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414A -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 - Google Patents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414A
KR20160137414A KR1020160061938A KR20160061938A KR20160137414A KR 20160137414 A KR20160137414 A KR 20160137414A KR 1020160061938 A KR1020160061938 A KR 1020160061938A KR 20160061938 A KR20160061938 A KR 20160061938A KR 20160137414 A KR20160137414 A KR 20160137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mouthpiece
housing
sensor
ora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660B1 (ko
Inventor
김근영
김태우
양용주
최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ublication of KR2016013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3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tomography, i.e. reconstruction of 3D images from 2D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matrix arr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검자가 치아로 물 수 있는 마우스피스 내부에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 획득을 위한 광원 포함의 센서모듈을 구비하여, 피검자가 간편하게 마우스피스를 물고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형 구강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mouthpiece type scanner for oral cavity}
본 발명은 구강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검자의 치열을 따라 배열되는 마우스피스 형태의 하우징 내부로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 획득을 위한 광원 포함의 센서모듈이 내장되어 피검자가 간편하게 하우징을 물고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스캐너는 피검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얻기 위한 광학장치이다.
한국 등록특허 10-1418403호에는 구강 스캐너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구강 스캐너는 구강 내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고 윈도우가 형성되는 케이스; 구강 내 구조물에 대한 기준 정보를 취득하는 영상 취득부;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치아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취득하는 3차원 정보 취득부; 치아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3차원 모델 생성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구강 스캐너는 피검자의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피검자의 구강 내에서 구강 스캐너의 각도 및 위치를 빈번하게 변경해야 하므로 피검자의 불편함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사자가 직접 구강 스캐너를 들고 구강 내 구조물을 스캔해야 하므로 검사자는 촬영하는 동안에 다른 업무를 진행할 수 없으며,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3차원 정보의 영상 정밀도가 달라지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구강 스캐너는 한번에 스캔할 수 있는 영역이 치아 1개 내지 2개 정도의 영역에 불과하므로, 구강 내 구조물 전체의 스캔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강 내에서 그 위치 및 각도를 변경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강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사자가 직접 구강스캐너를 조작하지 않고도 구강 내 구조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스캔할 수 있게 하여, 검사자의 숙련도에 제약 없이 정밀하게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강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캔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는 구강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검자의 치열에 삽입가능한 마우스피스; 및 상기 마우스피스에 구비되고, 구강 내 구조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구강 내 구조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마우스피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구강 내 구조물을 스캐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복수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복수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 내부에는 상기 센서모듈을 상기 마우스피스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레일 및 이송 모터가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터는 마이크로 모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촬영목적에 따라 이동영역이 가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자의 치열에 삽입가능한 마우스피스; 및 상기 마우스피스에 구비되고, 구강 내 구조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구강 내 구조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은 복수개이고, 상기 마우스피스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설치되어, 구강을 스캐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촬영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치아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광을 향하도록 회동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악궁 전체, 상악, 하악 또는 소정의 악궁과 대응되는 형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에 빛 간섭 단층 촬영(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모듈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는 구강 내에서 그 위치 및 각도를 변경하지 않고도 마우스피스 형태의 하우징을 피검자가 무는 것만으로도 구강 내 구조물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3차원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피검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는 검사자가 직접 구강 스캐너를 조작하지 않고도 구강 내 구조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스캔할 수 있으므로 검사자의 숙련도에 제약 없이 정밀하게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구강 내 스캔시 검사자와 피검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에 의하면, 광원과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센서모듈이 구비된 마우스피스로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하여 스캔 소요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의 마우스피스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의 이동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의 내부구조에 대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의 내부구조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보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의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의 내부구조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보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의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스캐너(100)는 피검자의 구강 내에서 치열을 따라 배치되어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우스피스 형태의 하우징(110), 하우징(110)에 내장된 센서모듈(120), 하우징(110)의 외부의 본체(C)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C)는 센서모듈(120)의 검출결과로 구강 내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 센서모듈(120) 및 후술하는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C)는 하우징(110)과 연결된 손잡이 형태를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검사자 또는 피검자는 본체(C)를 손에 들고 하우징(110)을 입에 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피검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피검자가 치아로 물 수 있는 장치이고, 이를 통해 하우징(110)은 치검자의 치열(10)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는 피검자가 물었을 때 피검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 등의 불쾌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치아에 피해를 미치지 않도록 그 외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유연성이 높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바가 아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는 인체에 무해한 무독성의 수지재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는 구강 내 구조물로부터 반사되는 광이 내부로 전달될 수 있고, 내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구강 내 구조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치열을 향하는 적어도 일면이 투명한 재질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100)의 하우징(110)는 피검자의 악궁 전체, 상악 전체, 하악 전체 또는 부분적인 악궁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치아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120)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구강 내 구조물을 스캐닝하여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광원(121)과 센서(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121)은 구강 내의 구조물로 광을 조사하는 광 발생기이다.
