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165A -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165A
KR20160141165A KR1020150075299A KR20150075299A KR20160141165A KR 20160141165 A KR20160141165 A KR 20160141165A KR 1020150075299 A KR1020150075299 A KR 1020150075299A KR 20150075299 A KR20150075299 A KR 20150075299A KR 20160141165 A KR20160141165 A KR 20160141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angle
normal
light
optica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550B1 (ko
Inventor
이정호
오영
이성훈
주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55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5Diffusing sheet or layer; Prismatic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리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부는 광입사면이고, 상기 프리즘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인접하여 형성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은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은 상기 프리즘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정점을 T, 상기 제2면 중 저점을 Rn, T와 Rn을 연결하는 상기 제2면 중 T와 R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을 Rm, T를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기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1, Rn을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기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n, Rm을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기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m, 상기 제1면과 법선 nd1이 이루는 각이 θL1, 상기 제2면 중 T에서의 접선과 법선 nd1이 이루는 각이 θR1, 상기 제2면 중 Rn에서의 접선과 법선 ndn이 이루는 각이 θRn, 상기 제2면 중 Rm에서의 접선과 법선 ndm이 이루는 각인 경사각이 θRm이라고 할 때, 식 1과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인,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나온 광이 액정패널을 통해 출사됨으로써 작동된다. 최근, 광입사면에 프리즘이 형성된 역프리즘 시트(inverted prism sheet)가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역프리즘 시트는 집광에 의해 휘도를 높일 수 있다.
시청자는 일반적으로 정면에서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을 시청한다. 그러나, 시청자는 측면에서도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역프리즘 시트가 포함된 액정표시장치는 집광뿐만 아니라 시야각도 넓어야 한다. 그러나, 시야각을 넓힐 경우 휘도의 손실이 있을 수 있다. 최근, 휘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시야각을 넓히기 위해 역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형상을 변화하는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공개특허 제2013-19077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입광면에 프리즘이 형성되고 시야각을 넓게 할 수 있는 광학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입광면에 프리즘이 형성되고 시야각을 넓히고 집광 효율이 감소되지 않게 하여 휘도 손실이 없게 할 수 있는 광학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입광면에 프리즘이 형성되고 편광판이 합지되더라도 시야각을 넓히고 집광 효율이 감소되지 않게 하여 휘도 손실이 없게 할 수 있는 광학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시트는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리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부는 광입사면이고, 상기 프리즘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인접하여 형성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은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은 상기 프리즘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정점을 T, 상기 제2면 중 저점을 Rn, T와 Rn을 연결하는 상기 제2면 중 T와 R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을 Rm, T를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1, Rn을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n, Rm을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m, 상기 제1면과 법선 nd1이 이루는 각이 θL1, 상기 제2면 중 T에서의 접선과 법선 nd1이 이루는 각이 θR1, 상기 제2면 중 Rn에서의 접선과 법선 ndn이 이루는 각이 θRn, 상기 제2면 중 Rm에서의 접선과 법선 ndm이 이루는 각인 경사각이 θRm이라고 할 때, 하기 식 1과 식 2를 충족시킬 수 있다:
<식 1>
θR1 ≤ θL1 ≤ θRn
(단, θR1 ≠ θL1 ≠ θRn)
<식 2>
θR1 < θRm < θRn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광학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광면에 프리즘이 형성되고 시야각을 넓게 할 수 있는 광학시트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입광면에 프리즘이 형성되고 시야각을 넓히고 집광 효율이 감소되지 않게 하는 광학시트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입광면에 프리즘이 형성되고 편광판이 합지되더라도 시야각을 넓히고 집광 효율이 감소되지 않게 하는 광학시트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학시트 중 I-II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 중 프리즘에서의 광경로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 중 프리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 중 프리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광판의 출사각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광판으로부터의 광출사각도에 따른 광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른 광학시트 적용시 시야각(x축)에 따른 상대 휘도값(y축)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종횡비(aspect ratio)"는 광학패턴(예:프리즘, 렌티큘러렌즈 패턴, 또는 마이크로렌즈패턴)의 최대 폭에 대한 최대 높이의 비(최대 높이/최대 폭)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곡률 반경"은 곡면을 갖는 광학패턴에서 상기 곡면을 일부로 갖는 가상의 원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점"은 프리즘 중 베이스필름으로부터 기산하였을 때 최하부에 있는 점을 의미하고, "저점"은 프리즘의 제1면 또는 제2면이 베이스필름과 만나는 점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면방향 위상차(Re)"는 하기 식 A로 표시된다:
<식 A>
Re = (nx - ny) x d
(상기 식 A에서, nx 및 ny 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해당 광학소자의 지상축 방향 및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해당 광학소자의 두께(단위:nm)이다).
