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892A - 보강 h빔 - Google Patents

보강 h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892A
KR20160141892A KR1020150077171A KR20150077171A KR20160141892A KR 20160141892 A KR20160141892 A KR 20160141892A KR 1020150077171 A KR1020150077171 A KR 1020150077171A KR 20150077171 A KR20150077171 A KR 20150077171A KR 20160141892 A KR20160141892 A KR 20160141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reinforcing member
flanges
pai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환
Original Assignee
이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환 filed Critical 이기환
Priority to KR1020150077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1892A/ko
Publication of KR20160141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플랜지(110) 및 웹(120)를 구비한 본체(100); "ㄱ"자형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보강부재(20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0)의 약축방향을 보강하도록, 상기 복수의 보강부재(200)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며, 상기 복수의 보강부재(200) 사이에는 개방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H빔을 제시함으로써, 볼트결합 및 견고한 용접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약축방향에 대한 저항성능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보강 H빔{REINFORCED H-BEAM}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H빔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랜지(11) 및 웹(12)에 의해 구성되는 H빔(10)은 대단히 효율적인 단면구조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약축방향(B방향)에 대한 저항성능이 강축방향(A방향)에 대한 저항성능에 비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333102호(보강판이 결합된 에이치 빔)은 한 쌍의 플랜지(11)의 양단에 보강판(20)이 각각 결합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도 2).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플랜지와 보강판이 각각 모서리에 의해 결합하므로, 볼트결합이 불가능하여 용접결합(W)에 의한 결합만이 가능하다.
둘째, 용접결합(W)을 위한 지점이 각 플랜지 및 보강판마다 한 지점 밖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견고한 결합을 기대할 수 없다.
셋째, 견고한 용접결합(W)을 위해서는 플랜지와 보강판의 내측(도 2의 W 위치의 반대측)에 용접작업을 실시해야 하는데, 보강판이 폐쇄구조를 취하므로 그 내측에 대한 용접작업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볼트결합 및 견고한 용접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약축방향에 대한 저항성능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보강 H빔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플랜지(110) 및 웹(120)를 구비한 본체(100); "ㄱ"자형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보강부재(20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0)의 약축방향을 보강하도록, 상기 복수의 보강부재(200)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며, 상기 복수의 보강부재(200) 사이에는 개방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H빔을 제시한다.
상기 보강부재(200)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110) 중 일측 플랜지(110a)에 결합하는 결합부(210); 상기 결합부(210)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플랜지(110) 중 타측 플랜지(110b) 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는 상기 플랜지(110)의 외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의 외측 단부는 상기 플랜지(110)의 외면에 용접결합(W1)하고, 상기 보강부재(200)의 연장부(220)의 내측 단부는 상기 플랜지(110)의 단부에 용접결합(W2)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는 상기 플랜지(110)의 내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의 외측 단부는 상기 플랜지(110)의 내면에 용접결합(W3)하고, 상기 보강부재(200)의 연장부(220)의 외측 단부는 상기 플랜지(110)의 단부에 용접결합(W4)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는 상기 플랜지(110)에 볼트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볼트결합 및 견고한 용접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약축방향에 대한 저항성능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보강 H빔을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H빔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H빔의 보강구조의 단면도.
도 3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제2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강 H빔은 기본적으로, 한 쌍의 플랜지(110) 및 웹(120)를 구비한 본체(100); "ㄱ"자형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보강부재(200);를 구비한 구성을 취한다.
여기서, 본체(100)의 약축방향을 보강하도록, 복수의 보강부재(200)는 한 쌍의 플랜지(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며, 복수의 보강부재(200) 사이에는 개방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플랜지(110)와 보강부재(200)가 면접촉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볼트결합 및 용접결합이 모두 가능하다.
둘째, 용접결합을 위한 지점이 각 플랜지 및 보강부재마다 두 지점 이상 형성되므로, 견고한 결합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개방부(230)를 통해 플랜지와 보강부재의 내측에 대한 용접작업이 가능하므로, 견고한 결합을 기대할 수 있다.
보강부재(200)는 구체적으로, 한 쌍의 플랜지(110) 중 일측 플랜지(110a)에 결합하는 결합부(210); 결합부(210)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한 쌍의 플랜지(110) 중 타측 플랜지(110b) 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가 플랜지(100)와 겹쳐지는 구조가 되므로, 약축방향 뿐만 아니라 강축방향에 대하여도 보강이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2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가 플랜지(110)의 외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도 3).
이때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는 플랜지(110)에 볼트결합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용접결합의 경우,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의 외측 단부는 플랜지(110)의 외면에 용접결합(W1)하고, 보강부재(200)의 연장부(220)의 내측 단부는 플랜지(110)의 단부에 용접결합(W2)함으로써, 견고한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가 플랜지(110)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전체적으로 단면2차모멘트가 증대한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가 플랜지(110)의 내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도 4).
이 경우에도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는 플랜지(110)에 볼트결합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용접결합의 경우,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의 외측 단부는 플랜지(110)의 내면에 용접결합(W3)하고, 보강부재(200)의 연장부(220)의 외측 단부는 플랜지(110)의 단부에 용접결합(W4)함으로써, 견고한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가 플랜지(110)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플랜지(110)의 외면에 대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띠장, 지보재 등 별도의 부재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약축방향의 저항성능이 보강된 본 발명에 의한 보강 H빔은, 스트럿 등의 지보재, 가설벤트 등의 받침구조, 말뚝, 방음벽, 방음터널 등 휨과 압축을 동시에 받는 구조물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110a,110b : 플랜지
120 : 웹 200 : 보강부재
210 : 결합부 220 : 연장부
230 : 개방부

