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106A -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106A
KR20160141106A KR1020150074711A KR20150074711A KR20160141106A KR 20160141106 A KR20160141106 A KR 20160141106A KR 1020150074711 A KR1020150074711 A KR 1020150074711A KR 20150074711 A KR20150074711 A KR 20150074711A KR 20160141106 A KR20160141106 A KR 20160141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surface heating
head
metallic surfac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4560B1 (ko
Inventor
김재수
조동현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대우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대우전열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56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05B3/02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8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humidity or vapor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상발열체의 열전도성의 향상과 내구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며, 특히, 면상발열체를 장착함에 있어 그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하게 하여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Nonmetallic sheet heater and binding device for change simplicity of the same and steam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상발열체의 열전도성의 향상에 따른 스팀성능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고, 특히, 면상발열체의 장착과 교체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팀장치에 적용되는 히터는 니크롬선에 전기를 흘려 열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히터의 종류 중 스팀 발생용으로 시즈히터(sheath heater)가 사용되는 데 이는 금속보호관에 전열선을 코일 형태로 내장하고, 절연분말을 충진하여서 제작된 것이다. 이 경우 내부에서 전열선이 단락되었을 때 스팀발생장치의 한 고장의 원인이 된다.
스팀발생장치에서 히터가 고장이 난 경우, 추출 온도가 낮아지고, 증기압이 낮아지며 증기압이 오르지 않으며 히팅이 안된다. 이같이 히팅이 안되는 경우 히터의 고장이 아닌 과열 방지기의 작동, 압력 스위치의 고장 등 다른 안전장치들의 고장으로 인하여 히터가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만약 히터가 고장났을 경우 히터의 교체밖에 없다. 하지만 히터를 교체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므로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11862호로서, 원수 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원수 공급 유입관 일측과 난방 파이프로부터 순환되는 회수관 일측 각각을 결합하여 회수가 원수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해소하도록 하는 어댑터부와, 상기 하나의 어댑터부 내부에서 원수와 회수가 관통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락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어댑터부와 난방 파이프 타측에 결합된 연결구 사이에 설치한 관통부를 결합함에 있어서, 관통부 내부에서 원수 및 회수를 동시에 가열시키는 히터부를 면상 발열체 양단에 동 박판을 접착하여 구성하되, 동 박판 양단 각각에 직류전류 단자를 형성하여 직류전류를 공급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의 히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배경기술은 원수(原水) 및 회수(回水)를 하나의 관통부 내부에서 직류 전원 공급용 히터를 이용하여 급속 가열시켜 물의 온도 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자파 발생을 억제시켜 전자파에 의한 인체의 악영향을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배갱기술은 유체와 면상 발열체간에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구조가 아니므로 전열 효율이 떨어지고, 면상발열체의 고장시 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교체 구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1999-0079424호(전기 스팀 보일러용 히터)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64128호(고온용 세라믹 히터 및 그 제조방법)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073628호(전기보일러용 히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면상발열체의 열전도성의 향상과 내구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며, 특히, 면상발열체를 장착함에 있어 그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하게 하여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비금속 면상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 면상발열체는,
알루미나 또는 규소나 게르마늄을 주성분으로 하여 소결되어 있는 판상형의 기판;
기판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저항발열체;
기판의 일단에 형성된 형성된 발열체 헤드; 및
발열체 헤드의 외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저항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비금속 면상발열체를 스팀탱크에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장치에 있어서,
결속장치는,
스팀탱크의 일개소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기판 진입공이 형성되어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기판이 끼움 관통되며, 기판 진입공의 외측에는 둘레에는 발열체 헤드가 걸림 지지되는 걸림턱을 이루도록 확장 형성된 헤드 수용홈이 형성되고, 헤드 수용홈의 외측 내주면에는 체결나사부가 형성되어 스팀탱크에 나삽 또는 용접 결합되는 소켓;
비금속 면상발열체와 소켓의 수밀을 유지하는 수밀수단; 및
상기 소켓의 체결나사부에 나삽되어 비금속 면상발열체를 구속하고, 중앙에는 전선 인출공이 관통 형성된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스팀 발생장치에 있어서,
스팀 발생장치는,
스팀탱크;
상기 스팀탱크에 설치된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상기 비금속 면상발열체를 스팀탱크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는, 면상발열체의 표면에 방열핀이 형성되어 있어 유체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열전도성이 현격히 향상되며, 특히 그 방열핀이 분할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부분적인 부식 등의 발생시 부분교체 사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의 편리함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면상발열체를 스팀발생장치에 장착함에 있어 착탈 장착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그 수밀성이 향상되고, 교차 사용이 매우 편리하여 유지보수의 편리함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 스팀 발생장치를 나타낸 전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 스팀 발생장치에 적용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다양한 설치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를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는, 먼저, 알루미나 또는 규소나 게르마늄을 주성분으로 하여 소결되어 있는 판상형의 기판(11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110)의 내부에는 저항발열체(120)가 매립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110)의 일단에는 비전도성 재질로 구성된 발열체 헤드(130)가 구성된다.