본 명세서에서 "1/2 시야각"은 액정표시장치 화면의 정면을 0°, 오른쪽 방향을 +, 왼쪽 방향을 - 라고 할 때, 정면 휘도값의 1/2이 되는 왼쪽 방향의 시야각의 절대값과 오른쪽 방향의 시야각의 절대값의 합 FWHM(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경사각, θR1, θL1, θRn, θLn은 모두 90°보다 작은 각도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x축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출사 방향이고,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를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학시트 중 I-II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 중 프리즘에서의 광 경로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100)는 베이스필름(110) 및 프리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필름(100)의 상부면은 광출사면이고, 프리즘부(120)는 광입사면이다. 프리즘부(120)는 도광판(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면을 포함한다. 광학시트(100)는 광입사면에 프리즘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집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베이스필름(110)은 광학시트(100)를 지지하는 것으로, 프리즘부(120)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사시킬 수 있다.
베이스필름(110)은 면방향 위상차(Re)가 0nm 이상이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베이스필름은 면방향 위상차(Re)가 0nm 내지 3nm의 등방성이 필름이 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베이스필름은 면방향 위상차(Re)가 3,000nm 이상, 구체적으로 5,000nm 초과, 더 구체적으로 10,100nm 내지 15,000nm인 위상차 필름이 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범위에서, 광학시트는 무지개 얼룩이 시인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베이스필름(110)은 두께는 제한되지 않지만 30㎛ 내지 300㎛, 구체적으로 50㎛ 내지 1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필름(110)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수지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하는 비-시클릭형 폴리올레핀 수지, 시클로올레핀(COP)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폴리아릴술폰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불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부(120)는 베이스필름(1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도광판 등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베이스필름(110)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프리즘부(120)의 상부면은 평탄면이고 베이스필름(110)의 하부면과 접합되어 있다. 프리즘부(120)는 베이스필름(1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리즘부"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프리즘 전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체로 형성"은 프리즘부와 베이스필름 사이에 어떠한 접착층 또는 점착층이 개재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프리즘부(120)는 복수 개의 프리즘(12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121)은 광원(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광출사 방향(도 1에서 X 축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프리즘(121)은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고, 프리즘은 하기 식 1과 식 2를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는 휘도 손실 없이도 시야각을 넓힐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리즘(121)은 제1면(121a)과 제2면(121b)을 포함한다.
제1면(121a)은 제2면(121b)과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광학시트(100)가 1변 에지형 광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제1면(121a)은 입광면, 제2면(121b)은 반사면이 될 수 있다. 광학시트(100)가 양변 에지형 광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제1면(121a)은 입광면과 반사면이 될 수 있고, 제2면(121b)은 입광면과 반사면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면(121a)은 입광면, 제2면(121b)은 반사면인 것으로 가정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양면 에지형 광원을 사용할 경우 하기 설명하는 곡면을 포함하면서 제1면과 제2면이 입광면과 반사면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면(121a)은 하나의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1면 (121a)은 다각형면 형태의 복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각도로 광학시트로 광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집광 효율을 더 높일 수 있고, 시야각을 더 넓힐 수 있다.
