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942A -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942A
KR20160139942A KR1020150075891A KR20150075891A KR20160139942A KR 20160139942 A KR20160139942 A KR 20160139942A KR 1020150075891 A KR1020150075891 A KR 1020150075891A KR 20150075891 A KR20150075891 A KR 20150075891A KR 20160139942 A KR20160139942 A KR 20160139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external device
external
lock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흥일
Original Assignee
오흥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흥일 filed Critical 오흥일
Priority to KR102015007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9942A/ko
Publication of KR2016013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6K9/00006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 제어에 응답하여 도어락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상기 생성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락을 구동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락 제어부, 및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기적으로 결합된 외부 기기와 연동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동작 방법{APPARATUS AND OPERATIING METHOD OF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락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보드에 무선통신이나 외부장비 제어 등 추가 기능을 지원하는 확장보드를 탈/부착하여 다양하게 조합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가족 및 다수의 사람들이 주거하는 곳(아파트, 단독주텔, 오피스텔, 빌딩 등)에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 출입하는 것을 인위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도어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은 열쇠에 의한 개폐방식, 다이얼에 의한 개폐 방식 등뿐만 아니라, 기계와 전자 분야 기술이 결합된 디지털 도어락의 방식의 도어락도 존재한다. 최근 디지털 도어락은 기존의 기계식 도어락을 이용시 발생하는 열쇠 분실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 및 제3자에 의한 열쇠 도난 및 복제에 따른 범죄 등의 단점을 극복하였는바 점점 사용이 늘어 가고 있다.
디지털 도어락은 키 입력부를 통한 비밀 번호 입력 방식, 마그네틱 띠를 입힌 마크네틱 카드 방식, RF(Radio Frequency) 카드 방식, IC(Intergrated Circuit) 카드 방식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은 일반적으로 실외측의 조작기, 실내측의 잠금장치, 각 구성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측의 조작기는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하여 소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 또는 명령은 케이블을 통하여 실내측 잠금장치로 전송된다. 실내 측 잠금장치는 기 설정되어있는 비밀번호와 입력된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체크한 후 실내측의 잠금장치의 로킹 장치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확장보드를 탈부착하거나, RF, WiFi, Bluetooth, Jigbee등 환경에 따른 통신방식을 지원하도록 슬롯형태를 확장하는 등의 외부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디지털 도어락의 기본 기능을 확장하여 다양하게 응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 제어에 응답하여 도어락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상기 생성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락을 구동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락 제어부, 및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기적으로 결합된 외부 기기와 연동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락 제어부는, 외부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외부 손잡이의 일측면에서 패널 형태로 구현되며, 외부 기기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하는 RF카드 단말기와 상기 외부 손잡이 일측면에서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락 제어부는, 외부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는, 번호키 입력을 위한 터치패널과 상기 외부 손잡이의 일측면에서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번호키의 정렬을 랜덤하게 변경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RF카드 단말기 또는 상기 번호키는 평상시 슬립상태로 대기하며 센서에 의해 인체가 비접촉 또는 접촉 방식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활성화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락 제어부는, 외부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손잡이는, 엄지 손가락 위치에 탈부착되는 지문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센서의 위치에서, 상기 지문센서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의 센서가 포함된 탈부착 가능한 컬러 LE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손잡이 안쪽 부분에서 탈부착 가능한 형태의 정맥인식 센서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에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가 감지될 때 자동으로 단말기에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도어락의 화면을 변경하며, 전송된 비밀번호를 도어락을 개폐하는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내부 손잡이 안에 삽입되는 1.5V 배터리 4개로 기본 전력을 제공하되, 비상시 외부 손잡이 내에 삽입된 1.5V 배터리 4개로 비상 전력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 기기는,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는 온도센서나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하여 비상이 자동으로 출입문을 개방하여 내부에서 출입문에 손을 대지 않고 밀어내는 동작만으로 열고 탈출이 가능하도록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 기기는, 원격 출입문 제어를 위한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원격으로 출입문을 제어하여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알림으로 회신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제어에 응답하여 도어락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락을 구동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 및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적으로 결합된 외부 기기와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에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가 감지될 때 자동으로 단말기에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도어락의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 및 전송된 비밀번호를 도어락을 개폐하는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에 확장보드를 탈부착하거나, RF, WiFi, Bluetooth, Jigbee등 환경에 따른 통신방식을 지원하도록 슬롯형태를 확장하는 등의 외부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디지털 도어락의 기본 기능을 확장하여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사용하는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사용하는 전체 구조(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10)은 외부 기기(120)와 연동하여 도어의 개폐와 같은 도어락의 기본 기능을 보다 확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기기(120)는 유무선 통신 모듈, 지문 센서, 인체 감지 센서, 정맥인식 센서, 스마트 폰 등으로 해석될 수 있고, 디지털 