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693A -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693A
KR20160136693A KR1020150070574A KR20150070574A KR20160136693A KR 20160136693 A KR20160136693 A KR 20160136693A KR 1020150070574 A KR1020150070574 A KR 1020150070574A KR 20150070574 A KR20150070574 A KR 20150070574A KR 20160136693 A KR20160136693 A KR 20160136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switch
push switc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상
Original Assignee
유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상 filed Critical 유철상
Priority to KR102015007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693A/ko
Publication of KR2016013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장 제어를 위한 푸쉬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푸쉬 스위치 컨텍트에 따라 외부 라인에 접속 신호를 전달하는 고정접점의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결합 타입의 외부 단자와 결속하거나 혹은 솔더링에 의한 외부 배선과 연결하도록 이루어 선택적인 외부 배선 연결 사용이 가능하여 전장 결합을 이룰 때 조립 작업성이 뛰어나고 스위치 부품 적용의 폭을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고자,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에 있어서, 고정 접점(50)의 터미널(52)은 접점부(51)로부터 평판으로 돌출시켜 일단에 슬릿(53)을 형성하여 이루고, 타단에는 외부 배선 연결용 홈(53a)을 천공하여 인서트 성형 몰드(55)로 된 접점 어셈블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Push the switch for automotive electronics}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장 제어를 위한 푸쉬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푸쉬 스위치 컨텍트에 따라 외부 라인에 접속 신호를 전달하는 고정접점의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결합 타입의 외부 단자와 결속하거나 혹은 솔더링에 의한 외부 배선과 연결하도록 이루어 선택적인 외부 배선 연결 사용이 가능하여 전장 결합을 이룰 때 조립 작업성이 뛰어나고 스위치 부품 적용의 폭을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다수의 전장 유닛이 장착되고 이 유닛들은 사용자의 컨트롤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진다.
예로써 컨트롤은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실내등과 같이 푸쉬 온 오프를 반복하는 스위치가 있다.
상기 푸쉬 스위치도 푸쉬 락 타입과 푸쉬 리턴 타입 등이 있으며 푸쉬 스위치의 유형은 매우 다양하게 제작되어 적용되고 있다.
종래 푸쉬 스위치를 살펴보면 본 출원인의 선 등록 특허 10-715700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푸쉬 스위치의 고정 접점에 이동 접점이 컨텍트 되어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고 그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터미널의 구조는 외부 배선과 솔더링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타입으로 단순히 터미널 표면에 배선 연결용 홀을 천공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탄성 집계와 유사하게 형성한 커넥터에 외부 배선을 꼽아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유형이 있었다.
전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외부 배선을 연결할 때 납땜에 의한 솔더링으로 접합을 이루고 있어 스위치에 외부 배선을 연결하여 제작할 때 제작 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스위치 고장에 의한 교체시에는 배선까지 모두 철거하여 교체하거나 스위치에 배선 연결한 땜납을 제거하여 교체하고 다시 납땜을 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물론 배선 연결된 스위치를 배선과 함께 탈거하고 새로운 스위치 배선을 다시 시공하면 땜납 제거의 불편함은 배제될 것이나 배선이 복잡한 공간을 지나 길게 형성된 경우에는 배선 제거를 위해 전장 패널 및 인접한 다른 부품들을 탈거하고 배선 제거 후 재삽입하여 교체 부품을 장착하여야 하는 작업 공수 증대의 폐해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후자와 같이 외부 배선을 꼽는 동작만으로 탄성 집계 형태로 이루어진 도전체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조립 및 교체의 작업 공수가 크게 절감되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반대로 탄성 집계 구조는 자동차 운행중 노면 충격 등에 의해 접속 불량이 발생하거나 장기간 경과 후 탄성 상실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정확한 컨텍트 신호 전달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스위치의 컨텍트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터미널에 결합 단자 삽입 연결과 솔더링에 의한 배선 연결이 가능하도록 2가지 타입의 연결구조를 갖는 접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푸쉬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2 가지 타입의 