그리고, 발열체 헤드(130)의 외측 측 기판(110) 반대측에는 접속단자(140)가 형성된 것으로, 접속단자(140)는 기판(110)의 내부에 매립 형성된 저항발열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어 외부로부터 전기의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도 3의 도시와 같이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발열체 헤드(130) 상부 및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탄력편(131)을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탄력편(131)은 판체가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절곡 형성되되 중앙이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그 일단은 발열체 헤드(1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 유동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즉, 탄력편(131)은, 외력을 부여시 볼록한 형태가 압축되고, 외력을 해제시 탄력 복원되는 구조를 가지게 구성된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발열체 헤드(130)를 원형 기둥 형태를 이루게 구성하고, 둘레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돌기(132)를 돌출 형성하며, 기판(110)측 단부면에는 양측이 각각 다른 극성을 갖는 2분할 형태의 제1 자석체(133)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기판(110) 둘레에는, 내측은 넓은 걸림홈(112)과 외측은 좁은 끼움홈(113)으로 된 "ㅗ"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방열핀 체결홈(111)을 형성하고, 그 체결홈(111)에 결합되는 알루미나 또는 규소나 게르마늄을 주성분으로 하여 소결되어 있는 판상형 방열핀(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방열핀(150)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홈(112)에 형합되는 걸림돌부(151)를 형성하여 그 걸림돌부(151)를 통해 방열핀 체결홈(111)의 걸림홈(112)에 끼움 걸림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발열 표면적이 확대되어 전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는, 그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하기하는 결속장치(200)를 통해 스팀탱크(310)에 용이한 착탈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서, 전열 효율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스팀탱크(310)에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장치(200)를 살펴보면,
도 6은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200)는, 먼저, 스팀탱크(310)의 일개소에서 나사결합이나 용접 등에 의해 설치되는 소켓(210)이 구성된다.
이때, 소켓(210)은, 그 내측에 기판 진입공(211)이 형성되어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기판(110)이 끼움 및 스팀탱크(310)의 내부로 관통 진입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기판 진입공(211)의 외측 즉, 입구측 둘레에는 끼움 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발열체 헤드(130)가 걸림 지지 및 수용되도록 기판 진입공(211)과 단차를 이루는 걸림턱(212a)이 형성된 헤드 수용홈(212)이 형성되고, 헤드 수용홈(212)의 외측 내주면에는 체결나사부(213)가 형성된다.
또한, 결속장치(200)에는, 수밀수단(220)이 형성된 것으로, 수밀수단(220)은 도 7에서는 발열체 헤드(130)과 걸림턱(212a)에 도시되었지만, 한정된 사항은 아니고 하기하는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으로 스팀탱크(310)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하기하는 적용례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결속장치(200)에는, 소켓(210)에 결합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구속하는 마감캡(230)이 구성된 것으로, 마감캡(230)은 소켓(210)의 체결나사부(213)에 나삽되고, 그 중앙에는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접속단자(140)와 전선(도면중 미도시함) 연결이 가능하도록 전선 인출공(231)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결속장치(200)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소켓(210)의 걸림턱(212a)과 상기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발열체 헤드(130) 사이에 수밀수단(220)을 형성하되, 수밀수단(220)은 내부에 공기가 충전된 신축성 튜브 형태의 수밀관(221)으로 구성하고, 그 수밀관(221)과 발열체 헤드(130)의 사이에는 스프링(222)이 탄설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캡(230)에는, 상기 전선 인출공(231)이 관통 형성되는 가압돌부(23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즉, 마감캡(230)을 소켓(210)에 체결시 그 가압돌부(232)가 발열체 헤드(130)를 가압하며, 이때 스프링(222)력에 의해 수밀관(221)에 가압 팽창력이 부여되는 것이며, 그 수밀관(221)의 가압 팽창력에 의해 수밀력이 부여됨과 함께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마감캡(230)을 해제시에는 스프링(222)의 복원력에 의해 비금속 면상발열체(100)가 후방으로 자동 후퇴되어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탈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결속장치(200)의 다른 실시예로,
