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185A -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185A
KR20160140185A KR1020150076482A KR20150076482A KR20160140185A KR 20160140185 A KR20160140185 A KR 20160140185A KR 1020150076482 A KR1020150076482 A KR 1020150076482A KR 20150076482 A KR20150076482 A KR 20150076482A KR 20160140185 A KR20160140185 A KR 20160140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received
request messag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0185A/ko
Priority to EP16803684.6A priority patent/EP3304867A4/en
Priority to CN201680029897.8A priority patent/CN107646196A/zh
Priority to PCT/KR2016/005633 priority patent/WO2016195329A1/en
Priority to US15/168,888 priority patent/US20160352784A1/en
Publication of KR2016014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6
    • H04L6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제1 디바이스가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필터링 기준에 기초하여 필터링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SERVICE}
본 개시는 통신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에서 주변의 다양한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필터링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사회는 산업혁명, 정보화혁명을 거쳐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반의 초연결(Hyperconnectivity) 혁명을 진행 중이다. 현재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은 전체 사물의 1% 미만이나 향후 연결 확대 과정에서 다양한 혁신과 사업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예시로서,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의 등장으로 차량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긴급구난 메시지 자동 전송, 무인자율 주행 서비스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제품들이 신체의 심장박동, 운동량 등을 측정하여 헬스케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스마트홈의 태양으로는, 가전 기기의 원격제어 또는 홈 CCTV와 같은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IoT의 주요 기술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및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센싱 기술은 전통적인 온도/습도/열/가스/조도/초음파 센서 등으로부터 원격 감지, SAR(Synthetic Aperture Rad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 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물리적인 센서에서의 감지를 의미한다. 물리적인 센서는 응용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정보 처리 능력을 내장한 스마트 센서로 발전하고 있으며, 또한, 이미 센싱한 데이터로부터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가상 센싱 기능도 포함되며 가상 센싱 기술은 실제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구현된다. IoT 센싱 기술은 기준의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센서보다 한 차원 높은 다중(다분야) 센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층 더 지능적이고 고차원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면, IoT의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장치로는 기존의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블루투스(Bluetooth), 이더넷(Ethernet),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 인간과 사물, 서비스를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IoT의 주요 3대 구성요소(인간/사물/서비스)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와 연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개념이 아니라, 정보를 센싱, 가공/추출/처리, 저장, 판단, 상황 인식, 인지, 보안/프라이버시 보호, 인증/인가, 디스커버리, 객체 정형화, 온톨러지 기반의 시맨틱, 오픈 센서 API, 가상화, 위치확인, 프로세서 관리, 오픈 플랫폼 기술, 미들웨어 기술, 데이터 마이닝 기술, 웹 서비스 기술, 소셜네트워크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터페이스(저장, 처리, 변환 등)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필터링 기준에 기초하여 필터링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디바이스가 조합하여 생성한 새로운 데이터를 정렬, 검색 및 구분하여 다양한 새로운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제1 디바이스가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필터링 기준에 기초하여 필터링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필터링 기준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에 대한 환경 정보,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검색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3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검색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제3 디바이스를 통하여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필터링 기준을 만족하는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생기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는 서비스에 따라서 정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캡쳐된 이미지에 상기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2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필터링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일 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커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제2 기기를 발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주변 기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길찾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길찾기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주변 기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메타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주변 기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새로운 데이터에 생성되는 체감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IoT(Internet of Things)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장치(또는 사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음향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냉장고, CCTV, TV, 세탁기, 제습기, 전등, 화재 경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device)는 “기기” 또는 “장치”와 혼용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기기” 및 “장치”는 동일한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는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식별 값, 디바이스의 종류,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데이터의 종류 및 속성, 및 디바이스의 센싱 주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는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서버 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기초한 서비스, 디바이스 내에서 동작 가능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되는 서비스는 본 개시에 예로서 기재된 서비스 이외에도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는 게이트웨이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게이트웨이와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 및/또는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범 서비스, 화재 경보 서비스, 전력 관리 서비스 및 콘텐트 공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서비스는, 게이트웨이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서비스의 식별 값,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의 종류 및 개수, 및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의 우선 순위, 서비스를 위한 센싱 데이터의 종류 및 개수, 및 서비스를 위한 센싱 데이터의 우선 순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전송 규칙은, 게이트웨이의 리소스 점유율에 따라 어떤 디바이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어떻게 전송 받을지에 관한 규칙일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규칙은, 예를 들어, 서비스를 위해 이용될 디바이스, 일시 정지될 디바이스, 센싱 데이터의 데이터 가공 방식, 센싱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 주기, 및 센싱 데이터의 예약 전송 여부에 관한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기술은 기기간 통신이 가능한 모든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통신(Internet of Things; IoT), 유비쿼터스(ubiquitous) 서비스, 스마트 홈(smart home) 및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서비스 등 기기간 통신이 가능하다면, 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별도의 특별한 기기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기기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다른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기에 해당 기기의 정보를 전송하거나, 다른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기이면 충분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부(132) 및 유선 통신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상기 디바이스(100)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서비스에 대하여, 디바이스(100)에 기설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화면에 