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940A - 권한 관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권한 관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940A
KR20160137940A KR1020167001678A KR20167001678A KR20160137940A KR 20160137940 A KR20160137940 A KR 20160137940A KR 1020167001678 A KR1020167001678 A KR 1020167001678A KR 20167001678 A KR20167001678 A KR 20167001678A KR 20160137940 A KR20160137940 A KR 2016013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event
touch
fingerpri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오줘 첸
옌 주
웬씬 리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13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K9/000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Abstract

본 발명은 권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권한 관리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유자가 아닌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단말기 구성을 수정하는 권한을 획득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사용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MANAGING AUTHORITY}
본 발명은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201510209637.6이고 출원일자가 2015년 4월 28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일부 특정된 동작, 예를 들어, 길게 누름 동작을 통하여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을 수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스마트 휴대 단말기가 실소유자가 아닌 사용자에 의해 오동작을 발생하는 확률을 증가시킨다.
관련 기술에서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양태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권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 동작은 길게 누름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일 경우, 상기 길게 누름 이벤트의 터치 포인트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잠금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잠금되었을 경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터치 동작이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동작이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을 경우, 상기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권한 관리 방법은,
상기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킨 후,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프롬프트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수정 권한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폴더에서 이출시키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 및 시스템 설정을 수정하는 권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양태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기 위한 금지 모듈을 포함하는 권한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 동작은 길게 누름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 모듈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서브 모듈;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 서브 모듈; 및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일 경우, 상기 길게 누름 이벤트의 터치 포인트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서브 모듈이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잠금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2 판정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잠금되었을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브 모듈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금지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터치 동작이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3 판정 서브 모듈; 및
상기 터치 동작이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을 경우, 상기 사용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기 위한 금지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금지 모듈은,
상기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전 권한을 금지시킨 후,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프롬프트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수정 권한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폴더에서 이출시키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 및 시스템 설정을 수정하는 권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양태에 의하면,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권한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과제 해결 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킴으로써, 상기 단말기 소유자 아닌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단말기 구성을 수정하는 권한을 획득할 수 없도록 하여 단말기 사용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의 도면은 명세서의 일부분으로서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권한 관리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권한 관리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시스템 바탕화면의 인터랙션 모식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시스템 바탕화면에서의 인터랙션 모식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권한 관리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권한 관리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권한 관리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권한 관리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권한 관리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상기 권한 관리 장치에 사용되는 구조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를 첨부되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냈다. 하기에서 첨부되는 도면에 대해 설명할 때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와 방법에 대한 예일 뿐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 및 이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서 사용된 단수 형식의 “한 가지”, “상기”, “당해” 등 단어 역시 복수 형식을 포함하는 바, 상하 문장이 명확하게 기타 함의를 표시하는 것은 제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전문용어 “및/또는”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열거된 항목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는 것을 반드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제1, 제2, 제3 등 전문용어를 사용하여 각종 정보를 기술하였을 지라도, 이러한 정보는 상기 전문용어에 한하지 않음을 반드시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전문용어는 단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구분하는데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정황하에서, 제1정보는 제2정보로 지칭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정보 역시 제1정보로 지칭할 수 있다. 문맥에 따라, 여기서 사용되는 “만약”은 “……할 경우”, “……할 때”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킴으로써, 소유자가 아닌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단말기 구성을 수정하는 권한을 획득할 수 없도록 하여 단말기 사용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권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권한 관리 방법이고, 단말기에 응용되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에서,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단말기는 터치 타입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일 수 있다.
