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130A - 부시 누락방지장치 및 부시 누락방지방법 - Google Patents

부시 누락방지장치 및 부시 누락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130A
KR20160137130A KR1020150071799A KR20150071799A KR20160137130A KR 20160137130 A KR20160137130 A KR 20160137130A KR 1020150071799 A KR1020150071799 A KR 1020150071799A KR 20150071799 A KR20150071799 A KR 20150071799A KR 20160137130 A KR20160137130 A KR 20160137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ush
fastening
mounting bracke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병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7130A/ko
Publication of KR20160137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시 누락방지장치 및 부시 누락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장착브라켓(4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43)의 내부에 확인편(50)을 둔다. 상기 확인편(50)은 부시(45)가 상기 관통공(43)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부시(45)가 상기 관통공(43)에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편(50)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상기 확인편(50)이 제거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게 되면 이후에 체결구(47)를 상기 관통공(43)에 삽입하면, 상기 확인편(50)에 걸려서 상기 관통공(43)을 상기 체결구(47)가 관통하지 못하므로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시 누락방지장치 및 부시 누락방지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mission of bush}
본 발명은 부시 누락방지장치 및 부시 누락방지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구에 의한 장착브라켓의 파손을 방지하는 부시가 장착브라켓의 관통공에 설치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시 누락방지장치 및 부시 누락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이 형성하는데, 상기 하우징은 그 제조의 용이함과 재질의 특성 때문에 사출성형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데, 상기 하우징을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금속으로 된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의 구성이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절연성 합성수지로 된 하우징(1)은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이 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1)을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3)의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상대 커넥터와 결합할 때,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과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의 후단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체결편(5)이 있다. 상기 체결편(5)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턱(11)이 안착되는 체결공(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편(5)은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커버(9)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리어커버(9)는 상기 하우징(1)의 후단을 차폐하는 기능 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의 후단에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리어커버(9)에는 상기 체결편(5)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턱(11)이 상기 체결편(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과 상기 리어커버(9)가 협력하여 장착브라켓(13)을 만들게 되는데, 상기 장착브라켓(13)은 커넥터를 고정부(예를 들면, 차량의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브라켓(13)을 관통하여서는 관통공(1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5)의 내부에는 부시(17)가 설치된다. 상기 부시(17)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되는 것인데, 상기 장착브라켓(13)이 합성수지 재질로 된 것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시(17)가 상기 관통공(15)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게 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구(20)를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때, 상기 장착브라켓(1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3)의 관통공(15)을 관통하여서는 체결구(20)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관통공(15)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되거나,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고정부의 반대쪽에서 너트와 체결된다.
상기 체결구(20)는 머리부(22)와 몸체부(24)로 구성되는데, 상기 머리부(22)는 상기 관통공(15)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몸체부(24)는 원기둥형상이고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24)의 선단에는 탈락방지와셔(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락방지와셔(26)는 상기 체결구(20)를 상기 관통공(15)에 설치한 상태에서 커넥터를 보관하거나 이송할 때, 상기 관통공(15)에서 상기 체결구(20)가 탈락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부시(17)는 상기 관통공(15)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별도의 압입기를 사용하여 상기 부시(17)가 상기 관통공(15)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도록 한다. 하지만, 하나의 커넥터에 다수개의 장착브라켓(13)이 있고, 이들 장착브라켓(13)에 각각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조립과정에서 상기 관통공(15)에 상기 부시(17)를 삽입하는 것을 누락시키는 문제점이 간혹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브라켓(13)의 관통공(15)에 부시(17)를 삽입하는 것을 누락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구(20)를 상기 장착브라켓(13)의 관통공(15)을 관통한 상태로 고정부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전동공구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체결구(20)가 회전하면서 상기 장착브라켓(13)을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3)은 하나만이 파손되어도 전체 커넥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큰 손실이 된다.
