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404B1 -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404B1
KR101943404B1 KR1020180102431A KR20180102431A KR101943404B1 KR 101943404 B1 KR101943404 B1 KR 101943404B1 KR 1020180102431 A KR1020180102431 A KR 1020180102431A KR 20180102431 A KR20180102431 A KR 20180102431A KR 101943404 B1 KR101943404 B1 KR 101943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ing child
signal
child check
voice signal
slee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수
Original Assignee
(주)로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프 filed Critical (주)로프
Priority to KR1020180102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09Sonic sensors; Signal treat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12Zone surveillance means, e.g. parking lots, truck de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서 잠든 영유아를 보호자가 발견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Sleeping child check device and sleeping child check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음성 센서와, 상기 음성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보호자 없이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영유아의 존재를 체크 및 구조 신호를 보호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통학 차량에서 잠자는 아이를 차량에 방치하여 아이를 숨지게 하는 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잠자는 아이 체크 시스템인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써, 이러한 체크 시스템에는 시동을 끈 뒤 차량 맨 뒷좌석에 설치된 벨을 눌러야 차량 내·외부 경광등 울림이 해제되는 방식(벨 방식), 운전자 등이 스마트폰을 차량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단말기에 갖다대 아동의 하차를 확인하는 방식(NFC 방식) 또는 아동의 가방 등에 통신 장치인 ‘비콘’(beacon)을 붙여 학부모나 교사한테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비콘 방식) 등이 예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벨 방식의 슬리핑 차일드 체크시스템은 통학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Key Off) 동시에 운전석에 좌석확인을 요청하는 안내멘트(또는 경고부저)와 비상등 또는 경광등이 작동되고, 운전자(또는 인솔교사)가 차량 좌석의 상태를 확인 후, 차량의 맨 뒷열에 부착된 좌석확인 스위치를 누르면 시스템이 해제되는 방식이다. 벨 방식의 슬리핑 차일드 체크시스템은 여타의 장치와 달리 단순한 구동원리로 어떤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설치비가 적고 사용에 따른 유지비가 없어 경제성 또한 매우 좋다. 다만, 이러한 벨 방식의 경우에도 별도의 2중 체크 수단이 없어, 운전자(또는 인솔교사)의 실수로 인해 어린이가 혼자 차량에 남게 되는 경우에 따른 추가 기술적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전술한 시동을 끈 후 스마트폰으로 차량의 NFC(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를 태그하는 방식이나, 아동의 가방에 또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인 비콘(beacon)을 부착해 학부모에게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또한, 경제적 비용 문제나, 운전자(또는 인솔교사)의 실수 및 기계 고의 해제 등에 따른 문제 등이 여전히 남아있고, 소형 차량이나 개인 차량에서 일어 날 수 있는 영아가 차량 내에서 잠들고 이를 부모가 인식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개선하지는 못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59052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서 잠든 영유아를 보호자가 발견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영유아의 음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디바이스와, 영유아의 울음신호 데이터 값이 저장된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차량 내부에 방치된 영유아를 효과적으로 보호자에게 알려주고, 또한 긴급 구조 기관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는, 주차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차량 내부의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음성 센서; 상기 음성 센서에서 감지된 음성 신호를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로 전송하는 제 1 전송부; 상기 전송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가 상기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기 저장되어 있는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2 전송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주차 모드는, 자이로값에 의해 측정 되어지는 차량의 위치 변화량이 0인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구현되거나,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구현되거나, 또는 차량 잠금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와 상응하는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제 3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로부터 음성 신호를 실시간 전송받고,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보호자에 전송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외부 서버는, 복수의 영유아 울음 소리 데이터 값이 기록되어 있는 빅데이터부;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 상기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빅데이터부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 소리 데이터 값과 비교 및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에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송신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와 상응하는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제 3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와 상응하는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음성 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음성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빅데이터부에 전송하여, 상기 빅데이터부에 기록된 기존 영유아 울음 소리 데이터 값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을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방법은, 주차 모드에서 차량 내부의 어느 한 부분에 위치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차량 내부의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음성 신호를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에 기록된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과 비교 및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가 상기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영유아가 차량 내부에서 잠들고, 이를 보호자가 발견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영유아의 음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디바이스와, 영유아의 울음신호 데이터 값이 저장된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에 저장되어 있는 울음신호 데이터 값을 갱신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차량 내부에 방치된 영유아를 효과적으로 보호자에게 알려주고, 또한 긴급 구조 기관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효과가 상기 언급한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의 각 구성과 상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 및 예시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는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 