단계102에서,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단계103에서,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킨다.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일부 특정된 터치 동작을 통해 단말기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을 수정하는바, 예를 들어, 샤오미 회사의 MIUI시스템을 예로 들면, 사용자는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길게 누름(long press)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삭제, 드래그(drag)하는 등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설계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관리할 경우, 사용자 신분의 인증 매커니즘이 결여되어 여전히 소유자가 아닌 사용자가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길게 누름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수정하는 권한을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므로, 이는 어느 정도에서 오동작 확률을 증가시키고, 안정성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추세에서 사용자의 수요를 더 이상 만족시키지 못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구성 수정 권한의 관리에 신분 인증 매커니즘을 인입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동작에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지문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신분을 인증하며,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당해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터치 동작에 의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지만,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터치하는 영역이 고정되지 않기에,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 측면으로부터 실현될 때,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에 지문 센서 칩을 미리 주입할 수 있는바, 스크린의 가시 영역에 지문 센서 칩을 주입하기만 하면 상기 단말기의 전체 스크린은 모두 지문 식별 영역으로 되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채집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스크린 중의 모든 영역에서의 터치 동작은 모두 당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지문 정보 획득시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완전히 단말기의 스크린을 눌러야 하므로,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단말기를 사용하는 터치 동작에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경우,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에 대한 길게 누름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우선 현재 잠금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현재 잠금 상태일 경우,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고,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모니터링된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이면, 이때 당해 길게 누름 이벤트의 터치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터치 포인트 위치와 대응되는 지문 센서 칩을 통하여 당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였을 경우, 이때 획득한 지문 정보와 단말기 시스템 내부에 미리 입력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획득한 지문 정보와 단말기 시스템 내부에 미리 입력된 권한 부여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일치하게되면, 현재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임을 나타내고, 권한 부여된 사용자에 대하여, 당해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획득한 지문 정보와 단말기 시스템 내부에 미리 입력된 권한 부여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현재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임을 나타내고, 당해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구성을 수정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일부 특정된 터치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되는 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의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길게 누름하는 동작을 통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삭제, 드래그하는 등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따라서,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제한할 경우, 당해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트리거되는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 수정 권한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폴더에서 이출시키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 및 시스템 설정을 수정하는 권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당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성공적으로 획득하고, 지문 정보 일치 여부 판단을 통해 당해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임을 결정할 때, 단말기는 우선 당해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당해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으면, 당해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말기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해 길게 누름 동작을 진행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고자 하면, 단말기가 백그라운드에서 이러한 길게 누름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였을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당해 길게 누름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되는 애플리케이션 삭제 이벤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삭제 권한을 금지시킬 수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삭제 권한이 금지되면, 사용자가 단말기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을 길게 누름하는 동작을 통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삭제 동작을 완료할 수 없다.
물론,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킬 경우, 금지된 권한 타입은 상기에서 설명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폴더에서 이출시키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 및 시스템 설정을 수정하는 권한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종 권한 중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조합일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실제 애플리케이션 장면을 결부하여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환경에서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아이가 단말기를 가지고 놀 때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실수로 삭제하거나 또는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마음대로 배치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킬 경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에만 한하여 금지시킬 수 있다. 학교 또는 작업환경에서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프라이버시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킬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을 금지시키는 외에, 시스템 설정을 수정하는 권한도 금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여야 할 것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트리거되는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킬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시스템이 미리 셋업된 터치 이벤트와, 대응되는 구성 수정 이벤트 사이의 트리거 관계를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설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시스템에 길게 누름 이벤트와 시스템 바탕화면의 아이콘을 삭제하고 드래그하는 등 이벤트 사이의 트리거 관계를 미리 셋업하여, 단말기가 백그라운드에서 당해 사용자가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길게 누름 이벤트가 모니터링할 경우,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고 드래그하는 등 이벤트를 바로 트리거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사용자의 길게 누름 동작에 의해 트리거되는 시스템 바탕화면의 아이콘을 삭제하고 드래그하는 권한을 금지시킬 경우, 단말기의 시스템에 미리 셋업된 상기 트리거 관계를 통하여 수정하거나 삭제하여 상기 트리거 관계가 무효화되게 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이 성공적으로 금지되면, 이때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프롬프트 메시지를 출력하여 당해 사용자를 프롬프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롬프트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수정 권한이 없음을 프롬프팅하는 프롬프트 상자일 수 있고, 사용자에게 다시 지문 검증을 진행하도록 프롬프팅하는 프롬프트 상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길게 누름 동작을 통해 단말기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삭제하거나 또는 드래그하는 동작을 예로 들면, 단말기가 사용자의 길게 누름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당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한 다음, 지문 정보 일치여부 확인을 통해 당해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임을 가정한다. 하나의 실현방법에서, 단말기 시스템 바탕화면에 "바탕화면을 편집할 권한이 없습니다"라는 텍스트 상자를 출력하여 당해 사용자가 바탕화면을 편집할 권한이 없음을 프롬프팅할 수 있다. 다른 실현 방법에서, 단말기 시스템 바탕화면에 "바탕화면을 길게 눌러 바탕화면 편집 권한을 새로 획득하세요"라는 텍스트 박스를 출력하여 당해 사용자가 현재 바탕화면을 편집할 권한이 없음을 프롬프팅할 수 있고, 바탕화면을 편집하는 권한을 획득하기 위해 다시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을 길게 누름하여 지문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킨 다음, 권한 부여된 사용자가 다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할 때, 여전히 당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영역에 대한 길게 누름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당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지문 정보와 시스템의 미리 입력된 권한 부여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당해 사용자의 신분을 인증하며, 인증이 통과되면, 이때 단말기는 당해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제한하지 않고, 당해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의 구성을 정상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구성 수정 권한의 관리에 신분 인증 매커니즘을 인입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당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켜,소유자가 아닌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단말기 구성을 수정하는 권한을 획득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사용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권한 관리 방법이고, 단말기에 응용되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1에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단말기는 터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일 수 있다.
