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068A -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068A
KR20160142068A KR1020150077945A KR20150077945A KR20160142068A KR 20160142068 A KR20160142068 A KR 20160142068A KR 1020150077945 A KR1020150077945 A KR 1020150077945A KR 20150077945 A KR20150077945 A KR 20150077945A KR 20160142068 A KR20160142068 A KR 20160142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line
base frame
convey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065B1 (ko
Inventor
장대식
Original Assignee
장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식 filed Critical 장대식
Priority to KR102015007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06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27B25/04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with feed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1/00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각재제재장치는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목재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제재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Square timber sawing apparatus and unsawn timber fabric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 처리된 원목을 사용자가 원하는 폭을 갖는 각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목을 제재하는 작업은 야적장에 적재된 원목을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제재기로 공급하고, 제재기를 이용하여 원목을 목재 규격에 맞도록 각재로 제작한 후, 절단장치 등을 이용하여 다시 작은 크기의 각재 또는 판목재 형태로 제작하는 단계를 거친다. 아울러 제작된 각재 또는 판목재는 규격에 따라 분류하여 적재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원목제재작업의 경우, 다수의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각목을 다양한 크기로 제재 시 정확성이 떨어져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하기 어려워 생산품의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많은 수의 작업자가 필요함에 따라 제품의 원가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14-0122342 P (공개일: 2014.10.20)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폭을 갖도록 각재를 제작할 수 있는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목재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제재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제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벨트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는,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회전 원통; 상기 회전 원통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2 구동모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측에서 목재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이드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원통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부; 및 상기 회전 원통을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내측으로 회피시키도록 상기 회전 원통을 수직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원통은 수평 이동이 상기 제1 및 제2 이송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며, 수직 이동이 제2 이송라인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구동벨트와 상기 커팅부의 커터 간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라인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이송롤러와, 상기 다수의 제1 이송롤러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4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라인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이송롤러와, 상기 다수의 제2 이송롤러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5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목 이송부; 상기 원목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원목을 정렬 및 클램핑한 후 제재하는 원목제재부; 및 상기 원목제재부에서 1차 가동된 원목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폭으로 제재하여 각재를 제작하는 각재제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재제재부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목재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과,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라인과, 상기 제1 이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제재하는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목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목가공장치에 포함된 각재제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각재제재장치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와 커터 간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제2 가이드부의 수직 이동을 위한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1차 가공목재를 제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제2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하는 목재를 회피하도록 회전 원통이 베이스 프레임부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아울러, 하기에서 언급하는 원목(w1)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공 전 상태의 목재를 나타내며, 1차 가공목재(w2)는 각재(w3)를 제작하기 위해 원목(w1)을 1차 제재한 상태의 목재를 나타내며, 각재(w3)는 1차 가공목재(w2)를 각재제재장치(50)를 통해 대략 사각형상으로 제재한 상태의 목재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목가공장치(1)는 원목이송장치(10), 원목제재장치(30), 각재제재장치(50), 각재이송라인(80) 및 화목이송라인(90)을 포함할 수 있다.
원목이송장치(10)는 벌목한 원목(w1)을 순차적으로 원목제재장치(30)로 송부하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목이송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원목(w1)은 원목(w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원목제재장치(30)는 원목이송장치(10)로부터 이송된 원목(w1)을 정렬 및 클램핑한 후 원목(w1)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목(w1)을 제재한다.
또한, 상기 원목제재장치(30)는 원목(w1)을 정렬 및 클램핑하기 위한 대차(31)와, 대차(31)에 클램핑된 상태로 이송되는 원목(w1)을 제재하기 위한 쏘잉 커터(sawing cutter)(33)를 포함한다.
대차(31)는 바닥에 설치된 레일(미도시)을 따라 일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또한 대차(31)는 원목이송장치(10)로부터 이송된 원목(w1)을 원목(w1)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동롤러(미도시)가 대차(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대차(31)는 원목(w1)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구조(미도시)를 갖는다.
쏘잉 커터(33)는 대차(31)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대차(31)에 의해 왕복 이송되는 원목(w1)을 적어도 2이상의 1차 가공목재(w2)로 제재한다.
상기 1차 가공목재(w2)는 각재제재장치(50)에서 각재(w3)로 제작된다. 원목제재장치(30)에서 제재된 1차 가공목재(w2)는 원목제재장치(30)와 각재제재장치(50) 사이에 배치된 1차 가공목재 이송라인(40)에 의해 각재제재장치(50)로 이송된다.