제2면(121b)은 제1면(121a)으로부터 나온 광이 반사되어 베이스필름(110)으로 반사시키는 것으로, 제2면(121b)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제2면 (121b)이 하나의 곡면인 프리즘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프리즘이 하기 식 1과 식 2를 충족한다면, 제2면(121b)은 2 이상의 곡면이 연결된 형태, 또는 곡면과 평면이 조합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리즘(121)은 프리즘(121)의 단면에 있어서, 프리즘(121)의 정점을 T, 프리즘(121)의 제2면(121b) 중 저점을 Rn, T와 Rn을 연결하는 제2면(121b) 중 T와 R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을 Rm, T를 통과하는 베이스필름(110)의 하부면(110a)에 대한 법선을 nd1, Rn을 통과하는 베이스필름(110)의 하부면(110a)에 대한 법선을 ndn, Rm을 통과하는 베이스필름(110)의 하부면(110a)에 대한 법선을 ndm, 제1면(121a)과 법선 nd1이 이루는 각이 θL1, 제2면(121b) 중 T에서의 접선과 법선 nd1이 이루는 각이 θR1, 제2면(121b) 중 Rn에서의 접선과 법선 ndn이 이루는 각이 θRn, 제2면(121b) 중 Rm에서의 접선과 법선 ndm이 이루는 각(이하, "경사각"이라고 할 수도 있음)을 θRm이라고 할 때, 하기 식 1과 식 2를 충족시킬 수 있다:
<식 1>
θR1 ≤ θL1 ≤ θRn
(단, θR1 ≠ θL1 ≠ θRn)
<식 2>
θR1 < θRm < θRn
이것은 프리즘(121)의 제2면(121b)이 프리즘 내부에서 보았을 때 오목 곡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광학시트(100)는 전체 광출사 각도 중 광출사 각도 50° 내지 85°로 50% 이상 들어오는 빛에 대해서 1/2 시야각이 30° 이상, 구체적으로 30° 내지 45°가 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시야각 개선 효과를 시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리즘(121)의 제1면(121a)으로부터 제2면 (121b) 중 각각 Rm, Rm', Rm"에 도달한 광 LRm, LRm', LRm"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가고 제2면 (121b) 중 Rm, Rm', Rm"의 위치에 따라 광의 방향이 넓어짐으로써 광학시트는 시야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2를 충족시킴으로써 집광 효율을 높여 휘도 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종래 제2면이 평면(점선으로 표시)인 경우 반사면 중 R'm, R'm', R'm"에 도달한 광 LR'm, LR'm', LR'm"은 동일 방향으로 나감으로써 집광 효율은 높아지지만 시야각이 본 실시예의 프리즘 대비 좁아지게 된다.
프리즘(121)은 상기 식 2를 충족시킴으로써, 프리즘(121)의 제2면(121b)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은 곡률반경이 200㎛ 이하, 구체적으로 5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시야각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만, 프리즘(121)의 프리즘의 제조 및/또는 가공 조건에 따라, 제2면은 평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면 중 95% 이상 100% 미만은 곡면이고 0% 초과 5% 이하는 평면이 될 수도 있다.
일 구체예에서, 프리즘의 제2면은 하기 식 3을 충족시키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즘은 시야각 개선 효과가 클 수 있다:
<식 3>
θRm1 < θRm2
(상기 식 3에서, θRm1은 Rm1에서의 경사각, θRm2는 Rm2에서의 경사각, Rm1, Rm2는 각각 T와 R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 Rm1은 Rm2 보다 T에 인접하여 위치됨).
프리즘은 프리즘의 단면에 있어서, 제2면 중 상기 식 3을 충족시키는 영역이 제2면의 일 단면의 총 길이 중 90% 이상, 구체적으로 95% 내지 100%, 예를 들면 90% 내지 98%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확산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리즘의 제2면은 하기 식 3-1을 만족하여, T에서 Rn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커지게 되고 그 결과 시야각 개선 효과가 보다 클 수 있다:
<식 3-1>
θR1 < ㆍㆍㆍ < θRm1 < θRm2 < θRm3 < ㆍㆍㆍ< θRn
(상기 식 3-1에서, θRm1은 Rm1에서의 경사각, θRm2는 Rm2에서의 경사각, θRm3는 Rm3에서의 경사각, θR1, θRn은 각각 상기 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T는 프리즘의 정점, Rn은 제2면에서의 저점, Rm1, Rm2, Rm3 는 각각 T와 R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 Rm1, Rm2, Rm3의 순서로 T에 인접하여 위치됨).