추천 서비스 UI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컨텍스트 정보는 현재의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며, 예를 들어, 현재 디바이스 사용자의 위치, 해당 장소의 압력, 조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컨텍스트 정보로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디바이스의 성능, 디바이스 주변의 기기 정보 등이 해당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제1 기기(10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주변의 제2 기기를 발견하기 위해 검색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제1 기기(100)가 주변 기기를 검색(또는 탐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100)가 검색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검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어떠한 기기에서 어떠한 정보를 제공받을지 모르는 제1 기기(100) 입장에서는 모든 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주변의 모든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특정한 기기만을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해당되는 기기만을 검색할 수 있으며,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CCTV 카메라 기기만을 검색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기기(100)로부터 반경 30m 이내에 존재하는 기기만을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수신 신호 세기 등을 측정하여 그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제1 기기(100)의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만을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주변의 기기에게 발견 요청(discover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발견 요청 메시지의 전송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유니캐스트(unicast)의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기기(100)로부터 전송된 발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2 기기는 발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발견 응답(discovery response) 메시지를 제1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2 기기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고 발견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복수의 기기의 발견을 수행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제1 기기(100)가 발견된 제2 기기와 세션(session)을 연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기기(100)로서는 제2 기기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해야 하므로, 세션을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 N개의 제2 기기를 발견한 제1 기기(100)는 N개의 제2 기기들과 1:N으로, 1:1 연결을 N개 유지할 수 있으며, 또는 중간에 브로커(broker) 기기를 통해서 제1 기기는 브로커 기기와 통신을 하고, 브로커 기기가 다수의 제2 기기와의 연결을 중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인 제1 기기(100)는 서버에 해당되는 브로커 기기와 통신을 하며, 서버는 다수의 제2 기기들과 통신을 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제2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제2 기기에서 측정된 센싱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제2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제2 기기가 타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100)는 특정 위치에 고정된 CCTV로부터 CCTV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기기(100)는, 다른 사용자의 기기로부터 지하철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제1 기기(100)에서 수신한 데이터가 오차범위 내의 데이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기기(100)가 수신한 데이터는 제1 기기(100)의 요청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일 수 있으나, 요청 메시지 없이도 수신한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기(100)는 데이터에 대한 목적 적합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터링(filt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기기(100)의 제어부(110)는 수신된 데이터 및 제1 기기(100)에 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20)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서버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 또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템플릿(template)을 기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템플릿은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정보일 수 있다. 저장부(120)는, 수행되고 있는 서비스의 수행 이력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DB)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다른 기기 또는 센서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망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센서 기기 등과 같은 기기의 센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통신할 수 있으며, 다른 디바이스에 해당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디바이스는 휴대용 단말로서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워치, PC,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기기, 디지털방송용 기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으로서, 셀룰러 망을 이용한 통신 또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그 예로, 전화, SMS(문자서비스), 인터넷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다양한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카메라, 프로젝터, 스캐너, 프린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 자체 OS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설치 또는 이용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금융 서비스, 예매 서비스, 센싱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들을 스마트폰 자체의 기능 또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따라서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온도센서(201)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수은을 이용하는 온도센서, 특정 온도에서 색상이 변하는 온도 패치, 적외선 온도센서 및 레이져 온도센서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온도센서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습도센서(202)는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견습식 습도센서, 고분자 습도센서, 금속산화물계 습도센서, 마그네타이트 콜로이드 습도센서, 마이크로파 습도센서, 산화철 소결막 습도 센서 및 세라믹 습도센서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습도 센서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음향센서(203)는 음향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대표적으로는 마이크로폰과 같이 음파 또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발생하는 센서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음향센서(203)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센서 또는 복합적인 음파 중에서 특정 음파만 추출하는 센서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모션센서(204)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디바이스에 포함된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근접센서(205)는 디바이스 주변에서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사물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전자기를 이용하거나 정전용량 방식 등으로 디바이스 주변의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디바이스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가스감지센서(206)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특정 가스가 검출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적외선 가스감지기, 가스 분석기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열감지센서(207)는 화재 등에 의한 열 등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적외선 열감지기, 신종플루 열감지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반드시 센서만을 제한적으로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냉장고(208), CCTV(209), TV(210), 세탁기(211), 제습기(212), 전등(213) 및 화재경보기(214)와 같이 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기들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디바이스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제1 기기(100)는 제1 기기(10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주변의 제2 기기를 발견하기 위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는 주변 기기의 정보가 제1 기기(100)에게 유의미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습도, 밝기 및 먼지 등의 자연 환경 정보가 존재할 수 있으며, CCTV 영상, 공공 운송수단 상황, 거리 붐빔 정도 등의 도시환경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기기(100)가 주변 기기를 검색(또는 탐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100)가 검색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검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어떠한 기기에서 어떠한 정보를 제공받을지 모르는 제1 기기(100) 입장에서는 모든 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주변의 모든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기(100)는 특정한 기기만을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에 