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898A -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898A
KR20160138898A KR1020160061170A KR20160061170A KR20160138898A KR 20160138898 A KR20160138898 A KR 20160138898A KR 1020160061170 A KR1020160061170 A KR 1020160061170A KR 20160061170 A KR20160061170 A KR 20160061170A KR 20160138898 A KR20160138898 A KR 20160138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server
event
chat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0752B1 (ko
Inventor
김태정
조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아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아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아이피
Priority to PCT/KR2016/00552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90657A1/ko
Publication of KR20160138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63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where the network is a peer-to-peer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단말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친구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P2P(Peer to Peer) 통신할 상대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P2P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대한 상대 단말의 권한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권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아래 실시예들은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터넷 기반의 메시징 플랫폼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메시징 플랫폼은 통상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으로, 민감한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의 보안을 위한 별도의 보안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메시징 플랫폼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에 저장된 이상, 해당 메시지 작성자라고 해도 해당 메시지를 수정, 삭제, 또는 회수할 수 없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8544호(발명의 명칭: 채팅 영역에 대한 보안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가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공보에는 디스플레이에 채팅 영역을 표시하고, 표시된 채팅 영역에 복수 사용자의 채팅 텍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안 기능을 활성화할 것을 요청하는 보안 요청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표시된 채팅 영역 내의 비보안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 및 상기 표시된 채팅 영역 중 상기 비보안 영역을 보안 영역과 다르게 표시하는 보안 기능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일 측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친구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P2P(Peer to Peer) 통신할 상대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P2P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대한 상대 단말의 권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권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권한 정보는, 상기 상대 단말이 상기 데이터와 관련되어 발생한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 업로드, 전송, 복사, 및 편집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 단말과 P2P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 단말과 P2P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 단말과 P2P(Peer to Peer) 통신하기 위한 P2P 통신 요청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상대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 및 매개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접속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기초로 상기 상대 단말과 P2P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 요청 데이터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이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매개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대화방을 생성하는 단계; 및 대화방 식별자의 할당을 위한 할당 요청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대화방에 상기 대화방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대화방 식별자를 포함하는 초대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에 데이터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권한 정보의 변경 요청을 위한 변경 요청 데이터를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경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상기 권한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권한 정보의 변경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을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정 이벤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정 이벤트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대화방을 통해 상기 상대 단말이 전송한 전송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상기 전송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의 속성을 기초로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대 단말과의 P2P(Peer to Peer)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대화방을 통해 상기 상대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속성을 기초로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은, 상기 대화방에 대한 상기 단말의 권한 정보를 기초로 정의된다.
상기 권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 업로드, 전송, 복사, 및 편집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 단말과 P2P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 단말과 P2P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 단말의 P2P 통신 요청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을 기초로 생성된 매개키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대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매개키를 수신하고, 상기 매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상대 단말이 상기 서버에 접속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기초로 상기 단말과 상기 통신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권한 정보의 변경 요청을 위한 변경 요청 데이터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권한 정보의 변경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을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변경된 권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단말은 친구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P2P(Peer to Peer) 통신할 상대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P2P(Peer to Peer)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대한 상대 단말의 권한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권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상대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일 측에 따른 단말은 상대 단말과의 P2P(Peer to Peer)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참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대화방을 통해 상기 상대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속성을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속성을 기초로 피드백을 출력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은, 상기 대화방에 대한 상기 단말의 권한 정보를 기초로 정의된다.
실시예들은 보안 메시징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다른 사용자가 메시지 또는 컨텐츠(예를 들어, 사진, 동영상, 문서파일 등)를 수신하여도 작성자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수정, 삭제, 또는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메시지에 대한 권한을 설정할 수 있어, 수신자가 메시지를 권한 없이 배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메시징 플랫폼을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사진, 동영상)에 대한 권한을 설정할 수 있어, 수신자가 컨텐츠를 권한 없이 배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에 대한 권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체 대화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P2P 통신 세션의 설정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통화 동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 1은 대화방을 생성한다(110). 예를 들어, 단말 1은 친구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상대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2가 상대 단말이라 하자. 단말 1은 P2P(Peer to Peer)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을 개설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와 달리, 서버가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에서 대화방 개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 1은 대화방 개설 이벤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대화방 개설 이벤트를 기초로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화방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방은 단말 1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대화방은 서버에 위치할 수 있다. 대화방의 위치는 예시적인 사항일 뿐, 전술한 사항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1은 대화방 식별자의 할당을 위한 할당 요청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120). 서버는 할당 요청 데이터를 단말 1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대화방에 대화방 식별자를 할당한다(130).