연결 구조에 의해 외부 배선이 생략된 결합 타입 단자 연결과 솔더링 한 배선 단자 연결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푸쉬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결합 타입 단자 연결의 경우 최초 전장 설치와 교체 설치가 간편하여 조립 작업 공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푸쉬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결합 타입 단자 연결을 위한 터미널은 끼워 접속되는 외부 단자가 억지끼움 되도록 터미널을 형성하여 전기적인 접속 불량을 해소하는 푸쉬 스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푸쉬와 플런저, 플런저에 끼워 결합하고 플런저 승강에 따라 접점을 연결하거나 단절하는 가동접점과, 플러저를 내장하여 선형 슬라이드 안내하고 푸시 락, 언 락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며 접점부과 터미널을 갖는 고정접점을 일체의 절곡 금속재로 이루어 하우징 결합 외형으로 인서트 몰드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접점 어셈블리로 이루어 상기 하우징에 스프링 탄성 지지시켜 플러저를 결합하고 하우징 일면에 배치된 가동 접점과 대접하여 접점 어셈블리를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에 있어, 상기 고정 접점의 터미널은 접점부로부터 평판으로 돌출시켜 일단에 슬릿을 형성하여 이루고, 타단에는 배선 연결용의 홈을 천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릿은 끼워 결합 될 결합 단자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 결합 단자가 억지 끼움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접점을 인서트 성형한 접점 어셈블리는 외표면으로는 상기 터미널이 복수 이상 돌출되어 이루어지며 각 터미널 사이에는 격판을 돌출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의 컨텍트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터미널에 결합 단자 삽입 연결과 솔더링에 의한 배선 연결이 가능하도록 2가지 타입의 연결구조를 형성하여 2 가지 타입의 연결 구조에 의해 외부 배선이 생략된 결합 타입 단자 연결과 솔더링 한 배선 단자 연결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 용도에 맞게 겸용 사용이 가능하고, 결합 타입 단자 연결의 경우 최초 전장 설치와 교체 설치가 간편하여 조립 작업 공수 절감을 이루는 효과가 있으며, 결합 타입 단자 연결을 위한 터미널은 끼워 접속되는 외부 단자가 억지끼움 되도록 터미널을 형성하여 전기적인 접속 불량을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 배선과 연결 상태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은 푸쉬(1)와 플런저(2), 플런저(2)에 끼워 결합하고 플런저 승강에 따라 접점을 연결하거나 단절하는 가동접점(3)과, 플러저(2)를 내장하여 선형 슬라이드 안내하고 푸시 락, 언 락을 이루는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며 접점부와 터미널을 갖는 고정접점을 일체의 절곡 금속재로 이루어 하우징 결합 외형으로 인서트 몰드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접점 어셈블리로 이루어 상기 하우징에 스프링(6) 탄성 지지시켜 플러저(2)를 결합하고 하우징(4) 일면에 배치된 가동 접점(3)과 대접하여 접점 어셈블리를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에 있어, 고정 접점(50)의 터미널(52)은 접점부(51)로부터 평판으로 돌출시켜 일단에 슬릿(53)을 형성하여 이루고, 타단에는 외부 배선 연결용 홈(53a)을 천공하여 인서트 성형 몰드(55)로 된 접점 어셈블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릿(53)의 폭은 끼워 결합 될 결합 단자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 결합 단자가 억지 끼움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접점(50)을 인서트 성형한 접점 어셈블리(5)는 외표면으로는 상기 터미널(52)을 복수 이상 돌출하여 이루어지며 각 터미널(52) 사이에는 격판(54, 54a)을 몰드 성형시 돌출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제 작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도시와 같이 완성된 푸쉬 스위치는 자동차에 마련된 각종 전장 유닛을 사용자 제어하기 위해 장착된다.
푸쉬 스위치 장착에 있어 제어될 유닛과 연결하는 외부 배선(7)은 통상 도전체를 피복한 전선이며 또는 제어될 유닛에 일체로 마련된 평판형의 결합 단자(8)로 결합된다.
외부 배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터미널(52) 타단에 천공한 홈(53a)에 배선 피복을 벗긴 단부를 삽입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땜납 솔더링을 이루어 견고하게 접합하는데 격판(54a)은 땜납 또는 피복 제거된 배선(7)이 인접 배선과 합선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외부 배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접속시킬 자동차 유닛에 결합 단자(8)가 마련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터미널(52) 일단에 마련한 슬릿(53)에 결합 단자(8)를 정렬하여 끼우면 슬릿(53)에 결합 단자(8)가 억지 끼워 맞춤 상태로 압입이 이루어지고 격판(54)으로서 결합 단자(8) 사이의 절연이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결합 단자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어 견고한 끼움 상태를 유지하게 작용한다.
조립이 완료된 푸쉬 스위치는 통상의 방법으로 푸쉬 온(온 락), 푸쉬 오프를 반복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을 해당 유닛에 전달하여 컨트롤하게 한다.