해당되는 기기만을 검색할 수 있으며,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CCTV 카메라 기기만을 검색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기기(100)로부터 반경 30m 이내에 존재하는 기기만을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수신 신호 세기 등을 측정하여 그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제1 기기(100)의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만을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주변의 기기에게 발견 요청(discover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 요청 메시지의 전송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유니캐스트(unicast)의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기기(100)로부터 전송된 발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2 기기는 발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발견 응답(discovery response) 메시지를 제1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2 기기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고 발견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복수의 기기의 발견을 수행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제1 기기(100)는 발견된 제2 기기와 세션(session)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로서는 제2 기기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해야 하므로, 세션을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 N개의 제2 기기를 발견한 제1 기기(100)는 N개의 제2 기기들과 1:N으로, 1:1 연결을 N개 유지할 수 있으며, 또는 중간에 브로커(broker) 기기를 통해서 제1 기기는 브로커 기기와 통신을 하고, 브로커 기기가 다수의 제2 기기와의 연결을 중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인 제1 기기(100)는 서버에 해당되는 브로커 기기와 통신을 하며, 서버는 다수의 제2 기기들과 통신을 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기(100)는 상기의 세션 연결지향 방식 이외에도, 연결 없이도 제1 기기(100) 및 제2 기기의 정보 전송 통로를 유지할 수 있다. 비연결지향 (state-less) 방식으로, 제2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단계 S330에서, 제1 기기(100)는 제2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제2 기기에서 센싱된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제2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제2 기기가 타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100)는 특정 위치에 고정된 CCTV로부터 CCTV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기기(100)는, 다른 사용자의 기기로부터 지하철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1 기기(100)는 제1 기기(100)의 데이터 요청(data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요청 메시지는 제1 기기(100)가 제2 기기의 정보가 필요한 때마다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기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때마다 응답으로, 요청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100)가 제2 기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제2 기기는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을 때마다 제2 기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제2 기기는 제1 기기(100)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기는 제1 기기(100)로부터 온도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매 시간마다 온도 정보를 전송하거나, 온도가 1도씩 변경될 때마다 온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기는 제1 기기(100)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인증 (Authentication)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 기기는 제1 기기(100)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 기기(100)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기(100)가 제2 기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대상 기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100)의 식별 정보를 통해서, 제1 기기(100)가 제2 기기의 정보를 구독(subscription)하는 기기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기기(100)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제2 기기에 대한 제1 기기(100)의 물리적인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기기는 결정된 거리에 따라서, 제1 기기(100)에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제1 기기(100)는 수신한 데이터가 오차범위 내의 데이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기기(100)가 수신한 데이터는 제1 기기(100)의 요청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일 수 있으나, 요청 메시지 없이도 수신한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기(100)는 데이터에 대한 목적 적합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터링(filt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제1 기기(100)에서 무의미한 정보라고 판단될 경우, 제1 기기(100)는 상당한 양의 정보를 저장할 공간 및 소비 전력 등의 관리 측면에서 별도 보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100)는 제2 기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서 제2 기기에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제2 기기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온도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거나, 제1 기기(100)의 저장부에서 삭제할 수 있다.
제1 기기(100)의 제어부(110)는 수신된 데이터가 오차 범위 내인지 판단하기 위해서, 먼저 오차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 정보일 경우, 제1 기기(100)로부터 반경 200미터 이내의 위치 정보만을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수신된 데이터가 온도 정보일 경우, 제1 기기(100)에서 요구하는 온도 정보는 섭씨 영상 10-30도 사이의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기기로부터 섭씨 50도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온도 정보는 잘못 측정되거나, 무의미한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의 필터링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기준일 수 있으며, 또는 기기에 기설정된 기준일 수 있다. 필터링의 오차 범위가 좁을수록 수신된 데이터의 목적적합성 및 신뢰성은 증가될 수 있지만, 데이터의 양은 줄어들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제1 기기(100)의 제어부(110)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기기(100)의 제어부(110)는 수신된 데이터 및 제1 기기(100)에 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컨텍스트 정보는 현재의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며, 예를 들어, 현재 디바이스 사용자의 위치, 해당 장소의 압력, 조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컨텍스트 정보로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디바이스의 성능, 디바이스 주변의 기기 정보 등이 해당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100)의 제어부(110)는 제1 기기(100)에서 측정한 제1 기기(100)의 위치 정보, 제2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2 기기의 위치 정보,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기(100)가 위치한 곳에서 사용자의 불쾌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추가적으로 결정된 불쾌지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사용자의 불쾌지수를 낮추는 쾌적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감온도 및/또는 불쾌지수가 정삼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주변의 냉난방기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사용자의 즐겨찾기 음악을 추천하거나, 사용자에게 주변 카페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다양하고 복잡한 데이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데이터들은 제1 기기(100)의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데이터들은 데이터의 타입에 따라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비디오, 이미지 및 사진을 타입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기기 내외부의 별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기기 내부의 별도 저장부로 RAM, Flash 메모리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기기 외부의 별도 저장부로 클라우드(Cloud) 서버,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저장부 및 별도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연계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경우, 삭제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일 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기기(100)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마트폰(100)의 경우, 스마트홈의 운영을 위하여, 댁 내의 다양한 가전 제품들과 연동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에어컨(401), 컴퓨터 (402), 전등(403) 및 공기 청정기(404) 등으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기(100)가 다른 기기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는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유리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집에 존재하는 가전 제품들의 경우 그 개수가 한정되어 있으며, 제1 기기(100)로서도 수신되는 데이터를 관리함에 처리량 및 저장공간 등에서 부담이 적을 수 있다. 하지만, 사람이 붐비는 지하철이라든지 백화점 같은 공간에서는 수없이 많은 기기들이 동작하고 있으며, 서로 네트워크 연결이 되어 있으므로, 제1 기기(10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물리적인 성능이 부담될 수 있다.