소켓(210)의 헤드 수용홈(212)에 상기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발열체 헤드(130)에 형성된 탄력편(131)이 걸림되는 탄력편 걸림홈(214)을 형성하고, 외측에는 상기 탄력편 걸림홈(214)으로 관통되는 누름돌기(215)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밀수단(220)으로는, 발열체 헤드(130)의 선단과 소켓(210)의 걸림턱(212a) 사이에 끼움되는 씰링용 오링(225)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캡(230)에는, 상기 전선 인출공(231)이 관통 형성되는 가압돌부(23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시에는 마감캡(230)을 마감하는 과정에서 가압돌부(232)가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발열체 헤드(130)를 가압시 발열체 헤드(130)의 탄력편(131)이 소켓(210)의 탄력편 걸림홈(214)에 걸림되어 장착되는 한편, 수밀수단(220)에 의해 수밀력이 부여된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탈거시에는 마감캡(230)을 분리한 상태에서 소켓(210)의 외부에서 누름돌기(215)를 누르게 되면, 그 누름돌기(215)의 선단이 탄력편(131)을 가압하여 탄력편(131)을 탄력편 걸림홈(214)으로부터 걸림 해제시키게 되며, 이에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도 10의 도시와 같이 결속장치(200)의 다른 실시예로,
소켓(210)의 내주면에 상기 발열체 헤드(13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2)와 대항되도록 가이드홈(216)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212a)에는 외부의 회전레버(218)에 의해 180°회전력을 가지며 상기 발열체 헤드(130)에 형성된 제1 자석체(133)와 대항되도록 양측이 각각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자석체(217)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자석체(217)와 걸림턱(212a)의 사이에는 수밀수단으로 씰링용 오링(225)을 형성하여 수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 헤드(130)은 헤드 수용홈(212)에 결합함에 있어 소정의 슬라이딩력을 가지는 결합구조를 가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시에는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결합시에는 발열체 헤드(130)의 가이드돌기(132)를 소켓(210)의 가이드홈(216)에 진입시킨 상태에서 마감캡(230)을 마감하면 되는 것이고, 이후, 소켓(210)의 외부에서 회전레버(218)를 이용하여 제2 자석체(217)의 극성이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제1 자석체(133)의 극성과 반대를 이루게 조절하게 되면, 그 제1 자석체(133)와 제2 자석체(217)의 부착에 의해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탈거시에는 마감캡(230)을 해제후, 회전레버(218)를 반대로 회전시켜 제1 자석체(133)와 제2 자석체(217)의 면접부가 서로 동일한 극성으로 대항되게 회전시키게 되면 자석의 특성상 동일한 극성에서는 서로 밀어내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 것인바,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밀어내어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와 결속장치가 적용되는 스팀 발생장치를 살펴보면,
도 11은 본 발명 스팀 발생장치를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 1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스팀 발생장치(300)는, 먼저, 내부에 물의 충전이 가능한 중공 형태의 스팀탱크(3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스팀탱크(310)에는 상기한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되는 어느 하나의 비금속 면상발열체(100)가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되는 결속장치(200)를 통해 장착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팀탱크(310)는,
내부에는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균열방지를 위해 유입구(311)와 연결되어 유입수를 내부에서 순환 가온시켜 배출구(312)로 배출시키는 U자형통로를 갖는 가온챔버(31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수는 가온챔버(313)를 순환하면서 가온되어 스팀탱크(310)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에 직접적인 냉각 접촉이 없어져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속장치(200)와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이용하여 스팀 청소기, 스팀 세탁기, 스팀 조리기, 스팀 다리미, 스팀 보일러 등 다양한 스팀 발생장치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탱크(310)에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형성함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결속장치(200)를 이용하여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스팀탱크(310)에 각각 형성하거나, 도 12 내지 도 14의 도시와 같이 스팀탱크(310)에 하나 이상의 정착판(400)을 형성하되, 그 정착판(400)에 결속장치(200)를 통해 다수개의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배열함으로, 스팀탱크(310)로부터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정착판(400)에 조립된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들은 통체로 교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구조적인 개선과 결속장치의 개선으로 비금속 면상발명체를 스팀 발생장치에 장착함에 있어 편리한 장착 및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100 : 비금속 면상발열체 110 : 기판