서버는 초대 메시지를 단말 2로 전송한다(140). 초대 메시지는, 예를 들어, 대화방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2는 서버로부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대화방에 참여할 수 있다(150).
단말 2가 대화방에 참여하는 경우, 단말 1과 단말 2 사이에 P2P 통신 세션이 설정될 수 있고, 단말 1은 P2P 통신 세션을 통해 메시지, 사진,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단말 2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 2는 P2P 통신 세션을 통해 메시지 등의 데이터를 단말 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1의 대화방 생성 및 단말 2의 대화방 참여는 P2P 통신 세션의 설정 프로세스와 대응할 수 있다. P2P 통신 세션의 설정 프로세스는 도 6을 통해 후술한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 1은 대화방 내의 데이터에 대한 단말 2의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 1은 단말 2가 대화방에 참여하기 전에 단말 2의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은 단말 2가 대화방에 참여한 후 단말 2의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권한 정보는 단말 2가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를 수행 또는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복사, 다운로드, 편집, 및 전송 등을 나타낸다. 일례로, 단말 1은 단말 2가 대화방 내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다운로드할 수 없도록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은 단말 2가 대화방 내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되,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없도록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은 단말 2가 대화방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도록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2의 사용자는 대화방 내의 메시지를 읽을 수 있고, 쓸 수 없다.
단말 2의 권한 정보가 설정된 경우, 단말 1은 권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한다. 후술하겠지만, 단말 2는 데이터의 속성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자신의 권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단말 1은 데이터 1을 서버로 전송한다(210). 데이터 1은 메시지, 사진, 동영상, 문서 파일, 금융 정보, 멀티미디어 파일에 억세스할 수 있는 주소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서버는 데이터 1에 식별자 1을 할당할 수 있다(22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는 대화방 식별자와 대응되는 식별자 1을 생성하고,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방 식별자가 0x001라 하자. 서버는 단말 1로부터 메시지 1을 수신하는 경우, 0x001-0001을 식별자 1로 생성하고, 0x001-0001을 메시지 1에 할당할 수 있다.
서버는 데이터 1을 단말 2로 전송할 수 있다(230). 여기서, 서버는 대화방 식별자 및 식별자 1을 데이터 1과 함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2는 데이터 2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240).
서버는 데이터 2에 식별자 2를 할당할 수 있다(250). 예를 들어, 서버가 단말 2로부터 메시지 2를 수신하는 경우, 0x001-0002를 식별자 2로 생성하고, 0x001-0002를 메시지 2에 할당할 수 있다.
서버는 데이터 2를 단말 1로 전송할 수 있다(260). 여기서, 서버는 대화방 식별자 및 식별자 2를 데이터 2와 함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는 단말 1 및/또는 단말 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데이터에 할당된 식별자를 관리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 1은 P2P 통신 세션을 통해 데이터 1을 단말 2로 전송할 수 있다(270). 도 2a와 달리, 단말 1은 단말 2로 직접 데이터 1을 전송한다. 이 경우, 단말 1은 데이터 1에 식별자 1을 할당할 수 있고, 식별자 1을 데이터 1과 함께 단말 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 2는 데이터 1을 수신했음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을 단말 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2는 P2P 통신 세션을 통해 데이터 2를 단말 1로 전송할 수 있다(280). 도 2a와 달리, 단말 2는 단말 1로 직접 데이터 2를 전송한다. 이 경우, 단말 2는 데이터 2에 식별자 2를 할당할 수 있고, 식별자 2를 데이터 2와 함께 단말 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 1은 데이터 2를 수신했음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을 단말 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의 일례가 도시된다.
통신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에서 설명한 단말 1 및 단말 2 각각의 동작은 단말 1 및 단말 2 각각에 저장된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Paul"은 "Tadd"와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Paul"의 단말은 "Tadd"의 단말로부터 여행 가자는 메시지(290)를 수신하고,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에 노출한다.
