (en) Servo motor drive
KR20160072292A (ko) 모터 구동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