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604A - 공중 부양 장치 - Google Patents

공중 부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604A
KR20160141604A KR1020150077538A KR20150077538A KR20160141604A KR 20160141604 A KR20160141604 A KR 20160141604A KR 1020150077538 A KR1020150077538 A KR 1020150077538A KR 20150077538 A KR20150077538 A KR 20150077538A KR 20160141604 A KR20160141604 A KR 2016014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generating
lift
air
generating memb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수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1604A/ko
Publication of KR2016014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001Shrouded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20Rotorcraft characterised by having shrouded rotors, e.g. flying platforms
    • B64C2201/1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구비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가 전달될 수 있는 양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력 발생부의 일 측에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에 의해 양력이 발생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중 부양 장치{APPARATUS FOR LEVITATION}
본 발명은 공중 부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르누이 유동 원리를 적용하여 양력 발생부에서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양력 발생부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의 제어를 통하여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에서 발생되는 양력을 제어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부양은 중력에 대항하여 안정된 위치 내에 물리적인 접촉점이 없이 떠 있는 과정을 말한다.
상기 공중 부양은 공중 부양되는 방식에 따라서 예를 들어 자기 공중 부양, 정전기 공중 부양, 공압 공중 부양, 음파 공중 부양, 광 공중 부양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자기 공중 부양은 다른 지지대 없이 자기장만으로 물체를 공중에 부양시키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자기 부상 열차는 이러한 방식을 적용한 예이다.
상기 음파 공중 부양은 매질 안에서 고면밀도음파에서 음파의 방사압을 사용하여 매질 안에 물질을 공중에 부양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고면밀도음파의 비선형 효과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공압 공중 부양은 물체 주위의 공기 압력에 의해 물체를 공중 부양시키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물체의 중력에 대하여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압을 가함으로써 물체를 공중 부양시킬 수 있다.
상기 광 공중 부양은 광자 운동량 전가로 나오는 상방향력에 의해 중력의 하방향력을 상쇄하여 물체를 공중에 부양시키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수직 상방향의 충분한 면 밀도의 집광 레이저 빔의 광자 방사압은 서스펜션 내의 작은 입자들 잡을 수 있는 안정된 광 트랩을 허여하는 하방향 중력을 상쇄한다.
예를 들어, 2009년 9월 15일에 출원된 KR2011-0086942호에는 공중에 뜨면서 물체를 공중으로 들어올려, 물체를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양 이송체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양력 발생부에 프로펠러를 구비함으로써 유발될 수 있는 안전상 및 작동상의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몸체와 양력 발생 부재를 분리할 수 있어 보관에 용이하며 청소가 간편하여 위생적일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몸체에 구비된 팬 및 모터에 의하여 상기 몸체에서 흡입된 공기가 양력 발생 부재에 전달되고, 상기 양력 발생 부재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양력 발생 부재에 비교적 균일하게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양력 발생 부재에서 발생되는 양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몸체 및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의 자세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하나의 양력 발생 부재를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을 구비하여, 복수 개의 구획에서 발생되는 양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가 다양한 배치로 마련되어 증가된 양력 또는 추진력을 획득할 수 있고, 몸체의 측면뿐만 아니라 몸체의 상면에 공기 흡입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추가적인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몸체에 각종 센서, 제어/통신 모듈, 영상 및 음향 디바이스 등이 장착되어, 공중 부양과 동시에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드론(drone)과 같은 무인항공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공중 부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구비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양력 발생 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구비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가 전달될 수 있는 양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력 발생부의 일 측에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에 의해 양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양력 발생부는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등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양력 발생부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된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양력 발생 부재의 중앙에 상기 몸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양력 발생부는 상기 양력 발생 부재를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은 상기 양력 발생 부재 상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양력 발생부는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는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은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양력 발생부는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는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일단은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양력 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양력 발생부에 공기를 전달할 수 있는 공기 유도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도관에는 유량 조절 요소가 