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955A -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 Google Patents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955A
KR20160141955A KR1020150077666A KR20150077666A KR20160141955A KR 20160141955 A KR20160141955 A KR 20160141955A KR 1020150077666 A KR1020150077666 A KR 1020150077666A KR 20150077666 A KR20150077666 A KR 20150077666A KR 20160141955 A KR20160141955 A KR 20160141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upply line
valve
oi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근
Original Assignee
(주)동서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서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동서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50077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1955A/ko
Publication of KR2016014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0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lifting achieved by pivoting of the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특장차용 유압유니트가 개시된다. 상기 유압유니트는, 단동실린더를 통하여 작동되는 승강장치와, 복동실린더를 통하여 작동되는 개폐장치를 모두 구동하기 위한 특장차용 유압유니트로서, 오일탱크(130)로부터 오일을 공급하는 펌프(100)에 연결되며, 역류방지밸브(210)가 구비된 메인공급라인(200); 상기 메인공급라인(200)을 제1공급라인(400)과 제2공급라인(50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메인밸브(300); 상기 제1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며, 상기 단동실린더의 포트(A)에 연결되는 승강라인(600); 상기 승강라인(600) 상에 구비되며, 온(on)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라인(600)에 오일이 쌍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라인(600)에 오일이 쌍방향 모두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는 승강밸브(650); 상기 제1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며, 상기 복동실린더의 제1포트(B)에 연결되는 개폐라인(700); 상기 개폐라인(700) 상에 구비되며, 온(on)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라인(700)에 오일이 쌍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라인(700)에 오일이 쌍방향 모두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는 개폐밸브(750); 및 상기 제2공급라인(500)에서 분기되어 오일탱크(130)에 연결되는 오리피스라인(8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특장차용 유압유니트{Hydraulic power unit of wing-body and liftgate for special truck}
본 발명은 특장차용 유압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동(Two-single acting) 및 단복동(One-single and one-double acting)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유압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윙바디(wing body) 및 리프트게이트(lift gate) 생산 시 유압유니트의 작동 방법의 따라 단단동과 단복동 두 가지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통상 리프트게이트에 스틸 재질의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단단동을 사용하고, 알루미늄 재질의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단복동을 사용하고 있다.
단복동의 경우 실린더 내부의 잔압으로 인해 리프트게이트 끝 부분이 움직이게 되므로, 화물 이/적재용 대차가 걸리는 경우가 많아서 리프트게이트를 원활히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단단동 또는 단복동을 사용하는 경우 리프트게이트를 열고 닫을 때 리프트게이트가 급격히 빠르게 작동하여 속도조정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압유니트 외부에 밸브(가변식 유량조절밸브)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한계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1610호 (공개일자 2007. 6. 14.)
본 발명은 단단동과 단복동을 모두 구현하면서, 잔압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압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동실린더를 통하여 작동되는 승강장치와, 복동실린더를 통하여 작동되는 개폐장치를 모두 구동하기 위한 특장차용 유압유니트로서,
오일탱크(130)로부터 오일을 공급하는 펌프(100)에 연결되며, 역류방지밸브(210)가 구비된 메인공급라인(200);
상기 메인공급라인(200)을 제1공급라인(400)과 제2공급라인(50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메인밸브(300); - 여기서, 상기 제2공급라인(500)은 상기 복동실린더의 제2포트(C)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밸브(300)가 오프 상태이면 상기 메인공급라인(200)이 상기 제1공급라인(400)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밸브(300)가 온 상태이면 상기 메인공급라인(200)이 상기 제2공급라인(500)과 연결됨
상기 제1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며, 상기 단동실린더의 포트(A)에 연결되는 승강라인(600);