도 2a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Tadd"의 단말은 메시지(290)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는 메시지(290)에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으며, 메시지(290) 및 메시지(290)의 식별자를 "Paul"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 2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Tadd"의 단말은 메시지(290)를 P2P 통신 세션을 통해 "Paul"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Paul"의 단말과 "Tadd"의 단말이 주고받은 복수의 메시지(291 내지 293) 각각에 식별자가 할당될 수 있다.
"Tadd"의 단말에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add"의 단말에서 메시지(293)의 내용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Tadd"의 단말은 수정 이벤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는 수정 이벤트를 "Paul"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add"의 단말은 메시지(293)의 수정 내용 및 메시지(293)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수정 이벤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메시지(293)의 수정 내용 및 메시지(293)의 식별자를 "Paul"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Paul"의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메시지(293)의 수정 내용이 노출될 수 있다. 수정 이벤트가 메시지(293)를 삭제하기 위한 이벤트인 경우, "Paul"의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메시지(293)가 시각적으로 사라진다.
"Paul"의 단말은 자신이 전송한 메시지(291) 또는 메시지(292)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Paul"의 단말이 메시지(291) 또는 메시지(292)를 수정한 경우, "Tadd"의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메시지(291)의 수정 내용 또는 메시지(292)의 수정 내용이 노출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이 같이, 대화방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금융 정보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add"가 "Paul"에게 일정 금액을 보내는 경우, "Tadd"의 단말은 금융 정보를 "Paul"의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금융 정보는 "Paul"에게 일정 금액을 송금하겠다는 취지의 정보, 보내는 자/받는 자의 실제 계좌와 링크될 수 있는 정보, 및 이들의 암호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금융 정보는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에 금융 정보에 억세스할 수 있는 주소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대화방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억세스할 수 있는 주소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는 저작권을 관리하는 시스템과 링크될 수 있는 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Tadd"가 멀티미디어 파일을 적법하게 취득했고, 3명의 서로 다른 사람에게 일정 기간 동안 대여하는 것이 가능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하자. "Tadd"의 단말은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Paul"의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Tadd"는 "Paul"이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권한 없이 배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Tadd"의 단말은 대화방을 통해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Paul"의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Paul"의 단말은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른 단말에게 전송하려고 시도할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의 속성에 의해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없다.
도 3a 내지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말 1은 대화방에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310).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데이터는 사진 등의 정적 영상 데이터, 동영상 등의 동적 영상 데이터, 또는 문서 파일일 수 있다.
단말 2의 디스플레이에는 데이터가 업로드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단말 2에서 발생할 수 있다(320). 예를 들어, 단말 2는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시도하거나 데이터의 열기(open)를 시도할 수 있다.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 2는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330).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는 경우, 단말 2는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340). 즉, 단말 2가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를 수행할 권한이 있는 경우,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2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열(open) 권한이 있는 경우, 단말 2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데이터를 열 수 있다(open).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단말 2는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를 수행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350). 예를 들어, 단말 2가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 권한이 없는 경우, 단말 2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의 일례가 도시된다.
"Paul"은 "Tadd"와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Paul"의 단말은 "Tadd"의 단말로부터 계약서를 보낸다는 메시지(360)를 수신할 수 있고, 메시지(360)의 내용을 디스플레이에 노출할 수 있다. 또한, "Paul"의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계약서 데이터가 대화방에 업로드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361)의 내용이 노출될 수 있다.