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는, 외부 서버와 상호작용하여 차량 내부에서 감지된 음성 신호에 따른 보호자 안내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는 보호자 또는 차량 운행자의 실수에 의해 차량 내부에 있는 영유아가 방치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는,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을 보호자의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 및 이와 상응하는 음성 신호 정보 기반으로 갱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음성 신호가 영유아의 울음소리 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고, 궁극적으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 전송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와 외부 서버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는, 주차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차량 내부의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음성 센서(100); 상기 음성 센서(100)에서 감지된 음성 신호를 외부 서버(2) 내 빅데이터부(200)로 전송하는 제 1 전송부(101); 상기 전송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가 상기 외부 서버(2) 내 빅데이터부(200)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2)로부터 전송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102);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기 저장되어 있는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3)에 전송하는 제 2 전송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센서(100)는 주차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차량 내부의 음성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에서 주차 모드란, 차량이 별도의 움직임 없이 멈추어 있고, 차량의 내부에 보호자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주차 모드는, 예를 들면 차량의 위치 변화량이 0인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 후이거나,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 후이거나, 또는 차량 잠금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차 모드는, 자이로값에 의해 측정 되어지는 차량의 위치 변화량이 0인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구현되거나,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구현되거나, 또는 차량 잠금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자이로값은,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차 모드는, 자이로값에 의해 측정 되어지는 차량의 위치 변화량이 0인 상태에서 10분 경과, 15분 경과 또는 20분 경과 후 구현되거나,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5분 경과, 10분 경과 또는 15분 경과 후 구현되거나, 또는 차량 잠금 상태로부터 3분 경과, 5분 경과, 10분 경과 또는 15분 경과 후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성 센서(100)는, 차량이 주차 모드 일 때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차량 내부의 음성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음성 센서(100)에 의한 음성 신호의 원활한 감지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체크 디바이스는 차종이나, 조수석의 위치, 또는 차량의 규모 등에 따라 그 개수 및 위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체크 디바이스는, 4인승과 같은 개인 중소형차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뒷자석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의 승합차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차량 앞 부근, 중간 부근 및 뒷 부근에 복수 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센서(101)는 주차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차량 내부의 음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공지의 다양한 음성 센서가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센서의 음성 신호에는, 빅데이터부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과 비교하기 위하여,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즉, 상기 음성 센서(101)는 주차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차량 내부의 음성 신호를 감지하되, 상기 음성 신호에는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음성 센서(101)에 의해 감지된 음성 신호는 제 1 전송부(102)에 의해 외부 서버(2) 내 빅데이터부(200)로 전송된다.
상기 제 1 전송부(102)가 외부 서버(2)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화한 후, IoT 전용망 등과 같은 저전력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식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 센서(101)에 의해 감지된 음성 신호는, 디바이스 내 메모리부에 한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는 음성 센서(101)에서 감지된 음성 신호를 실시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예를 들면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외부 서버(2)의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201)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음성 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전송부(102)로부터 음성 신호를 전송받은 외부 서버(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송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와 상기 외부 서버(2) 내 빅데이터부(200)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을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전송된 음성 신호가 빅데이터부(200)에 저장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송된 음성 신호가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에서 용어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라는 것은, 보호자에게 차량 내부에 영유아가 탑승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구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는 상기 외부 서버(2)로부터 전송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102)를 포함한다.
신호를 수신받은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는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기 저장되어 있는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3)에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는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기 저장되어 있는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3)에 전송하는 제 2 전송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언급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기 저장되어 있는 보호자에 대한 정보에는, 보호자의 이름, 성별, 주소 및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연락처에 상응하는 단말기, 예를 들면 모바일 폰을 의미할 수 있다.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식은, 예를 들면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 내 기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한 팝업 알림, 비상 문자 알림 또는 긴급 통화 알림 등의 방식이 예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긴급 통화 알림 방식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와 외부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그 연결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는 것이면 좋다.