제1 기기(100)가 다른 기기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신하는 또 다른 경우로, 제1 기기(100)가 데이터를 요청한 특정 제2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1 기기(100)는 제1 기기(100) 주변에 다양한 제2 기기들이 위치하더라도, 모든 제2 기기들에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며, 제1 기기(100)가 기 통신하였던 제2 기기 또는 현재 필요한 타입의 기기만을 특정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화점에서 제1 기기(100)는 현재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기기에만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엘리베이터 기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제1 기기(100)가 브로커 기기를 통해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마트폰(100)의 경우, 스마트홈의 운영을 위하여, 댁 내의 다양한 가전 제품들과 스마트홈 서버(300)를 통해서 연동될 수 있다. 스마트홈 서버(300)는 에어컨(401), 컴퓨터(402), 전등(403) 및 공기 청정기(404) 등으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이러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는 스마트홈 서버(300)와 통신함으로써 원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기기(100)가 브로커 기기(300)를 통해서 다른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유리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붐비는 지하철이라든지 백화점 같은 공간에서는 수없이 많은 기기들이 동작하고 있으며, 서로 네트워크 연결이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기기들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서버(300)에 접속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0)를 통해서 제2 기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는 제1 기기(10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목적 적합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경우일 수 있다. 서버(300)가 단순히 제2 기기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서버(30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정렬해놓음으로써 제1 기기(100)는 원하는 데이터를 신속하게 수신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서버(300)는 제2 기기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양한 기준에 맞게 구분하여 저장 수 있다. 서버(300)는 제2 기기의 종류 별로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 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300)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다. 서버(300)는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 정보인지, 온도 정보인지 등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300)에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기준은 당업자가 도출할 수 있는 범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제1 기기(300)는 서버(300)와 같은 브로커 기기를 통함으로써, 직접 제2 기기들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보다 목적 적합하고 신뢰도가 높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0) 등과 같은 브로커 기기로서는 제1 기기(100)가 제2 기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지원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성능 측면에서 제1 기기(100)보다 고성능일 때가 바람직하다.
하지만, 브로커 기기가 반드시 서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한 주차 점유 센서, 주변의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등 제1 기기와 동일 유사한 기기도 브로커 기기로 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에서의 브로커 기기는 제2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기기이면 충분하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커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커 기기(300)는 제어부(310), 저장부(320) 및 통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30)는 무선 통신부(332) 및 유선 통신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10)는, 제2 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1 기기(100)에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브로커 기기(300)의 제어부(310)는 단순히 제2 기기의 데이터를 제1 기기(10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며,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분류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10)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2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커 기기(300)는 다양한 제2 기기들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온도 센서, GPS, 이미지 센서 등 제2 기기의 종류별로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10)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그룹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 오디오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각각의 종류에 따라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10)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새로운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조합하여 체감온도 정보로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위치 정보 및 소음 정보에 기초하여, 어떠한 상황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극장 내의 스마트폰에서 수신되는 소음 정보가 적은 경우, 영화가 상영 중이라고 결정할 수 있으며, 화면의 밝기를 낮추도록 하는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20)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제2 기기에서 수행되고 있는 서비스의 수행 이력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DB)화 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30)는 다른 기기 또는 센서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통신망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센서 기기 등과 같은 기기의 센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통신할 수 있으며, 다른 디바이스에 해당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제2 기기를 발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710에서, 제1 기기(100)는 제2 기기(200)를 발견하기 위해서 발견 요청(discover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 요청 메시지의 전송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유니캐스트 (unicast)의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는 제1 기기(100) 주변의 모든 기기들에게 제1 기기(100)의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며, 멀티캐스트는 제1 기기(100)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기기들에게 제1 기기(100)의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며, 유니캐스트는 특정 기기에만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제1 기기(100)는 제1 기기(100) 및 제2 기기(200)가 어떠한 형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지에 따라서 적합한 방식으로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는 주변 기기의 정보가 제1 기기(100)에게 유의미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습도, 밝기 및 먼지 등의 자연 환경 정보가 존재할 수 있으며, CCTV 영상, 공공 운송수단 상황, 거리 붐빔 정도 등의 도시환경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기기(100)가 주변 기기를 검색(또는 탐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100)가 검색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검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어떠한 기기에서 어떠한 정보를 제공받을지 모르는 제1 기기(100) 입장에서는 모든 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주변의 모든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특정한 기기만을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에 해당되는 기기만을 검색할 수 있으며,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CCTV 카메라 기기만을 검색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기기(100)로부터 반경 30m 이내에 존재하는 기기만을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수신 신호 세기 등을 측정하여 그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제1 기기(100)의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만을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제1 기기(100)가 전송한 발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2 기기는 발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발견 응답(discovery response) 메시지를 제1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2 기기(200)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고 발견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복수의 