각재제재장치(50)는 원목제재장치(30)에서 1차 제재된 1차 가공목재(w2)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는 폭으로 제재하여 각재(w3)를 제작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재제재장치(50)는 베이스 프레임부(51), 제1 및 제2 이송라인(L1, L2), 커팅부, 제1 가이드부(55) 및 제2 가이드부(60), 컨트롤러(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부(51)는 제1 및 제2 이송라인(L1, L2), 커팅부, 제1 가이드부(55) 및 제2 가이드부(60)를 각각 지지한다. 베이스 프레임부(51)는 처리하는 1차 가공목재(w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단에서는 각각 작업자가 1명씩 배치되어 1차 가공목재를 제1 방향(A) 및 제2 방향(B2)으로 투입한다.
제1 이송라인(L1)은 베이스 프레임부(51) 상부에 베이스 프레임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베이스 프레임부(51)의 상부에 배치되어 1차 가공목재(w2)를 제1 방향(A)으로 이송한다. 상기 제1 이송라인(L1)은 소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부(51)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1 구동롤러(R1)를 포함한다. 다수의 제1 구동롤러(R1)는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소정의 구동체인(미도시)을 통해 전달받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이송라인(L2)은 제1 이송라인(L1)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프레임부(51) 상부에 베이스 프레임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이송라인(L2)은 제1 이송라인(L1)의 일측에 제1 이송라인(L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이송라인(L2)은 베이스 프레임부(51)의 상부에 배치되어 1차 가공목재(w2)를 제2 방향(B)으로 이송한다. 상기 제2 이송라인(L1) 역시 소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부(51)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2 구동롤러(R2)를 포함한다. 다수의 제2 구동롤러(R2)는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소정의 구동체인(미도시)을 통해 전달받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커팅부는 제1 이송라인(L1)에 상에 배치되는 커터(53)를 구비하며, 이 커터(53)를 통해 제1 이송라인(L1)을 따라 이송되는 1차 가공목재(w2)를 제재한다. 이 경우, 커터(53)는 베이스 프레임부(5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커터(53)는 제1 가이드부(55)와 제2 가이드부(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55)는 커터(53)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부(5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가이드부(55)는 구동벨트(55a)와, 구동벨트(55a)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이 경우, 구동벨트(55a)와 구동모터는 소정의 프레임(미도시)에 함께 설치된다. 프레임은 실린더부(미도시)에 의해 구동함에 따라, 구동벨트(55a)를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 위치(P1,P2) 사이에서 어느 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벨트(55a)는 커터(53)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원하는 각재(w3)의 폭에 따라, 구동벨트(55a)를 이동시켜 커터(53)와의 간격을 설정할 수있다.
상기 구동벨트(55a)는 1차 가공목재(w2)를 제1 이송라인(L1)의 다수의 제1 구동롤러(R1)와 함께 제1 방향(A)으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1차 가공목재(w2)는 제2 가이드부(60)의 회전 원통(61)에 1차 가공목재(w2)의 일측이 가압됨에 따라, 1차 가공목재(w2)의 타측이 구동벨트(55a)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커터(53)에 의해 제재된다. 또한, 1차 가공목재(w2)는 제2 가이드부(60)의 회전 원통(61)에 가압되지 않는 경우에도 구동벨트(55a)와 다수의 제1 구동롤러(R1)에 의해 이송되면서 커터(53)에 의해 제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가이드부(60)는 승강 프레임(61), 회전 원통(63), 구동모터(65), 수평 구동 실린더부(67) 및 수직 구동 실린더부(69)를 포함한다.
승강 프레임(61)은 수직 구동 실린더부(69)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 동작을 한다. 이는 회전 원통(63)을 선택적으로 베이스 프레임부(51)의 상측으로 돌출시키거나 베이스 프레임부(51) 내측으로 인입시키기 위함이다.
회전 원통(63)은 베이스 프레임부(51)의 상측으로 돌출된 경우, 1차 가공목재(w2)를 구동벨트(55a) 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1차 가공목재(w2)를 제1 방향(A)으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회전 원통(63)은 1차 가공목재(w2)가 제2 이송라인(L2)을 따라 제2 방향(B)으로 이송될 때, 도 8과 같이, 1차 가공목재(w2)의 이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베이스 프레임부(51) 내측으로 인입함으로써 1차 가공목재(w2)를 회피할 수 있다.
