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621A -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1621A KR20160141621A KR1020150077589A KR20150077589A KR20160141621A KR 20160141621 A KR20160141621 A KR 20160141621A KR 1020150077589 A KR1020150077589 A KR 1020150077589A KR 20150077589 A KR20150077589 A KR 20150077589A KR 20160141621 A KR20160141621 A KR 201601416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ne girder
- crane
- reinforcement
- reinforcing member
- gir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4—Protection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철골빔을 이용한 직사각 형태의 평판형으로 조합되되, 일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부가 마련되고, 상부에 오버헤드 크레인의 호이스트측 견인 훅을 연결하기 위한 걸고리가 다수개 마련된 베이스와; 상기 탑승부의 둘레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크레인 거더의 하부측에 부착되는 보강부재의 안치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휀스부와; 상기 탑승부와 반대되는 위치의 베이스 상부에 마련되어 탑승부에 안치되는 보강부재와 균형을 맞추기 위한 웨이트 안치부 및 웨이트 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지주에 의해 양측으로 구축된 크레인 거더의 상부를 따라 이동하는 오버헤드 크레인측 호이스트측 연결 훅을 이동데크에 걸고, 이동데크의 일측에 마련된 탑승부측 휀스부에는 크레인 거더 저부를 보강하도록 제작된 보강부재를 탑재시키며, 베이스 상부에 마련된 웨이트 안치부에 웨이트 추를 탑재한 상태로 이동데크의 수평을 맞추어 크레인 거더의 저부측까지 보강부재를 간편하게 위치시켜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작업자의 용접작업 위치배치 선정과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의 용접작업실시로서 보강부재를 덧대어 크레인의 인양하중에 대한 크레인 거더를 보강하여 줌으로써, 기존 가설 구조물을 세워 고소작업에서 소형 각재로 제작된 보강부재를 일일이 해당 위치로 위치시켜 용접하는 방식에 비해 작업성이 뛰어나고, 용접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신속한 크레인 거더 보강작업으로 많은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 오버헤드 크레인의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작업자의 용접작업 위치배치 선정과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의 용접작업실시로서 보강부재를 덧대어 크레인의 인양하중에 대한 크레인 거더를 보강하여 줌으로써, 기존 가설 구조물을 세워 고소작업에서 소형 각재로 제작된 보강부재를 일일이 해당 위치로 위치시켜 용접하는 방식에 비해 작업성이 뛰어나고, 용접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신속한 크레인 거더 보강작업으로 많은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 오버헤드 크레인의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작업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크레인을 통한 보강부재를 이동데크에 탑재시킨 다음, 크레인 거더의 하부측으로 이동데크를 승강시켜 크레인 거더 하부측에 보강부재를 위치시켜 준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안전하면서 신속하게 실시하여 크레인 거더의 보강구축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산업시설 및 플랜트 설비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이들 설비 제품을 제조하고 이송하는 장비 또한 대형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주자는 자체 공장 내 생산품들의 안전한 제작 및 이송에 필요한 각종 크레인이나 기중기 등과 같은 운반기를 발주함에 있어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최대사용하중 시험을 제작자에게 요구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으며, 산업안전법적으로도 부하시험을 하도록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크레인이나 기중기 등은 대용량 하중의 물건을 인양하거나 이송하기 위한 운반기(이하, '대용량 운반기'라 함)로 사용되고 있는데, 대용량 운반기중 하나인 오버헤드 크레인(overhead crane)가 사용된다.
크레인 거더(crane girder)는 양단의 주행레일에 지탱되어 있는 빔(beam)에 의해 일반적으로 트라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강판을 용접해서 긴 박스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의 인양 하중은 전부 크레인 거더에 걸리기 때문에 거더의 길이가 길어지면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제작되어 지주의 상부 측에 지주와 함께 고정된다.