장착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양력 발생부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몸체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양력 발생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 측면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더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된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추가적인 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 또는 양력 발생부에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센서는 자세 제어를 위한 가속도센서 또는 자이로센서, 압력센서, 음향센서, 온도 센서 또는 습도센서, 가스 센서, 자기 센서, 거리측정센서 또는 위치 제어를 위한 GP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 또는 양력 발생부에는 스피커 또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향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또는 탐조등을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으며, 휴대폰, 기지국 또는 인공위성과 통신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는,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되는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전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공중 부양을 위한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에서 발생되는 양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양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등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는 고리 형상을 균분한 고리 형상의 일부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고리 형상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 사이에는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은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은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 의하면, 양력 발생부에 프로펠러를 구비함으로써 유발될 수 있는 안전상 및 작동상의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몸체와 양력 발생부를 분리할 수 있어 보관에 용이하며 청소가 간편하여 위생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 의하면, 몸체에 구비된 팬 및 모터에 의하여 상기 몸체에서 흡입된 공기가 양력 발생 부재에 전달되고, 상기 양력 발생 부재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양력 발생 부재에 비교적 균일하게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양력 발생 부재에서 발생되는 양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몸체 및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의 자세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양력 발생 부재를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을 구비하여, 복수 개의 구획에서 발생되는 양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가 다양한 배치로 마련되어 증가된 양력 또는 추진력을 획득할 수 있고, 몸체의 측면뿐만 아니라 몸체의 상면에 공기 흡입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추가적인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 의하면, 몸체에 각종 센서, 제어/통신 모듈, 영상 및 음향 디바이스 등이 장착되어, 공중 부양과 동시에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드론(drone)과 같은 무인항공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 의하면, 소형화가 가능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구비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양력 발생 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c)는 양력 발생 부재에서 양력이 발생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3(a) 및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서 양력이 발생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a) 내지 (c)는 양력 발생 부재에서 양력이 발생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3(a) 및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는 몸체(100), 양력 발생부(110) 및 공기 유도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주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몸체(100) 내부에는 팬(미도시) 및 상기 팬을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몸체(100)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몸체(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팬과 인접한 몸체(100)의 측면 또는 상면에는 공기 흡입구(102, 10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100)로부터 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는 양력 발생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양력 발생부(110)는 상기 몸체(100)로부터 공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2(a) 내지 (c)를 참조하여, 양력 발생부(110)에서는 다음과 같이 양력이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를 참조하여, 몸체(100) 내에 구비된 팬이 회전함에 따라 몸체(100)의 측면에 구비된 공기 흡입구(102)를 통해 몸체(100) 주위의 공기가 몸체(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100) 내에 흡입된 공기는 도 2(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양력 발생부(110)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양력 발생부(110)의 일 측에 배치된 공기 배출구(110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결국, 도 2(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양력 발생부(110)의 일 측을 향하여 공기 흐름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력 발생부(110)의 단면은 속이 빈 비행기 날개의 모양과 유사할 수 있다. 양력 발생부(110)의 내부로 밀려 올라간 공기는 양력 발생부(110)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 약 30-500 km/h 정도로 유속이 빨라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빠른 속력의 공기가 양력 발생부(110)에 작은 틈과 같이 형성된 공기 배출구(1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양력 발생부(110) 안쪽 면의 기압은 낮아지게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양력 발생부(110) 주변의 공기의 양은 몸체(100)의 측면으로 흡입된 공기의 양보다 5-50배 정도로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결국 몸체(100)를 공중 부양시킬 수 있는 양력이 발생될 수 있다.