선회 프레임(64)은 일단에 회전 원통(63)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수평 구동 실린더부(67)의 피스톤 로드(67a)가 힌지 연결된다. 또한, 선회 프레임(64)은 중앙이 승강 프레임(61)의 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선회 프레임(64)은 수평 구동 실린더부(67)의 구동에 따라 선회 프레임(64)의 중앙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원통(63)을 제3 및 제4 위치(P3,P4) 사이의 어느 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65)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구동모터(65)에서 생성된 동력은 제1 구동체인(C1) 및 제2 구동체인(C2)을 통해 회전 원통(63)으로 전달된다.
제1 및 제2 구동체인(C1,C2)은 다수의 체인 스프라켓에 의해 상호 연동한다. 이 경우, 제1 체인 스프라켓(S1)은 구동모터(65)의 회전축(65a)에 연결되고 제2 체인 스프라켓(미도시)은 회전축(66)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3 체인 스프라켓(S3)은 회전축(66)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4 체인 스프라켓(S4)은 회전 원통(63)의 회전축(63a)에 연결된다.
수평 구동 실린더부(67)은 후단(67b)이 승강 프레임(61)의 일부에 힌지 연결된다. 수평 구동 실린더부(67)는 구동 시 선회 프레임(64)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원통(63)을 제3 및 제4 위치(P3,P4) 사이에서 어느 한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수평 구동 실린더부(67)는 1차 가공목재(w2)의 폭이 구동벨트(55a)와 회전 원통(63) 사이의 설정 간격보다 큰 경우, 도 5와 같이, 1차 가공목재(w2)가 구동벨트(55a)와 회전 원통(63) 사이로 인입될 때 1차 가공목재(w2)에 의해 회전 원통(63)이 구동벨트(55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도록 하는 일종의 댐퍼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 가공목재(w2)는 회전 원통(6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제1 이송방향(A)으로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송되면서 커터(53)에 의해 제제될 수 있다.
수직 구동 실린더부(69)는 승강 프레임(61)을 소정 높이로 상승 및 하강시킨다. 이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승강 프레임(61)의 일측에는 연결부재(61a)가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부(61)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고정된 고정축(62)은 연결부재(6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상기 수직 구동 실린더부(69)는 승강 프레임(61)을 상승시킴에 따라 회전 원통(63)을 베이스 프레임부(51) 상측으로 돌출시키며, 승강 프레임(61)을 하강시킴에 따라 회전 원통(63)을 베이스 프레임부(51) 내측으로 인입시킨다.
컨트롤러(70)는 전술한 커팅부, 다수의 구동모터 및 실린더부를 제어하도록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70)는 사용자가 1차 가공목재(w2)를 제재하기 위한 폭을 임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입력수단(예를 들면, 다수의 숫자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각재 이송라인(80)은 각재제재장치(50) 일측에 배치되며, 각재제재장치(50)에서 원하는 치수로 제작된 각재(w3)를 각재를 제1 적재부(81)로 이송한다.
화목 이송라인(90)은 각재제재장치(50) 타측에 배치되며, 각재(w3)를 제작하기 위해 1차 가공목재(w3)를 가공하면서 잘려나온 자투리 목재(w4)를 제2 적재부(91)로 이송한다. 이와 같은 자투리 목재(w4)는 땔감이 되는 화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원목가공장치(1)는 각재 이송라인(80) 및 화목 이송라인(90)을 통해 용도에 따라 각재(w3)와 자투리 목재(w4)를 각각 분리하여 적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목가공장치(1)를 통해 원목(w1)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원목(w1)을 원목이송장치(10)에 의해 원목제재장치(30)로 이송한다. 원목제재장치(10)에서는 원목(w1)을 각재제재장치(50)에서 가공이 용이하도록 소정 폭을 갖는 다수의 1차 가공목재(w2)로 제재한다.
이어서, 1차 가공목재(w2)는 1차 가공목재 이송라인(40)에 의해 각재제재장치(50)로 이송된다. 각재제재장치(50)에서는 도 5와 같이 1차 가공목재(w2)를 제1 이송라인(L1)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때, 1차 가공목재(w2)는 제1 가이드부(55)의 구동벨트(55a)와 제2 가이드부(60)의 회전 원통(6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커터(53)를 향해 이동한다. 1차 가공목재(w2)는 사용자가 컨트롤러(70)를 통해 구동벨트(55a)와 커터(53)의 간격(D)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격(D)은 1차 가공목재(w2)에서 절단되는 두께(t)에 대응한다.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벨트(55a)와 커터(53)의 간격(D)을 컨트롤러(70)의 입력수단을 조작하여 원하는 값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갖는 각재(w3)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원목이송장치 30: 원목제재장치
50: 각재제재장치 51: 베이스 프레임부
53: 커터 55: 제1 가이드부
55a: 구동벨트 60: 제2 가이드부
61: 승강 프레임 63: 회전 원통
65: 구동모터 67: 수평 구동 실린더부
69: 수직 구동 실린더부 70: 컨트롤러
80: 각재이송라인 90: 화목이송라인

Claims (10)

  1.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목재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제재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제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벨트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제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회전 원통;
    상기 회전 원통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2 구동모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측에서 목재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이드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원통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부; 및
    상기 회전 원통을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내측으로 회피시키도록 상기 회전 원통을 수직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제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원통은 수평 이동이 상기 제1 및 제2 이송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며, 수직 이동이 제2 이송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제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구동벨트와 상기 커팅부의 커터 간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제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라인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이송롤러와, 상기 다수의 제1 이송롤러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4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라인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이송롤러와, 상기 다수의 제2 이송롤러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5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제재장치.