상기 승강라인(600) 상에 구비되며, 온(on)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라인(600)에 오일이 쌍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라인(600)에 오일이 쌍방향 모두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는 승강밸브(650);
상기 제1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며, 상기 복동실린더의 제1포트(B)에 연결되는 개폐라인(700);
상기 개폐라인(700) 상에 구비되며, 온(on)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라인(700)에 오일이 쌍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라인(700)에 오일이 쌍방향 모두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는 개폐밸브(750); 및
상기 제2공급라인(500)에서 분기되어 오일탱크(130)에 연결되는 오리피스라인(800)을 포함하는 특장차용 유압유니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동실린더를 통하여 작동되는 승강장치와, 단동실린더를 통하여 작동되는 개폐장치를 모두 구동하기 위한 특장차용 유압유니트로서,
오일을 공급하는 펌프(100)에 연결되며, 역류방지밸브(210)가 구비된 메인공급라인(200);
상기 메인공급라인(200)과 연결되며, 온(on)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공급라인(200)을 제1공급라인(400)과 연결시키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제1공급라인(400)을 오일탱크(130)에 바로 연결시키는 메인밸브(300);
상기 제1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며, 상기 승강장치를 작동시키는 실린더의 포트(A)에 연결되는 승강라인(600);
상기 승강라인(600) 상에 구비되며, 온(on)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라인(600)에 오일이 쌍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라인(600)에 오일이 쌍방향 모두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는 승강밸브(650);
상기 제1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며, 상기 개폐장치를 작동시키는 실린더의 포트(B)에 연결되는 개폐라인(700); 및
상기 개폐라인(700) 상에 구비되며, 온(on)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라인(700)에 오일이 쌍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라인(700)에 오일이 쌍방향 모두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는 개폐밸브(750)를 포함하는 특장차용 유압유니트가 제공된다.
상기 특장차용 유압유니트에서, 상기 메인공급라인(200)에서 분기되는 릴리프라인(220) 및 상기 릴리프라인(220) 상에 구비되는 릴리프밸브(2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일탱크와 상기 펌프 사이에 개재되는 여과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펌프는 기어펌프(gear pump)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밸브, 승강밸브, 개폐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유압유니트에서 단단동과 단복동을 모두 구현하면서, 잔압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유니트를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2는 리프트게이트가 상승할 때 유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리프트게이트가 하강할 때 유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리프트게이트가 단동실린더 방식으로 닫힐 때 유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리프트게이트가 단동실린더 방식으로 열릴 때 유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리프트게이트가 복동실린더 방식으로 닫힐 때 유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리프트게이트가 복동실린더 방식으로 열릴 때 유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압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유니트는 리프트게이트가 설치된 특장차에 사용될 수 있는 유압유니트로서, 리프트게이트의 승강 및 개폐를 구현함에 있어서 단단동 방식과 단복동 방식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게이트의 재질 등에 따라 리프트게이트의 개폐 방식을 단동 또는 복동으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 추가적인 설비의 변경 없이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리프트게이트가 승강하는 경우, 리프트게이트가 단동실린더 방식으로 개폐되는 경우, 리프트게이트가 복동실린더 방식으로 개폐되는 경우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유압유니트의 유압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리프트게이트가 단동실린더 방식으로 승강되고, 복동실린더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상정하여 총 3개의 포트(A, B, C)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포트 A는 리프트게이트의 승강을 구현하는 유압실린더에 형성되는 포트이고, 포트 B와 C는 리프트게이트의 개폐(회동)를 구현하는 유압실린더에 형성되는 포트이다. 그러나 만일 리프트게이트의 개폐를 단동실린더 방식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포트 C에 연결되는 라인(500)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고 포트 A와 포트 B에 연결되는 라인들(600, 700)만을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변화된 환경에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유니트는 오일탱크(130), 펌프(100), 메인공급라인(200), 메인밸브(300), 제1공급라인(400), 승강라인(600), 승강밸브(650), 개폐라인(700), 개폐밸브(750), 제2공급라인(500), 오리피스라인(800) 등을 주된 구성요소로 갖는다.