프리즘(121)은 θRn - θR1이 1°내지 20°, 구체적으로 3°내지 15°, 더 구체적으로 5°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집광 효율이 낮아지지 않고 시야각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프리즘(121)은 θL1 이 25°내지 40°, 구체적으로 31°내지 37°가 될 수 있다. 프리즘(121)은 θR1이 15°내지 35°, 구체적으로 23°내지 33°가 될 수 있다. 프리즘(121)은 θRn이 25°내지 45°, 구체적으로 33°내지 42°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집광 효율이 낮아지지 않고, 시야각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프리즘(121)은 종횡비가 0.6 이상, 구체적으로 0.7 내지 0.8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집광 효율이 낮아지지 않고 시야각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프리즘(121)은 높이(H1)가 3㎛ 내지 25㎛, 구체적으로 7㎛ 내지 14㎛가 될 수 있다. 프리즘(121)은 폭(P1)이 5㎛ 내지 30㎛, 구체적으로 5㎛ 내지 18㎛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집광 효율이 낮아지지 않고 시야각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프리즘(121)의 정점 T를 통과하는 베이스필름(110)의 법선 nd1과 프리즘(121)의 저점 Rn 간의 최소 거리는 프리즘(121)의 폭(P1) 중 40% 내지 6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프리즘(121)은 베이스필름(110)을 위한 재료 중 동일 또는 이종의 재료로 형성되거나, 자외선 경화성 불포화 화합물, 및 개시제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자외선 경화성 불포화 화합물은 에폭시 (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페놀에톡시레이티드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시레이티드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렌 유도체 불포화 수지, 페녹시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티오디페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티오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제는 광중합 개시제로서, 케톤계, 포스핀옥시드계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리즘(121)은 광확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즘(121)은 광 확산 효과를 높여 시야각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리즘(121)과 이웃하는 프리즘(121) 사이에 평면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은 프리즘(121)과 이웃하는 프리즘(121)의 높이와 폭이 각각 동일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과 동일 형태의 음각 패턴이 형성된 인각롤에 프리즘 형성용 수지를 코팅하고 베이스필름과 접촉시킨 후 경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 중 프리즘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는 베이스필름 및 프리즘부를 포함하고, 프리즘부는 도 4의 프리즘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프리즘 대신에 도 4의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는 도 4의 프리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리즘(122)은 제1면(122a)과 제2면(121b)을 포함하고, 제2면(121b)은 상기 식 1과 식 2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제1면(122a)은 입광면이고, 제2면(121b)은 반사면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리즘(122)은 제1면(122a)과 제2면(121b)을 포함하고, 제2면(121b)은 상기 식 1과 식 2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면(122a)은 프리즘(122)의 단면에 있어서 프리즘(122)의 정점을 T, 프리즘(122)의 제1면(122a) 중 저점을 Ln, T와 Ln을 연결하는 프리즘의 제1면(122a) 중 T와 L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을 Lm, T를 통과하는 베이스필름(110)의 하부면(110a)에 대한 법선을 nd1, Ln을 통과하는 베이스필름(110)의 하부면(110a)에 대한 법선을 ndn, Lm을 통과하는 베이스필름(110)의 하부면(110a)에 대한 법선을 ndm, 제1면(122a) 중 L1에서의 접선과 법선 nd1이 이루는 각이 θL1, 제1면(122a) 중 Ln에서의 접선과 법선 ndn이 이루는 각이 θLn, 제1면(122a) 중 Lm에서의 접선과 법선 ndm이 이루는 각(이하, "경사각"이라고 할 수도 있음)이 θLm이라고 할 때, 하기 식 4를 충족시킬 수 있다:
<식 4>
θL1 < θLm < θLn
상기 식 4를 충족함으로써, 광학시트는 시야각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프리즘의 제1면이 프리즘 내부에서 보았을 때 오목 곡면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제 1면은 제2면과 동일 또는 상이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프리즘의 제1면은 하기 식 5를 충족시키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야각 개선 효과가 클 수 있다.
<식 5>
θLm1 < θLm2
(상기 식 5에서, θLm1은 Lm1에서의 경사각, θLm2는 Lm2에서의 경사각, Lm1, Lm2는 각각 L1과 L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 Lm1은 Lm2 보다 T에 인접하여 위치됨).