전술된 양력 발생부(110)는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양력 발생부(110)가 네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양력 발생 부재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한 개 이상의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양력 발생부(110)가 원형으로 마련된 네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양력 발생부(110)는 제1 양력 발생 부재(112), 제2 양력 발생 부재(114), 제3 양력 발생 부재(1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력 발생 부재(112), 제2 양력 발생 부재(114), 제3 양력 발생 부재(1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118)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리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임의의 곡선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양력 발생 부재(112)는 몸체(100)의 일 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양력 발생 부재(114)는 제1 양력 발생 부재(112)에 대하여 몸체(100)를 중심으로 90도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제3 양력 발생 부재(116)는 제2 양력 발생 부재(114)에 대하여 몸체(100)를 중심으로 90도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제4 양력 발생 부재(118)는 제3 양력 발생 부재(116)에 대하여 몸체(100)를 중심으로 90도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양력 발생 부재(112), 제2 양력 발생 부재(114), 제3 양력 발생 부재(1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118)는 몸체(100)를 중심으로 등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력 발생부(110)가 여섯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여섯 개의 양력 발생 부재는 몸체(100)를 중심으로 6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통해서 양력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양력 발생 부재(112), 제2 양력 발생 부재(114), 제3 양력 발생 부재(1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118)의 일 측에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는 몸체(100)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외부에 배출시켜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술된 몸체(100) 및 양력 발생부(110) 사이에는 공기 유도관(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도관(120)은 몸체(100) 및 양력 발생부(110)를 연결하여 몸체(100)에서 흡입된 공기를 양력 발생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도관(120)은 제1 공기 유도관(122), 제2 공기 유도관(124), 제3 공기 유도관(126) 및 제4 공기 유도관(1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 유도관(122)은 몸체(100)와 제1 양력 발생 부재(112)를 연결하고, 제2 공기 유도관(124)은 몸체(100)와 제2 양력 발생 부재(114)를 연결하고, 제3 공기 유도관(126)은 몸체(100)와 제3 양력 발생 부재(116)를 연결하고, 제4 공기 유도관(128)은 몸체(100)와 제4 양력 발생 부재(118)를 연결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공기 유도관(122), 제2 공기 유도관(124), 제3 공기 유도관(126) 및 제4 공기 유도관(128)이 직선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제1 양력 발생 부재(112), 제2 양력 발생 부재(114), 제3 양력 발생 부재(1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118)의 몸체(100)에 대한 배치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유도관(120)에는 유량 조절 요소가 장착되어, 몸체(100)로부터 양력 발생부(110)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 요소는 예로 들어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공기 유도관(122), 제2 공기 유도관(124), 제3 공기 유도관(126) 및 제4 공기 유도관(128)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기 유도관(122)에 장착된 유량 조절 요소는 몸체(100)로부터 제1 양력 발생 부재(112)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제어할 수 있고, 제2 공기 유도관(124)에 장착된 유량 조절 요소는 몸체(100)로부터 제2 양력 발생 부재(124)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제어할 수 있고, 제3 공기 유도관(126)에 장착된 유량 조절 요소는 몸체(100)로부터 제3 양력 발생 부재(126)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제어할 수 있고, 제4 공기 유도관(128)에 장착된 유량 조절 요소는 몸체(100)로부터 제4 양력 발생 부재(128)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유량 조절 요소는 별도의 제어 장치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각각의 양력 발생 부재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양력 발생 부재에서 발생되는 양력을 제어하는 양력 제어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의 롤링, 피칭 또는 요잉과 같은 작동 방식, 비행 방향 또는 상륙/착륙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0), 양력 발생부(110) 및 공기 유도관(120)은 서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어, 몸체(100), 양력 발생부(110) 및 공기 유도관(120)이 분리된 상태에서 일정한 케이스 내에 보관될 수 있고, 몸체(100), 양력 발생부(110) 및 공기 유도관(120)을 조립함으로써 공중 부양 장치(1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게다가, 외부에 노출되는 몸체(100), 양력 발생부(110) 및 공기 유도관(120)을 큰 강도의 재질로 마련하여 공중 부양 장치(1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양력 발생부(110)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구비되어 양력 발생부(110)에 새와 같은 다양한 물체의 충돌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다.
도 3(a) 및 (b)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에서 양력이 발생하는 모습을 알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여, 몸체(100)의 측면에 구비된 공기 흡입구(10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공기 유도관(120)을 통하여 양력 발생 부재(1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공기 흡입구(102)는 몸체(10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양력 발생부(110)는 몸체(100)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공기 흡입구(102)에서 흡입된 공기가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서 상향으로 이동되어 양력 발생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양력 발생 부재(112), 제2 양력 발생 부재(114), 제3 양력 발생 부재(1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118)에서는 각각 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양력은 몸체(100) 및 양력 발생부(110)의 중량에 대하여 반대되는 방향인 하향으로 발생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가 공중에 뜨게 할 수 있다.