111 : 방열핀 체결홈 112 : 걸림홈
113 : 끼움홈
120 : 저항발열체 130 : 발열체 헤드
131 : 탄력편 132 : 가이드돌기
133 : 제 자석체 140 : 접속단자
150 : 방열핀 151 : 걸림돌부
200 : 결속장치 210 : 소켓
211 : 기판 진입공 212 : 헤드 수용홈
213 : 체결나사부 214 : 탄력편 걸림홈
215 : 누름돌기 216 : 가이드홈
217 : 제2 자석체 218 : 회전레버
220 : 수밀수단 221 : 수밀관
222 : 스프링 225 : 오링
230 : 마감캡 231 : 전선 인출공
232 : 가압돌기
300 : 스팀 발생장치 310 : 스팀탱크
311 : 유입구 312 : 배출구
313 : 가온챔버 400 : 정착판

Claims (11)

  1. 비금속 면상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는,
    알루미나 또는 규소나 게르마늄을 주성분으로 하여 소결되어 있는 판상형의 기판(110);
    기판(110)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저항발열체(120);
    기판(110)의 일단에 형성된 형성된 발열체 헤드(130); 및
    발열체 헤드(130)의 외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저항발열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1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
  2. 제 1항에 있어서,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상기 발열체 헤드(1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볼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탄력편(131)을 더 형성하되,
    탄력편(131)은 일단은 발열체 헤드(1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 유동력을 가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
  3. 제 1항에 있어서,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발열체 헤드(130)는 원형 기둥 형태를 이루게 구성하고, 둘레이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돌기(132)를 형성하고,
    기판(110)측 단부면에는 양측이 각각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자석체(13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
  4. 제 1항에 있어서,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기판(110)의 둘레에는, 내측은 넓은 걸림홈(112)과 외측은 좁은 끼움홈(113)으로 된 "ㅗ"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방열핀 체결홈(111)을 형성하고,
    알루미나 또는 규소나 게르마늄을 주성분으로 하여 소결되어 있는 판상형 방열핀(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방열핀(150)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홈(112)에 형합되는 걸림돌부(151)가 형성되어 방열핀 체결홈(111)에 결합되어 발열 표면적의 확대를 가져오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
  5. 상기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스팀탱크(310)에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장치에 있어서,
    결속장치(200)는,
    스팀탱크(310)의 일개소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기판 진입공(211)이 형성되어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기판(110)이 끼움 관통되며, 기판 진입공(211)의 외측에는 둘레에는 발열체 헤드(130)가 걸림 지지되는 걸림턱(212a)을 이루도록 확장 형성된 헤드 수용홈(212)이 형성되고, 헤드 수용홈(212)의 외측 내주면에는 체결나사부(213)가 형성되어 스팀탱크(310)에 나삽 또는 용접 결합되는 소켓(210);
    스팀탱크(310)의 수밀을 유지하는 수밀수단(220); 및
    상기 소켓(210)의 체결나사부(213)에 나삽되어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구속하고, 중앙에는 전선 인출공(231)이 관통 형성된 마감캡(23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소켓(210)의 걸림턱(212a)과 청구항 제 1항의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발열체 헤드(130) 사이에 수밀수단(220)으로 적용되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된 튜브 형태의 수밀관(221)을 형성하고, 그 수밀관(221)과 발열체 헤드(130)의 사이에는 스프링(222)을 탄설하고,
    상기 마감캡(230)은, 전선 인출공(231)이 관통 형성되는 가압돌부(232)를 형성하되,
    마감캡(230)을 체결시 스프링(222)력에 의해 수밀관(221)이 가압 팽창하여 수밀되게 하며, 마감캡(230)을 해제시 스프링(222) 복원력에 의해 비금속 면상발열체(100)가 후방으로 자동 탈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소켓(210)의 헤드 수용홈(212)의 내주면에 청구항 제 2항의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발열체 헤드(130)에 형성된 탄력편(131)이 걸림되는 탄력편 걸림홈(214)을 형성하고, 외측에는 상기 탄력편 걸림홈(214)으로 관통되는 누름돌기(215)를 형성하며,
    상기 수밀수단(220)은, 발열체 헤드(130)의 선단과 소켓(210)의 걸림턱(212a) 사이에 끼움되는 오링(225)으로 구성하며,
    상기 마감캡(230)은, 전선 인출공(231)이 관통 형성되는 가압돌부(232)를 형성하되,
    마감캡(230)을 마감하는 과정에서 발열체 헤드(130)에 가압시 발열체 헤드(130)의 탄력편(131)이 소켓(210)의 탄력편 걸림홈(214)에 걸림 지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소켓(210)의 내주면에 상기 청구항 제 3항의 발열체 헤드(13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2)와 대항되도록 가이드홈(216)을 형성하고, 걸림턱(212a)에는 외부의 회전레버(218)에 의해 180°회전력을 가지며 발열체 헤드(130)에 형성된 제1 자석체(133)와 대항되도록 양측이 각각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자석체(217)를 형성 및 그 제2 자석체(217)가 걸림턱(212a)과 수밀수단(220)으로 적용되는 오링(225)으로 수밀되게 구성하되,