프리즘은 프리즘의 단면에 있어서, 제1면 중 상기 식 5를 충족시키는 영역이 제1면의 일 단면의 총 길이 중 90% 이상, 구체적으로 95% 내지 100%, 예를 들면 90% 내지 9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확산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프리즘의 제1면은 하기 식 5-1을 만족하여, T에서 Ln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커지게 되고 그 결과 시야각 개선 효과가 보다 클 수 있다:
<식 5-1>
θL1 < ㆍㆍㆍ < θLm1 < θLm2 < θLm3 < ㆍㆍㆍ < θLn
(상기 식 5-1에서, θLm1은 Lm1에서의 경사각, θLm2는 Lm2에서의 경사각, θLm3는 Lm3에서의 경사각, θL1, θLn는 각각 식 4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T는 프리즘의 정점, Ln은 제1면에서의 저점, Lm1, Lm2, Lm3 는 각각 T와 L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 Lm1, Lm2, Lm3 의 순서로 T에 인접하여 위치됨).
이때, θL1은 15°내지 37°, 구체적으로 23° 내지 37°가 될 수 있다. 이때, θLn은 25° 내지 45°, 구체적으로 33° 내지 42°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집광 효율이 떨어지지 않고 시야각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 중 프리즘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는 베이스필름 및 프리즘부를 포함하고, 프리즘부는 도 5의 프리즘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프리즘 대신에 도 5의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는 도 5의 프리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리즘(123)은 프리즘(123)의 단면에 있어서, 제1면(123a)은 하기 식 6을 충족시킬 수 있다:
<식 6>
θL1 > θLm > θLn
(상기 식 6에서, θL1, θLm, θLn은 각각 상기 식 4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것은 프리즘의 제1면(123a)이 프리즘 내부에서 보았을 때 볼록 곡면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제 1면은 제2면과 동일 또는 상이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프리즘의 제1면은 하기 식 7을 충족시키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야각 개선 효과가 클 수 있다.
<식 7>
θLm1 > θLm2
(상기 식 7에서, θLm1, θLm2는 상기 5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프리즘은 프리즘의 단면에 있어서, 제1면 중 상기 식 7을 충족시키는 영역이 제1면의 일 단면의 총 길이 중 90% 이상, 구체적으로 95% 내지 100%, 예를 들면 90% 내지 9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확산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프리즘의 제1면은 하기 식 7-1을 만족하여, T에서 Ln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작아지게 되고 그 결과 시야각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식 7-1>
θL1 > ㆍㆍㆍ > θLm1 > θLm2 > θLm3 > ㆍㆍㆍ > θLn
(상기 식 7-1에서, θL1, θLm1, θLm2, θLm3, θLn은 상기 5-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때, θL1은 25° 내지 45°, 구체적으로 33° 내지 42°가 될 수 있다. 이때, θLn은 15° 내지 37°, 구체적으로 23° 내지 37°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0)는 광원(1010), 도광판(1020), 광학시트(1030), 및 반사시트(1040)를 포함하고, 광학시트(10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전체 광출사 각도 중 광출사 각도 50° 내지 85°로 50% 이상 들어오는 빛에 대해서 1/2 시야각이 30° 이상, 예를 들면 30° 내지 4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휘도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광원(1010)과 반사시트(1040)를 설명한다.
광원(1010)은 광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도광판(1020)의 측면 즉 도광판(1020)의 광입사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광원(1010)은 선광원 램프 또는 면광원 램프, CCFL 또는 LED 등 다양한 광원들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1010) 외부에는 광원 커버가 더 형성되어, 광원을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도광판(1020)의 일 측면에만 광원(1010)이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광원은 도광판(1020)의 다른 일측면(일측면과 대향하는 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반사시트(1040)는 도광판(102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광원(10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1020)으로 재반사시킴으로써 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광판(10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광판(1020)은 광원(1010)의 측면에 위치되어, 광원(101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내부 반사시켜 광학시트(1030)로 출사시킬 수 있다.