Claims (7)

  1. 한 쌍의 플랜지(110) 및 웹(120)를 구비한 본체(100);
    "ㄱ"자형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보강부재(20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0)의 약축방향을 보강하도록, 상기 복수의 보강부재(200)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며, 상기 복수의 보강부재(200) 사이에는 개방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H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200)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110) 중 일측 플랜지(110a)에 결합하는 결합부(210);
    상기 결합부(210)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플랜지(110) 중 타측 플랜지(110b) 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H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는 상기 플랜지(110)의 외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H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의 외측 단부는 상기 플랜지(110)의 외면에 용접결합(W1)하고, 상기 보강부재(200)의 연장부(220)의 내측 단부는 상기 플랜지(110)의 단부에 용접결합(W2)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H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는 상기 플랜지(110)의 내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H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의 외측 단부는 상기 플랜지(110)의 내면에 용접결합(W3)하고, 상기 보강부재(200)의 연장부(220)의 외측 단부는 상기 플랜지(110)의 단부에 용접결합(W4)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H빔.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200)의 결합부(210)는 상기 플랜지(110)에 볼트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H빔.
KR1020150077171A 2015-06-01 2015-06-01 보강 h빔 KR20160141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171A KR20160141892A (ko) 2015-06-01 2015-06-01 보강 h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171A KR20160141892A (ko) 2015-06-01 2015-06-01 보강 h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892A true KR20160141892A (ko) 2016-12-12

Family

ID=5757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171A KR20160141892A (ko) 2015-06-01 2015-06-01 보강 h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18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708B1 (ko) 2021-07-07 2022-03-18 주식회사 케이디에스 강화된 구조를 갖는 에이치 빔
KR102511717B1 (ko) 2022-11-28 2023-03-20 주식회사 에스제이중공업 H 빔 조립체를 이용한 고강도 h 빔 체결방법
KR102511719B1 (ko) 2022-11-28 2023-03-20 주식회사 에스제이중공업 휨 변형 방지를 위한 h 빔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708B1 (ko) 2021-07-07 2022-03-18 주식회사 케이디에스 강화된 구조를 갖는 에이치 빔
KR102511717B1 (ko) 2022-11-28 2023-03-20 주식회사 에스제이중공업 H 빔 조립체를 이용한 고강도 h 빔 체결방법
KR102511719B1 (ko) 2022-11-28 2023-03-20 주식회사 에스제이중공업 휨 변형 방지를 위한 h 빔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179B1 (ko)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구조용 용접빔 및 이를 이용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KR20160141892A (ko) 보강 h빔
RU170661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упоров автосцеп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хребтовой балки
KR20170015872A (ko) 철골 보 접합부 시공방법
JPWO2017170671A1 (ja) 杭基礎構造
KR101498480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 방법
KR101822923B1 (ko)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결합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강부재 설치방법
KR101579269B1 (ko) 탈부착형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강구조체
JP2015074928A (ja) 鋼製耐震壁
JP2007291803A (ja) 柱と梁の接合構造
JP6893799B2 (ja) 切梁火打接続構造および切梁火打接続ピース
CN207211373U (zh) 一种简易工字钢梁柱连接节点
JP2012207515A (ja) 梁と柱との接合構造、接合部材
KR101895230B1 (ko) 강재구조물 연결결합 구조
JP5759317B2 (ja) 梁と柱と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部材
JP5274735B1 (ja) 鉄骨の開口補強構造
KR20120002133A (ko) 강재거더 세그먼트 연결 구조
JP2005248487A (ja) 中空鋼管鉄塔の添接丸材による補強構造
KR101953016B1 (ko) 좌굴 방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셋 플레이트의 무용접/조립형 보강방법
KR102242105B1 (ko) 십자경사형 전단강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구조물
JP6529068B2 (ja) 建造物における無溶接補強構造
CN108457375A (zh) 钢梁与钢管混凝土束组合构件
JP2001214543A (ja) 継材用仕口
JP2015117486A (ja) 変断面梁
JP2020143515A (ja) 構造体への補強部材の固定構造、h形鋼用固定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