참고로 상기 부시(17)는 상기 관통공(15)의 길이보다 약간 길기는 하지만, 상기 관통공(15)에 체결구(20)가 삽입된 상태로 조립라인에 투입되므로, 상기 관통공(15)의 입구 부분이 상기 체결구(20)의 머리부(22)에 의해 가려진다. 따라서, 부시(17)가 누락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체결구(20)를 들어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착브라켓의 관통공에 부시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시 누락방지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정부에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장착브라켓과,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부시가 압입되는 과정에서 제거되고 상기 체결구의 하중을 지지하는 강도를 가지는 확인편을 포함한다.
상기 확인편과 상기 관통공의 내면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다른 부분보다 횡단면적이 좁은 영역인 노치가 형성된다.
상기 확인편과 상기 관통공의 내면은 연결레그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레그는 상기 확인편의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레그와 상기 관통공의 내면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다른 부분보다 횡단면적이 좁은 영역인 노치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상기 부시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장착브라켓을 고정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가 관통하는 관통공의 내면에 확인편이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에 부시가 삽입되면 상기 확인편이 제거되어 상기 체결구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부시가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편이 제거되지 않아 상기 체결구가 상기 확인편에 걸려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지 않게 되어 부시가 누락된 것을 검출한다.
상기 부시를 상기 관통공에 삽입하는 것은 압입기의 압입펀치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시 누락방지장치 및 부시 누락방지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체결구가 관통하는 관통공 내에 부시의 삽입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확인편을 두어서, 부시가 관통공에 삽입되면 확인편의 레그가 관통공의 내면에서 분리되면서 확인편이 관통공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에 부시를 삽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확인편이 상기 관통공 내에 그대로 남아 있어, 체결구가 관통공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작업자가 부시의 누락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장착브라켓 구조를 가진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시 누락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부시에 의해 확인편이 제거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부시가 삽입되는 않은 관통공에서 체결구가 걸리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부시 누락방지장치가 커넥터에 채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부시 누락방지장치는 사출성형된 장착브라켓이 있는 것이라면 어디라도 적용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부시 누락방지장치가 채용된 커넥터는 하우징(30)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0)의 선단으로 개구되게 터미널안착공간(30)이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30)은 상기 하우징(30)을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0)의 후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체결편(3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34)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체결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3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커버(38)의 체결턱(40)이 안착되어 걸어진다.
리어커버(38)는 상기 하우징(30)의 후단을 덮는 것이다. 상기 리어커버(38)와 상기 하우징(30)의 후단 일측 가장자리 사이를 통해서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가 내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리어커버(38)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체결편(34)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턱(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0)과 리어홀더(38)에 나누어져서 장착브라켓(4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장착브라켓(42)은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부분과 상기 리어홀더(36)에 형성된 부분이 협력하여 하나의 장착브라켓(42)을 만들어낸다. 상기 장착브라켓(42)은 전체 커넥터를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브라켓(42)을 관통하여서는 관통공(4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3)에는 부시(45)가 압입되어 있다. 상기 부시(45)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부시(45)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져 상기 관통공(43)의 내면에 외면이 밀착된다. 상기 부시(45)는 상기 관통공(43)의 길이보다 약간 더 길게 만들어진다. 상기 부시(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43)에 압입기의 펀치(56)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압입된다. 상기 부시(45)는 상기 관통공(43)의 내면에 외력이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장착브라켓(42)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관통공(43)을 관통하여서는, 다시 말해 상기 부시(45)를 관통하여서는 체결구(47)가 위치된다. 상기 체결구(47)는 상기 커넥터를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구(47)는 머리부(48)와 몸체부(49)로 구성되는데, 상기 머리부(48)는 그 직경이 상기 몸체부(49)보다 크다. 상기 몸체부(49)는 원기둥형상이고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머리부(48)와 장착브라켓(42)의 사이에는 와셔(도면부호 부여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부호 49'는 탈락방지와셔로서, 상기 체결구(47)가 상기 관통공(43)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통공(43)의 내부에 상기 부시(45)가 삽입되기 전까지는 확인편(50)이 있다. 상기 확인편(50)은 본 실시례에서는 원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확인편(5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서 연결레그(52)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4개의 연결레그(52)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레그(52)는 상기 확인편(50)을 상기 장착브라켓(42), 즉 상기 관통공(43)의 내면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확인편(50)과 연결레그(52)는 상기 장착브라켓(42)의 제작시에 함께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확인편(50)과 연결레그(52)는 상기 관통공(43)을 통해 상기 체결구(47)가 관통하지 못할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 된다.