오일탱크(130)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을 공급 및 저장하는 곳이다. 유압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 모터(110)에 의해 펌프(100)가 작동하면 오일탱크(130)에 저장된 오일이 메인공급라인(200)을 통해 필요한 곳으로 공급된다. 이 때 펌프(100) 방향으로 오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공급라인(200)에는 역류방지밸브(210)가 구비되며, 각 장치에 과도한 유압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공급라인(200)에는 릴리프밸브(230)가 구비된 릴리프라인(220)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오일을 공급하는 펌프(100)로서 기어펌프를 이용하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변형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오일탱크(130)와 펌프(100) 사이에는 오일을 여과시키는 여과기(12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메인공급라인(200)의 일단에는 메인밸브(300)가 연결된다. 메인밸브(300)는 온/오프에 따라 오일의 경로를 변경시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유니트가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밸브(300)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변형도 가능할 것이다. 이는 추후 설명할 승강밸브(650), 개폐밸브(75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메인밸브(300)는 제1공급라인(400)과 연결되는데, 제1공급라인(400)은 승강라인(600)과 개폐라인(700)으로 분기된다. 승강라인(600)은 리프트게이트의 승강을 구현하는 유압실린더의 포트(A)에 연결되며, 개폐라인(700)은 리프트게이트의 개폐(회동)를 구현하는 유압실린더의 포트(B)에 연결된다.
승강라인(600) 상에는 승강밸브(650)가 구비되는데, 승강밸브(650)는 온(on) 상태에서는 승강라인(600)에 오일이 쌍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승강라인(600)에 오일이 쌍방향 모두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개폐라인(700) 상에는 개폐밸브(750)가 구비되는데, 개폐밸브(750)는 온(on) 상태에서는 개폐라인(700)에 오일이 쌍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개폐라인(700)에 오일이 쌍방향 모두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메인밸브(300)는 제2공급라인(500)과도 연결된다. 메인밸브(300)의 온/오프에 따라 메인공급라인(200)이 제1공급라인(400)과 연결될지, 제2공급라인(500)과 연결될지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밸브(300)가 오프 상태이면 메인공급라인(200)은 제1공급라인(400)과 연결되며, 메인밸브(300)가 온 상태이면 메인공급라인(200)은 제2공급라인(500)과 연결된다.
제2공급라인(500)은 리프트게이트의 개폐를 구현하는 유압실린더의 또 다른 포트(C)에 연결될 수 있는데, 리프트게이트의 개폐가 복동실린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라면 제2공급라인(500)이 포트 C에 연결될 것이나, 단동실린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라면 제2공급라인(500)은 물리적으로 폐쇄될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경우를 나누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공급라인(500)에는 오일탱크(130)에 연결되는 오리피스라인(800)이 연결되는데 이에 대해서도 추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유니트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각 작업상황 별로 유압유니트가 작동하는 모습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리프트게이트가 상승할 때 유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트게이트의 승강은 단동실린더 방식으로 구현되므로, 승강을 구현하기 위하여 하나의 포트(A)만이 사용된다.
리프트게이트의 상승을 구현하는 경우, 펌프(100)를 작동시키는 모터(110)와 승강밸브(650)만 온 상태가 되고, 메인밸브(300)와 개폐밸브(75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되면, 펌프(100)의 작동에 의해 오일탱크(130)에 저장되었던 오일이 메인공급라인(200)을 통해 메인밸브(300)로 전달되고, 오프 상태인 메인밸브(300)에 의해 오일은 다시 제1공급라인(400)으로 전달된다.
개폐밸브(750)는 오프 상태이므로 포트 B에 연결된 개폐라인(700)으로는 오일이 이동하지 못하고, 모든 오일은 온 상태인 승강밸브(650) 및 승강라인(600)을 통해 포트 A로 공급된다. 이로써, 유압을 이용한 리프트게이트의 상승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리프트게이트가 하강할 때 유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프트게이트의 하강은 별도의 유압공급 없이 리프트게이트의 자중 등에 의해 구현되므로, 펌프(100)를 작동시키는 모터(11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개폐밸브(750)도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승강밸브(650)와 메인밸브(300)는 온 상태가 된다.
