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932A -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 - Google Patents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932A
KR20160141932A KR1020150077508A KR20150077508A KR20160141932A KR 20160141932 A KR20160141932 A KR 20160141932A KR 1020150077508 A KR1020150077508 A KR 1020150077508A KR 20150077508 A KR20150077508 A KR 20150077508A KR 20160141932 A KR20160141932 A KR 20160141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vb
output terminal
bridge
do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424B1 (ko
Inventor
이영신
김원영
박형준
송희석
Original Assignee
(주)씨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50077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4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가 개시된다. 본 화상 메신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음성, 영상 및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입출력되도록 하는 제1 입출력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을 AVB 방식으로 연결하여 상기 정보가 상기 제1 입출력 단말 간 전송되도록 하는 제1 AVB 브릿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Image Messenger using Audio / Video Bridge}
본 발명은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컬 네트워크를 AVB 방식으로 구성하여, 단말간 음성, 영상 및 데이터를 간편하게 상호 송수신할 수 있는 화상 메신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서비스 메신저는 미리 사용자가 만들어 놓은 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친구가 네트워크에 로그온 하였을 때,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인스턴트 메신저, 버디 리스트(buddy list)라고도 한다.
메신저는 e메일과 달리 상대방이 온라인상에 어떤 상태로 존재하는가를 알 수 있고 메시지에 대해 즉각 응답을 할 수 있다. e메일은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대방이 확인할 때까지 몇 분에서 며칠이 지나야 응답을 받을 수 있지만 메신저는 상대방의 온라인 상태를 확인하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서, 즉각적인 응답을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대부분의 메신저가 파일 교환을 지원하기 때문에 FTP를 거치지 안고 바로 파일을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이트온, MSN, 카카오톡, 텔레그램, 하이웍스 등의 메신저는 전술한 기능들을 모두 포함하여 사용되는 메신저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신저들은 사용자의 메시지가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를 거쳐 전송되며, 그 기록이 남는 문제가 있다. 이는 보안 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 회사 기밀이 외부 서버를 거쳐 상대에게 전달됨으로써, 내부 기밀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에서는 시중에서 사용되는 메신저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일부 차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신 자사가 개발 및 구축한 네트워크에서 메시지 또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메신저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안을 강화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술한 보안 기능이 강화된 자사만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술 및 비용이 필요하며, 일반 기업에서는 보통 시중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및 메신저 시스템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 메신저 시스템은 음성 및 데이터 전송은 가능하나 데이터의 실시가 동기화 문제로 인해 화상 메신저 기능은 제공하지 않고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성, 영상, 데이터 및 메시지 등의 정보를 실시간 시간 동기화된 상태로 간편하게 상호 송수신할 수 있는 화상 메신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정보를 서버를 거치지 않고 전송함으로써, 보안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화상 메신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음성, 영상 및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입출력되도록 하는 제1 입출력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을 AVB 방식으로 연결하여 상기 정보가 상기 제1 입출력 단말 간 전송되도록 하는 제1 AVB 브릿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입출력 단말 및 상기 제1 AVB 브릿지는 상호 AVB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1 도메인을 구성하며, 상기 정보가 제1 도메인 외부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1 AVB 브릿지와 연결되는 제1 노멀 브릿지; 및 상기 제1 노멀 브릿지에 연결되어, 상기 정보의 입출력 및 전송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1 유저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정보의 입출력 및 전송이 제어되도록 하는 컨트롤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입출력 단말 및 상기 제1 AVB 브릿지는 상호 AVB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1 도메인을 구성하며, 상기 제1 AVB 브릿지는, 상기 제1 도메인이 기준 클럭을 제공하는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을 기준으로 단일 클럭화되도록 하는 시간 동기화부; 상기 제1 도메인의 자원 분배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1 입출력 단말의 자원 분배가 예약되도록 하는 자원 분배부; 상기 제1 도메인의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들이 상기 제1 입출력 단말로 분배되도록 하는 혼잡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1 입출력 단말의 접속 상태가 파악되도록 하는 상태 파악부;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의 스트림의 재생을 위해, 상기 제1 입출력 단말과 연결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스트림 연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1 입출력 단말의 기능이 파악되어 제어되도록 하는 기능 파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AVB 방식으로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서버를 거치지 않고 정보들을 상호 송수신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보안 기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실시간 시간 동기화된 상태의 음성 및 영상을 송수신 할 수 있어 용이하게 화상 메신저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B 방식으로 구현되는 사내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AVB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사내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ntrol pannel이 마련된 사내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B 브릿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동기화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분배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잡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Audio/Video 스트림의 실시간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메시저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B 방식으로 구현되는 사내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VB 방식으로 구현되는 사내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각 단말 또는 해당 입출력 단말을 AVB 방식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서버 없이 각 단말의 원활한 네트워크가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제1 입출력 단말(110), 제1 AVB 브릿지(120), 제1 유저 단말(140)을 포함한다.