메시지(361)에 대한 "Paul"의 입력을 기초로 "Paul"의 단말은 계약서를 다운로드 하거나 열 수 있다(open). 즉, 계약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Paul"의 단말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Paul"의 단말은 계약서 데이터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벤트가 계약서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Tadd"의 단말은 계약서 데이터에 대한 "Paul"의 단말의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권한 정보를 기초로 계약서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할 수 있다. "Tadd"의 단말은 "Paul"의 단말이 계약서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열 수 없게 권한 정보를 설정하고, 권한 정보를 기초로 계약서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Paul"의 단말에서 계약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계약서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벤트가 계약서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Paul"의 단말은 계약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거나 열 수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b의 예에서, "Paul"의 단말은 계약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하자. 메시지(361)에 대한 "Paul"의 입력이 있는 경우, "Paul"의 단말은 계약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거나 열 수 있다. 이로 인해, 계약서 데이터가 "Paul"의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b의 예에서, "Tadd"의 단말에는 컨텐츠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Tadd"는 대화방에 업로드된 계약서를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Tadd"의 단말은 삭제 이벤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는 삭제 이벤트를 "Paul"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aul"의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메시지(361)이 시각적으로 사라질 수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 "Paul"의 단말에 저장되어 있던 계약서가 삭제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의 통화(Conference call)를 위한 메뉴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회의 통화를 위한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대화방에 참여한 단말을 대상으로 회의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aul"이 회의 통화를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Paul"의 단말과 "Tadd"의 단말은 회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Paul"의 단말과 "Tadd"의 단말은 P2P 통신을 통해 회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Paul"의 단말은 계약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다른 단말에게 계약서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Paul"의 단말은 전송 이벤트가 계약서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Tadd"의 단말이 "Paul"의 단말은 계약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업로드할 수 없도록 "Paul"의 단말의 권한 정보를 설정한 경우, "Paul"의 단말은 계약서 데이터를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없다. 이 경우, "Paul"의 단말은 "Tadd"의 단말에게 권한 정보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이하, 권한 정보의 변경 요청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b의 예에서, 대화방이 종료될 수 있다. "Paul"의 단말 또는 "Tadd"의 단말이 대화방에서 나가는 경우, 대화방이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 대화방을 통해 송수신된 데이터는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방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Paul"의 단말이 대화방에서 나갈 때, 대화방을 통해 송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대화방을 통해 송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 대화방을 통해 송수신된 데이터는 단말의 메모리 또는 단말과 연결된 보안 통화 동글(dongle)에 저장될 수 있다. 보안 통화 동글에 대해선 도 12를 통해 후술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에 대한 권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단말 2에 발생한다(410). 예를 들어, 단말 2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에 대한 전송 또는 업로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2는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으면, 단말 2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으면, 단말 2는 데이터에 대한 권한 정보의 변경을 위한 변경 요청 데이터를 단말 1로 전송할 수 있다(420).
단말 1은 변경 요청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메시지에 대한 단말 1의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단말 1은 데이터에 대한 단말 2의 권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430). 권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 단말 1은 확인 응답(440)을 단말 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확인 응답에는 권한 정보의 변경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의 속성을 재정의하기 위한 속성 재정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2가 단말 1로부터 확인 응답을 수신한 경우, 단말 2는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450). 단말 2는 권한 정보의 변경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거나 업로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확인 응답에 속성 재정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단말 2는 속성 재정의 정보를 기초로, 권한 정보의 변경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의 속성을 재정의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체 대화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상 대화방(510) 및 복수의 단말(520 내지 540)이 도시된다.
단말(520)이 단체 대화방의 개설자라 하자. 단말(520)은 친구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단체 대화방으로 초대할 단말(530), 단말(540), 및 단말(550)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대화방(510)이 개설되거나 생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가상 대화방(510)은 개설자인 단말(52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가상 대화방(510)은 서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520)에서 단체 대화방 개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520)은 단체 대화방 개설 이벤트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가 가상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대화방(510)은 구현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체 대화방을 개설한 단말(5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가상 대화방(510)은 가장 마지막으로 로그아웃한 단말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가상 대화방(510)은 서버에서 임시로 할당한 클라우드(cloud)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가상 대화방(510)은 HA(High Availability) 구현을 위해 2곳 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서버는 가상 대화방(510)에 대화방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서버는 대화방 식별자를 포함하는 초대 메시지를 단말(530), 단말(540), 및 단말(5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530), 단말(540), 및 단말(550)은 단체 대화방에 참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말(520 내지 550) 각각이 가상 대화방(510)과 1:1로 연결되어, P2P 통신을 이용한 단체 대화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이 서로 친구 관계일 때, 복수의 단말(520 내지 550)이 참여하는 단체 대화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520), 단말(530), 단말(540), 및 단말(550) 각각이 서로 친구 관계일 때, 단말(520), 단말(530), 단말(540), 및 단말(550)이 참여하는 단체 대화방이 가능할 수 있다.