    회전레버(218)의 조절로 제1 자석체(133)와 제2 자석체(217)가 서로 다른 극성이 접할시 부착력이 부여되고, 서로 동일한 극성이 접할시 서로 밀어내어 탈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9. 스팀 발생장치에 있어서,
    스팀 발생장치(300)는,
    스팀탱크(310);
    상기 스팀탱크(310)에 설치된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비금속 면상발열체(100); 및
    상기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를 스팀탱크(310)에 결속하기 위한 청구항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결속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스팀 발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탱크(310)는,
    내부에는 비금속 면상발열체(100)의 균열방지를 위해 유입구(311)와 연결되어 유입수를 내부에서 순환 가온시켜 배출구(312)로 배출시키는 U자형통로를 갖는 가온챔버(313)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스팀 발생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 면상발열체(100)는 결속장치(200)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정착판(400)에 다수개가 배열되어 스팀탱크(310)로부터 용이하게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스팀 발생장치.
KR1020150074711A 2015-05-28 2015-05-28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 KR101704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711A KR101704560B1 (ko) 2015-05-28 2015-05-28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711A KR101704560B1 (ko) 2015-05-28 2015-05-28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106A true KR20160141106A (ko) 2016-12-08
KR101704560B1 KR101704560B1 (ko) 2017-02-10

Family

ID=5757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711A KR101704560B1 (ko) 2015-05-28 2015-05-28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5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424A (ko) 1998-04-06 1999-11-05 정덕우 전기 스팀 보일러용 히터
KR20110057560A (ko) * 2009-11-24 2011-06-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세라믹 히터 및 이를 구비한 온수 가열 장치
KR101073628B1 (ko) 2009-01-20 2011-10-14 (주)하이킹에너지 전기보일러용 히터
KR101164128B1 (ko) 2010-06-09 2012-07-11 (주)비에이치세미콘 고온용 세라믹 히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424A (ko) 1998-04-06 1999-11-05 정덕우 전기 스팀 보일러용 히터
KR101073628B1 (ko) 2009-01-20 2011-10-14 (주)하이킹에너지 전기보일러용 히터
KR20110057560A (ko) * 2009-11-24 2011-06-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세라믹 히터 및 이를 구비한 온수 가열 장치
KR101164128B1 (ko) 2010-06-09 2012-07-11 (주)비에이치세미콘 고온용 세라믹 히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560B1 (ko) 2017-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5813B2 (en) Disposable steam generator for domestic steam appliances
TWI382572B (zh) Used in the heating structure of the battery and the device and cooling auxiliary module
KR101132979B1 (ko) 프리 히터 조립체
US20160245547A1 (en) Pressure-type liquid rapid heater
KR101704560B1 (ko)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
KR101776918B1 (ko)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스팀 발생장치
KR101502748B1 (ko) 난방용 전열관
KR101479568B1 (ko) 온열치료기용 발열장치
CN105004055A (zh) 用于家用储水式电磁热水器上的动态水循环分离加热装置
KR20100111337A (ko) 고주파 유도 코일을 이용한 열 발생 장치
CN102378422A (zh) 便携式电磁加热装置
KR101544312B1 (ko) 비금속 면상발열체 및 이의 교체가 용이한 결속장치 그리고 스팀 발생장치
KR101921456B1 (ko) 전기 온수 보일러
CN109195923A (zh) Pef室
CN102833894A (zh) 一种通过厚膜加热的铝合金加热管
CN104795970A (zh) 一种适于水下作业使用的电源变换器散热装置
CN104795969A (zh) 一种水下电源变换器散热装置
CN213208213U (zh) 塔式光热电站熔盐储罐电加热器
KR101652268B1 (ko) 직접가열식 대용량 전기보일러
KR101895808B1 (ko) 온수공급장치
KR101612884B1 (ko) 히터 조립체
KR20110094477A (ko) 진공관 방식의 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한 온수 공급장치
KR102406883B1 (ko) 가열용기용 열전 발전 장치
KR20070044964A (ko) 히터 장치
CN210868195U (zh) 一种便于安装的ptc加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