상기 제 2 전송부(103)에 의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에 대해 보호자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 또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해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는, 차량 내부에 영유아가 존재하지 아니한다는 신호를 의미하고, 슬리핑 차일드 체크 해제 신호는 차량 내부에 있는 영유아를 확인하였고, 안전하게 후속 조치를 하였다는 신호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를 수신받은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는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와 상응하는 음성 신호 정보를 외부 서버(2)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서버(2) 내 빅데이터부(200)에 저장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의 갱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는, 상기 외부 단말기(3)로부터 제공되는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104);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와 상응하는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2)로 전송하는 제 3 전송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가 전술한 제 2 수신부(104) 및 제 3 전송부(105)를 포함할 경우, 외부 서버와의 상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단말기(3)로부터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를 제 2 수신부(104)로부터 수신받은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는 제 3 전송부(105)를 매개로 외부 서버(2)의 제 2 음성 신호 수신부(204)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제공 받은 외부 서버(2)는 관련 데이터를 빅데이터부(200)로 재전송하여 상기 빅데이터부(200) 내부에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제 차량에 영유아가 탑승하고 있음에도 보호자가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가 외부 단말기(3)로부터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 또는 슬리핑 차일드 해제 신호를 소정 시간 이내에 받지 못하는 경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는 외부 서버로 긴급 구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 4 전송부를 통해), 상기 신호를 전송받은 외부 서버는 긴급 구조기관에 구조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서버로 전송될 긴급 구조 신호에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보호자에 대한 정보 및 차량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는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과 더불어, 차량 내부에 영유아가 있다는 사실을 주변에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알림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음 출력부는, 소정 dB 이상의 반복적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구성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외부 서버 등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GPS 모듈 및 전술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는 상기 구성들을 통해, 차량 내부에서 잠든 영유아를 보호자가 발견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로부터 음성 신호를 실시간 전송받고,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보호자에 전송하는 외부 서버(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서버(2)는, 복수의 영유아 울음 소리 데이터 값이 기록되어 있는 빅데이터부(200);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201); 상기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201)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빅데이터부(200)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 소리 데이터 값과 비교 및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202);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202)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에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송신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 송신부(20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리핑 차일드 디바이스(1)는 주차 모드에서 차량 내부의 어느 한 부분에 위치하여 실시간으로 차량 내부의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음성 센서(100); 상기 음성 센서(100)에서 감지된 음성 신호를 외부 서버(2) 내 빅데이터부(200)로 전송하는 제 1 전송부(101); 상기 전송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가 상기 외부 서버(2) 내 빅데이터부(200)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2)로부터 전송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102);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기 저장되어 있는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3)에 전송하는 제 2 전송부(1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 전송받은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보호자에 전송하는 외부 서버(2)를 포함하여, 차량 내부에서 잠든 영유아를 보호자가 발견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은 영유아의 음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와, 영유아의 울음신호 데이터 값이 저장된 외부 서버(2)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차량 내부에 방치된 영유아를 효과적으로 보호자에게 알려주고, 또한 긴급 구조 기관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의 음성 센서(100)로부터 감지된 음성 신호를 제 1 전송부(101)를 매개로 외부 서버(2)의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201)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상기 전송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가 상기 외부 서버(2) 내 빅데이터부(200)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데이터 분석부(202)를 통해 분석한다.
상기 빅데이터부(200)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는, 영유아의 울음소리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획득된 것으로써, 영유아 울음소리의 진폭 데이터(dB 영역), 울음소리의 고저 분석에 기반한 주파수 특성 및 영유아 음색 특성을 나타내는 파형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202)는 빅데이터부(200)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와 외부 서버(2)의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201)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와의 비교 및 분석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분석부(202)는 빅데이터부(200)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통해 영유아 울음소리 분석 정량화 모델을 수립하고,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201)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정량화 모델에 대입함으로써, 상기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201)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 정보가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분석부(202)는 빅데이터부(200)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의 영유아 울음소리 판단 요소를 벡터화하고, 상기 벡터화된 영유아 울음소리 판단 요소로부터 서포트 벡터 머신 또는 딥 러닝 모델을 학습하여 영유아 울음소리 분석 정량화 모델을 수립하고,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201)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정량화 모델에 대입함으로써, 상기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201)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 정보가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201)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 정보가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에 해당한다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202)에 의해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외부 서버(2)의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 송신부(203)를 매개로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의 제 1 수신부(102)에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송신한다.