상기 연결레그(52)와 상기 관통공(43)의 내면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노치(54)가 형성된다. 상기 노치(54)는 상기 연결레그(52)의 횡단면적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연결레그(52)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 상기 관통공(43)의 내면에서 상기 연결레그(52)가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레그(52)의 노치(54)에 상기 부시(45)가 밀착되면서 힘을 가하면 상기 노치(54)의 부분에서 상기 연결레그(52)에 파손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확인편(50)이 관통공(43)에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시 누락방지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부시 누락방지장치가 채용된 커넥터의 경우, 상기 장착브라켓(42)의 관통공(43)에 상기 체결구(47)가 관통되어 설치된 상태로 조립라인에 투입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47)가 임의로 상기 관통공(43)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몸체부(49)의 선단에 탈락방지와셔(49')를 설치한다.
상기 체결구(47)가 상기 관통공(43)에 설치되면 자중에 의해 상기 머리부(48)가 상기 관통공(43)의 입구에 위치하고, 상기 머리부(48) 또는 와셔가 상기 관통공(43)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상기 관통공(43)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관통공(43)에 부시(45)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확인을 위해서는 상기 관통공(43)에 설치된 상태의 체결구(47)를 들어올려야 한다.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피해 작업자는 부시(45)의 삽입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체결구(47)를 체결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장착브라켓(42)이 파손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통공(43)에 부시(45)가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편(50)이 상기 관통공(43)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45)를 상기 관통공(43)의 내부로 상기 압입기의 압입펀치(56)를 사용하여 압입시키면 상기 확인편(50)을 상기 관통공(43)의 내부에 위치시키던 상기 연결레그 (52)를 파손한다. 상기 연결레그(52)의 파손은 상기 연결레그(52)에 형성된 노치(54)에서 주로 일어나게 되고, 상기 노치(54)에서 연결레그(52)의 파손이 일어나면 상기 확인편(50)은 관통공(43)에서 제거된다.
만약에, 상기 부시(45)가 상기 관통공(43)에 삽입되지 않아, 상기 확인편(50)이 제거되지 않으면, 상기 체결구(47)를 상기 관통공(43)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체결구(47)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43)을 관통하지 못하고 머리부(48)가 관통공(43)의 입구에 접근하지 못하고 돌출하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작업자는 상기 관통공(43)에 부시(45)가 삽입되지 않을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확인편(50)과 연결레그(52)는 상기 체결구(47)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확인편(50)이 연결레그(52)에 의해 관통공(43)의 내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확인편(50)이 직접 상기 관통공(43)의 내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상기 확인편(50)과 상기 관통공(43)이 직접 연결되는 부분을 따라 노치(54)를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레그(52)에 노치(54)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노치(54)가 없이도 부시(45)의 삽입시에 연결레그(52)가 제거될 수 있게 연결레그(52)가 설계되었을 경우이다.