이에 추가적인 양력을 얻기 위하여, 몸체(100)의 상면에 공기 흡입구(104)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104)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의 상부에 공기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추가적인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기 유도관에 유량 조절 요소가 장착되어 각각의 양력 발생 부재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는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종 센서는 몸체(1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센서는 제어를 위한 가속도/자이로센서, 압력센서, 음향센서, 온/습도센서, 가스 센서, 자기 센서, 거리측정센서 또는 위치 제어를 위한 GPS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를 통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의 자세 제어는 물론,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 주위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게다가 GPS를 구비함으로써,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를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특정 고도를 입력하게 되면 그 고도에서 계속 머물 수 있다.
게다가,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 예를 들어 몸체(100) 또는 양력 발생부(110)에는 카메라, 마이크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영상 및 음향 디바이스, LED와 같은 발광소자 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레이저 디바이스, 휴대폰, 기지국 또는 인공위성과 통신 가능한 유/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더 부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에 추가적인 다른 물체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장착 요소가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가 단순히 공중 부양뿐만 아니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는 별도의 제어 장치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조정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가능한 일체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 대하여 설명되며,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와 공통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에서 양력이 발생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20)는 몸체(200), 양력 발생부(210), 공기 유도관(220) 및 분리 격벽(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력 발생부(210)는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양력 발생 부재(212), 제2 양력 발생 부재(214), 제3 양력 발생 부재(2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2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력 발생 부재(212), 제2 양력 발생 부재(214), 제3 양력 발생 부재(2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218)는 고리 형상을 균분한 고리 형상의 일부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1 양력 발생 부재(212), 제2 양력 발생 부재(214), 제3 양력 발생 부재(2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218)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고리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와 차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양력 발생 부재(212), 제2 양력 발생 부재(214), 제3 양력 발생 부재(2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218)은 각각 사분원의 호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양력 발생 부재(212), 제2 양력 발생 부재(214), 제3 양력 발생 부재(2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218)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때, 몸체(200)는 양력 발생부(2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몸체(200)가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경우, 몸체(200)와 양력 발생부(210)는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 사이에는 분리 격벽(23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양력 발생 부재(212)와 제2 양력 발생 부재(214) 사이에는 제1 분리 격벽(232)이 배치되고, 제2 양력 발생 부재(214)와 제3 양력 발생 부재(216) 사이에는 제2 분리 격벽(234)이 배치되고, 제3 양력 발생 부재(216)와 제4 양력 발생 부재(218) 사이에는 제3 분리 격벽(236)이 배치되고, 제4 양력 발생 부재(218)와 제1 양력 발생 부재(212) 사이에는 제4 분리 격벽(218)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리 격벽(230)은 몸체(200)에서 공기 유도관(220)을 통해 전달된 공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양력 발생 부재에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분리 격벽(232)은 몸체(200)에서 제1 공기 유도관(222)을 통해 제1 양력 발생 부재(212)에 전달된 공기가 제2 양력 발생 부재(214)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218)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분리 격벽(234)은 몸체(200)에서 제2 공기 유도관(224)을 통해 제2 양력 발생 부재(214)에 전달된 공기가 제1 양력 발생 부재(212) 및 제3 양력 발생 부재(216)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3 분리 격벽(234)은 몸체(200)에서 제3 공기 유도관(226)을 통해 제3 양력 발생 부재(216)에 전달된 공기가 제2 양력 발생 부재(214)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218)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 격벽(230)에 의하여 하나의 고리 형상으로 마련된 양력 발생부(210)가 복수 개의 독립적인 공기 추진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몸체(200)의 상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0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의해 제1 양력 발생 부재(212), 제2 양력 발생 부재(214), 제3 양력 발생 부재(2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218)에서는 각각 양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몸체(200)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의해 제1 양력 발생 부재(212), 제2 양력 발생 부재(214), 제3 양력 발생 부재(2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218)에서 양력이 발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공기 유도관(222), 제2 공기 유도관(224), 제3 공기 유도관(226) 및 제4 공기 유도관(228)에는 유량 조절 요소가 장착되어, 제1 양력 발생 부재(212), 제2 양력 발생 부재(214), 제3 양력 발생 부재(2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218)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30)는, 몸체(300), 양력 발생부(310), 공기 유도관(320) 및 분리 격벽(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30)는 양력 발생부(310)가 복수 개의 고리 형상이 중앙에 몸체(300)를 배치하도록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20)와 차이점이 있다.