또한, 상기 센서(122)는 상기 구강 내 구조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또한, 상기 광원(121)과 상기 센서(122)는 마이크로 사이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광원(121)과 상기 센서(122)의 크기를 소형화시킴으로써, 비표면적을 증가시켜, 스캔 가능한 구강 내 구조물의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센서(12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광원(121)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센서들(122)은 상기 광원(12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위치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센서(122)들은 구강 내 구조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향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이는 구강 내 구조물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검출율을 향상시켜, 구강 내 구조물의 정밀한 3차원 정보를 얻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120)은 복수 개일 수 있다.이는 상기 센서모듈(120)에 의해 한번에 스캔할 수 있는 구강 내 구조물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스캔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120)의 이동을 위한 이동경로(130)가 정의되고, 이동경로(130)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1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이 구비된다. 이동수단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경로(11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모듈(120)을 이동시킬 수 있는 통로로써, 상기 센서모듈(120)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120)은 상기 이동경로(110)을 따라 호형(도 4(a)), 지그재그형(도 4(b))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동방향 또는 이동패턴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120)의 이동영역은 촬영목적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는 피검자의 악궁 전체 중에서 스캔을 위한 일부 영역만을 상기 센서모듈(120)의 이동하여 촬영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광의 사용을 줄이고, 스캔 소요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120)에는 빛 간섭 단층 촬영(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모듈(14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센서모듈(120)과 함께 상기 이동경로(1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는 광학적 간섭계를 사용하여 고해상도의 단층영상을 얻어내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에 있어서 센서모듈(120)의 이동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하우징(1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이동경로(130)가 정의되고, 이동경로(130)에는 제 1 이동수단(200)이 구비되어 센서모듈(120)을 이동시킨다. 이때, 제 1 이동수단(200)은 마이크로모터(210)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로모터(210)에는 센서모듈(120)이 결합된다. 그리고 마이크로모터(210)의 모터축(212)에는 기어(214)가 장착되고, 이동경로(130)의 일측을 따라서는 기어(214)와 치합되는 기어열(132)이 구비되어 모터축(212)의 회전에 의해 마이크로모터(210) 및 센서모듈(120)이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이동경로(130)는 기어(214)가 실장 및 이동되는 제 1 이동경로(134) 및 이와 연결되어 마이크로모터(210)와 센서모듈(120)이 실장 및 이동되는 제 2 이동경로(136)로 구분되어 제 1,2 이동경로(134,136)를 관통하도록 모터축(21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모터(210) 및 센서모듈(120)은 제 2 이동경로(136)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배치된 신호선(300)과 브러쉬(310) 등으로 접촉되어 상시적으로 전력을 공급받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기어열(132)은 제 1 이동경로(134)의 일측을 따라 배치된다.