통상적으로 오버헤드 크레인은 한 쌍의 지주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주) 상단측에는 크레인 거더가 지주와 지주를 잇는 형태로 그 상부에는 크레인이 횡으로 배치되어 거더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하면서 크레인에 시설된 호이스트를 통해 고중량의 대상물을 걸어 인양한 다음, 요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현장에서 사용하기 전에 설계요구사항의 최대사용 하중을 안전하게 견딜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오버헤드 크레인의 경우, 호이스트측 후크에 하중시험용 웨이트블럭(weight block)을 와이어 로프로 직접 인양하여 하중을 가함으로써 안정성을 평가하고 있거나, 또는, 현장 내 특정 공간을 선정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대용량 하중, 예를 들면 1000톤 이상의 인장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지반보강공사를 하고 그 상부에 앵커 플레이트(anchor plate)를 설치하여 크레인의 호이스트측 후크를 앵크 플레이트에 걸어 1000톤의 하중을 가함으로써 크레인의 인양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인양하중 평가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9127호(명칭: 대용량 운반기용 하중시험기, 등록일자: 2011년 11월 28일)의 종래 기술부분에서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오버헤드 크레인의 인양하중 평가에 대해서 크레인을 통해 들어 올리 수 있는 인향 하중을 높이기 위해서는 크레인을 받치는 크레인 거더를 보강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기설치된 크레인 거더의 보강은 거더의 하부측에 철재로 된 판재 및 보강블럭(이하, 이를 '보강부재'라 총칭함)을 용접작업에 의해 이어붙임 작업으로써 보강하여 대용량의 하중(예를 들면, 1000톤 이상)에도 휨 발생이 없이 견딜 수 있도록 크레인 거더를 보강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오버헤드 크레인의 특성상 크레인 거더는 주행하는 크레인을 받치는 지주와 지주 사이에 대들보 형태와 같이 설치되는 것으로, 크레인 거더는 지상으로부터 25M 혹은 그 이상의 고소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부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가설 구조물을 크레인 거더의 높이에 준하도록 세워야 한다.
또한, 작업자들은 상기와 같은 가설 구조물을 따라 크레인 거더 위치까지 이동하여야 하고, 가설 구조물에 마련한 작업대 상에서 작업대까지 운반한 소형의 보강부재를 일일이 크레인 거더의 설계된 위치에 맞게 크레인 거더의 저부에 위치시켜 조각조각 이어붙이는 용접작업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용접작업에 의해 각각 보강부재를 부착시키는 용접작업은 고소위치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며, 소형으로 나누어 제작된 보강부재들의 이어붙임 방식으로 크레인 인양하중에 맞게 크레인 거더를 보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식은 가설 구조물의 구축, 가설 구조물의 이동, 가설 구조물에서의 작업자가 다룰 수 있는 크기의 소형으로 제작된 보강부재들을 크레인 거더를 받치는 지주측과 크레인 거더의 저부측을 보강부재로서 덧대어 부착해 나가는 용접작업은 많은 시간 및 기간을 요하는 작업이 된다.
또한 고소위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항상 추락사고, 보강부재를 다루는 과정에서의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으며, 어느 한 부분의 용접 작업 실시 이후에는 안전을 위해 가설 구조물에서 작업자가 모두 빠져나온 상태를 확인하고, 가설 구조물을 다음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에 작업자가 가설 구조물에 다시 올라가야 하는 번거로움 및 안전문제가 항상 지적됨으로, 크레인 거더의 보강작업은 그만큼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안전성이 낮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크레인을 통한 보강부재를 이동데크에 탑재시킨 다음, 크레인 거더의 하부측으로 이동데크를 승강시켜 크레인 거더 하부측에 보강부재를 위치시켜 준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안전하면서 신속하게 실시하여 크레인 거더의 보강구축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철골빔을 이용한 직사각 형태의 평판형으로 조합되되, 일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부가 마련되고, 상부에 오버헤드 크레인측의 호이스트측 견인 훅을 연결하기 위한 걸고리가 다수개 마련된 베이스와; 상기 탑승부의 둘레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크레인 거더의 하부측에 부착되는 보강부재의 안치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휀스부와; 상기 탑승부와 반대되는 위치의 베이스 상부에 마련되어 탑승부에 안치되는 보강부재와 균형을 맞추기 위한 웨이트 안치부 및 웨이트 추;로 구성된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탑승부는 일정 폭으로 된 베이스의 일측에 크레인 거더의 길이방향 하부 양측에서 작업자가 위치할 수 있는 폭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휀스부는 상부로부터 보강부재의 안치시 보강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폭 방향 상부는 길이방향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는, 지주에 의해 양측으로 구축된 크레인 거더의 상부를 따라 이동하는 오버헤드 크레인측 호이스트측 연결 훅을 이동데크에 걸고, 이동데크의 일측에 마련된 탑승부측 휀스부에는 크레인 거더 저부를 보강하도록 제작된 보강부재를 탑재시키며, 베이스 상부에 