물론 푸쉬 스위치의 고장 또는 불량 등에 의해 중도에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결합 단자를 사용하는 유형은 더욱 효과적인데 푸쉬 스위치를 잡아당겨 원터치 탈거하고 재 삽입 결합하면 교체가 완료되므로 매우 편리하고 빠르게 교체가 가능하며, 이러한 푸쉬 스위치를 제품으로 제조하는 메이커 입장에서도 수요처의 유형에 따라 이종의 스위치를 생산하는 부담을 덜고 단일 유형으로 2가지 유형의 외부 배선 결합이 가능하여 공통 사용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재고 부담의 경감에 따른 수익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를 그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기타 다른 용도의 푸쉬 스위치에도 2가지 외부 배선 연결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고자 구성하는 경우와, 푸쉬 타입이 아닌 다른 스위치에 2가지 외부 배선 연결을 위한 구성의 전용이 가능함은 통상의 지식인에 의해 얼마든지 전용 및 변형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술에 포함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5 : 접점 어셈블리 50: 고정접점
51 : 접점부 52 : 터미널
53 : 슬릿 53a : 홈
54, 54a : 격판 55 : 몰드

Claims (3)

  1. 푸쉬(1)와 플런저(2), 플런저(2)에 끼워 결합하고 플런저 승강에 따라 접점을 연결하거나 단절하는 가동접점(3)과, 플러저(2)를 내장하여 선형 슬라이드 안내하고 푸시 락, 언 락을 이루는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며 접점부와 터미널을 갖는 고정접점을 일체의 절곡 금속재로 이루어 하우징 결합 외형으로 인서트 몰드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접점 어셈블리로 이루어 상기 하우징에 스프링(6) 탄성 지지시켜 플러저(2)를 결합하고 하우징(4) 일면에 배치된 가동 접점(3)과 대접하여 접점 어셈블리를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에 있어서,
    고정 접점(50)의 터미널(52)은 접점부(51)로부터 평판으로 돌출시켜 일단에 슬릿(53)을 형성하여 이루고, 타단에는 외부 배선 연결용 홈(53a)을 천공하여 인서트 성형 몰드(55)로 된 접점 어셈블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릿(53)의 폭은 끼워 결합 될 결합 단자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 결합 단자가 억지 끼움 결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50)을 인서트 성형한 접점 어셈블리(5)는 외표면으로는 상기 터미널(52)을 복수 이상 돌출하여 이루어지며 각 터미널(52) 사이에는 격판(54, 54a)을 몰드 성형시 돌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
KR1020150070574A 2015-05-20 2015-05-20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 KR20160136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574A KR20160136693A (ko) 2015-05-20 2015-05-20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574A KR20160136693A (ko) 2015-05-20 2015-05-20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693A true KR20160136693A (ko) 2016-11-30

Family

ID=5770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574A KR20160136693A (ko) 2015-05-20 2015-05-20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66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75U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에스 씨디 글로브 박스 램프 스위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75U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에스 씨디 글로브 박스 램프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713B1 (ko) 어댑터 모듈을 구비하는 시스템 플러그 커넥터
EP3196989B1 (en) Coaxial connector equipped with floating mechanism
US8113884B2 (en) Connector
US7335040B2 (en) Electromagnetic relay
EP3376598A1 (en) A contact carrier, electrical contact uni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ready-made cable
US5907268A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1170223B (zh) 包括至少一个弹性连接端子的电子装置
CA2565279A1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for a printed circuit board
KR101308786B1 (ko)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KR20160136693A (ko) 자동차 전장용 푸쉬 스위치
CN110970266A (zh) 电磁继电器
CN109075490B (zh) 具有嵌入保持架的模块化接触嵌件的插式连接器部件
KR101931094B1 (ko) 통합된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직접 플러그인 부재
US7411476B2 (en) Combination of a switching device and a printed board
CN209981116U (zh) 一种带按压接线端子的小型大功率继电器
JPH1141754A (ja) 三次元立体回路体
CN114402488A (zh) 用于接触触针的端子
CN107623290B (zh) 电气盒
CN211294934U (zh) 用于凸轮开关的具有一体化结构的固定触头和凸轮开关
US8035468B2 (en) Magnet system extrusion coating for a relay
KR200409756Y1 (ko) 전기 커넥터
US20030082946A1 (en) Flat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actuator
US20200303875A1 (en) Plug Connector Assembly
CN104134887B (zh) 用于电子模块的电连接器组件
JPH10172697A (ja) 三次元立体回路体及びその中継用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