서버는 단체 대화방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단체 대화방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 및/또는 컨텐츠에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단말(520)이 단체 대화방을 통해 메시지 등을 송수신하는 동안 회의 통화를 위한 메뉴가 단말(520)의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회의 통화를 위한 메뉴가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회의 통화를 위한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대화방에 참여한 단말을 대상으로 회의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530)의 사용자가 회의 통화를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복수의 단말(520 내지 540)은 회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520)은 단체 대화방에 대한 단말(530), 단말(540), 및 단말(550) 각각의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520)은 단말(520) 자신이 단체 대화방에 업로드한 사진, 문서 파일 등을 단말(530), 단말(540), 및 단말(550) 각각이 다운로드하거나 읽을 수 없도록 단말(530), 단말(540), 및 단말(550) 각각의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520)은 단말(530), 단말(540), 및 단말(550) 각각의 변경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520)은 단말(530), 단말(540), 및 단말(550)로부터 변경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530), 단말(540), 및 단말(550) 중 적어도 하나의 권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520)은 변경 요청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 중 일부의 권한 정보를 변경하고, 나머지의 권한 정보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단말(520)은 변경 요청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 모두의 권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단말(520)은 변경 요청 데이터에 대한 확인 응답을 단말(530), 단말(540), 및 단말(55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권한 정보가 변경된 단말은 단체 대화방에 업로드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5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P2P 통신 세션의 설정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리부는 단말 1 및 단말 2 각각과 통신 세션(예를 들어, UDP(User Datagram Protocol)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1은 P2P 통신 요청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한다(610). 단말 1이 관리부로 전송하는 P2P 통신 요청 데이터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대화방 식별자 할당 요청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대응할 수 있다.
관리부는 단말 1의 P2P 통신 요청 데이터를 단말 2로 전송한다(611). 관리부가 단말 2로 전송하는 P2P 통신 요청 데이터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대응할 수 있다.
단말 2는 관리부로부터 P2P 통신 요청을 수신한 경우, 매개부에 접속할 수 있다(612).
관리부와 매개부는 위에서 설명한 서버 내에서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유닛일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서버 내에서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유닛들 중 하나이고, 매개부는 서버와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장치로, 네트워크 상에서 독립적일 수 있다.
매개부는 단말 2가 접속한 경우, 매개키를 생성한다(613). 예를 들어, 매개부는 임의값을 갖는 매개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매개부는 단말 1 및/또는 단말 2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매개키를 생성할 수 있다. 고유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 1 및 단말 2 각각에 할당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매개부는 매개키를 단말 2로 전송한다(614).
단말 2는 매개키를 관리부로 전송한다(615).
관리부는 단말 2의 네트워크 주소 및 매개키를 단말 1로 전송한다(616). 네트워크 주소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은 매개부에 접속한다(617). 예를 들어, 단말 1은 매개키를 매개부로 전송하여 매개부에 접속할 수 있다.
매개부는 단말 1로부터 매개키를 수신한 경우, 매개 경로를 확보한다(128).
매개 경로는 단말 1과 단말 2 사이의 P2P 통신 경로의 단절에 대비하기 위한 경로이다. 매개 경로에는 단말 1 및 2가 참여할 수 있고, 다른 단말이 참여할 수 없다.
단말 1은 매개부에 접속한 경우, 단말 2에게 속도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619). 단말 1는 단말 2의 네트워크 주소를 알고 있으므로, 단말 2의 네트워크 주소로 속도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2는 속도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테스트 응답을 단말 1로 전송할 수 있다(620). 단말 1은 단말 2의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말 1은 단말 1과 단말 2 사이의 P2P 통신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 1은 단말 2에게 속도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621). 단말 1은 단말 2에게 속도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테스트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622). 단말 2는 단말 1의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 2의 속도 테스트는 단말 1의 속도 테스트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1 및/또는 단말 2의 속도 테스트는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 테스트는 2회 또는 2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단말 1는 단말 2로부터 테스트 응답을 수신하면 단말 2로 추가 속도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2는 단말 1로 추가 속도 테스트 요청에 대한 테스트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반복된 속도 테스트를 기초로 단말 1는 단말 2의 평균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복된 속도 테스트를 기초로 단말 2는 단말 1의 평균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 1과 단말 2 사이에는 P2P 통신 세션이 설정될 수 있고, 단말 1 및 2가 참여하는 대화방을 통해 단말 1 및 2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단말 1은 단말 2에게 데이터 1을 전송한다고 하자. 데이터 1은 전체 데이터 중 데이터 조각(fragment)일 수 있다.