단계202에서,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단계203에서,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일 경우, 상기 길게 누름 이벤트의 터치 포인트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며,
단계204에서,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단계205에서,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길게 누름 이벤트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단계206에서, 상기 길게 누름 이벤트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을 경우, 상기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전 권한을 금지시킨다.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일부 특정된 터치 동작을 통해 단말기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을 수정하는바, 예를 들어, 샤오미 회사의 MIUI시스템을 예로 들면, 사용자는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길게 누름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삭제, 드래그(drag)하는 등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설계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관리할 경우, 사용자 신분의 인증 매커니즘이 결여되어 여전히 소유자가 아닌 사용자가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길게 누름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수정하는 권한을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므로, 이는 어느 정도에서 오동작 확률을 증가시키고, 안정성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추세에서 사용자의 수요를 더이상 만족시키지 못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구성 수정 권한의 관리에 신분 인증 매커니즘을 인입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동작에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지문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신분을 인증하며,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당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터치 동작에 의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지만,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터치하는 영역이 고정되지 않기에,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 측면으로부터 실현될 때,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에 지문 센서 칩을 미리 주입할 수 있는바, 스크린의 가시 영역에 지문 센서 칩을 주입하기만 하면 상기 단말기의 전체 스크린은 모두 지문 식별 영역으로 되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채집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스크린 중의 모든 영역에서의 터치 동작은 모두 당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지문 정보 획득시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완전히 단말기의 스크린을 눌러야 하므로,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단말기를 사용하는 터치 동작에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경우,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에 대한 길게 누름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우선 현재 잠금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현재 잠금 상태일 경우, 실시간으로 사용자에 의한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고,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모니터링된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이면, 이때 당해 길게 누름 이벤트의 터치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터치 포인트 위치와 대응되는 지문 센서 칩을 통하여 당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였을 경우, 이때 획득한 지문 정보와 단말기 시스템 내부에 미리 입력된 권한 부여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획득한 지문 정보와 단말기 시스템 내부에 미리 입력된 권한 부여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일치하면, 현재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임을 나타내고, 권한 부여된 사용자에 대하여, 당해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획득한 지문 정보와 단말기 시스템 내부에 미리 입력된 권한 부여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현재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임을 나타내고, 당해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구성을 수정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일부 특정된 터치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되는 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의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길게 누름하는 동작을 통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삭제, 드래그하는 등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따라서,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제한할 경우, 당해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트리거되는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 수정 권한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폴더에서 이출시키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 및 시스템 설정을 수정하는 권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당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성공적으로 획득하고, 지문 정보 일치여부 확인을 통해 당해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임을 결정할 때, 단말기는 우선 당해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당해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으면, 당해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말기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해 길게 누름 동작을 진행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고자 하면, 단말기가 백그라운드에서 이러한 길게 누름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였을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당해 길게 누름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되는 애플리케이션 삭제 이벤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삭제 권한을 금지시킬 수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삭제 권한이 금지되면, 사용자가 단말기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을 길게 누름하는 동작을 통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삭제 동작을 완료할 수 없다.