  7. 원목 이송부;
    상기 원목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원목을 정렬 및 클램핑한 후 제재하는 원목제재부; 및
    상기 원목제재부에서 1차 가동된 원목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폭으로 제재하여 각재를 제작하는 각재제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재제재부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목재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과,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라인과, 상기 제1 이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제재하는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제재부는 원목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대차부; 및
    상기 대차부에 이동하는 원목을 미리 설정된 폭으로 제제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가공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1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벨트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부는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회전 원통과, 상기 회전 원통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2 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측에서 목재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이드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원통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부와, 상기 회전 원통을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내측으로 회피시키도록 상기 회전 원통을 수직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가공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재제재부의 일측에 배치된 각재 이송라인; 및
    상기 각재제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각재로 사용하지 못하는 목재를 이송하기 위한 화목 이송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가공장치.
KR1020150077945A 2015-06-02 2015-06-02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 KR101789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45A KR101789065B1 (ko) 2015-06-02 2015-06-02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45A KR101789065B1 (ko) 2015-06-02 2015-06-02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68A true KR20160142068A (ko) 2016-12-12
KR101789065B1 KR101789065B1 (ko) 2017-10-23

Family

ID=5757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945A KR101789065B1 (ko) 2015-06-02 2015-06-02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389B1 (ko) 2021-09-27 2022-02-08 반성욱 원웨이 스마트 제재기
KR102540029B1 (ko) 2023-02-16 2023-06-05 주식회사 하림산업 하측 커팅부를 갖는 원목 제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342A (ko) 2013-04-09 2014-10-20 (주) 해양목재 원목의 자동 제재 분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0774A (ja) * 2005-12-15 2007-06-28 Naigai Kogyo Kk クランプ装置
KR100608393B1 (ko) 2006-02-13 2006-08-02 김인수 목재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342A (ko) 2013-04-09 2014-10-20 (주) 해양목재 원목의 자동 제재 분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389B1 (ko) 2021-09-27 2022-02-08 반성욱 원웨이 스마트 제재기
KR102540029B1 (ko) 2023-02-16 2023-06-05 주식회사 하림산업 하측 커팅부를 갖는 원목 제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065B1 (ko) 201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856B1 (ko) 하이브리드 포밍 펀칭 전용기
US4676130A (en) Lumber edger
JP2003080434A (ja) 木材やプラスチック材料などの工作物を加工する装置及び方法
CN110000873B (zh) 一种木结构构件上下料系统及方法
KR101458308B1 (ko) 하이브리드 합성 보의 제작 방법 및 하이브리드 합성보
RU2533065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обрабатываемой детали
CA2586047A1 (en) A panel saw machine
US5179883A (en) Apparatus for dividing wood
KR101789065B1 (ko)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
JP2020199601A (ja) 搬送装置および工作機械
KR101885574B1 (ko) 목재 가공장치
EP3827950A1 (en) Machine for machining panels
US11565362B2 (en) Modular apparatus and method for machining flat sheets
KR100416651B1 (ko)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JP2001205485A (ja) 自動加工装置
CN205074565U (zh) 一种板料自动钻孔设备
US4409875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ntegral wooden angle bar
KR20190124577A (ko) 목재도어의 측면 가공장치
KR20170002734U (ko) 자동 목재절단 장치
JPH0592336A (ja) 長尺の被加工物のクランプ装置
CN210589727U (zh) 一种用于小径材梯形板加工的运输角度调整装置
KR20120028736A (ko) 목재 가공장치
KR101483283B1 (ko) 균일 하중 이송수단을 구비한 목재 접합장치
KR101362931B1 (ko) 절단기
US6666367B1 (en) Component processing c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