기기의 발견을 수행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2 기기(200)는 발견 응답 메시지를 브로커 기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브로커 기기(300)는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1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중간에 브로커 기기(300)를 통함으로써 제1 기기(100)는 정렬되거나 그룹화된 발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기기(100)가 제2 기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810에서, 제1 기기(100)는 발견된 제2 기기(200)의 센싱 정보 등을 획득하기 위해서 제2 기기(200)에게 데이터 요청(data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100)는 제2 기기(200)에서 측정한 정보, 제2 기기(200)가 저장하고 있는 정보 또는 제2 기기(200) 자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기(200)가 CCTV 카메라인 경우, 제1 기기(100)는 제2 기기(200)에서 촬영되고 있는 비디오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기기(2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제1 기기(100)는 제2 기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또는 스마트폰 성능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단계 S820에서, 제2 기기(200)는 제1 기기(100)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기(200)가 전송하는 데이터는 제1 기기(100)로부터 요청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제1 기기(100)로부터 요청된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100)는 제2 기기(2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제2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제2 기기(200)는 제2 기기(200) 내의 GPS에서 측정한 제2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제1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기(200)는 위치 정보와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1 기기(100)에 전송하여, 제1 기기(100)에서 제2 기기(200)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기(200)가 현재 마트에서 물건을 구입하고 있는 경우라면, 제2 기기(200)는 ‘마트’라는 위치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서도 현재 구매중인 물건 정보 및 일정 정보 등을 제1 기기(100)에 전송하여 제1 기기(100)에서 마트에 제2 기기(200)가 있음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제2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S910에서, 제1 기기(100)는 발견된 제2 기기(200)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등록 요청이라 함은, 제2 기기(200)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대상으로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S920에서, 제2 기기(200)는 제1 기기(100)의 등록 요청을 수락할 수 있으며, 등록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제1 기기(1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제2 기기(200)에서 제1 기기(100)의 등록 요청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제1 기기(100)는 제2 기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제2 기기(200)는 제1 기기(100)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변경사항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100)로부터 요청받은 데이터의 종류는 온도 정보일 수 있고, 제1 기기(100)에 데이터를 전송한 이후에 온도 정보에 변경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930에서, 제2 기기(200)는 변경된 데이터를 제1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변경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존의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기기(100)에서는 최신의 제2 기기(200)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제2 기기(200)는 데이터 변경이 있을 때마다 제2 기기(200)에 등록된 제1 기기(100)에 변경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제1 기기(100)로서는 제2 기기(200)의 데이터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제1 기기(100)는 제2 기기(200)의 데이터에 변경이 발생하였는지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에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수신함으로써, 제1 기기(100)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지 않아도 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9에 설명하는 방법과 같이, 제2 기기(200)의 데이터에 변경이 있을 때마다 제1 기기(100)로 변경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제2 기기(200)의 데이터 변경이 불규칙적이거나, 제1 기기(100)가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제1 기기(100)에서 어려운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습도 또는 위치 정보 등과 같이 제2 기기(20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가 가변적일 경우, 제2 기기(200)는 측정된 정보를 제1 기기(100)에 전송하여 최신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기(100)에서의 온도 정보가 오후 3시, 4시, 5시에 섭씨 20도, 섭씨 21도, 섭씨 20도로 변경된 경우, 제1 기기(100)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오후 3시 및 오후 5시에 전송하였다면, 오후 4시에 변경된 온도 정보를 확인하지 못할 수 있으며, 오후 3시부터 오후 5시까지 계속 섭씨 20도로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기기(200)가 온도가 변경될 때마다 제1 기기(100)에 변경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제1 기기(100)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수신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주변 기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길찾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바이스를 소지한 채로 이동하면서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에서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길찾기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출발 지점에서 도착 지점까지 A 내지 I 지점을 지나갈 수 있다.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인 A 지점에서 주변 디바이스들에게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발견된 주변 디바이스들에게 위치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으며, A 지점에서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에는 B 지점으로 이동하면서, B 지점에서 주변 디바이스들에게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발견된 주변 디바이스들에서 현재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는 동작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지점 주변 디바이스들에서 수신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에서 극장 예매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A 지점의 위치 정보 및 B 지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극장 주변인 B 지점에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로부터 목적지인 I 지점까지의 경로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주변 디바이스들의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광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디바이스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F 지점에서 카페에서 나오는 광고 음악을 오디오 데이터로서 수신하여, 카페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카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F 지점 부근에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동일한 광고 음악이 나오는 프랜차이즈 카페들의 위치 정보를 서버 등을 통해서 검색할 수 있으며, 현재 디바이스의 위치와 먼 거리의 카페들의 정보에 대해서는 오차 범위를 만족하지 않으므로 결정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목적지인 I 지점에 점차 근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도착지점인 I 지점에서, 주변 디바이스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및 객체들의 정보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목적지점인 I 지점에 도착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길찾기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앞서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가 길찾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현재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은 하기의 일련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단계 S1110에서, 디바이스는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는 GPS 센서 또는 AP(Access Point) 등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요청할 주변 기기를 발견하기 위해서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발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주변 기기로부터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주변의 기기를 발견할 수 있다.