제1 입출력 단말(110)은 개별적인 장소에서 제공되는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각각 제공하거나 일괄된 또는 통합된 상태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엔드 포인트(end point)로 구성되며, 각 엔드 포인트는 상기 제1 AVB 브릿지(12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엔드 포인트는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마이크, 카메라, 컨트롤 패널 등일 수 있으며, 타 엔드 포인트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 모니터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수단들을 모두 포함한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장치(Tablet Devic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이게이션(Navigation)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AVB 브릿지(120)는 정밀한 시간 동기화, 적절한 자원 분배 및 할당, 미디어 스트림을 위한 traffic shaping, 서비스에 참여하지 않는 기기의 파악 및 non-AVB 기기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며, 복수의 엔드 포인트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엔드 포인트에 입력되는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의 정보를 취합하여 타 엔드 포인트로 전송한다.
제1 유저 단말(140)은 상기 제1 입출력 단말(110)을 제어하여 상기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들을 다시 제1 입출력 단말(110)(타 엔드 포인트)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 AVB 브릿지(120)에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1 유저 단말(140)은 전술한 엔드 포인트와 같이,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장치(Tablet Devic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이게이션(Navigation)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정리하면, 로컬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는 영역 내 각각의 장소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입출력 단말(11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들은 각 제1 입출력 단말(110)과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1 AVB 브릿지(120)를 통해 다시 제1 입출력 단말(110)에 전송되어 상기 입력에 따라 출력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제1 입출력 단말(110)의 제어는 제1 AVB 브릿지(120)에 연결된 제1 유저 단말(140)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AVB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사내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개략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ntrol pannel이 마련된 사내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내 네트워크는 AVB 방식으로 네트워크 영역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영역이 확대될 때, 각각의 AVB 네트워크는 LAN으로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엔드 포인트로 이루어진 입출력 단말은 AVB 브릿지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AVB를 지원하는 입출력 단말과 AVB 브릿지로 연결된 그룹을 AVB 도메인이라 한다. 제1 입출력 단말(110)과 제1 AVB 브릿지(120)로 구성된 제1 AVB 도메인은 제1 노멀 브릿지(130)와 연결되어 제2 노멀 브릿지(230)를 통해 로컬 영역 내의 제2 AVB 브릿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노멀 브릿지(230)에는 제1 및 제2 유저 단말(240)이 연결되어 복수개의 제1 AVB 브릿지(120)와 제2 AVB 브릿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각각의 AVB 도메인 내에서는 고품질의 음성 및 영상 신호의 실시간 전송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AVB 도메인 외부의 AVB 기능이 없는 엔드 포인트에서는 저지연, 정밀 동기화 등의 효과를 보장 받을 수 없다.