단말 1가 네트워크 주소 A로 맵핑되고, 단말 2가 네트워크 주소 B로 맵핑된다고 하자. 단말 1는 P2P 통신 경로 A-B를 통해 단말 2에게 데이터 1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2가 데이터 1을 수신한 경우, 단말 2는 데이터 1에 대한 확인 응답을 단말 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1는 데이터 1에 대한 확인 응답을 수신한 경우, 단말 2에게 데이터 2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2는 전체 데이터 중 데이터 조각일 수 있다. 단말 1은 네트워크 주소 B로 데이터 2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2의 이동 등으로 인해 단말 2의 네트워크 주소가 변경 중이라 하자. 단말 2의 네트워크 주소가 변경 중인 경우, 단말 1은 단말 2로부터 데이터 2에 대한 확인 응답을 응답 시간(또는 평균 응답 시간)보다 늦게 수신하거나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1은 데이터 2를 매개부로 전송할 수 있다. 매개 경로가 확보된 상태이므로, 단말 1은 데이터 2를 매개부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1은 데이터 2에 대한 확인 응답을 속도 테스트 단계에서 확인한 응답 시간 이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 데이터 2를 매개부로 전송할 수 있다.
매개부는 데이터 2를 단말 1로부터 수신한 경우, 데이터 2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매개 경로 또는 전용 방에 대응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2는 네트워크 주소의 변경이 완료된 경우, 네트워크 주소가 변경되었음을 관리부에 알릴 수 있다. 단말 2의 네트워크 주소가 B에서 B'로 변경된 경우, 단말 2는 네트워크 주소가 B에서 B'로 변경되었음을 관리부에 알릴 수 있다.
관리부는 단말 2의 네트워크 주소가 변경되었음을 단말 1에게 알릴 수 있다. 관리부는 단말 1에게 단말 2의 네트워크 주소가 B'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주소가 B'으로 맵핑된 단말 2는 매개키를 매개부에 전송하여 매개부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매개부는 매기키를 통해 단말 2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변경된 네트워크 주소에 맵핑된 단말 2가 매개부와 연결되는 경우, 매개부는 단말 2에게 데이터 2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2는 데이터 2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2에 대한 확인 응답을 단말 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1는 데이터 2에 대한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3을 단말 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P2P 통신 경로가 A-B에서 A-B'으로 변경된다. 단말 2는 데이터 3에 대한 확인 응답을 단말 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1과 단말 2 사이의 P2P 통신 경로가 확보되었으나, 단말 1 및/또는 단말 2의 IP 주소가 변경되면, 단말 1과 단말 2는 P2P 통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P2P 통신 경로에 대응하는 매개 경로가 확보될 수 있고, P2P 통신 경로가 단절되어도 단말 1과 단말 2는 매개 경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스루풋(network throughput)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친구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P2P(Peer to Peer) 통신할 상대 단말을 결정한다(710).
단말은 P2P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대한 상대 단말의 권한 정보를 설정한다(720).
단말은 권한 정보를 기초로, 상대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한다(730). 데이터의 속성은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상대 단말에 의해 수행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속성은 상대 단말이 데이터를 다운로드, 전송, 편집 등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7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상대 단말과의 P2P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참여한다(810). 이에 따라, 대화방에는 단말 및 상대 단말이 참여하고, 단말과 상대 단말 사이에 P2P 통신 세션이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대화방을 통해 상대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의 속성을 확인한다(820).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 또는 터치 제스쳐가 있는 경우,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진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사진에 대한 터치 제스쳐를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운로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단말은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속성을 기초로 피드백을 출력한다(830).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이벤트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8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900)은 프로세서(910) 및 통신 인터페이스(9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10)는 친구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P2P 통신할 상대 단말을 결정한다.