다만,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30)는 두 개의 고리 형상으로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두 개의 이상의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30)는 몸체(300)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 양력 발생 부재(312), 제2 양력 발생 부재(314), 제3 양력 발생 부재(3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318)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제5 양력 발생 부재(3122), 제6 양력 발생 부재(3142), 제7 양력 발생 부재(3162) 및 제8 양력 발생 부재(3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양력 발생 부재(312), 제2 양력 발생 부재(314), 제3 양력 발생 부재(3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318)는 하나의 고리 형상을 형성하고, 제5 양력 발생 부재(3122), 제6 양력 발생 부재(3142), 제7 양력 발생 부재(3162) 및 제8 양력 발생 부재(3182)는 다른 하나의 고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의 고리 형상과 상기 다른 하나의 고리 형상이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동심원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고리 형상과 다른 하나의 고리 형상은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30)는 제1 양력 발생 부재(312)와 제2 양력 발생 부재(314) 사이에 배치된 제1 분리 격벽(332), 제2 양력 발생 부재(314)와 제3 양력 발생 부재(316) 사이에 배치된 제2 분리 격벽(334), 제3 양력 발생 부재(316)와 제4 양력 발생 부재(318) 사이에 배치된 제3 분리 격벽(33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318)와 제1 양력 발생 부재(312) 사이에 배치된 제4 분리 격벽(338)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제5 양력 발생 부재(3122)와 제6 양력 발생 부재(3142) 사이에 배치된 제5 분리 격벽(3322), 제6 양력 발생 부재(3142)와 제7 양력 발생 부재(3162) 사이에 배치된 제6 분리 격벽(3342), 제7 양력 발생 부재(3162)와 제8 양력 발생 부재(3182) 사이에 배치된 제7 분리 격벽(3362) 및 제8 양력 발생 부재(3182)와 제5 발생 부재(3122) 사이에 배치된 제8 분리 격벽(33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 및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은 몸체(30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분리 격벽(332)과 제5 분리 격벽(3322)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2 분리 격벽(334)과 제6 분리 격벽(3342)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3 분리 격벽(336)과 제7 분리 격벽(3362)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4 분리 격벽(338)과 제8 분리 격벽(3382)은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도관(320)은 몸체(300)로부터 제1 양력 발생 부재(312)를 거쳐 제5 양력 발생 부재(3122)에 연결되는 제1 공기 유도관(322), 몸체(300)로부터 제2 양력 발생 부재(314)를 거쳐 제6 양력 발생 부재(3142)에 연결되는 제2 공기 유도관(324), 몸체(300)로부터 제3 양력 발생 부재(316)를 거쳐 제7 양력 발생 부재(3162)에 연결되는 제3 공기 유도관(326) 및 몸체(300)로부터 제4 양력 발생 부재(318)를 거쳐 제8 양력 발생 부재(3182)에 연결되는 제4 공기 유도관(32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기 유도관(322)은 몸체(300)로부터의 공기를 제1 양력 발생 부재(312) 및 제5 양력 발생 부재(3122)에 독립적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공기 유도관(324)은 몸체(300)로부터 제2 양력 발생 부재(314) 및 제6 양력 발생 부재(3142)에 독립적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3 공기 유도관(326)은 몸체(300)로부터 제3 양력 발생 부재(316) 및 제7 양력 발생 부재(3162)에 독립적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4 공기 유도관(328)은 몸체(300)로부터 제4 양력 발생 부재(318) 및 제8 양력 발생 부재(3182)에 독립적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30)에서는 제1 양력 발생 부재(312), 제2 양력 발생 부재(314), 제3 양력 발생 부재(316), 제4 양력 발생 부재(318), 제5 양력 발생 부재(3122), 제6 양력 발생 부재(3142), 제7 양력 발생 부재(3162) 및 제8 양력 발생 부재(3182)에서 독립적으로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더 큰 양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40)는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가 서로 다른 공기 유도관을 통해 몸체로부터 공기를 전달 받고,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 및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는 점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30)와 차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40)는 몸체(400)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 양력 발생 부재(412), 제2 양력 발생 부재(414), 제3 양력 발생 부재(4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418)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제5 양력 발생 부재(4122), 제6 양력 발생 부재(4142), 제7 양력 발생 부재(4162) 및 제8 양력 발생 부재(4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양력 발생 부재(412), 제2 양력 발생 부재(414), 제3 양력 발생 부재(41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418)는 