제1 AVB 도메인과 제2 AVB 도메인 사이에 노멀 브릿지(non-AVB) 링크가 존재하므로, 엔드 포인트 1과 엔드 포인트 3은 전문가 품질의 Audio/Video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도메인의 경계는 IEEE 802.1AS에서 정의한 gPTP(generalized Precise Time Protocol)와 IEEE 802.1Qat에서 정의된 MSRP(Multiple Stream Resevation Protocol)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또한, AVB 도메인 내에서는 최대 7hop까지 2ms의 지연시간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무선 구간이 추가될 경우 50ms까지 보장 받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복수개의 엔드 포인트로 구성되는 화상 메신저는 로컬 영역 내에서 구현되는 바, AVB 기능이 없는 엔드 포인트에서의 기능 저하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각 엔드 포인트는 기기별로 아이디가 배분되어 로컬 영역 내 위치 변경 또는 이동시에도 별도의 로그인 절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엔드 포인트에는 컨트롤 패널(150)(control pannel)이 마련되어 제1 및 제2 유저 단말(240)을 통한 제어 없이, 각 단말이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의 정보의 입출력 및 타 엔드 포인트의 입력과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150)은 음성, 영상 및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으로 구성된 입출력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간소화된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상기 유저 단말과 같이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모두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AVB 네트워크는 유저 단말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마련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복수개의 AVB 도메인으로 구성되는 로컬 영역 내의 네트워크는 로컬 영역이라는 제한 조건에 의해, AVB 기능이 없는 네트워크에서도 AVB 기능의 저하에 따른 영향이 최소화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AVB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아이디가 부여된 입출력 단말에는 컨트롤 패널(150)이 마련되어 유저 단말을 통한 제어 없이 포함한 기능을 개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AVB 브릿지를 포함하는 AVB 네트워크의 세부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B 브릿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동기화부(121)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분배부(122)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잡 제어부(123)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Audio/Video 스트림의 실시간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B 네트워크는 실시간 음성, 영상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실시간 전송하기 위해, 정밀한 시간 동기화, 적절한 자원 분배 및 할당, 미디어 스트림을 위한 traffic shaping, 서비스에 참여하지 않는 기기의 파악 및 non-AVB 기기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기능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시간 동기화부(121), 자원 분배부(122), 혼잡 제어부(123), 상태 파악부(124), 스트림 연결부(125), 및 기능 파악부(126)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동기화부(121)는 AVB 네트워크는 참여하는 모든 장치들 사이의 음성, 영상 및 메시지 정보의 송수신 및 정밀한 시간 동기화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딜레이 타임이 최소화된 화상 메신저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AVB 네트워크의 시간 동기화부(121)는 시간 동기의 정확성을 높이며, 기준 클럭의 선정 및 클럭-트리(clock-tree)의 재구성을 자동화하고, 이를 통해 전체 로컬 네트워크를 단일 클럭화시키는 것이다.
AVB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에 포함된 모든 브릿지 및 엔드 포인트는 기준 클럭을 제공하는 그랜드 마스터(Grand Master : GM)를 중심으로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다. GM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은 BMCA(Best Master Clock selection Algorithm)를 통해 가장 정밀한 클럭 소스를 지닌 장치를 GM으로 선정하고, 이 GM 클럭을 기준으로 동기화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단절 등의 이유로 GM 클럭을 제공하던 장치가 로컬 네트워크 내에 부재중이고, 하나의 장치만 GPS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모든 장치들은 로컬 오실레이터(Local Oscillator : LO)를 사용하는 경우에 유무선 장치에 관계없이 GPS 클럭 소스를 지닌 장치가 GM으로 선정된다.
시간 동기화를 위한 gPTP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잔여 오차를 보정하며, 시간 동기화 후 인접한 두 AVB 장치의 시간 오차는 500ns 이하가 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분배부(122)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지연시간 및 자원 충분 여부를 타진함으로써, 자원이 유효하게 분배 및 할당되도록 한다.