물론,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킬 경우, 금지된 권한 타입은 상기에서 설명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폴더에서 이출시키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 및 시스템 설정을 수정하는 권한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종 권한 중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조합일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실제 애플리케이션 장면을 결부하여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환경에서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아이가 단말기를 가지고 놀 때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실수로 삭제하거나 또는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마음대로 배치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킬 경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에만 한하여 금지시킬 수 있다. 학교 또는 작업환경에서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프라이버시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킬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을 금지시키는 외에, 시스템 설정을 수정하는 권한도 금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여야 할 것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트리거되는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킬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시스템이 미리 셋업된 터치 이벤트와, 대응되는 구성 수정 이벤트 사이의 트리거 관계를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설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시스템에 길게 누름 이벤트와 시스템 바탕화면의 아이콘을 삭제하고 드래그하는 등 이벤트 사이의 트리거 관계를 미리 셋업하여, 단말기가 백그라운드에서 당해 사용자에 의한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길게 누름 이벤트를 모니터링할 경우,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고 드래그하는 등 이벤트를 바로 트리거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사용자의 길게 누름 동작에 의해 트리거되는 시스템 바탕화면의 아이콘을 삭제하고 드래그하는 권한을 금지시킬 경우, 단말기의 시스템에 미리 셋업된 상기 트리거 관계를 통하여 수정하거나 삭제하여 상기 트리거 관계가 무효화되게 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이 성공적으로 금지되면, 이때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프롬프트 메시지를 출력하여 당해 사용자를 프롬프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롬프트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수정 권한이 없음을 프롬프팅하는 프롬프트 상자일 수 있고, 사용자에게 다시 지문 검증을 진행하도록 프롬프팅하는 프롬프트 상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길게 누름 동작을 통해 단말기 시스템 바탕화면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삭제하거나 또는 드래그하는 동작을 예로 들면,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한 길게 누름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당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한 다음, 지문 정보의 일치여부 판단을 통해 당해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임을 가정한다. 하나의 실현방법에서, 단말기 시스템 바탕화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탕화면을 편집할 권한이 없습니다"라는 텍스트 상자를 출력하여 당해 사용자가 바탕화면을 편집할 권한이 없음을 프롬프팅할 수 있다. 다른 실현 방법에서, 단말기 시스템 바탕화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탕화면을 길게 눌러 바탕화면 편집 권한을 새로 획득하세요"라는 텍스트 박스를 출력하여 당해 사용자가 현재 바탕화면을 편집할 권한이 없음을 프롬프팅할 수 있고, 바탕화면을 편집하는 권한을 획득하기 위해, 다시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을 길게 누름하여 지문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킨 다음, 권한 부여된 사용자가 다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할 때, 여전히 당해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영역에 대한 길게 누름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당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지문 정보와 시스템의 미리 입력된 권한 부여된 사용자의 지문 정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당해 사용자의 신분을 인증하며, 인증이 통과되면, 이때 단말기는 당해 사용자의 구성 수정 권한을 제한하지 않고, 당해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의 구성을 정상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구성 수정 권한의 관리에 신분 인증 매커니즘을 인입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당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켜,소유자가 아닌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단말기 구성을 수정하는 권한을 획득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사용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권한 관리 방법 실시예에 대응되게, 본 발명은 장치 실시예도 제공한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권한 관리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권한 관리 장치(500)는 획득 모듈(501), 판정 모듈(502) 및 금지 모듈(503)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획득 모듈(501)은,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정 모듈(502)은,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금지 모듈(503)은,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당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구성 수정 권한의 관리에 신분 인증 매커니즘을 인입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당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켜,소유자가 아닌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단말기 구성을 수정하는 권한을 획득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사용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장치의 블록도이고, 당해 실시예는 전술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터치 동작은 길게 누름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 모듈(501)은 모니터링 서브 모듈(501A), 제1 판정 서브 모듈(501B) 및 획득 서브 모듈(501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서브 모듈(501A)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판정 서브 모듈(501B)은,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획득 서브 모듈(501C)은,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일 경우,상기 길게 누름 이벤트의 터치 포인트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장치의 블록도이고, 당해 실시예는 전술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획득 모듈(501)은 제2 판정 서브 모듈(501D)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2 판정 서브 모듈(501D)은, 상기 모니터링 서브 모듈(501A)이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잠금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가 잠금되었을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브 모듈(501A)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을 포함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에서 도시된 제2 판정 서브 모듈(501D)의 구조는 전술한 도 5의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장치 중의 각각의 모듈의 기능과 작용의 실현과정은 상술한 방법에서 대응되는 단계의 실현과정을 참조하고,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장치의 블록도이고, 당해 실시예는 전술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금지 모듈(503)은 제3 판정 서브 모듈(503A)과 금지 서브 모듈(503B)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3 판정 서브 모듈(503A)은,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터치 동작이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금지 서브 모듈(503B)은, 상기 터치 동작이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을 경우, 상기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에 도시된 제3 판정 서브 모듈(503A)과 금지 서브 모듈(503B)의 구조는 전술한 도 6 내지 도 7의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장치 중의 각각의 모듈의 기능과 작용의 실현과정은 상술한 방법에서 대응되는 단계의 실현과정을 참조하고,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장치의 블록도이고, 당해 실시예는 전술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금지 모듈(503)은 출력 서브 모듈(503C)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출력 서브 모듈(503C)은, 상기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 시킨 후,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프롬프트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수정 권한은 애플리케이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폴더에서 이출시키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 및 시스템 설정을 수정하는 권한을 포함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상기 도 9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에 도시된 출력 서브 모듈(503C)의 구조는 전술한 도 5 