하나의 고리 형상을 형성하고, 제5 양력 발생 부재(4122), 제6 양력 발생 부재(4142), 제7 양력 발생 부재(4162) 및 제8 양력 발생 부재(4182)는 다른 하나의 고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의 고리 형상과 상기 다른 하나의 고리 형상이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동심원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고리 형상과 다른 하나의 고리 형상은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40)는 제1 양력 발생 부재(412)와 제2 양력 발생 부재(414) 사이에 배치된 제1 분리 격벽(432), 제2 양력 발생 부재(414)와 제3 양력 발생 부재(416) 사이에 배치된 제2 분리 격벽(434), 제3 양력 발생 부재(416)와 제4 양력 발생 부재(418) 사이에 배치된 제3 분리 격벽(436) 및 제4 양력 발생 부재(418)와 제1 양력 발생 부재(412) 사이에 배치된 제4 분리 격벽(438)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제5 양력 발생 부재(4122)와 제6 양력 발생 부재(4142) 사이에 배치된 제5 분리 격벽(4322), 제6 양력 발생 부재(4142)와 제7 양력 발생 부재(4162) 사이에 배치된 제6 분리 격벽(4342), 제7 양력 발생 부재(4162)와 제8 양력 발생 부재(4182) 사이에 배치된 제7 분리 격벽(4362) 및 제8 양력 발생 부재(4182)와 제5 발생 부재(4122) 사이에 배치된 제8 분리 격벽(43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 및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은 몸체(40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양력 발생 부재(412), 제2 양력 발생 부재(414), 제3 양력 발생 부재(416), 제4 양력 발생 부재(418), 제5 양력 발생 부재(4122), 제6 양력 발생 부재(4142), 제7 양력 발생 부재(4162) 및 제8 양력 발생 부재(4182)는 서로 다른 공기 유도관(4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도관(420)은 몸체(400)로부터 제1 양력 발생 부재(412)를 연결하는 제1 공기 유도관(422), 몸체(400)로부터 제2 양력 발생 부재(414)를 연결하는 제2 공기 유도관(424), 몸체(400)로부터 제3 양력 발생 부재(416)를 연결하는 제3 공기 유도관(426), 몸체(400)로부터 제4 양력 발생 부재(418)를 연결하는 제4 공기 유도관(428), 몸체(400)로부터 제5 양력 발생 부재(4122)를 연결하는 제5 공기 유도관(4222), 몸체(400)로부터 제6 양력 발생 부재(4142)를 연결하는 제6 공기 유도관(4242), 몸체(400)로부터 제7 양력 발생 부재(4162)를 연결하는 제7 공기 유도관(4262) 및 몸체(400)로부터 제8 양력 발생 부재(4182)를 연결하는 제8 공기 유도관(428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공기 유도관이 총 여덟 개의 공기 유도관을 포함하도록 도시되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도관이 총 네 개의 공기 유도관을 구비하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에 포함된 양력 발생부(110)와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양 장치(10)에 포함된 양력 발생부(210, 310, 410)가 적절히 조합되어 몸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중 부양 장치는 다양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공중 부양 장치의 자세 제어 또는 위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한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20, 30, 40: 공중 부양 장치
100, 200, 300, 400: 몸체
110, 210, 310, 410: 양력 발생부
120, 220, 320, 420: 공기 유도관
230, 330, 430: 분리 격벽

Claims (16)

  1.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구비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가 전달될 수 있는 양력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양력 발생부의 일 측에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에 의해 양력이 발생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력 발생부는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등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력 발생부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된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양력 발생 부재의 중앙에 상기 몸체가 배치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력 발생부는 상기 양력 발생 부재를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은 상기 양력 발생 부재 상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력 발생부는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는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공중 부양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력 발생부는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는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공중 부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양력 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양력 발생부에 공기를 전달할 수 있는 공기 유도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도관에는 유량 조절 요소가 장착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양력 발생부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몸체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양력 발생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 