제1 입출력 단말(110) 또는 여타 입출력 단말의 엔드 포인트 중 Audio/Video 소스를 송신하는 장치를 Talker, 수신하는 장치를 Listener로 정의한다.
자원 분배부(122)는 자원의 예약을 위해 Talker가 Talker Advertise 메시지를 송신하면, 네트워크의 중간 단계에 있는 브릿지는 출력포트의 가용 자원 및 지연시간을 계산하여 Listener에게 talker Advertise 메시지를 전달한다. 브릿지의 자원이 부족할 경우, 브릿지는 Talker Failed 메시지를 Talker와 Listener에게 전달한다. 브릿지 자원이 충분할 경우, Listner에게 Talker Advertise 메시지가 전달되며, 경로의 지연시간 및 자원이 충분한지를 판단하여 Listner Ready 메시지를 송신한다. Ready 메시지를 수신한 브릿지는 해당 포트의 자원을 예약하고 Ready 메시지를 Talker에게 전달하며, 이 메시지를 수신한 talker는 스트림의 전송을 시작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잡 제어부(123)는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들을 일정하게 분배하여 전송 traffic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traffic shaping 이란 특정 스트림의 traffic을 시간상에서 균일하게 만드는 과정으로,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들이 일정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만일 traffic shaping을 브릿지와 Talker에서 하지 않을 경우, 전송되는 패킷이 버스트 형태로 몰리는 현상(Bunching)이 발생할 수 있어 하위 연결 기기들에게 과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Bunch란 높은 우선순위의 프레임들이 현재 전송되고 있는 낮은 우선순위 프레임 뒤에 Queuing 되어 그룹화되는 현상으로, traffic shaping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 Queuing 된 높은 우선 순위 프레임들이 bunch 형태로 연속적으로 전송된다. 또한, 여러 bunch가 다른 입력 포트에 동시에 도달하게 되면, 또 다시 출력 포트에서 Queuing되어 bunch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bunching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 traffic shaping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Leaky Bucket Credit(LBC) based shaping 방식은 스트림을 위해 예약된 대역폭이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의 전송시간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Audio/Video 전송을 위한 링크 계층에서의 기술 중 Audio/Video 스트림 전송을 위해서는 정밀한 시간 동기화를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이 필요하며, 네트워크에 연결된 AV 기기들의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IEEE 1722.1 표준의 AVDECC(AV Discovery Enumeration Connection management AND Control) 프로토콜은 IEEE 1722 AVTP를 사용하는 AVB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기기들을 제어하는 단일 규격을 제공한다. ADVECC 프로토콜은 도 7과 같이 3가지의 프로토콜로 분류된다.
상태 파악부(124)는 AV 기기들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며, 주기적인 메시지 전송을 통해 현재 기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ADP(AVDECC Discovery Protocol)로 마련된다.
스트림 연결부(125)는 스트림의 재생을 위한 연결 또는 연결해제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ACMP(AVDECC Connection Management Protocol)로 마련된다.
기능 파악부(126)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들의 기능파악과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AECP(AVDECC Enumeration and Control Protocol)로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기초로 한 화상 메신저의 정보 전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메시저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00에서, 사용자는 제1 노멀 브릿지(130)에 연결된 제1 유저 단말(140)을 통해 제1 AVB 브릿지(120)와 연결된 제1 입출력 단말(110)을 제어하여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 또는 복합된 정보가 입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입출력 단말(110)은 복수개의 엔드 포인트로 구성되며, 상기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는 각각의 엔드 포인트에 의해 별도 구별되어 입력되거나, 하나의 엔드 포인트에 의해 복합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는 제1 유저 단말(140)이 아닌 각각의 엔드 포인트에 연결된 컨트롤 패널(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엔드 포인트에는 각각 아이디가 배분되어 별도의 로그인 절차 없이 복수의 엔드 포인트가 구별되어 인식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상기 복수개의 엔드 포인트로 구성된 제1 입출력 단말(110)은 제1 AVB 브릿지(120)와 연결되어 제1 AVB 도메인을 구성하며, 상기 제1 입출력 단말(110)로부터 상기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는 제1 AVB 브릿지(120)로 전송된다.