내지 도 7의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장치 중의 각각의 모듈의 기능과 작용의 실현과정은 상술한 방법에서 대응되는 단계의 실현과정을 참조하고,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장치 실시예에 있어서, 이는 기본상 방법 실시예에 대응되기에 관련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부분적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이고, 여기서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상기 모듈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 아닐 수도 있으며, 모듈로서 표시되 부재는 물리적 모듈일 수 있거나 또는 아닐 수도 있는바,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모듈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모듈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는 정황하에서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발명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권한 관리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응하게, 본 발명은,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스트럭션은,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는 동작을 진행함을 포함하는 것인 권한 관리 제어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상기 권한 관리 장치에 사용되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권한 관리 장치(10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기기, 의료기기, 휘트니스기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장치(10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001), 메모리(1002), 전원 어셈블리(1003),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4), 오디오 어셈블리(1005),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006), 센서 어셈블리(1007) 및 통신 어셈블리(1008)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어셈블리(1001)는 통상적으로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과 관련한 장치(10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어셈블리(1001)는 상기 권한 관리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1009)를 포함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외에, 프로세싱 어셈블리(1001)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001)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편리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어셈블리(1001)는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4)와 프로세싱 어셈블리(1001) 사이의 인터랙션이 편리하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02)는 장치(1000)의 작동을 지원하도록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는 장치(1000)에서 작동되는 그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인스트럭션, 연락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002)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와 같은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기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1003)는 장치(10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1003)는 전원관리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장치(1000)에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것과 관련되는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4)는 상기 장치(10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디스플레이(LCD)와 터치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실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터치, 슬라이딩과 터치패널의 손동작을 감지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과 관련한 지속시간과 압력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4)는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10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촬영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일 경우,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는 고정된 광학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 거리와 광학 줌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005)는 오디오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1005)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는 바, 장치(10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호출모드, 기록모드 및 음성식별 모드일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신호는 또한 메모리(1002)에 저장되거나 통신 어셈블리(1008)를 거쳐 발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1005)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입출력(I/O) 인터페이스(1008)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001)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버튼, 음량버튼, 작동버튼과 잠금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007)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장치(1000)에 여러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1007)는 장치(1000)의 온/오프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위치, 예를 들어 상기 어셈블리는 장치(1000)의 모니터와 키패드를 검출할 수 있고, 센서 어셈블리(1007)는 장치(1000) 또는 장치(1000)의 한 어셈블리의 위치변화, 사용자와 장치(1000)의 접촉여부, 장치(1000) 방위 또는 가속/감속과 장치(1000)의 온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007)는 아무런 물리접촉 없이 주변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007)는CMOS 또는 CCD 영상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하여 영상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007)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자기센서,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008)는 장치(1000)와 기타 기기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방식의 통신이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1000)는 통신표준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에,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1008)는 방송신호를 거쳐 외부 방송관리 시스템의 방송신호 또는 방송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1008)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모듈은 무선주파수 식별(RFID)기술, 적외선 통신규격(IrDA)기술, 초광대역(UWB)기술, 블루투스(BT)기술과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실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1000)는 상기 권한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신호 처리기기(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부품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어 상기 권한 관리 방법을 완성하도록 장치(1000)의 프로세서(1009)가 실행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한 메모리(1002)를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켓과 광 데이터 저장기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록매체의 인스트럭션이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권한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여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적 사상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수정과 변경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5)

  1.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권한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은 길게 누름(long press)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일 경우, 상기 길게 누름 이벤트의 터치 포인트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권한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잠금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잠금되었을 경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권한 관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을 포함하는 권한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터치 동작이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동작이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을 경우, 상기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권한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킨 후,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프롬프트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권한 관리 방법.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수정 권한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폴더에서 이출시키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 및 시스템 설정을 수정하는 권한을 포함하는 권한 관리 방법.