마련된 웨이트 안치부에 웨이트 추를 탑재한 상태로 이동데크의 수평을 맞추어 크레인 거더의 저부측까지 보강부재를 간편하게 위치시켜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점은 작업자의 용접작업 위치배치 선정과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의 용접작업실시로서 보강부재를 덧대어 크레인의 인양하중에 대한 크레인 거더를 보강하여 줌으로써, 기존 가설 구조물을 세워 고소작업에서 소형 각재로 제작된 보강부재를 일일이 해당 위치로 위치시켜 용접하는 방식에 비해 작업성이 뛰어나고, 용접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신속한 크레인 거더 보강작업으로 오버헤드 크레인의 효율적인 운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데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데크에 보강부재를 탑재하여 오버헤드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데크를 지주와 지주 사이의 크레인 거터 하부로 이동시킨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데크의 탑승부가 크레인 거더의 저부에 위치시켜 보강부재를 밀착시킨 상태를 예시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5에서 보강부재가 용접되어 크레인 거더에 부착된 상태를 예시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거더의 지주와 지주 사이에 보강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데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데크에 보강부재를 탑재하여 오버헤드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데크를 지주와 지주 사이의 크레인 거터 하부로 이동시킨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데크의 탑승부가 크레인 거더의 저부에 위치시켜 보강부재를 밀착시킨 상태를 예시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5에서 보강부재가 용접되어 크레인 거더에 부착된 상태를 예시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거더의 지주와 지주 사이에 보강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거더 보강작업을 위한 이동데크(100)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철골빔을 이용한 직사각 형태의 평판형으로 조합되되, 일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부(110)가 마련되고, 상부에 오버헤드 크레인(1)의 호이스트측 견인 훅을 연결하기 위한 걸고리(121)가 다수개 마련된 베이스(120)와; 상기 탑승부(110)의 둘레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크레인 거더(2)의 하부측에 부착되는 보강부재(10)의 안치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휀스부(130)와; 상기 탑승부(110)와 반대되는 위치의 베이스 상부에 마련되어 탑승부에 안치되는 보강부재(10)와 균형을 맞추기 위한 웨이트 안치부(140) 및 웨이트 추(150);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재(10)란 일종의 '보강 살' 나타내는 것으로, 골재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크레인 거더의 하부에 살을 덧붙여 오버헤드 크레인의 인양하중에 대한 크레인 거더의 받침하중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120)에 마련되는 걸고리(121)는 아이볼트를 베이스에 취부시키거나 또는 연결공리 형성된 연결편을 베이스에 일체로 용접 부착한 것으로, 오버헤드 크레인(1)측의 호이스트는 2지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걸어 승강하도록 한다.
상기 탑승부(110)는 일정 폭으로 된 베이스(120)의 일측에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 하부 양측에서 작업자가 위치할 수 있는 폭으로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발판(111)이 마련된다.
전반적인 형태는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와 함께 T자형을 이룬다. 즉, 탑승부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크레인 거더의 하부 양측에서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휀스부(130)는 상부로부터 보강부재(10)의 안치시 보강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폭 방향 상부는 길이방향보다 낮게 형성된다.
즉, 상기 휀스부(130)는 장벽을 형성한 것으로, 장벽은 직사각형을 이룸에 있어,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부분을 제1장벽(131)이라 하고, 제1장벽 사이에 위치한 부분을 제2장벽(132)이라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웨이트 안치부(140)에 안치되는 웨이트 추(150)는 무게제작이 용이한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하며, 콘크리트 블럭의 외측에는 콘크리브블럭이 감싸지는 함체 및 함체의 상부에 4지점 견인을 위한 견인고리가 마련된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은 크레인 거더 사이사이에 위치된 지주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이동데크를 이용한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작업에 대한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작된 이동데크(100)에는 크레인 거더(2)의 하부를 보강하기 위해 지상에서 제작된 다수개의 보강부재(10)중 어느 하나를 오버헤드 크레인(1)으로 걸어 이동데크(100)를 인양시키고 해당 작업위치 지점까지 운반한다.