1: 하우징 3: 터미널안착공간
5: 체결편 7: 체결공
9: 리어커버 11: 체결턱
13: 장착브라켓 15: 관통공
17: 부시 20: 볼트
22: 머리부 24: 몸체부
26: 와셔 30: 하우징
32: 터미널안착공간 34: 체결편
36: 체결공 38: 리어커버
40: 체결턱 42: 장착브라켓
43: 관통공 45: 부시
47: 체결구 48: 머리부
49: 몸체부 49': 탄락방지와셔
50: 확인편 52: 연결레그
54: 노치

Claims (7)

  1. 고정부에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장착브라켓과,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부시가 압입되는 과정에서 제거되고 상기 체결구의 하중을 지지하는 강도를 가지는 확인편을 포함하는 부시 누락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편과 상기 관통공의 내면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다른 부분보다 횡단면적이 좁은 영역인 노치가 형성되는 부시 누락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편과 상기 관통공의 내면은 연결레그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레그는 상기 확인편의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개가 형성되는 부시 누락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레그와 상기 관통공의 내면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다른 부분보다 횡단면적이 좁은 영역인 노치가 형성되는 부시 누락방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상기 부시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부시 누락방지장치.
  6. 장착브라켓을 고정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가 관통하는 관통공의 내면에 확인편이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에 부시가 삽입되면 상기 확인편이 제거되어 상기 체결구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부시가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편이 제거되지 않아 상기 체결구가 상기 확인편에 걸려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지 않게 되어 부시가 누락된 것을 검출하는 부시 누락방지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를 상기 관통공에 삽입하는 것은 압입기의 압입펀치에 의해 수행되는 부시 누락방지방법.
KR1020150071799A 2015-05-22 2015-05-22 부시 누락방지장치 및 부시 누락방지방법 KR20160137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799A KR20160137130A (ko) 2015-05-22 2015-05-22 부시 누락방지장치 및 부시 누락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799A KR20160137130A (ko) 2015-05-22 2015-05-22 부시 누락방지장치 및 부시 누락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30A true KR20160137130A (ko) 2016-11-30

Family

ID=5770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799A KR20160137130A (ko) 2015-05-22 2015-05-22 부시 누락방지장치 및 부시 누락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71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69A (ko) 2017-02-17 2018-08-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누락 방지장치
KR20190081410A (ko) 2017-12-29 2019-07-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하우징의 부시 조립구조
WO2021149972A1 (en) * 2020-01-21 2021-07-29 Hanon Systems Arrangement for plug-connecting electrical connections, and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with the arrang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69A (ko) 2017-02-17 2018-08-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누락 방지장치
KR20190081410A (ko) 2017-12-29 2019-07-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하우징의 부시 조립구조
WO2021149972A1 (en) * 2020-01-21 2021-07-29 Hanon Systems Arrangement for plug-connecting electrical connections, and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with the arrangement
JP2023508049A (ja) * 2020-01-21 2023-02-28 ハンオン システムズ 電気接続部をプラグ接続するためのアレンジメント、及びアレンジメントで圧縮機を駆動するためのデバイ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2974B2 (en) Connector
JP5651436B2 (ja) コネクタ
CN110994504B (zh) 电气连接箱及其接地连接结构
KR20160137130A (ko) 부시 누락방지장치 및 부시 누락방지방법
US10056709B2 (en) Rubber plug fixed by a plug holder to a cover fixed to a housing
EP2863486A1 (en)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US11670916B2 (en) Support rail and housing assembly
US9694763B2 (en) Wire harness protector having grounding function
WO2016208448A1 (ja) 電気接続箱
JP2012109098A (ja)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2011076886A (ja) 端子接続構造
JP2015042109A (ja) 端子台
KR200471891Y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5080155B2 (ja) 電子部品内蔵ユニット
JP5938778B2 (ja)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2014165168A (ja) アース端子の取付構造
KR20150042019A (ko) 고전압 커넥터
KR101561046B1 (ko) 자동차용 블럭
JP2001223038A (ja) ナット付き端子およびナット付き端子の取付け方法
KR20080006629U (ko) 링터미널
US20170062967A1 (en) Contact element
DE102008006183A1 (de) Vorrichtung zur Strommessung
US20160372908A1 (en) Cable Fastening Device
KR102520911B1 (ko) 커넥터조립체
KR100671735B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