프로세서(910)는 P2P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대한 상대 단말의 권한 정보를 설정한다.
프로세서(920)는 권한 정보를 기초로 상대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한다.
통신 인터페이스(920)는 상대 단말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920)는 상대 단말의 통신 인터페이스와 P2P 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상대 단말과 P2P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920)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900)은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어플리케이션은 친구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P2P 통신할 상대 단말을 결정할 수 있고, P2P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대한 상대 단말의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권한 정보를 기초로 상대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9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0)은 프로세서(1010) 및 통신 인터페이스(10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10)는 상대 단말과의 P2P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참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010)는 대화방을 통해 상대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의 속성을 확인한다.
프로세서(1010)는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속성을 기초로 피드백을 출력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020)는 상대 단말과 통신한다.
도 10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1000)은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10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어플리케이션은 상대 단말과의 P2P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참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대화방을 통해 상대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속성을 기초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10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0)은 통신 인터페이스(1110) 및 컨트롤러(112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1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11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대화방 식별자의 할당을 위한 할당 요청 데이터, P2P 통신 요청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120)는 서버(1100)가 단말로부터 할당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대화방에 대화방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120)는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에 데이터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1120)는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11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통화 동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1200) 및 보안 통화 동글(1210)의 일례가 도시된다.
보안 통화 동글(1210)은 단말(120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착탈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로 USB 포트, Apple®의 라이트닝 포트 등이 있다. 또한, 보안 통화 동글(1200)은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호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안 통화 동글(1210)과 단말(1200)은 물리적 접촉없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의 예로는 블루투스, NFC, 또는 Wi-Fi 등이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안 통화 동글(1210)은 일정 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화한 이력, 메시징 이력, 메시지 내용, 첨부 파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보안 통화 동글(1210)은 일정 용량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200)의 배터리가 부족한 경우, 보안 통화 동글(1210)은 일정 시간 이상의 통화가 가능할 정도의 전력을 단말(1200)로 공급할 수 있다.
보안 통화 동글(1210)이 단말(1200)과 연결된 경우,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단말(1200)의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보안 통화 동글(1210)이 단말(1200)과 연결된 경우,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통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보안 통화 동글(1210)이 배포될 수 있다. 단말(1200)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보안 통화 동글(1210)이 단말(1200)에 연결되는 경우, 보안 통화에 필요한 식별자가 통신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될 수 있다.
보안 통화 동글(1210)에는 대화방을 통해 송수신한 메시지 및/또는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메시지 및/또는 컨텐츠 등의 데이터에는 속성이 정의되어 있어, 데이터는 보안 통화 동글(1210) 외부로 이동이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보안 통화 동글(121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데이터의 원 소유자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이벤트가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단말(1200)은 해당 파일의 원 소유자(또는 보안 관리자)로부터 해당 파일에 대한 이동 허가를 얻어야 보안 통화 동글(120)에 저장된 파일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해당 파일이 보안 통화 동글(120)에 저장되어 있다는 것은 할당 받은 식별자(여기서, 식별자는 해당 파일에 할당된 식별자)가 서버에 기록되어 있다는 의미일 수 있고, 단말은 해당 파일이 외부로 전송 또는 이동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원 소유자(또는 보안 관리자)의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원 소유자(또는 보안 관리자)가 해당 파일의 전송 또는 이동을 승인하는 경우, 해당 파일의 속성이 재정의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해당 파일을 보안 통화 동글(120) 외부로 전송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친구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P2P(Peer to Peer) 통신할 상대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P2P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대한 상대 단말의 권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권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정보는,
    상기 상대 단말이 상기 데이터와 관련되어 발생한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 업로드, 전송, 복사, 및 편집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과 P2P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과 P2P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 단말과 P2P(Peer to Peer) 통신하기 위한 P2P 통신 요청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상대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 및 매개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접속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기초로 상기 상대 단말과 P2P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 요청 데이터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이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매개키를 생성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을 생성하는 단계; 및
    대화방 식별자의 할당을 위한 할당 요청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대화방에 상기 대화방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대화방 식별자를 포함하는 초대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에 데이터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정보의 변경 요청을 위한 변경 요청 데이터를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경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상기 권한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권한 정보의 변경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을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정 이벤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정 이벤트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을 통해 상기 상대 단말이 전송한 전송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상기 전송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의 속성을 기초로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대 단말과의 P2P(Peer to Peer)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대화방을 통해 상기 상대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속성을 기초로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은,
    상기 대화방에 대한 상기 단말의 권한 정보를 기초로 정의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 업로드, 전송, 복사, 및 편집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과 P2P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단말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과 P2P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 단말의 P2P 통신 요청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을 기초로 생성된 매개키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매개키를 수신하고, 상기 매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상대 단말이 상기 서버에 접속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기초로 상기 단말과 상기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정보의 변경 요청을 위한 변경 요청 데이터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권한 정보의 변경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을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변경된 권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단말에 있어서,
    친구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P2P(Peer to Peer) 통신할 상대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P2P(Peer to Peer)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대한 상대 단말의 권한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권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상대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단말.
