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610A -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610A
KR20160141610A KR1020150077558A KR20150077558A KR20160141610A KR 20160141610 A KR20160141610 A KR 20160141610A KR 1020150077558 A KR1020150077558 A KR 1020150077558A KR 20150077558 A KR20150077558 A KR 20150077558A KR 20160141610 A KR20160141610 A KR 20160141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ant
sound frequency
warning message
blac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50077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1610A/ko
Publication of KR2016014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09Sonic sensors; Signal treat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이동 단말기 및 차량 내에서 입력된 소리 주파수가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면 상기 차량 내에 유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유아의 존재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블랙박스를 포함하는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Infant neglect prevention system of the vehicle}
실시 예는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 유아가 혼자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용이한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사용하다보면, 불가피하게 어린아이(이하, "유아"라 한다)를 차량에 혼자 남겨두고 일을 보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백화점이나 마트에서 쇼핑을 하여야 하거나, 차량을 도로변에 정차하여 두고 병원이나 약국에 들러 볼일을 보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유아가 차량내에서 자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더 아이를 동반하여 볼일을 보기 힘든 상황이므로 대개의 어른들은 자는 아이를 차량에 홀로 남겨둔 채, 차량의 윈도우를 모두 올려 외부의 먼지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조치를 취한 후, 혹시라도 있을지 모르는 만일의 사태(아이가 깨어 도어를 열고 나오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에 대비하여 차량 내부에서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차일드 락 시스템(child lock system)을 작동시킨 후, 차량을 떠나게 된다.
이때, 외부인이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도어까지 록킹시켜 놓고 차량을 떠나게 되는데, 흔히 유아가 차량에 혼자 있는 것이 얼마만큼 위험한 것인지를 잘 인식하지 못한 채, 유아만을 남겨두게 되고, 볼일을 보다보면 유아를 혼자 차량에 남겨두고 왔다는 사실을 망각하여 오랜 시간이 흐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경우, 차량은 태양열에 의하여 차내 온도가 증가하게 되며, 특히 여름철에는 그 온도가 급속도로 상승하여 호흡이 곤란해지지만, 닫힌 윈도우로 인하여 외부공기가 통하지 못하고 유아는 차실내에서 질식하는 사고에까지 이르게 된다.
지금까지는 유아가 차량에 혼자 남겨져 질식하기 직전 상황에 놓여있어도 유아를 차량에 홀로 남겨두고 차량을 떠난 어른이나 차량 주위의 다른 사람들이 이러한 상황을 전혀 알 수 없어 결국, 유아가 사망에까지 이르는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가 그동안 제공되지 않았다.
실시 예의 목적은, 차량 내에 유아가 혼자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용이한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 및 차량 내에서 입력된 소리 주파수가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면 상기 차량 내에 유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유아의 존재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블랙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 및 차량 내에서 입력된 소리 주파수가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고 상기 소리 주파수의 지속시간이 설정된 특정 지속시간 범위에 속하면, 상기 차량 내에 유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유아의 존재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블랙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은, 차량 내에 입력된 소리 주파수를 기반으로 유아의 존재를 판단하고, 유아가 존재하면 설정된 이동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여, 유아의 보호자가 유아가 차량 내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위험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블랙박스의 제어구성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에 대한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블랙박스의 제어구성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에 대한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100)는 이동 단말기(110) 및 블랙박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10)는 블랙박스(130)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블랙박스(130)로부터 송신된 경고 메시지(data)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10)는 경고 메시지(data)를 수신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data)에 포함된 경고 문구 및 설정된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110)는 스마트 키,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및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이동 단말기(110)는 블랙박스(130)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이며, 블랙박스(130)에 통신을 위한 ip 주소 및 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통신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기이다.