여기서, 제1 AVB 도메인은 시간 동기화부(121)를 통해 복수개의 제1 입출력 단말(110) 및 제1 AVB 브릿지(120)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다.(S210)
여기서, 제1 AVB 브릿지(120)는 BMCA(Best Master Clock selection Algorithm)을 통해 가장 정밀한 클럭 소스를 지닌 장치를 그랜드 마스터(Grand Master : GM)으로 선정한다.(S211)
이때, 그랜드 마스터 클럭을 제공하던 장치가 로컬 네트워크 내에 부재중이면, 하나의 장치만 GPS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모든 장치들은 로컬 오실레이터(Local Osciilator :LO)를 사용하는 경우에 유무선 장치에 관계없이 GPS 클럭 소스를 지닌 장치를 그랜드 마스터로 선정한다.(S212)
그리고, 선정된 상기 그랜드 마스터를 중심으로 제1 AVB 도메인 내의 제1 AVB 브릿지(120) 및 복수개의 엔드 포인트를 포함한 모든 장치들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다.(S213)
한편, 제1 AVB 브릿지(120)는 자원 분배부(122)를 통해 상기 전송된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을 포함한 정보가 복수의 엔드 포인트로 상기 정보를 분배 및 할당한다.(S220)
여기서, 상기 음성, 영상 및 메시지 정보가 입력되는 엔드 포인트는 Talker로서, Talker Advertise 메시지를 송신한다.(S221)
네트워크 중간 단계에 있는 제1 AVB 브릿지(120) 또는 제2 AVB 브릿지(220)는 출력포트의 가용 자원 및 지연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정보가 출력되는 엔드 포인트 즉, Listener에게 상기 Advertise 메시지를 전송한다.(S222)
이때, 제1 AVB 브릿지(120) 또는 제2 AVB 브릿지(220)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상기 제1 AVB 브릿지(120) 또는 제2 브릿지는 Talker Faided 메시지를 Talker와 Listener에게 전달한다.(S223)
한편, 제1 AVB 브릿지(120) 또는 제2 AVB 브릿지(220) 자원이 충분할 경우, Listener에게 Talker Advertise 메시지가 전달하며, 경로의 지연 시간 및 자원이 충분한지를 판단하여 Listener Ready 메시지를 송신한다.(S224)
상기 Ready 메시지를 수신한 제1 AVB 브릿지(120) 또는 제2 AVB 브릿지(220)는 해당 포트의 자원을 예약하고 Ready 메시지를 Talker 엔드 포인트에게 전달한다.(S225)
상기 Ready 메시지를 수신한 Talker 엔드 포인트는 스트림의 전송을 시작한다.(S226)
또한, 제1 AVB 브릿지(120)는 혼잡 제어부(123)를 통해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캣들이 일정하게 분배되도록, 예약된 대역폭이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의 전송시간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traffic shaping을 수행한다.(S230)
그리고, 제1 AVB 브릿지(120)는 ADP(AVDECC Discovery protocol)로 마련되는 상태 파악부(124)를 통해 주기적인 메시지 전송을 통해 각각의 브릿지 및 엔드 포인트의 상태를 파악한다.(S240)
또한, 제1 AVB 브릿지(120)는 ACMP(AVDECC Connection Management Protocol)로 마련되는 스트림 연결부(125)를 통해 스트림의 재생을 위한 연결 및 연결을 해제한다.(S250)
그리고, 제1 AVB 브릿지(120)는 AECP(AVDECC Enumeration and Control Protocol)로 마련되는 기능 파악부(126)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잇는 기기들의 기능을 파악하고 제어한다.(S260)
단계 300에서, 제1 AVB 브릿지(120)로 전송된 상기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는 제1 AVB 도메인 내의 제1 입출력 단말(110)로 전송되어 출력되거나,(S310) 제1 AVB 도메인 외부로 전송되도록 제1 노멀 브릿지(130)로 전송된다.(S320)
단계 400에서, 제1 노멀 브릿지(130)로 전송된 상기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는 제2 노멀 브릿지(230)를 통해 제2 AVB 브릿지(220)로 전송된다.