도광판(1020)은 도광판(1020)에서 출사되는 광이 산란되지 않게 하고 50% 이상의 광이 광출사 각도 50° 내지 85°, 구체적으로 60° 내지 80°로 출사되도록 함으로써 광학시트가 사용되더라도 휘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광출사 각도"는 도 7을 참조하면, 도광판(1020)의 광출사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도 7의 L2)(액정표시장치의 정면) 0°라고 할 때, L2와 광이 출사되는 방향 간의 각도(θ)를 의미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광판(10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중 전체 광출사 각도 중 50% 이상이 광출사 각도 50° 내지 85°, 구체적으로 60° 내지 80°로 출사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광판(1020)은 광원(1010)과 대향하는 광입사면, 광입사면과 직교하고 광학시트(1030)의 프리즘과 대향하는 광출사면을 갖는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020)은 기재층(1021), 렌티큘러 렌즈 패턴(1022) 및 마이크로렌즈 패턴(102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1021)은 렌티큘러 렌즈 패턴(1022)과 마이크로렌즈 패턴(1023) 사이에 형성되어, 렌티큘러 렌즈 패턴(1022)과 마이크로렌즈 패턴(1023)을 지지할 수 있다. 기재층(1021)의 상부면은 광출사면, 기재층(1021)의 측면은 광입사면, 기재층(1021)의 하부면은 마이크로렌즈 패턴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면이 될 수 있다.
기재층(1021)은 두께가 200㎛ 내지 1000㎛, 구체적으로 300㎛ 내지 6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기재층(1021)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스티렌의 공중합체 수지(MS resi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 패턴(1022)은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기재층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사시키고, 광이 산란되지 않게 하여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도8은 제1광학패턴으로 렌티큘러 렌즈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도시한 것이나, 제1광학패턴은 정상부에 곡면이 형성된 광학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광학패턴은 단면이 프리즘 패턴으로 정상부에 곡면이 형성된 광학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 패턴(1022)은 종횡비가 0.10 내지 0.50, 곡률 반경이 5㎛ 내지 200㎛, 구체적으로 10㎛ 내지 150㎛ 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입사광에 대해 도광 및 확산 역할을 수행하고, 수직 방향의 시야각을 좁혀 시감 및 휘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 패턴(1022)은 최대 폭(P2)이 5㎛ 내지 100㎛, 최대 높이(H2)가 1㎛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입사광에 대해 도광 및 확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 패턴(1022)은 기재층과 동일 또는 이종의 광학적 투명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렌즈 패턴(1023)은 기재층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도광판의 측면으로 입사된 빛을 집광시켜 출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은 제2광학패턴으로 마이크로렌즈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도시한 것이나, 제2광학패턴은 단면이 n(n은 3 내지 10의 정수)각형인 프리즘 패턴, 렌티큘러 렌즈 패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렌즈 패턴(1023)은 종횡비가 0.01 내지 0.20, 구체적으로 0.01 내지 0.10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도광판으로부터 출사광의 집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마이크로렌즈 패턴(1023)은 폭(P3)이 10㎛ 내지 100㎛, 높이는 1㎛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프리즘 시트 사용시 집광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마이크로렌즈 패턴(1023)은 기재층(1021)과 동일 또는 이종의 광학적 투명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기재층(1021), 렌티큘러 렌즈 패턴(1022), 및 마이크로렌즈 패턴(102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체로 형성"은 기재층, 렌티큘러 렌즈 패턴, 마이크로렌즈 패턴 간에 접착층이 개재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도광판은 일면에 렌티큘러 렌즈 패턴이 압출로 형성된 기재층의 다른 일면에 레이저 가공 등으로 마이크로렌즈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압출과 레이저 가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정표시장치는 편광판, 액정패널, 윈도우시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광학시트의 제조
하기 표 1의 사양을 갖는 음각의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인각롤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코팅하였다. 얻은 코팅물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125㎛)의 일면을 접촉시키고, UV 파장에서 200mJ의 광량을 조사하여 PET 필름 일면에 프리즘이 형성된 프리즘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광학시트의 제조
하기 표 1의 사양을 갖는 음각의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인각롤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코팅하였다. 얻은 코팅물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125㎛)의 일면을 접촉시키고, UV 파장에서 200mJ의 광량을 조사하여 PET 필름 일면에 프리즘이 형성된 프리즘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하기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도 10에 나타내었다.
1.도광판의 제조: 폴리카보네이트(PC) Plate(두께:540 ㎛)의 상면에 렌티큘러 렌즈 패턴(폭: 21㎛, 높이: 5.5㎛, 종횡비: 0.26, 곡률반경: 12㎛)을 형성하고 하면에 타공 방식으로 제작된 마이크로렌즈 패턴(폭: 30㎛, 높이: 2㎛, 종횡비: 0.067)을 형성하여 도광판을 제조하였다.