상기 보강부재(10)는 이동데크(100)의 탑승부(110)에 마련된 휀스부(130) 중 제2장벽(132) 상부에 횡으로 안치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웨이트 추(150)를 이동데크(100)의 웨이트 안치부(140)에 안치시켜 상기 보강부재(10)를 포함한 탑승부(110)측과 웨이트 추(150)가 위치한 이동데크의 승강시 수평으로 이동테크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이동데크(100)의 베이스(120)측 걸고리(121)에 슬링을 걸고, 슬링은 오버헤드 크레인(1)측 호이스트에 구비된 견인 훅을 걸어 승강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탑승부(110)에 탑승한 상태로 크레인 거더(2)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되는 이동데크(100)의 위치를 크레인운전석 측에 전달하면서 정확한 작업위치에 이동데크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데크의 위치는 승강 및 호이스트의 수평이동에 의해 상기 크레인 거더의 저부에 보강부재가 정확히 위치하는 지점까지 이동되며, 이동완료된 상태는 보강부재(10)의 상부측이 크레인 거더(2)의 저부에 밀착된 상태까지 정밀하게 크레인 운전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위치에서 보강부재(10)의 양측은 크레인 거더(2)를 지지하는 지주(3) 사이에 정확히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오버헤드 크레인(1)을 통한 이동데크(100)의 이동을 완료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탑승부(110)에 탑승한 작업자들은 보강부재(10)의 상단과 접한 크레인 거더(2)의 저부와 가접하여 보강부재를 부착하거나 용접작업을 연속실시하여 보강부재(10)를 부착한다.
상기 탑승부(110)는 크레인 거더(2)의 저부 양측에 걸쳐져 있는 상태까지 진입한 것으로, 작업자들은 크레인 거더에 위치한 보강부재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누어 동시에 보강부재를 부착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보강부재(10)가 휀스부(130)를 이루는 제2장벽(132)의 상부에 받쳐진 상태에서 안정된 용접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작업자들은 제1장벽(131), 제2장벽(132)으로 된 휀스부(130) 내에서 모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도중 휀스부에서 추락할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업은 베이스(120)의 탑승부(110)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종 용접장비 및 용접실시로 인한 부산물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자재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용접작업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 보강부재가 크레인 거더의 저부에 부착된 상태라면, 이때부터는 오버헤드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데크를 크레인 거더 저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가면서 용접작업을 더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강부재의 용접에 의한 구간 보강작업이 완료되면, 오버헤드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시 이동테크를 하강시켜 제작된 보강부재를 탑재하고, 인양하는 방식으로 크레인 거더를 보강하거나, 보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크레인 거더를 보강하기 위해 가설 구조물을 구축하는 작업과 가설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작업, 작업자가 가설 구조물의 상부로 올라가거나 내려오는 작업을 하고, 보강부재를 작게 제작하여 덧붙여 나감으로써, 크레인 거더를 보강하는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은 지상에서 한 구간(지주와 지주사이에 위치될 보강부재)에 맞게 제작된 보강부재를 이동데크에 탑재시켜 오버헤드 크레인을 이용한 승강으로 보강 작업위치까지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이를 일률적인 용접작업으로 보강부재를 지주와 지주사이에 지주를 포함한 크레인 거더의 저부에 용접부착으로서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작업중의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하며, 작업장으로 각종 부산물이 떨어지는 낙하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크레인 거더의 보강작업은 그만큼 보강작업 기간이 기존 방식에 비해 짧기 때문에 보강작업에 들어가는 비용을 현저히 절감함은 물론, 인양하중을 높인 오버헤드 크레인 구축 및 빠른 운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오버헤드 크레인
2: 크레인 거더
10: 보강부재 100: 이동데크
110: 탑승부 120: 베이스
130: 휀스부 140: 웨이트 안치부
150: 웨이트 추
10: 보강부재 100: 이동데크
110: 탑승부 120: 베이스
130: 휀스부 140: 웨이트 안치부
150: 웨이트 추
Claims (3)
- 철골빔을 이용한 직사각 형태의 평판형으로 조합되되, 일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부(110)가 마련되고, 상부에 오버헤드 크레인(1)의 호이스트측 견인 훅을 연결하기 위한 걸고리(121)가 다수개 마련된 베이스(120)와;