단계 500에서, 상기 제2 AVB 브릿지(220)로 전송된 상기 음성, 영상 및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는 제2 입출력 단말(210)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화상 메신저의 구성 및 메시지 전송 방법을 통해 별도의 서버 없이 간소한 형태로 실시간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로컬 영역 내의 화상 메신저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의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효과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제1 입출력 단말 120 : 제1 AVB 브릿지
121 : 시간 동기화부 122 : 자원 분배부
123 : 혼잡 제어부 124 : 상태 파악부
125 : 스트림 연결부 126 : 기능 파악부
130 : 제1 노멀 브릿지 140 : 제1 유저 단말
150 : 컨트롤 패널 210 : 제2 입출력 단말
220 : 제2 AVB 브릿지 230 : 제2 노멀 브릿지
240 : 제2 유저 단말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음성, 영상 및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입출력되도록 하는 제1 입출력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을 AVB 방식으로 연결하여 상기 정보가 상기 제1 입출력 단말 간 전송되도록 하는 제1 AVB 브릿지;를 포함하는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 단말 및 상기 제1 AVB 브릿지는 상호 AVB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1 도메인을 구성하며,
    상기 정보가 제1 도메인 외부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1 AVB 브릿지와 연결되는 제1 노멀 브릿지; 및
    상기 제1 노멀 브릿지에 연결되어, 상기 정보의 입출력 및 전송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1 유저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정보의 입출력 및 전송이 제어되도록 하는 컨트롤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 단말 및 상기 제1 AVB 브릿지는 상호 AVB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1 도메인을 구성하며,
    상기 제1 AVB 브릿지는,
    상기 제1 도메인이 기준 클럭을 제공하는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을 기준으로 단일 클럭화되도록 하는 시간 동기화부;
    상기 제1 도메인의 자원 분배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1 입출력 단말의 자원 분배가 예약되도록 하는 자원 분배부;
    상기 제1 도메인의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들이 상기 제1 입출력 단말로 분배되도록 하는 혼잡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1 입출력 단말의 접속 상태가 파악되도록 하는 상태 파악부;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의 스트림의 재생을 위해, 상기 제1 입출력 단말과 연결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스트림 연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1 입출력 단말의 기능이 파악되어 제어되도록 하는 기능 파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
  5.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1 입출력 단말을 통해 음성, 영상 및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제1 AVB 브릿지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상기 제1 입출력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정보가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을 통해 음성, 영상 또는 메시지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B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 단말 및 상기 제1 AVB 브릿지가 AVB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1 도메인을 구성하며, 상기 제1 AVB 브릿지와 연결되는 제1 노멀 브릿지를 통해 상기 정보가 상기 제1 도메인 외부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상기 제1 도메인 외부로 전송되는 단계는,
    상기 제1 노멀 브릿지에 연결되는 제1 유저 단말을 통해, 상기 정보의 입출력 및 전송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B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입출력 및 전송은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에 연결된 컨트롤 패널에 의해 제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B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 단말 및 상기 제1 AVB 브릿지는 상호 AVB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1 도메인을 구성하며, 시간 동기화부에 의해 상기 제1 도메인이 기준 클럭을 제공하는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을 기준으로 단일 클럭화되는 단계;
    자원 분배부에 의해 상기 제1 도메인의 자원 분배 여부가 파악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1 입출력 단말의 자원이 분배되는 단계;
    혼잡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도메인의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들이 상기 제1 입출력 단말로 분배되는 단계;
    상태 파악부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1 입출력 단말의 접속 상태가 파악되는 단계;
    스트림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입출력 단말의 스트림의 재생을 위해 상기 제1 입출력 단말과 연결 또는 해제되는 단계; 및