2.액정표시장치 조립: 도광판의 렌티큘러렌즈 패턴과 실시예 와 비교예의 프리즘이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도광판과 광학시트를 적층하였다. LED 광원을 이용해서1변 에지형 LED 광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도 9에 따른 광 프로파일을 나타내었다. EZCONTRAST X88RC(EZXL-176R-F422A4, ELDIM사)를 이용하여 시야각을 측정하였다. 정면을 기준으로 정면 휘도값의 1/2이 되는 좌우 1/2시야각 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프리즘 폭
(㎛)
13 13 13 13 13
프리즘 높이(㎛) 10 10 10 10 10
입광면 평면 오목 곡면 볼록 곡면 평면 평면
반사면 오목 곡면 오목 곡면 오목 곡면 평면 볼록 곡면
반사면의 곡률반경
(㎛)
100 100 100 - 100
θL1(°) 33.0 29.6 36.4 33.0 33.0
θLn(°) 33.0 36.4 29.6 33.0 33.0
θR1(°) 29.6 29.6 29.6 33.0 36.4
θRn(°) 36.4 36.4 36.4 33.0 29.6
θL1, θR1, θRn의 관계 θR1 < θL1 < θRn θR1 = θL1 < θRn θR1 < θL1
= θRn
θR1 = θL1 = θRn θR1 > θL1 > θRn
θR1, θRm, θRn의 관계 θR1 < θRm < θRn θR1 < θRm < θRn θR1 < θRm < θRn θR1 = θRm = θRn θR1 > θRm > θRn
θL1, θLm, θLn 의 관계 θL1 = θLm = θLn θL1 < θLm < θLn θL1 > θLm > θLn θL1 = θLm = θLn θL1 = θLm = θLn
1/2 시야각
(°)
40.4 44.2 39.1 27.3 18.6
상기 표 1과 도 10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는 집광 효율을 감소시키지 않아 광효율이 높으면서도 1/2 시야각을 넓혀 시야각 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반면에, 상기 표 1과 도 10에서와 같이, 입광면과 반사면이 모두 평면으로 단면이 삼각형인 프리즘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은 시야각이 본 발명 대비 좁았다. 그리고, 반사면이 볼록 곡면으로서 본원의 식 2를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2는 시야각이 본 발명 대비 좁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8)

  1.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리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부는 광입사면이고,
    상기 프리즘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인접하여 형성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은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은 상기 프리즘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정점을 T, 상기 제2면 중 저점을 Rn, T와 Rn을 연결하는 상기 제2면 중 T와 R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을 Rm, T를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기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1, Rn을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기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n, Rm을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기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m, 상기 제1면과 법선 nd1이 이루는 각이 θL1, 상기 제2면 중 T에서의 접선과 법선 nd1이 이루는 각이 θR1, 상기 제2면 중 Rn에서의 접선과 법선 ndn이 이루는 각이 θRn, 상기 제2면 중 Rm에서의 접선과 법선 ndm이 이루는 각인 경사각이 θRm이라고 할 때, 하기 식 1과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인, 광학시트:
    <식 1>
    θR1 ≤ θL1 ≤ θRn
    (단, θR1 ≠ θL1 ≠ θRn)
    <식 2>
    θR1 < θRm < θRn.