측면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더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된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추가적인 양력이 발생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또는 양력 발생부에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센서는 자세 제어를 위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센서, 압력센서, 음향센서, 온도 센서 또는 습도센서, 가스 센서, 자기 센서, 거리측정센서 또는 위치 제어를 위한 GPS를 포함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또는 양력 발생부에는 스피커 또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향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또는 탐조등을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으며, 휴대폰, 기지국 또는 인공위성과 통신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12.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되는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전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공중 부양을 위한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에 전달되는 공기 유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에서 발생되는 양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양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중 부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등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는 고리 형상을 균분한 고리 형상의 일부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고리 형상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 사이에는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이 배치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은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양력 발생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분리 격벽은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는 공중 부양 장치.
KR1020150077538A 2015-06-01 2015-06-01 공중 부양 장치 KR20160141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538A KR20160141604A (ko) 2015-06-01 2015-06-01 공중 부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538A KR20160141604A (ko) 2015-06-01 2015-06-01 공중 부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604A true KR20160141604A (ko) 2016-12-09

Family

ID=5757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538A KR20160141604A (ko) 2015-06-01 2015-06-01 공중 부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16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636A1 (ko) * 2018-12-12 2020-06-18 배진식 청소에 사용될 수 있는 이동 장치 및 이동 장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636A1 (ko) * 2018-12-12 2020-06-18 배진식 청소에 사용될 수 있는 이동 장치 및 이동 장치 제어방법
KR102123653B1 (ko) * 2018-12-12 2020-06-18 배진식 청소에 사용될 수 있는 이동 장치 및 이동 장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0142B2 (en) Aerial robot
US7967238B2 (en) Composite air vehicle having a heavier-than-air vehicle tethered to a lighter-than-air vehicle
US9325220B2 (en) Propulsion and control for a magnetically lifted vehicle
EP3145735B1 (en) Unmanned air and underwater vehicle
KR101607816B1 (ko) 바람안내부를 구비하는 무인비행기
US20050082421A1 (en) Flying machine
WO2014062276A2 (en) Vehicle capable of stabilizing a payload when in motion
SA519402008B1 (ar) مركبة هوائية غير مزودة بأفراد بدرجة تحمل عالية
US20160033970A1 (en) Propulsion and control for a magnetically lifted vehicle
US9975448B2 (en) Control of translating hover engines to obtain zero drag
US20160122010A1 (en) Aerial vehicle
KR20160141604A (ko) 공중 부양 장치
JP2023087129A (ja) 発射機、発射装置、打上装置、マスドライバ、輸送システム
CN105620751B (zh) 一种碟形直升式飞行装置
US10633120B2 (en) Air and space craft with independently oriented thrust generators
US11235873B2 (en) Impulsive release mechanism and method
US20200039646A1 (en) Flying Gyroscope System and Method
KR20170083395A (ko) 무인 비행체
JP4540639B2 (ja) 離着陸補助装置
CN205366075U (zh) 垂直起降式固定翼飞行器
WO2021058356A3 (en) Device transport by air
US20210103301A1 (en) User assistance drone device
CN107719621A (zh) 一种物流无人机空中充电平台
ES2677156A1 (es) Sistema levitador, estabilizador y propulsor para vehículos que circulan por conductos de aire
CN106428559A (zh) 一种碟式飞行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