그 결과 센서모듈(120)은 마이크로모터(210)와 함께 하우징(110) 내부의 이동경로(130)를 따라 이동하면서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에 있어서 센서모듈(120)의 이동구조에 대한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하우징(1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이동경로(130)가 정의되고, 이동경로(130)에는 제 2 이동수단(220)이 구비되어 센서모듈(120)을 이동시킨다. 이때, 제 2 이동수단(22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자석(2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전자석(230)은 센서모듈(12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동경로(13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 1 전자석(230)과 마주보는 상면을 따라서는 제 2 전자석(232)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 결과 제 1,2 전자석(230,232)에 인가되는 전력 및 극성을 적절히 제어하면 제 1 전자석(230)과 센서모듈(120)은 이동경로(130)의 제 2 전자석(232)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하면서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전자석(230) 및 센서모듈(120)은 이동경로(130)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배치된 신호선00)과 브러쉬(310) 등으로 접촉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제 2 전자석(232) 역시 이동경로(130)를 따라 배치된 별도의 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보인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른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이동경로(130)를 따라 이동하는 제 2 이동수단(220)을 나타낸다. 도 6과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 1,2 전자석(230,232)에 인가되는 전력 및 극성을 순차적으로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제 2 전자석(232)을 따라 제 2 이동수단(220)을 단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에 있어서 센서모듈(120)의 이동구조에 대한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하우징(1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이동경로(130)가 정의되고, 이동경로(130)에는 제 3 이동수단(240)이 구비되어 센서모듈(120)을 이동시킨다. 이때, 제 3 이동수단(240)은 적어도 하나의 제 3 전자석(250)를 포함할 수 있고, 제 3 전자석(250)은 센서모듈(12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좌우 측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동경로(13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좌우 측면을 따라서는 제 4 전자석(252)이 일정간격 엇갈려 배치된다.
그 결과 제 3,4 전자석(250,252)에 인가되는 전력 및 극성을 적절히 제어하면 제 3 전자석(250)과 센서모듈(120)은 이동경로(130)의 제 4 전자석(252)을 따라 좌우 대각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면서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전자석(250) 및 센서모듈(120)은 이동경로(130)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배치된 신호선(300)과 브러쉬(310) 등으로 접촉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제 4 전자석(252) 역시 이동경로(130)를 따라 배치된 별도의 신호선(미도시)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보인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른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이동경로(130)를 따라 이동하는 제 3 이동수단(240)을 나타낸다. 도 8과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제 3,4 전자석(250,252)에 인가되는 전력 및 극성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제 3 전자석(250)과 센서모듈(120)을 이동경로(130)의 제 4 전자석(252)을 따라 단계적으로 좌우측 대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스캐너(200)는 하우징(110) 및 센서모듈(120)을 포함하되, 하우징(110)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의 센서모듈(12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10)는 피검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치열을 따라 배치되며,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센서모듈(120)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각각 해당 위치에서 구강 내 구조물을 스캔하여 3차원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120)은 광원(121)과 센서(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스캐너(100)와 비교하면, 상기 센서모듈(120)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하면서 구강 내 구조물을 스캔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센서모듈(120)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의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한번에 획득하는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200)는 간섭 단층 촬영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제 1 실시예에서 전술한바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스캐너(200)의 상기 센서모듈(120)은 촬영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스캐너(200)의 경우, 상기 하우징(110)의 전체영역에 걸쳐 복수의 센서모듈(120)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촬영목적에 적합한 일부 센서모듈(220)은 작동시키고, 촬영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나머지 센서모듈(220)은 작동하지 않게 하여, 불필요한 광의 사용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는 광원과 센서가 구비된 마우스피스 형태의 하우징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구강 내 구조물을 스캔하므로, 구강 내에서 스캐너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피검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고, 검사자의 숙련도에 제약 없이, 구강 내 구조물의 정밀한 3차원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는 복수개의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구강 내 구조물을 촬영함으로써, 촬영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10 : 마우스피스
120 : 센서모듈
121 : 광원
122 : 센서
130 : 가이드레일
140 : OCT모듈

Claims (6)