  19. 상대 단말과의 P2P(Peer to Peer) 통신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참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대화방을 통해 상기 상대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속성을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가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속성을 기초로 피드백을 출력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은,
    상기 대화방에 대한 상기 단말의 권한 정보를 기초로 정의되는,
    단말.
KR1020160061170A 2015-05-26 2016-05-19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KR10184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5523 WO2016190657A1 (ko) 2015-05-26 2016-05-25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73167 2015-05-26
KR1020150073167 2015-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898A true KR20160138898A (ko) 2016-12-06
KR101840752B1 KR101840752B1 (ko) 2018-05-04

Family

ID=5757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170A KR101840752B1 (ko) 2015-05-26 2016-05-19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7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501A (ko) * 2017-09-05 2019-03-13 이재학 질문답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28914A (ko) * 2017-09-11 2019-03-20 신동남 방 개설자와 참여자의 개별 통신 기능을 구비한 메신저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US11019131B2 (en) 2017-06-16 2021-05-25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file transfer us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echnique in messeng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309B1 (ko) * 2006-11-22 2008-07-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콘텐츠의 접근 권한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9131B2 (en) 2017-06-16 2021-05-25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file transfer us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echnique in messenger
KR20190026501A (ko) * 2017-09-05 2019-03-13 이재학 질문답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28914A (ko) * 2017-09-11 2019-03-20 신동남 방 개설자와 참여자의 개별 통신 기능을 구비한 메신저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752B1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38630B (zh) 基于策略的应用程序管理
CN105359106B (zh) 用于在基于云的文件系统中提供对改变的通知的系统和方法
CN110035002B (zh) 即时通信的实现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1926127B (zh) 统一通信系统和方法
KR20090007719A (ko) 실시간 공동작업 세션에서 리소스를 추적 및 편집하는 방법, 및 공동작업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N102292946A (zh) 对话权限管理
TW201621741A (zh) 分享內容
US10129229B1 (en) Peer validation
KR101840752B1 (ko)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US20220123924A1 (en) Method for providing a state channel
US20220247752A1 (en) Electronic conferencing
CN114844663A (zh) 一种桌面共享方法、系统、存储介质及设备
CN112569592A (zh) 游戏共享方法、装置以及计算机设备
WO2019084742A1 (zh) 数据的传输方法、服务器、存储系统、终端设备及系统
KR101837252B1 (ko) 콘텐츠 공유 및 제어 방법
KR20190105755A (ko) 보안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46163B1 (ko) 공유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785121B2 (en) Device discovery using discovery nodes
CN115086352A (zh) 区块链事件处理方法及相关装置、平台和存储介质
WO2022164523A1 (en) Electronic conferencing
KR102538230B1 (ko) 콘텐츠 보안 방법 및 장치
KR102179865B1 (ko) 보안 기능이 강화된 모바일 sns 메신저 시스템
CN105721272B (zh) 消息发送、接收、展示方法和系统、发送端、接收端
KR102507864B1 (ko) 보안 인스턴트 메시징 방법 및 장치
KR20190028914A (ko) 방 개설자와 참여자의 개별 통신 기능을 구비한 메신저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