블랙박스(13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차량의 전후, 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해당되는 영상 및 소리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블랙박스(130)는 사용자, 즉 운전자가 차량 시동을 오프한 상태에도, 비상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및 상기 소리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블랙박스(130)는 입력된 소리에 대응하는 소리 주파수(F)가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면 차량 내에 유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 설정된 이동 단말기(110)로 유아의 존재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data)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100)은 운전자가 차량 내에 유아의 존재 사실을 망각하고, 차량에서 멀리 떨어진 곳 또는 주자를 하는 경우 차량 내에 유아의 존재 사실을 수신한 경고 메시지(data)를 통하여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에서 유아 방치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블랙박스의 제어구성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랙박스(130)는 마이크(132), 판단부(134), 통신부(136) 및 제어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32)는 차량 내에서 발생된 소리, 즉 소리 주파수(F)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마이크(132)는 아날로그 신호인 소리 주파수(F)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판단부(134)는 마이크(132)에서 입력된 소리 주파수(F)가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134)는 유아의 울음 소리에 대응하는 학습된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며,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 내에 소리 주파수(F)가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4)는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 내에 소리 주파수(F)가 속하는 경우 제1 판단신호(s1)를 출력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 내에 소리 주파수(F)가 속하지 않는 경우 제2 판단신호(s2)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36)은 제어부(138)의 제어에 따라 이동 단말기(110)로 경고 메시지(data)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38)는 판단부(134)로부터 출력된 제1 판단신호(s1)가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110)로 송신할 경고 메시지(F)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8)는 경고 메시지(F)가 기 설정되며, 제1 판단신호(s1)가 입력되면 통신부(136)를 통하여 경고 메시지(F)가 이동 단말기(110)로 송신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8)는 설정된 시간 동안 소리 주파수(F)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경고 메시지(F)가 이동 단말기(110)로 재송신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8)는 설정된 시간 동안 소리 주파수(F)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110)와 다르며 설정된 다른 단말기(미도시)로 경고 메시지(F)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에 대한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100)에 포함된 블랙박스(130)는 차량 내에서 소리 주파수(F)를 입력받는다(S110).
블랙박스(130)는 소리 주파수(F)가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120).
블랙박스(130)는 소리 주파수(F)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면,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data)를 이동 단말기(110)로 송신한다(S130).
이후, 블랙박스(130)는 설정된 시간 동안 소리 주파수(F)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S140), 소리 주파수(F)가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입력되면 경고 메시지(F)를 이동 단말기(110)로 재송신한다(S150).
(S120) 단계 및 (S140) 단계 이후, 블랙박스(130)는 소리 주파수(F)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소리 주파수(F)가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미입력되면,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S160).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블랙박스의 제어구성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랙박스(130)는 마이크(232), 제1 판단부(234), 제2 판단부(235), 통신부(236) 및 제어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232)는 차량 내에서 발생된 소리, 즉 소리 주파수(F)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마이크(232)는 아날로그 신호인 소리 주파수(F)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판단부(234)는 마이크(132)에서 입력된 소리 주파수(F)가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판단부(234)는 유아의 울음 소리에 대응하는 학습된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며,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 내에 소리 주파수(F)가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판단부(234)는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 내에 소리 주파수(F)가 속하는 경우 제1 판단신호(s1)를 출력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 내에 소리 주파수(F)가 속하지 않는 경우 제2 판단신호(s2)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판단부(235)는 제1 판단신호(s1)가 입력되면, 소리 주파수(F)의 지속시간이 설정된 특정 지속시간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2 판단부(235)는 제1 판단부(234)로부터 입력된 제1 판단신호(s1)을 검증하여, 소리 주파수(F)의 지속시간이 상기 특정 지속시간 범위에 속하면 차량 내에 유아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제3 판단신호(s3)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판단부(235)는 제1 판단부(234)로부터 입력된 제1 판단신호(s1)을 검증하여, 소리 주파수(F)의 지속시간이 상기 특정 지속시간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차량 내에 유아가 미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제4 판단신호(s4)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236)은 제어부(238)의 제어에 따라 이동 단말기(110)로 경고 메시지(data)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38)는 제2 판단부(235)로부터 출력된 제3 판단신호(s3)가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110)로 송신할 경고 메시지(F)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8)는 경고 메시지(F)가 기 설정되며, 제3 판단신호(s3)가 입력되면 통신부(236)를 통하여 경고 메시지(F)가 이동 단말기(110)로 송신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38)는 설정된 시간 동안 소리 주파수(F)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경고 메시지(F)가 이동 단말기(110)로 재송신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8)는 설정된 시간 동안 소리 주파수(F)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110)와 다르며 설정된 다른 단말기(미도시)로 경고 메시지(F)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에 대한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100)에 포함된 블랙박스(130)는 차량 내에서 소리 주파수(F)를 입력받는다(S210).
블랙박스(130)는 소리 주파수(F)가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220).
이후, 블랙박스(130)는 소리 주파수(F)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면, 소리 주파수(F)의 지속시간이 설정된 특정 지속시간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230).
블랙박스(130)는 소리 주파수(F)의 지속시간이 상기 특정 지속시간 범위에 속하면,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data)를 이동 단말기(110)로 송신한다(S240).
이후, 블랙박스(130)는 설정된 시간 동안 소리 주파수(F)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S250), 소리 주파수(F)가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입력되면 경고 메시지(F)를 이동 단말기(110)로 재송신한다(S260).