이어서,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1)의 제 1 수신부(102)에 수신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는 제 2 전송부(103)를 매개로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3)로 전송되고, 보호자는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 또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해제 신호를 디바이스(1)에 전송하며, 만약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3)가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를 전송한 경우, 해당 신호와 상응하는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가 외부 서버(2)의 제 2 음성 신호 수신부(204)에 수신되고, 궁극적으로 상기 음서 신호 정보는 빅데이터부(200)에 기록된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의 상기 슬리핑 차일드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단말기(3)로부터 제공되는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104);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와 상응하는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2)로 전송하는 제 3 전송부(10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버(2)는, 상기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와 상응하는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음성 신호 수신부(20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제 2 음성 신호 수신부(204)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빅데이터부(200)에 전송하여, 상기 빅데이터부(200)에 기록된 기존 영유아 울음 소리 데이터 값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은 빅데이터부 내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의 갱신을 통해, 보다 정밀한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보다 정확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송신하여, 영유아 음성 신호 오인함에 따른 디바이스 오작동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방법은, 전술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을 이용하고, 주차 모드에서 차량 내부의 어느 한 부분에 위치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차량 내부의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1); 상기 음성 신호를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로 전송하는 단계(S2); 상기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에 기록된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과 비교 및 분석하는 단계(S3); 및 상기 전송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가 상기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 경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상기 슬리핑 차일드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디바이스에 기 저장되어 있는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로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방법에 있어서, 상기 S1 내지 S4 단계는 전술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에서 순차 언급한 것과 중첩되는 내용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및 슬리핑 차일드 체크 방법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나타내었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2 : 외부 서버
3 : 외부 단말기
100 : 음성 센서
101 : 제 1 전송부
102 : 제 1 수신부
103 : 제 2 전송부
104 : 제 2 수신부
105 : 제 3 전송부
200 : 빅데이터부
201 :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
202 : 데이터 분석부
203 :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 송신부
204 : 제 2 음성 신호 수신부

Claims (8)

  1. 주차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차량 내부의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음성 센서;
    상기 음성 센서에서 감지된 음성 신호를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로 전송하는 제 1 전송부;
    상기 전송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가 상기 외부 서버 내 빅데이터부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기 저장되어 있는 보호자의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2 전송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와 상응하는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제 3 전송부를 포함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모드는,
    자이로값에 의해 측정 되어지는 차량의 위치 변화량이 0인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구현되거나,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구현되거나, 또는 차량 잠금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구현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 음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5. 제 1항에 따른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로부터 음성 신호를 실시간 전송받고,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보호자에 전송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외부 서버는,
    복수의 영유아 울음 소리 데이터 값이 기록되어 있는 빅데이터부;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
    상기 제 1 음성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빅데이터부에 기록되어 있는 영유아 울음 소리 데이터 값과 비교 및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에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를 송신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신호 송신부; 및
    슬리핑 차일드 부재 신호와 상응하는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음성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음성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의 진폭, 주파수 및 파형 정보를 상기 빅데이터부에 전송하여, 상기 빅데이터부에 기록된 기존 영유아 울음소리 데이터 값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02431A 2018-08-30 2018-08-30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KR101943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431A KR101943404B1 (ko) 2018-08-30 2018-08-30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431A KR101943404B1 (ko) 2018-08-30 2018-08-30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404B1 true KR101943404B1 (ko) 2019-01-29

Family

ID=6532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431A KR101943404B1 (ko) 2018-08-30 2018-08-30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4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17B1 (ko) * 2013-03-05 2014-06-10 주식회사 타이드 유아 안전관리 시스템 및 유아 안전관리 방법
KR101409500B1 (ko) * 2012-11-23 2014-06-18 광주광역시 광산구 영·유아 감시장치
KR20160141610A (ko) *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KR20180059052A (ko) 2016-11-25 2018-06-04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뒷좌석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7673B1 (ko) * 2017-04-11 2018-07-11 고영희 어린이 탑승 차량용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500B1 (ko) * 2012-11-23 2014-06-18 광주광역시 광산구 영·유아 감시장치
KR101404717B1 (ko) * 2013-03-05 2014-06-10 주식회사 타이드 유아 안전관리 시스템 및 유아 안전관리 방법
KR20160141610A (ko) *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유아 방치 예방 시스템
KR20180059052A (ko) 2016-11-25 2018-06-04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뒷좌석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7673B1 (ko) * 2017-04-11 2018-07-11 고영희 어린이 탑승 차량용 안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8686B2 (en) Automatic crash notification using WiMAX
US11798396B2 (en) Interface for security system
US7508298B2 (en) Automatic crash notification using prerecorded messages
US8914014B2 (en) Phone that prevents concurrent texting and driving
EP333094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garage door opener remote control
JP2006525589A (ja) イベント検出システム
US8620256B2 (en) Automated voice emergency call
US201302784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Mobile Device Within A Passenger Cabin
KR101130238B1 (ko) 차량 도난 방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60082923A1 (en) An alarm system
JP2018055446A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US20200023770A1 (en) Vehicular reminder device
KR101943404B1 (ko) 슬리핑 차일드 체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JP2009043070A (ja) 車載用無線通報装置、警告通知システム、および車載用無線通報装置用のプログラム
WO2017206835A1 (zh) 报警方法和报警装置
CN109532756B (zh) 车辆非法点火告警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RU2705716C1 (ru) Способ и компоновк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ыходной громкостью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акуст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1901459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cell phone use while driving
KR102000668B1 (ko) 차량 실내 긴급 상황 통지 방법 및 그 텔레매틱스 장치
JP2006144432A (ja) 報知装置及び報知方法
US20230222909A1 (en) Control method, moving body, and recording medium
CN110503522B (zh) 跟踪订单生成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4032976B2 (ja) 故障通知装置
US20220332247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10518A (ko) 차량내 관심 대상 방치 방지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