도어락(1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120)의 기본 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120)가 RF, WiFi, Bluetooth, Jigbee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10)은 근거리에 위치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또 다른 기기와 외부 기기(120)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도어 개폐의 히스토리를 외부의 메모리에 기록할 수도 있고, 도어 개폐에 따른 집안 내부의 조명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디지털 도어락에 확장보드를 탈부착하거나, RF, WiFi, Bluetooth, Jigbee등 환경에 따른 통신방식을 지원하도록 슬롯형태를 확장하는 등, 외부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디지털 도어락의 기본 기능을 확장하여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컨트롤러(210), 락 제어부(220),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210)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는 구성요소로서, 중앙처리유닛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10)는 사용자 제어에 응답하여 도어락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구동 제어 신호는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락 제어부(220)는 생성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락을 직접 구동하는 수단으로서, 일례로 도어락의 도어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거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기기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30)는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231)와 유선 통신 등 무선 통신 이외의 통신을 지원하는 확장 통신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통신부(231)는 RF, WiFi, Bluetooth, Jigbee등 환경에 따른 통신방식을 지원하도록 슬롯형태를 확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외부 기기(27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271)와 키패드(27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는 외부 기기들(272)과 컨트롤러(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기본 기능을 확장하여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일례로, 락 제어부(220)는 도어락의 개폐를 위한 외부 손잡이를 포함하고, 이 때의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는 외부 손잡이의 일측면에서 패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외부 기기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하는 RF카드 단말기는 외부 손잡이 일측면에 위치하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손잡이의 일측(외부 손잡이의 뒤편)에서 패널의 형태로 추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로서 번호키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이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와 연동할 수 있는데, 일례로, 외부손잡이 뒤편에 추가 장착될 수 있다.
락 제어부(220)는 외부 손잡이를 포함하고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는 번호키 입력을 위한 터치패널과 상기 외부 손잡이의 일측면에서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번호키의 정렬을 랜덤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F카드 단말기 또는 번호키는 평상시 슬립상태로 대기하며 센서에 의해 인체가 비접촉 또는 접촉 방식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활성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F와 번호키는 평상시 슬립 상태로 대기하며 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었을 때 자동으로 활성화 되거나 일정영역이 터치되면 강제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번호키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숫자의 정렬을 랜덤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210)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에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가 감지될 때 자동으로 단말기에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도어락의 화면을 변경하며, 전송된 비밀번호를 도어락을 개폐하는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일시적으로 번호를 부여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해당 번호를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메모리에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에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승인되는 게스트 번호와, 기간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한 마스터 번호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게스트 번호와 마스터 번호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외부의 서버에 기록되어 유지될 수도 있다.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메모리에 기록되는 실시예로 설명하면, 컨트롤러(21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정보가 게스트 번호인지 또는 마스터 번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 결과 게스트 번호인 경우 컨트롤러(210)는 승인 가능한 기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구동 제어 신호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고, 판단 결과 마스터 번호인 경우 승인 가능한 기간인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락 제어부(220)는 외부 손잡이를 포함하고, 외부 손잡이는 엄지 손가락 위치에 탈부착되는 지문센서를 포함하고, 지문센서의 위치에서 지문센서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의 센서가 포함된 탈부착 가능한 컬러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는 인체감지 센서, 소리감지 센서 등 외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락 제어부(220)는 외부 손잡이 안쪽 부분에서 탈부착 가능한 형태의 정맥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42)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반적인 기능을 구현하도록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도어의 외부로부터 감지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41)와 도어의 내부에서 수동 제어유닛(260)을 구동하는 전원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기본 전력은 내부 손잡이 안에 삽입되는 1.5V 배터리 4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시를 위해 외부 손잡이 내에 1.5V 4개를 추가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는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는 온도센서나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여 비상이 자동으로 출입문을 개방하여 내부에서 출입문에 손을 대지 않고 밀어내는 동작만으로 열고 탈출이 가능하도록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는, 원격 출입문 제어를 위한 장비를 포함하고,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원격으로 출입문을 제어하여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알림신호로써 콘트롤러에 회신할 수 있다. 이때 콘트롤러는 통신부(230)를 통해 알림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 방법은 디지털 도어락에 확장보드를 탈부착하거나, RF, WiFi, Bluetooth, Jigbee등 환경에 따른 통신방식을 지원하도록 슬롯형태를 확장하는 등, 외부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디지털 도어락의 기본 기능을 확장하여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제어에 응답하여 도어락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301).