상기 탑승부(110)의 둘레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크레인 거더(2)의 하부측에 부착되는 보강부재(10)의 안치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휀스부(130)와;
상기 탑승부(110)와 반대되는 위치의 베이스 상부에 마련되어 탑승부에 안치되는 보강부재(10)와 균형을 맞추기 위한 웨이트 안치부(140) 및 웨이트 추(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110)는 일정 폭으로 된 베이스(120)의 일측에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 하부 양측에서 작업자가 위치할 수 있는 폭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휀스부(130)는 상부로부터 보강부재(10)의 안치시 보강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폭 방향 상부는 길이방향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7589A KR101734024B1 (ko) | 2015-06-01 | 2015-06-01 |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7589A KR101734024B1 (ko) | 2015-06-01 | 2015-06-01 |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1621A true KR20160141621A (ko) | 2016-12-09 |
KR101734024B1 KR101734024B1 (ko) | 2017-05-24 |
Family
ID=5757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7589A KR101734024B1 (ko) | 2015-06-01 | 2015-06-01 |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402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78585A (zh) * | 2021-02-24 | 2021-06-18 | 殷智勇 | 一种电子管自配重吊装平台设备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3907B1 (ko) | 2018-04-17 | 2020-02-0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가설 플랫폼을 이용한 철도 성토노반 보강 공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2607Y1 (ko) * | 2001-09-18 | 2002-03-18 | 홍근찬 | 곤돌라 |
-
2015
- 2015-06-01 KR KR1020150077589A patent/KR10173402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78585A (zh) * | 2021-02-24 | 2021-06-18 | 殷智勇 | 一种电子管自配重吊装平台设备 |
CN112978585B (zh) * | 2021-02-24 | 2022-04-26 | 殷智勇 | 一种电子管自配重吊装平台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4024B1 (ko) | 2017-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328746B (zh) | 钢结构高空安装方法 | |
CN102094106A (zh) | 四点悬挂式大型转炉快速安装方法 | |
CN109235903A (zh) | 钢结构模块化施工方法 | |
KR101734024B1 (ko) |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 | |
CN108996385B (zh) | 一种高炉炉壳吊装用提升装置的设置使用方法 | |
CN212532065U (zh) | 一种可不同高差场地使用的门式起重机 | |
KR101089127B1 (ko) | 대용량 운반기용 하중시험기 | |
CN110550544B (zh) | 起重机及使用该起重机的重物的起重搬运方法 | |
CN113928979B (zh) | 一种集装箱船横隔舱总段的落地翻身方法 | |
JP2016142097A (ja) |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 |
KR20160141622A (ko) |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고정데크 | |
Muralitharan et al. | Safety Analysis in Material Handling of Construction Industry | |
CN114822890A (zh) | 核电站设备闸门安装方法 | |
KR20140023496A (ko) | 형강 설치를 위한 비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형강 설치방법 | |
JP6439880B1 (ja) | エレベーター用長尺物運搬治具、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撤去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設置方法 | |
CN112777484A (zh) | 一种货架的吊装方法 | |
CN112141874A (zh) | 有限空间内除尘罩的安装方法 | |
CN209760046U (zh) | 运输支架以及运输设备 | |
EP2692965B1 (en) | Module structure and module construction method | |
CN202988539U (zh) | 一种油田橇块吊装结构 | |
CN213569108U (zh) | 一种预制梁模板吊装系统 | |
CN219839952U (zh) | 墩身吊围栏安装作业组合式移动升降平台装置 | |
JP7430400B2 (ja) | トランスファークレーンの嵩上げ工事方法、及び嵩上げ用ポスト | |
CN208168391U (zh) | 框架内大型设备的移动转运平台 | |
KR20100041242A (ko) | 교량설치용 빔 적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