단계 S1130에서, 디바이스는 발견된 주변 기기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140에서, 디바이스는 주변의 기기로부터 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주변의 기기에서 측정하거나 획득한 지리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150에서, 디바이스는 획득된 지리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조건으로 최근 10분 이내에 측정된 위치 정보가 설정된 경우, 주변의 기기로부터 수신된 지리 정보가 최근 10분 이내인지를 판단함으로써,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160에서, 디바이스는 결정된 현재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며 변경되는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의 S1110 내지 S1160의 과정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찾기 과정을 설명의 편의상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의 과정에서 추가 또는 생략하는 단계가 있을 수 있으며, 당업자가 수용하는 범위 내에서 대체될 수 있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주변 기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바이스는 주변 기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 데이터(meta data)로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주변 기기 또는 디바이스에서 센싱된 정보를 조합하여 하나의 메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확장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의 디바이스의 위치에서 주변의 많은 기기들로부터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온도 센서를 구비한 디바이스로부터 현재 온도가 섭씨 27도이고, 평년 기온 데이터와 비교하여 더운 날에 포함된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는 대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부터 디바이스 위치 주변의 먼지 농도가 낮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는 교통 정보 서버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지하철이 역을 출발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다양한 기기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수신된 정보들을 필터링하여, 신뢰도가 낮은 정보를 제외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는 수신된 정보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메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이라는 하나의 컨텍스트 정보로서 다양한 정보들과 연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A 지역의 대기 오염 정보’라는 키워드로 웹 서버 등에서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해당 컨텍스트 정보와 연계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메타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 컨텐츠 생성시에 관련 컨텍스트 정보를 연계시켜 하나의 메타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파일명, 촬영일시, 파일용량 등 다양한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으로부터 수신되는 다른 정보를 조합하여 하나의 메타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주변 기기에서 촬영 위치와 관련된 지하철역을 웹 서버에서 검색한 결과, 해당 위치에서 축제가 진행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위치에서 현재 축제가 진행 중이며, 스마트폰 기기가 5000개 이상인 것을 참조하여, 5000명 이상의 사람이 모여 있음을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축제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관련인물이 누구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 축제 현장에서 다른 사용자가 지갑을 일어버린 경우라면, 분실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분실물의 주인을 찾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관련된 다양한 센싱 정보 및 수신 정보들을 촬영된 이미지 정보와 하나의 메타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상기 생성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일종의 다이어리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이미지 각각의 메타데이터를 하나의 메타데이터로 생성할 수도 있다. 시간대별로 이미지들을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각 사진별 상황에 맞게 분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촬영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에 있어서, 집 안에서 촬영된 데이터만을 표시할 수 있고, 또는 학교 수업 중에 촬영된 데이터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스마트 글래스에서 촬영된 비디오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를 분류하는 다양한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으며, 하나의 기준뿐만 아니라, 복수의 기준을 조합하여 정렬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주변 기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호(call) 연결 시에도 주변 기기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컨텍스트 메타데이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1 기기는 제2 기기와 호 연결을 위해서 발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측 디바이스인 제2 기기의 사용자가 회의중인 경우 즉, 제1 기기 및 제2 기기간에 통화가 어려운 경우, 제2 기기는 제1 기기에게 제2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제2 기기에서 측정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기의 마이크 센서에서 주변의 소음을 측정할 수 있고, 제2 기기의 GPS 또는 AP에서 제2 기기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회의실)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적극적인 측정 형태로는 제2 기기에서 주변 기기에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2 기기 주변의 기기의 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기기는 측정하거나 획득한 제2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제1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수신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제2 기기의 사용자는 회의실에서 몇 명의 인원과 회의를 하고 있어서 통화가 어려움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제2 기기의 사용자가 현재 회의 중이라는 새로운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제2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기의 사용자가 현재 회의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1 기기는 제1 기기의 사용자의 확인 절차 등을 통해서, 제2 기기의 사용자와 관련된 회의 자료를 제2 기기에게 송부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기의 사용자와 관련된 일정 정보를 누적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제2 기기 관련하여 새로운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할 경우에 결정의 기초로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510에서, 제2 기기는 제1 기기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일정 시간동안 제2 기기와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2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제1 기기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와 동시에 제2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단계 S1520에서, 제2 기기는 제2 기기의 사용자로부터 호 연결 수락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2 기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제2 기기의 위치는 GPS 또는 AP 등을 이용하여, 위도 및 경도와 같은 지리적인 위치뿐만 아니라, 위치하는 공간의 성격(예를 들어, 박물관)까지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1530에서, 제2 기기는 주변의 기기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제2 기기는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주변의 기기로부터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하여 주변의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되는 주변 기기의 정보는 단순히 존재 유무뿐만 아니라, 기기의 종류 및 기기의 성능, 동작중인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540에서, 제2 기기는 주변 기기의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기기는 제2 기기의 마이크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정보 이외에, 발견된 주변 기기에서 측정되는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S1550에서, 제2 기기의 제어부는 획득한 정보들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견된 다수의 기기들에서 공통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지만, 특정 기기로부터 잘못 측정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잘못 측정된 정보뿐만 아니라,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기의 주변 기기들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였지만,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서, 이미지 정보가 불필요하다고 설정되는 경우, 수신된 이미지 정보들은 별도로 저장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단계 S1560에서, 제2 기기는 필터링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기가 회의실 A 공간 내에서 6개의 스마트폰을 발견하였으며, 6개의 스마트폰에서 측정되는 음향 정보의 세기(dB)를 비교하였을 때, 회의 중인 상황임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기기가 극장 B 공간에서 120개의 스마트폰을 발견하였으며, 120개의 스마트폰이 모두 진동모드로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기기는 상기의 정보들에 기초하여, 현재 영화가 상영 중임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570에서, 제2 기기는 호 연결을 요청한 제1 기기에게 제2 기기는 현재 회의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의 중입니다”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회의 중임을 나타내는 이미지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예 4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새로운 데이터에 생성되는 체감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제1 기기에 다양한 센서들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나, 물리적인 공간, 소비 전력 등의 한계에 의해서 많은 수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제1 기기는 필요한 데이터를 주변 기기에 요청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서, 제1 기기 주변의 기온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위치에서의 불쾌지수를 측정하라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불쾌지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정보 이외에도 풍속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해야만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기는 웹 서버 등에 연결하여 제1 기기의 위치의 풍속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풍속 정보를 수신하여 불쾌지수 산정식에 의하여 불쾌지수를 산정할 수 있다.