모터(110)가 오프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밸브(650)가 온 상태에 놓이면, 리프트게이트의 자중 등에 의해 유압실린더 내부의 오일은 승강라인(600) 및 제1공급라인(400)을 통해 메인밸브(300)로 이동하게 되는데, 메인밸브(300)가 온 상태에 있기 때문에 오일이 메인공급라인(200)으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오일탱크(130)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리프트게이트의 하강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리프트게이트의 승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리프트게이트가 단동실린더 방식에 의해 개폐되는 모습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리프트게이트가 단동실린더 방식으로 닫힐 때 유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리프트게이트의 개폐가 단동실린더 방식으로 구현되므로, 개폐를 구현하기 위하여 하나의 포트(B)만이 사용된다.
리프트게이트를 닫고자 하는 경우, 펌프(100)를 작동시키는 모터(110)와 개폐밸브(750)만 온 상태가 되고, 메인밸브(300)와 승강밸브(65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되면, 펌프(100)의 작동에 의해 오일탱크(130)에 저장되었던 오일이 메인공급라인(200)을 통해 메인밸브(300)로 전달되고, 오프 상태인 메인밸브(300)에 의해 오일은 다시 제1공급라인(400)으로 전달된다.
승강밸브(650)는 오프 상태이므로 포트 A에 연결된 승강라인(600)으로는 오일이 이동하지 못하고, 모든 오일은 온 상태인 개폐밸브(750) 및 개폐라인(700)을 통해 포트 B로 공급된다. 이로써, 유압을 이용하여 리프트게이트가 닫힐 수 있게 된다.
도 5는 리프트게이트가 단동실린더 방식으로 열릴 때 유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프트게이트의 개방은 별도의 유압공급 없이 리프트게이트의 자중 등에 의해 구현되므로, 펌프(100)를 작동시키는 모터(11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승강밸브(650)도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개폐밸브(750)와 메인밸브(300)는 온 상태가 된다.
모터(110)가 오프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개폐밸브(750)가 온 상태에 놓이면, 리프트게이트의 자중 등에 의해 유압실린더 내부의 오일은 개폐라인(700) 및 제1공급라인(400)을 통해 메인밸브(300)로 이동하게 되는데, 메인밸브(300)가 온 상태에 있기 때문에 오일이 메인공급라인(200)으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오일탱크(130)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리프트게이트의 하강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리프트게이트가 단동실린더 방식에 의해 개폐되는 모습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리프트게이트가 복동실린더 방식에 의해 개폐되는 모습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리프트게이트가 복동실린더 방식으로 닫힐 때 유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리프트게이트의 개폐가 복동실린더 방식으로 구현되므로, 개폐를 구현하기 위하여 두 개의 포트(제1포트 B, 제2포트 C)가 사용된다.
리프트게이트를 닫고자 하는 경우, 펌프(100)를 작동시키는 모터(110)와 개폐밸브(750)만 온 상태가 되고, 메인밸브(300)와 승강밸브(65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되면, 펌프(100)의 작동에 의해 오일탱크(130)에 저장되었던 오일이 메인공급라인(200)을 통해 메인밸브(300)로 전달되고, 오프 상태인 메인밸브(300)에 의해 오일은 다시 제1공급라인(400)으로 전달된다. 승강밸브(650)는 오프 상태이므로 포트 A에 연결된 승강라인(600)으로는 오일이 이동하지 못하고, 모든 오일은 온 상태인 개폐밸브(750) 및 개폐라인(700)을 통해 포트 B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포트 C에서는 제2공급라인(500)을 통해 오일이 배출되어 메인밸브(300)로 이동하게 되는데, 메인밸브(300)가 오프 상태이므로 배출된 오일은 오일탱크(130)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리프트게이트가 닫힐 수 있게 된다.