  8.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기 위한 금지 모듈을 포함하는 권한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은 길게 누름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 모듈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서브 모듈;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 서브 모듈; 및
    모니터링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름 이벤트일 경우, 상기 길게 누름 이벤트의 터치 포인트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권한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서브 모듈이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잠금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2 판정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잠금되었을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브 모듈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하는 권한 관리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의 스크린의 가시 영역을 포함하는 권한 관리 제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지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터치 동작이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3 판정 서브 모듈; 및
    상기 터치 동작이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이벤트를 트리거하였을 경우, 상기 사용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기 위한 금지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권한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지 모듈은,
    상기 구성 수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구성 수전 권한을 금지 시킨 후, 상기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프롬프트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권한 관리 장치.
  14. 제8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수정 권한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권한, 폴더를 새로 추가하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폴더에서 이출시키는 권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권한 및 시스템 설정을 수정하는 권한을 포함하는 권한 관리 장치.
  15.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의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권한 부여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기에 대한 구성 수정 권한을 금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권한 관리 장치.


KR1020167001678A 2015-04-28 2015-11-20 권한 관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1379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209637.6 2015-04-28
CN201510209637.6A CN104765552B (zh) 2015-04-28 2015-04-28 权限管理方法和装置
PCT/CN2015/095158 WO2016173245A1 (zh) 2015-04-28 2015-11-20 权限管理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940A true KR20160137940A (ko) 2016-12-02

Family

ID=5364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678A KR20160137940A (ko) 2015-04-28 2015-11-20 권한 관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075445B2 (ko)
EP (1) EP3089065B1 (ko)
JP (1) JP2017518598A (ko)
KR (1) KR20160137940A (ko)
CN (1) CN104765552B (ko)
BR (1) BR112016001646B1 (ko)
MX (1) MX357088B (ko)
RU (1) RU2625425C1 (ko)
WO (1) WO2016173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5552B (zh) 2015-04-28 2019-04-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权限管理方法和装置
CN106354399A (zh) * 2015-07-16 2017-01-2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应用权限配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GB2540961B (en) * 2015-07-31 2019-09-18 Arm Ip Ltd Controlling configuration data storage
CN105205410B (zh) * 2015-09-14 2018-06-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管理方法及终端
CN105117663B (zh) * 2015-09-23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的加密对象显示方法及装置
CN105335641B (zh) * 2015-10-16 2018-06-1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指纹识别的身份验证方法及装置
CN106611113A (zh) * 2015-10-21 2017-05-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环境构建方法和装置
CN105278812B (zh) * 2015-10-27 2019-04-30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界面调整方法及终端
CN105677214A (zh) * 2015-12-30 2016-06-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应用程序管理方法及装置
CN106445596B (zh) * 2016-09-27 2020-01-14 依偎科技(南昌)有限公司 一种设置项的管理方法及装置
CN108255533B (zh) * 2016-12-28 2021-12-17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系统配置更改方法及装置
CN106843727B (zh) * 2017-01-05 2020-06-09 北京数科网维技术有限责任公司 防止文字误删除方法和系统
US11095678B2 (en) * 2017-07-12 2021-08-17 The Boeing Company Mobile security countermeasures
CN107609372A (zh) * 2017-09-07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指纹识别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10803288B2 (en) * 2018-04-24 2020-10-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ing computing systems with biometric identification
CN108803959A (zh) * 2018-04-28 2018-11-13 上海爱优威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快速管理应用图标的方法及终端
CN108681427B (zh) * 2018-05-28 2020-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访问权限控制的方法及终端设备
CN109766680B (zh) * 2018-12-27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权限控制方法及终端