풍속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른 예로, 제1 기기는 주변의 기기들을 발견할 수 있다. 주변의 기기들에게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주변의 기기들로부터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주변의 기기들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발견된 주변 기기들 중에서 풍속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기기들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선택된 기기들에게 풍속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선택된 기기들에서 수신된 풍속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불쾌지수를 산정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주변의 기기들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평균값에서 상당히 벗어난 값을 나타내는 풍속 데이터를 제외시킬 수 있다. 또는 현재 시각으로부터 3분 이전에 측정된 풍속 데이터를 제외시킬 수도 있다.
제1 기기로부터 풍속 데이터 요청을 받은 기기들은 풍속의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제1 기기에 풍속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제1 기기에서 최신의 불쾌지수 측정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는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 정보 테이블은, 기기 ID 필드, 기기 종류 필드, 데이터 타입 필드, 데이터 속성 필드, 및 센싱 주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ID 필드에는 디바이스의 식별 값이 기록될 수 있으며, 기기 종류 필드에는 기기의 종류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종류 필드에는 온도 센서, 음향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시계, 냉장고, 세탁기 및 화재 경보기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타입 필드에는 디바이스에 의해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타입 필드에는 숫자, 소리, 문자,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속성 필드에는 디바이스에 의해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의 속성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속성 필드(46)에는 number value, data value, byte value 및 string value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센싱 주기 필드에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센싱하는 주기가 기록될 수 있다. 센싱 주기 필드에 기록되는 센싱 주기는, 디바이스에 디폴트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에 관한 정보는 서비스 정보 테이블의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서비스 ID 필드, 필요 기기 필드, 우선 순위 1 필드, 우선 순위 2 필드 및 우선 순위 3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ID 필드에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 값이 기록될 수 있으며, 필요 기기 필드에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필요한 디바이스의 종류 및 개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 기기 필드에는, “온도 센서 2개”, “가스 감지 센서 3개” 및 “화재 경보기 1개” 가 기록될 수 있다.
우선 순위 1 필드, 우선 순위 2 필드 및 우선 순위 3 필드에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필요한 디바이스 중에서, 각각의 우선 순위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종류 및 개수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 1 필드에는 “온도 센서 1개”, “가스 감지 센서 1개” 및 “화재 경보기 1개” 가 기록될 수 있으며, 우선 순위 2 필드에는 “온도 센서 1개” 및 “가스 감지 센서 1개”가 기록될 수 있으며, 우선 순위 3 필드에는 “가스 감지 센서 1개”가 기록될 수 있다.
필요 장치 필드, 우선 순위 1 필드, 우선 순위 2 필드 및 우선 순위 3 필드에 기록된 정보는, 원활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최소한의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해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저장된 기기 정보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 테이블의 형식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서비스와 연관된 기기 정보 테이블은 기기 정보 테이블에 연관 서비스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관 서비스 필드에는 디바이스와 연관된 서비스의 식별 값이 기록될 수 있다. 디바이스 또는 서버는 기기 정보 테이블 및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비교함으로써, 연관 서비스 필드에 기록될 서비스의 식별 값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인 기기 A와 관련하여, 연관 서비스 필드에는 “스마트홈 서비스 B”, 및 “화재 경보 서비스 A”가 기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가 디바이스로부터의 센싱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제어 메시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2byte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메시지는, 제어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내는 1bit의 값,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 데이터 가공 방식의 서브 규칙을 나타내는 4 bits의 값, 및 센싱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8 bits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내는 1bit의 값은, 제어 메시지가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 전송을 일시 정지 시키기 위한 메시지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내는 1bit의 값이 “1”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 전송을 허여하고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내는 1bit의 값이 “0”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 전송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한편, 제어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내는 1bit의 값이 “0”이고, 제어 메시지 내의 나머지 bits 값이 모두 1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 전송을 일시 정지하되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은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어떻게 가공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이 “0”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별도로 가공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이 “1”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의 평균 값을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이 “2”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취합하여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이 “3”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이 “4”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새로이 수집된 센싱 데이터 중에서 이전의 센싱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경된 데이터만을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이 “5”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의 평균 값을 취합하여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데이터 가공 방식의 서브 규칙을 나타내는 4 bits의 값은 데이터 가공에 관련된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의 서브 규칙을 나타내는 4 bits의 값은 센싱 데이터를 분할하는 횟수, 센싱 데이터를 취합하는 횟수, 또는 몇 개의 센싱 데이터를 평균해야 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센싱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8 bits의 값은 센싱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기기
200: 제2 기기

Claims (22)

  1. 제1 디바이스가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필터링 기준에 기초하여 필터링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필터링 기준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에 대한 환경 정보,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검색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3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검색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제3 디바이스를 통하여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인, 서비스 수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생기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는 서비스에 따라서 정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캡쳐된 이미지에 상기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2.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2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필터링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필터링 기준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에 대한 환경 정보,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세션을 연결하도록 설정되는, 제1 디바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3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2 디바이스를 검색하도록 설정되는, 제1 디바이스.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제3 디바이스를 통하여 세션을 연결하도록 설정되는, 제1 디바이스.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제1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제1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필터링 기준을 만족하는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설정되는, 제1 디바이스.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를 더 저장하는, 제1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는 서비스에 따라서 정렬하여 저장하는, 제1 디바이스.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에 상기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를 결합하도록 설정되는, 제1 디바이스.