    기능 파악부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1 입출력 단말의 기능이 파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B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KR1020150077508A 2015-06-01 2015-06-01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 KR101699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508A KR101699424B1 (ko) 2015-06-01 2015-06-01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508A KR101699424B1 (ko) 2015-06-01 2015-06-01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932A true KR20160141932A (ko) 2016-12-12
KR101699424B1 KR101699424B1 (ko) 2017-02-14

Family

ID=5757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508A KR101699424B1 (ko) 2015-06-01 2015-06-01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4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907A (ko) * 2017-02-06 2020-05-12 사반트 시스템즈 엘엘씨 오디오 다운 믹싱 송신기 a/v 엔드 포인트 및 분산 채널 증폭을 포함한 a/v 상호 접속 아키텍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3212A (ja) * 1996-06-21 1999-11-09 ベ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メディア・オブジェクトを関連づけ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90041776A (ko) * 2007-10-24 2009-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패닝트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연결장치 및 스패닝트리 생성 방법
KR20140072012A (ko) * 2011-06-30 2014-06-12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Avb 네트워크 내의 응용 계층 구조들을 사용하여 오디오/비디오 스트림들을 관리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3212A (ja) * 1996-06-21 1999-11-09 ベ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メディア・オブジェクトを関連づけ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90041776A (ko) * 2007-10-24 2009-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패닝트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연결장치 및 스패닝트리 생성 방법
KR20140072012A (ko) * 2011-06-30 2014-06-12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Avb 네트워크 내의 응용 계층 구조들을 사용하여 오디오/비디오 스트림들을 관리하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907A (ko) * 2017-02-06 2020-05-12 사반트 시스템즈 엘엘씨 오디오 다운 믹싱 송신기 a/v 엔드 포인트 및 분산 채널 증폭을 포함한 a/v 상호 접속 아키텍처
EP3577759B1 (en) * 2017-02-06 2022-04-06 Savant Systems, Inc. A/v interconnection architecture including an audio down-mixing transmitter a/v endpoint and distributed channel amplification
AU2018214678B2 (en) * 2017-02-06 2022-06-16 Savant Systems, Inc. A/V interconnection architecture including an audio down-mixing transmitter A/V endpoint and distributed channel ampl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424B1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3824B2 (en) Time synchronized resource reservation over packet switched networks
US83256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ation and exchange of network timing information
US9014211B2 (en) Reducing the maximum latency of reserved streams
US20160087900A1 (en) A communication node for a packet-switched data network and a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US8892149B2 (en) Interoperability and communications system dynamic media proxy based on capability negotiation
CN110113306A (zh) 分发数据的方法和网络设备
CN110213171A (zh) 一种基于联盟链技术的数据流量监测与控制方法
KR101699424B1 (ko) Avb를 이용한 화상 메신저
JPH10334027A (ja)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
CN108668151B (zh) 音视频交互方法及装置
CN111669610B (zh) 直播视频的传输方法、系统、装置、服务器、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sco Cisco Systems Users Magazine
US8942260B2 (en) Ser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recisely estimating a delay within a network
Holzinger et al. Realtime linear audio distribution over networks: A comparison of layer 2 and 3 solutions using the example of ethernet avb and ravenna
JP2017536042A (ja) メッセージ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22012204A1 (zh) 一种队列调度方法、装置及系统
CN117242758A (zh) 通信方法及通信装置
KR20140025386A (ko) 서비스 품질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506369A (zh) 一种获取地址信息的方法和装置
WO2015163777A1 (ru) Способ защищенного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мультимедийной информации посредством де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й сети
JP2015154128A (ja) マルチキャスト中継装置、マルチキャスト配信システム及びマルチキャスト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