  2.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리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부는 광입사면이고,
    상기 프리즘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인접하여 형성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은 곡면을 포함하는 광학시트이고,
    전체 광출사 각도 중 광출사 각도 50° 내지 85°로 50% 이상 들어오는 빛에 대해서 1/2 시야각이 30°이상인 것인, 광학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상기 프리즘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정점을 T, 상기 제2면 중 저점을 Rn, T와 Rn을 연결하는 상기 제2면 중 T와 R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을 Rm, T를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기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1, Rn을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기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n, Rm을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기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m, 상기 제1면과 법선 nd1이 이루는 각이 θL1, 상기 제2면 중 T에서의 접선과 법선 nd1이 이루는 각이 θR1, 상기 제2면 중 Rn에서의 접선과 법선 ndn이 이루는 각이 θRn, 상기 제2면 중 Rm에서의 접선과 법선 ndm이 이루는 각인 경사각이 θRm이라고 할 때, 하기 식 1과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인, 광학시트:
    <식 1>
    θR1 ≤ θL1 ≤ θRn
    (단, θR1 ≠ θL1 ≠ θRn)
    <식 2>
    θR1 < θRm < θRn.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곡면이고, 상기 곡면은 상기 식 1과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인, 광학시트.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하기 식 3을 충족시키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광학시트:
    <식 3>
    θRm1Rm2
    (상기 식 3에서, θRm1은 Rm1에서의 경사각, θRm2는 Rm2에서의 경사각, Rm1, Rm2는 각각 T와 R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 Rm1은 Rm2 보다 T에 인접하여 위치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T에서 Rn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커지는 것인, 광학시트.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θRn - θR1이 1°내지 20°인 것인, 광학시트.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θL1 이 25° 내지 40°, θR1이 15° 내지 35°, θRn이 25° 내지 45° 인 것인, 광학시트.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종횡비가 0.6 이상인 것인, 광학시트.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평면인 것인 광학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광면은 다각형면 형태의 복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인, 광학시트.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곡면인 것인 광학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 중 저점을 Ln이라고 할 때, T에서 Ln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커지고,
    상기 경사각은 T와 Ln을 연결하는 상기 제1면 중 T와 L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을 Lm, Lm을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m, 상기 제1면 중 Lm에서의 접선과 법선 ndm이 이루는 각으로 정의되는 것인, 광학시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 중 저점을 Ln이라고 할 때, T에서 Ln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작아지고,
    상기 경사각은 T와 Ln을 연결하는 상기 제1면 중 T와 Ln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을 Lm, Lm을 통과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부면에 대한 법선을 ndm, 상기 제1면 중 Lm에서의 접선과 법선 ndm이 이루는 각으로 정의되는 것인, 광학시트.
  1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입광면이고 상기 제2면은 반사면인 것인, 광학시트.
  16. 광원, 상기 광원에 인접하여 형성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광학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과 상기 광학시트의 프리즘이 대향하여 형성되는 것인, 액정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50% 이상의 광을 광출사 각도 50° 내지 85°로 출사하는 것인, 액정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1/2 시야각이 30° 내지 45°인 것인, 액정표시장치.
KR1020150075299A 2015-05-28 2015-05-28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7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299A KR101871550B1 (ko) 2015-05-28 2015-05-28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299A KR101871550B1 (ko) 2015-05-28 2015-05-28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165A true KR20160141165A (ko) 2016-12-08
KR101871550B1 KR101871550B1 (ko) 2018-06-28

Family

ID=5757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299A KR101871550B1 (ko) 2015-05-28 2015-05-28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5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208A (ja) * 1994-05-31 1995-12-12 Canon Inc プリズムシート、該プリズムシート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及び該液晶表示装置を備えた情報伝達装置
JP2002245824A (ja) * 2000-12-13 2002-08-30 Mitsubishi Rayon Co Ltd 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光偏向素子
JP2005234402A (ja) * 2004-02-20 2005-09-02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208A (ja) * 1994-05-31 1995-12-12 Canon Inc プリズムシート、該プリズムシート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及び該液晶表示装置を備えた情報伝達装置
JP2002245824A (ja) * 2000-12-13 2002-08-30 Mitsubishi Rayon Co Ltd 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光偏向素子
JP2005234402A (ja) * 2004-02-20 2005-09-02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550B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241B1 (ko) 시인성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22706B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9164216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0985358B1 (ko) 백라이트부
KR101676901B1 (ko) 광학 성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5364998B2 (ja) 両面レンズ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光学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003883A (ja) 導光板、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81375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71550B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54502B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3073114A (ja) 導光板、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KR101802579B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02578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90037986A (ko) 면 발광장치, 광학 소자 및 액정표시장치
JP2014086245A (ja) 導光板、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299131A (ja) 液晶表示装置
KR20150034553A (ko)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I382242B (zh) 導光結構、導光板及背光模組
US20080106899A1 (en) Direct backlight module
JP2013020932A (ja) 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表示装置
JP4250192B2 (ja) 光学調整部材、並びに、それを備える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5217404B2 (ja) 光学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4410840B2 (ja) 光学調整部材、並びに、それを備える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070808A (ja) 面発光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70103301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