KR1020150076482A 2015-05-29 2015-05-29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40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82A KR20160140185A (ko) 2015-05-29 2015-05-29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16803684.6A EP3304867A4 (en) 2015-05-29 2016-05-27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service
CN201680029897.8A CN107646196A (zh) 2015-05-29 2016-05-27 用于执行通信服务的装置和方法
PCT/KR2016/005633 WO2016195329A1 (en) 2015-05-29 2016-05-27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service
US15/168,888 US20160352784A1 (en) 2015-05-29 2016-05-31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82A KR20160140185A (ko) 2015-05-29 2015-05-29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85A true KR20160140185A (ko) 2016-12-07

Family

ID=5739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482A KR20160140185A (ko) 2015-05-29 2015-05-29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352784A1 (ko)
EP (1) EP3304867A4 (ko)
KR (1) KR20160140185A (ko)
CN (1) CN107646196A (ko)
WO (1) WO20161953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2878A (zh) * 2019-03-22 2021-08-2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3722A (zh) * 2019-01-15 2019-06-07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7243530B2 (ja) 2019-08-29 2023-03-22 新東工業株式会社 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JP7226192B2 (ja) * 2019-08-29 2023-02-21 新東工業株式会社 管理方法及び移動端末
US11490338B1 (en) * 2021-05-25 2022-11-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tion-responsive transmission power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4821B2 (ja) * 1997-03-27 2007-0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分散情報の統合方法及び装置
US6944679B2 (en) * 2000-12-22 2005-09-13 Microsoft Corp. Context-aware systems and methods, location-aware systems and methods, context-aware vehicl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and location-aware vehicl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100979783B1 (ko) * 2008-06-24 2010-09-03 메타라이츠(주) Wsn 기반 상황인지 엔진
KR101302134B1 (ko) * 2009-12-18 2013-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합 센서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10246490A1 (en) * 2010-04-01 2011-10-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pdates with context information
CN101834858B (zh) * 2010-04-16 2013-04-03 北京工业大学 一种数据共享中基于信任和替换的隐私信息保护方法
CN101932134A (zh) * 2010-08-16 2010-12-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Web管理的无线数据卡及其实现方法
CA2833781C (en) * 2011-04-22 2018-01-02 Expanerg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energy usage
CN103377252B (zh) * 2012-04-28 2018-03-27 国际商业机器公司 在物联网中进行数据过滤的方法和装置
KR102029285B1 (ko) * 2013-04-01 2019-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네트워크의 대규모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WO2014182900A1 (en) * 2013-05-08 2014-11-13 Convida Wireles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virtualization of resources using a virtualization broker and context information
US9420044B2 (en) * 2013-06-26 2016-08-16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Leveraging system signaling service advertisements for application-layer discovery and connection management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KR20160048169A (ko) * 2013-08-29 2016-05-03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사물 인터넷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2878A (zh) * 2019-03-22 2021-08-2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13302878B (zh) * 2019-03-22 2022-08-0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系统
US11601517B2 (en) 2019-03-22 2023-03-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s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4867A1 (en) 2018-04-11
CN107646196A (zh) 2018-01-30
US20160352784A1 (en) 2016-12-01
WO2016195329A1 (en) 2016-12-08
EP3304867A4 (en)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5352B2 (en) Determining virtual location based upon scanned wireless signals
JP6791569B2 (ja) ユーザプロファイル生成方法および端末
US8577354B2 (en) Automating actions within a phone network based upon scanned wireless signals
US11924215B2 (en) Enhanced value component predictions using contextual machine-learning models
US20150350820A1 (en) Beacon additional servic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background arts
US20170237820A1 (en) Location-based task execution for enhanced data access
US20170230894A1 (en) Location-based task execution for enhanced data access
US20230244536A1 (en) Dynamic model-based access right predictions
CN107534682B (zh) 用于提供通信服务的方法和装置
KR20160140185A (ko)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001181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place
US10051018B2 (en)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s using routing protocols
KR102140664B1 (ko) 컨텐츠 자동 공유 방법 및 장치
JP5822050B1 (ja) デバイス情報提供システム、デバイス情報提供方法
US201303254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sensing information of portable device
GB2502395A (en) Sending location-relevant data to a user device for predicted locations of interest
KR20220066369A (ko) 트래블 기반 통지
US20140242954A1 (en) Location-relevant data
US11902477B1 (en) Sharing images based on face matching in a network
US201700944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ssociation between a location and a user
EP3590205B1 (en) Associating content with one or more light beacons based on a geographical indicator
JP2014153797A (ja) デバイス情報提供システム、デバイス情報提供方法
US12003596B2 (en) Location-based task execution for enhanced data access
KR101697528B1 (ko)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7162208A (ja) イベント検出装置、イベント検出システム、イベント検出方法、及びイベント検出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