도 7은 리프트게이트가 복동실린더 방식으로 열릴 때 유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프트게이트의 개방 역시 유압의 공급에 의해 구현되므로, 펌프(100)를 구동하는 모터(110)는 온 상태가 된다. 또한, 메인밸브(300)와 개폐밸브(750)도 온 상태가 된다. 반면 승강밸브(65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되면, 펌프(100)의 작동에 의해 오일탱크(130)에 저장되었던 오일이 메인공급라인(200)을 통해 메인밸브(300)로 전달되고, 온 상태인 메인밸브(300)에 의해 오일은 다시 제2공급라인(500)을 통해 포트 C로 전달된다. 이 때, 펌프(100)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에 리프트게이트의 자중이 더해져 자칫 과도한 힘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펌프(100)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을 감쇄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별도의 가변식 유량조절밸브(throttle valve) 등을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인 설비 없이 오리피스라인(800)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의 감쇄를 구현한다.
오리피스라인(800)은 제2공급라인(500)에서 분기되어 오일탱크(130)에 연결되는데, 오리피스라인(800)에 의해 제2공급라인(500)을 통해 포트 C에 공급되는 오일에 누설이 발생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감쇄된 유압이 포트 C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포트 B에서는 온 상태인 개폐밸브(750)와 개폐라인(700) 및 제1공급라인(400)을 통해 오일이 배출되어 메인밸브(300)로 이동하게 되는데, 메인밸브(300)가 온 상태이므로 배출된 오일은 오일탱크(130)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리프트게이트의 안정적인 열림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동실린더 방식에 의해 리프트게이트가 열린 상태에서도 포트 C측에 메인밸브(300) 및/또는 오리피스라인(800)을 통한 개방된 경로가 확보되어 유압실린더 내부의 잔압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프트게이트 생산 시 두 가지 제품을 한 제품으로 개발함으로써 번거로운 모델 선택의 시간을 줄이면서 생산성을 높이고, 잔압으로 인해 리프트게이트가 움직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화물의 이/적재가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유압감쇄를 위한 별도의 추가설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0 : 펌프 110 : 모터
120 : 여과기 130 : 오일탱크
200 : 메인공급라인 210 : 역류방지밸브
220 : 릴리프라인 230 : 릴리프밸브
300 : 메인밸브 400 : 제1공급라인
500 : 제2공급라인 600 : 승강라인
610 : 포트 650 : 승강밸브
700 : 개폐라인 710, 720 : 포트
750 : 개폐밸브 800 : 오리피스라인

Claims (10)

  1. 단동실린더(single acting cylinder)를 통하여 작동되는 승강장치와, 복동실린더(double acting cylinder)를 통하여 작동되는 개폐장치를 모두 구동하기 위한 특장차용 유압유니트로서,
    오일탱크(130)로부터 오일을 공급하는 펌프(100)에 연결되며, 역류방지밸브(210)가 구비된 메인공급라인(200);
    상기 메인공급라인(200)을 제1공급라인(400)과 제2공급라인(50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메인밸브(300); - 여기서, 상기 제2공급라인(500)은 상기 복동실린더의 제2포트(C)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밸브(300)가 오프(off) 상태이면 상기 메인공급라인(200)이 상기 제1공급라인(400)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밸브(300)가 온(on) 상태이면 상기 메인공급라인(200)이 상기 제2공급라인(500)과 연결됨 -
    상기 제1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며, 상기 단동실린더의 포트(A)에 연결되는 승강라인(600);
    상기 승강라인(600) 상에 구비되며, 온(on)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라인(600)에 오일이 쌍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라인(600)에 오일이 쌍방향 모두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는 승강밸브(650);
    상기 제1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며, 상기 복동실린더의 제1포트(B)에 연결되는 개폐라인(700);
    상기 개폐라인(700) 상에 구비되며, 온(on)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라인(700)에 오일이 쌍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라인(700)에 오일이 쌍방향 모두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는 개폐밸브(750); 및
    상기 제2공급라인(500)에서 분기되어 오일탱크(130)에 연결되는 오리피스라인(800)을 포함하는,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급라인(200)에서 분기되는 릴리프라인(220) 및 상기 릴리프라인(220) 상에 구비되는 릴리프밸브(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탱크(130)와 상기 펌프(100) 사이에 개재되는 여과기(120)를 더 포함하는,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100)는 기어펌프(gear pu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밸브(300), 승강밸브(650), 개폐밸브(7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6. 단동실린더(single acting cylinder)를 통하여 작동되는 승강장치와, 단동실린더(single acting cylinder)를 통하여 작동되는 개폐장치를 모두 구동하기 위한 특장차용 유압유니트로서,