CN110826040A (zh) * 2019-11-06 2020-02-21 北京知道创宇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权限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259360B (zh) * 2020-02-14 2022-03-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终端设备的触摸屏状态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2199255A (zh) * 2020-10-15 2021-01-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权限使用监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20318026A1 (en) * 2021-04-01 2022-10-06 Motorola Mobility Llc Automatically Changing Device Property Values For A Secondary User Of A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3386A3 (en) * 1992-10-16 1996-07-31 Ibm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touch screen desktop objects via fingerprint recognition
JPH09297609A (ja) * 1996-05-01 1997-11-18 Kayaba Ind Co Ltd グラフィックパネル式操作装置
JP2000090052A (ja) * 1998-09-10 2000-03-31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装置
JP3663075B2 (ja) * 1999-04-05 2005-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4193123B2 (ja) * 2003-06-16 2008-12-10 村田機械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方法
JP4230843B2 (ja) * 2003-07-31 2009-02-2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177858B2 (ja) * 2006-05-18 2008-11-05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指紋認証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49556B1 (ko) * 2009-03-0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GB0908456D0 (en) * 2009-05-18 2009-06-24 L P Touch screen, related method of operation and systems
US8924858B2 (en) * 2010-11-01 2014-12-3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ouch-based system for transferring data
TWI490789B (zh) * 2011-05-03 2015-07-01 Synaptics Inc 指紋感測器及整合指紋感測器的電子顯示器
EP2631762A1 (en) * 2012-02-24 2013-08-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ption to enable multiple selections
US20140292666A1 (en) * 2013-03-26 2014-10-02 Mobile Identity Management and Biometrics consortium Method and Apparatuses of User Interaction Control with Touch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Fingerprint Imager
US20130287272A1 (en) * 2012-04-29 2013-10-31 Yang Lu Methods and Apparatus of Integrating Fingerprint Imagers with Touch Panels and Displays
KR102020345B1 (ko) * 2012-08-22 2019-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127927B1 (ko) * 2013-07-3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스마트 워치 및 이동 단말기와 스마트 워치간 보안 인증방법
CN103488924B (zh) * 2013-09-26 2017-03-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终端的解锁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03577739B (zh) * 2013-11-15 2016-08-17 上海快应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移动终端及其设置及访问控制方法
KR101474733B1 (ko) 2014-04-02 2014-12-2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개선된 패턴 구조를 갖는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CN104008319B (zh) * 2014-05-14 2017-11-24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指纹识别的终端及其待机状态下的登录方法、系统
CN104469717B (zh) * 2014-12-25 2018-07-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短信发送方法及装置
CN104765552B (zh) * 2015-04-28 2019-04-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权限管理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3245A1 (zh) 2016-11-03
EP3089065B1 (en) 2018-08-29
US10075445B2 (en) 2018-09-11
JP2017518598A (ja) 2017-07-06
MX2016001551A (es) 2017-02-09
EP3089065A1 (en) 2016-11-02
BR112016001646A2 (pt) 2017-08-01
RU2625425C1 (ru) 2017-07-13
BR112016001646B1 (pt) 2022-10-25
MX357088B (es) 2018-06-25
US20160323282A1 (en) 2016-11-03
CN104765552B (zh) 2019-04-19
CN104765552A (zh)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7940A (ko) 권한 관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7436784B (zh) 悬浮窗显示方法和装置
US9904774B2 (en) Method and device for locking file
EP3168747B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file in a system partition
WO2017177595A1 (zh) 数据迁移方法及装置
KR20160127625A (ko) 스마트 장면 삭제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60005670A (ko) 응용 프로그램의 삭제 프롬프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447666A1 (en) Processing fingerprint information
JP6276863B2 (ja) モバイルルータのトラフィック制御方法及び装置
CN112784262A (zh) 数据访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18049609A1 (zh) 权限控制方法及装置
WO2018072193A1 (zh) 控制应用自启动的方法及装置
CN107145797A (zh) 应用图标的显示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6570381B (zh) 一种指纹解锁的方法及装置
WO2018049611A1 (zh) 权限控制方法及装置
CN105760796B (zh) 应用安全处理方法及装置
CN112163192A (zh) root权限获取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WO2018049610A1 (zh) 权限控制方法及装置
WO2017201692A1 (zh) 应用加密方法及装置
CN106201738A (zh) 系统广播调用方法及装置
CN105955635A (zh) 界面显示方法及装置
CN105868338B (zh) 应用处理方法及装置
CN106528197B (zh) 拍摄方法及装置
CN109743441B (zh) 读写权限设置方法及装置
CN113806741A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