예를 들어,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에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가 감지될 때 자동으로 단말기에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도어락의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송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개폐하는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 방법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결합한다(단계 30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 방법은 전기적으로 결합된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생성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락을 구동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한다(단계 303).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은 슬립 상태를 통해 비활성화를 유지할 수 있다(단계 410).
이에, 도어 개폐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4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은 단계 420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감지된 경우라면 기기를 활성화하여 구동을 준비할 수 있다(단계 430). 만약, 단계 420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감지되지 않았다면 기기의 슬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사용자 제어에 응답하여 도어락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상기 생성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락을 구동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락 제어부; 및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기적으로 결합된 외부 기기와 연동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 제어부는,
    외부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외부 손잡이의 일측면에서 패널 형태로 구현되며,
    외부 기기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하는 RF카드 단말기와 상기 외부 손잡이 일측면에서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 제어부는,
    외부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는,
    번호키 입력을 위한 터치패널과 상기 외부 손잡이의 일측면에서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번호키의 정렬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4. 제2항 및 제3항 중에서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RF카드 단말기 또는 상기 번호키는 평상시 슬립상태로 대기하며 센서에 의해 인체가 비접촉 또는 접촉 방식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 제어부는,
    외부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손잡이는,
    엄지 손가락 위치에 탈부착되는 지문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센서의 위치에서, 상기 지문센서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의 센서가 포함된 탈부착 가능한 컬러 LE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손잡이 안쪽 부분에서 탈부착 가능한 형태의 정맥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20150075891A 2015-05-29 2015-05-29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160139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91A KR20160139942A (ko) 2015-05-29 2015-05-29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91A KR20160139942A (ko) 2015-05-29 2015-05-29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42A true KR20160139942A (ko) 2016-12-07

Family

ID=5757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891A KR20160139942A (ko) 2015-05-29 2015-05-29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99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03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US10360743B2 (en) Wireless reader system
TWI731023B (zh) 門方位偵測電路及門硬體總成
US10672209B2 (en) Door loc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20160042581A1 (en) Control method for smart lock, a smart lock, and a lock system
JP2011087016A (ja) 所在管理システム
KR101698679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 장치 및 방법
CA2881335C (en) Inputting lock commands
JP4755900B2 (ja) 不審者入館防止システム、不審者入館防止方法及び不審者入館防止プログラム
KR100925971B1 (ko) 중앙접근제어유닛
JP2017120001A (ja) 判定装置、錠装置、付加装置、人感センサ、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546610B1 (ko)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1272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WO2017180068A1 (en) Key storage device which be accessed by biometric key storage system and support several users
KR20160139942A (ko)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동작 방법
TWI591246B (zh) Access control system with automatic unlocking function and its unlocking method
KR101523485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무인 경비 시스템 관리 방법
JP2018071227A (ja) 電気錠システム、電気錠装置、及び電気錠用プログラム
KR20110090635A (ko) 도어락 장치 및 그것의 키 관리 방법
JP2019108683A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97595B1 (ko) 양방향성 무선 태그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관리방법
EP3017433A1 (en) Secure mode for electronic access control readers
KR20150142914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인증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I715391B (zh) 保全系統
WO2019044962A1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電気錠システム、電気錠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