    오일을 공급하는 펌프(100)에 연결되며, 역류방지밸브(210)가 구비된 메인공급라인(200);
    상기 메인공급라인(200)과 연결되며,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공급라인(200)을 제1공급라인(400)과 연결시키고, 온(on) 상태에서는 상기 제1공급라인(400)을 오일탱크(130)에 연결시키는 메인밸브(300);
    상기 제1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며, 상기 승강장치를 작동시키는 실린더의 포트(A)에 연결되는 승강라인(600);
    상기 승강라인(600) 상에 구비되며, 온(on)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라인(600)에 오일이 쌍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라인(600)에 오일이 쌍방향 모두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는 승강밸브(650);
    상기 제1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며, 상기 개폐장치를 작동시키는 실린더의 포트(B)에 연결되는 개폐라인(700); 및
    상기 개폐라인(700) 상에 구비되며, 온(on)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라인(700)에 오일이 쌍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라인(700)에 오일이 쌍방향 모두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는 개폐밸브(750)를 포함하는,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급라인(200)에서 분기되는 릴리프라인(220) 및 상기 릴리프라인(220) 상에 구비되는 릴리프밸브(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탱크(130)와 상기 펌프(100) 사이에 개재되는 여과기(120)를 더 포함하는,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100)는 기어펌프(gear pu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밸브(300), 승강밸브(650), 개폐밸브(7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KR1020150077666A 2015-06-02 2015-06-02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KR20160141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666A KR20160141955A (ko) 2015-06-02 2015-06-02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666A KR20160141955A (ko) 2015-06-02 2015-06-02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955A true KR20160141955A (ko) 2016-12-12

Family

ID=5757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666A KR20160141955A (ko) 2015-06-02 2015-06-02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19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531B1 (ko) 2021-07-07 2022-04-21 이재호 특장차용 스마트 유압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610A (ko) 2005-12-10 2007-06-14 주식회사 골드밴 특장차용 유압 리프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610A (ko) 2005-12-10 2007-06-14 주식회사 골드밴 특장차용 유압 리프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531B1 (ko) 2021-07-07 2022-04-21 이재호 특장차용 스마트 유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0821B (zh) 液压阀装置
CN107250563B (zh) 用于建筑机械的流量控制阀
DE102012207880A1 (de) Hydraulikantriebsgerät für eine Arbeitsmaschine
CA2644615A1 (en) Combination hydraulic hold-down and lift system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US3285282A (en) Flow control valve for fluid motors and the like
EP2020511A3 (en) Hydraulic circuit for heavy equipment having variable control device
US9085875B2 (en) Hydraulic control valve for construction machinery
US10174484B2 (e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boom energy regeneration
CN106051145A (zh) 车辆开门禁止行走系统
KR20130095676A (ko) 모터 냉각 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에너지 회수 기능을 가진 이동식 작업 기계
US10119558B2 (en) Control apparatus
US7665579B2 (en) Flow control valve having pressure compensating valve
KR101478199B1 (ko) 유압실린더 제어밸브
KR20160141955A (ko) 특장차용 유압유니트
CN108194457A (zh) 液压顶升系统及塔式起重机
AU2014262272B2 (en) Hydraulic valve arrangement with control/regulating function
EP2365226A1 (en) Hydraulic system
CN203822728U (zh) 一种料门开启液压系统及布料机
CN205187683U (zh) 一种起重机、起重臂系统及液压控制系统
KR101509259B1 (ko) 유압장치의 홀딩밸브
JP6856065B2 (ja) 油圧システム
CN202381432U (zh) 一种调平过载阀及高空作业平台
US10392782B2 (en) Control valve for construction equipment
JP3942840B2 (ja) 油圧差動装置
JP2005240994A (ja) 建設重装備用流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