  1. 피검자의 구강 내에서 치열을 따라 배치되는 마우스피스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구강 내 구조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구강 내 구조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센서모듈의 검출결과로 상기 구강 내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모듈을 제어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구강 내 구조물을 스캐닝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복수개이고, 상기 마우스피스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구강 내 구조물을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악궁, 상악, 하악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에 빛 간섭 단층 촬영(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
KR1020160061938A 2015-05-20 2016-05-20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 KR101851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170 2015-05-20
KR20150070170 2015-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414A true KR20160137414A (ko) 2016-11-30
KR101851660B1 KR101851660B1 (ko) 2018-05-25

Family

ID=5732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938A KR101851660B1 (ko) 2015-05-20 2016-05-20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338804A1 (ko)
KR (1) KR1018516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479A (ko) * 2016-12-21 2018-06-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치수 검사 장치
KR20180102466A (ko) * 2017-03-07 2018-09-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피스 형상의 구강스캐너
KR20190119643A (ko) * 2017-03-09 2019-10-22 엔-랩 마르친 빈코브스키 구강 내 스캐닝 장치, 상기 장치 및 스캐너 시스템의 작동 방법
WO2020017879A1 (ko) * 2018-07-18 2020-01-23 손근호 치과용 3d스캐너
KR20220152037A (ko)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스타메드 구강 촬영 기구
KR20230078275A (ko) 2021-11-26 2023-06-02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어 스캐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86363C (en) * 2015-05-19 2021-10-26 Tyto Car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hroat imaging
CN108968911A (zh) * 2017-05-31 2018-12-11 三纬国际立体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口腔扫描机
US20200281701A1 (en) * 2019-03-06 2020-09-10 Tae Hoon Kim Three-dimensional intraoral scanner
JP7456311B2 (ja) * 2020-07-02 2024-03-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口腔内測定装置
AU2021221577B2 (en) * 2021-03-03 2024-03-21 HitIQ Limited A protective mouthguard device configured to enable measurement of circulatory system parameters
US11382727B1 (en) * 2021-05-19 2022-07-12 Thamer Marghalani Three-dimensional oral imag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3009A (ja) * 2006-03-22 2007-04-05 J Morita Tokyo Mfg Corp 歯科光診断装置用ハンドピース
US20100255445A1 (en) * 2007-10-03 2010-10-07 Bernard Gantes Assisted dental implant treatment
KR101176770B1 (ko) * 2012-03-22 2012-08-23 추상완 치과용 3차원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스캐닝 방법
CA2868903C (en) * 2012-04-05 2019-11-05 Trispera Dental Inc. Intraoral imaging apparatus
KR20150089030A (ko) * 2012-11-28 2015-08-04 아폴로 오랄 스캐너, 엘엘씨 치과용 스캐닝 장치
DE102014205784B4 (de) * 2014-03-27 2024-01-18 Sirona Dental Systems Gmbh Scanvorrichtung
US10424115B2 (en) * 2014-04-24 2019-09-24 Christof Ellerbrock Head-worn platform for integrating virtuality with reality
WO2015178962A1 (en) * 2014-05-23 2015-11-26 Apollo Oral Scanner, LLC Novel dental scanner device and system and methods of us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479A (ko) * 2016-12-21 2018-06-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치수 검사 장치
KR20180102466A (ko) * 2017-03-07 2018-09-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피스 형상의 구강스캐너
KR20190119643A (ko) * 2017-03-09 2019-10-22 엔-랩 마르친 빈코브스키 구강 내 스캐닝 장치, 상기 장치 및 스캐너 시스템의 작동 방법
WO2020017879A1 (ko) * 2018-07-18 2020-01-23 손근호 치과용 3d스캐너
KR20220152037A (ko)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스타메드 구강 촬영 기구
KR20230078275A (ko) 2021-11-26 2023-06-02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어 스캐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38804A1 (en) 2016-11-24
KR101851660B1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660B1 (ko)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
AU2022202018B2 (en) Dental imager and method for recording photographic impressions
ES2896305T3 (es) Dispositivo de escaneo intraoral, método de funcionamiento de un dispositivo de este tipo y sistema de escáner
US10159547B2 (en)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of an oral cavity
US8989567B1 (en) Dental scanner device and system and methods of use
ES2757579T3 (es) Novedoso dispositivo y sistema de escáner dental y métodos de uso
KR101699250B1 (ko) 치과용 3차원 스캐너
CN112351750B (zh) 用于获取牙科信息的电子印模托盘
ES2543252T3 (es) Ajuste espacial automático de una fuente de rayos X panorámica bucal en respuesta a la dentadura real de un paciente
KR102292080B1 (ko) 아치 형태를 이용한 개인맞춤 치과용 파노라마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68814B1 (ko) 치과용 서포트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
ITMO20130104A1 (it) Strumento per la scansione di superfici denta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