(S220) 단계, (S230) 단계 및 (S140) 단계 이후, 블랙박스(130)는 소리 주파수(F)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소리 주파수(F)의 지속시간이 상기 특정 지속시간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소리 주파수(F)가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미입력되면,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S270).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될 것이다.

Claims (8)

  1. 이동 단말기; 및
    차량 내에서 입력된 소리 주파수가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면 상기 차량 내에 유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유아의 존재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블랙박스;를 포함하는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으로 수신하여, 설정된 경고음 및 경고 문구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소리 주파수를 수집하는 마이크;
    상기 소리 주파수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소리 주파수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면, 기 설정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경고 메시지가 송신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은,
    상기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한 주파수 대역인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6. 이동 단말기; 및
    차량 내에서 입력된 소리 주파수가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고 상기 소리 주파수의 지속시간이 설정된 특정 지속시간 범위에 속하면, 상기 차량 내에 유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유아의 존재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블랙박스;를 포함하는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소리 주파수를 수집하는 마이크;
    상기 소리 주파수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제1 판단부;
    상기 소리 주파수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면, 상기 지속시간이 상기 특정 지속시간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제2 판단부; 및
    상기 지속시간이 상기 특정 지속시간 범위에 속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경고 메시지가 송신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KR1020150077558A 2015-06-01 2015-06-01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KR20160141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558A KR20160141610A (ko) 2015-06-01 2015-06-01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558A KR20160141610A (ko) 2015-06-01 2015-06-01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610A true KR20160141610A (ko) 2016-12-09

Family

ID=5757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558A KR20160141610A (ko) 2015-06-01 2015-06-01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161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856A (ko) 2017-05-04 2018-11-14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과실수 적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의 사용방법
KR101943404B1 (ko) * 2018-08-30 2019-01-29 (주)로프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KR20200087321A (ko) * 2018-12-28 2020-07-21 주식회사대성엘텍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06695A (ko)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생장조절 호르몬의 수관 주사에 의한 은행 열매의 결실 억제 방법
KR20210006693A (ko)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생장조절 호르몬의 토양을 통한 뿌리에서의 흡수에 의한 은행 열매의 결실 억제 방법
KR102327677B1 (ko) 2020-05-12 2021-11-16 김기태 자동차 내부 소리 분석 기반의 자동차 내부 위험 상황 주변 알림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856A (ko) 2017-05-04 2018-11-14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과실수 적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의 사용방법
KR101943404B1 (ko) * 2018-08-30 2019-01-29 (주)로프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KR20200087321A (ko) * 2018-12-28 2020-07-21 주식회사대성엘텍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06695A (ko)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생장조절 호르몬의 수관 주사에 의한 은행 열매의 결실 억제 방법
KR20210006693A (ko)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생장조절 호르몬의 토양을 통한 뿌리에서의 흡수에 의한 은행 열매의 결실 억제 방법
KR102327677B1 (ko) 2020-05-12 2021-11-16 김기태 자동차 내부 소리 분석 기반의 자동차 내부 위험 상황 주변 알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1610A (ko)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US1076407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orrelating sleep data to security and/or automation system operations
US10467875B1 (en) Smart wake
US20160049061A1 (en) Integrated vehicle sensing and warning system
US20170206767A1 (en) Sleep state monitoring
EP3314594A1 (en) Smart stay day
US11545016B2 (en) Computer-readable medium,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10410496B1 (en) Occupancy-targeted baby monitoring
US10943452B1 (en) Smart detection
CN204567526U (zh) 用于车载无线充电设备的提醒系统
US10650656B1 (en) Smart bedtime
JPWO2018083738A1 (ja) 情報処理装置、報知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180746A (zh) 基于网关的家居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网关
WO2017158787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車載装置
CN204821444U (zh) 一种锁车后车内有人报警系统
JP2007015506A (ja)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KR101919143B1 (ko) 차량 잔류인원 보호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
EP2932762A1 (en) Disabling of wireless transmis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ing messages
KR20200046330A (ko) 환경정보를 이용한 차량 내 어린이 및 노약자 방치 방지 시스템
CN203894886U (zh) 一种门磁报警装置
US10553100B2 (en) Remote audio monitor system
JP4093283B2 (ja) ワイヤレスキー、本体側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KR20200046341A (ko) 환경정보를 이용한 차량 내 어린이 및 노약자 방치 방지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20149359A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
CN115376259B (zh) 一种门锁的报警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