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786B1 -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786B1
KR101308786B1 KR1020120097663A KR20120097663A KR101308786B1 KR 101308786 B1 KR101308786 B1 KR 101308786B1 KR 1020120097663 A KR1020120097663 A KR 1020120097663A KR 20120097663 A KR20120097663 A KR 20120097663A KR 101308786 B1 KR101308786 B1 KR 101308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terminals
socket terminals
tongu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940A (ko
Inventor
칭-순 왕
치아-호 창
유안-빈 탕
Original Assignee
어드밴스드 커넥션 테크놀로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1202550U external-priority patent/TWM431469U/zh
Priority claimed from TW101104534A external-priority patent/TWI452783B/zh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스드 커넥션 테크놀로지, 인크. filed Critical 어드밴스드 커넥션 테크놀로지,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09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베이스체,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 및 절연베이스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기계식 가동부품을 포함하고, 가동부품이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는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는 제2규격의 제2신호를 전송하며, 기계식 가동부품이 제2위치에 위치 할 때 일부 상기 제3소켓단자는 상기 제4소켓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소켓단자와 일부 제3소켓단자는 제3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Electric connector with mechanical switching function}
본 발명은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전송신호를 기계식으로 전환하는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설비의 사용은 상당히 보편화되었고 전자장치의 경량화, 박형화, 소형화 추세에 따라 전자장치의 전기커넥터 또한 점용부피를 줄여야 하며 특히 서로 다른 전송신호규범에 부합하는 다수 개의 전기커넥터를 설치하여야 하고 서로 다른 플러그 커넥터를 연결할 때 전기커넥터 모두가 일정한 부피를 차지하여야 하고 또한 각 전기커넥터마다 필요한 간격을 두어야 하므로 이러한 간격공간이 공간의 낭비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비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장치가 HD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로 약칭함)규격에 부합하는 소켓 전기커넥터, 및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로 약칭함)2.0규격에 부합하는 소켓 전기커넥터, 3.0규격의 소켓 전기커넥터 또는 복수개의 기타 규격의 소켓 전기커넥터를 설치하고 또한 이어폰소켓 및 마이크소켓을 설치하여야 할 때 전자장치에서 많은 공간을 낭비하여 각 소켓 커넥터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HDMI커넥터 및 USB커넥터등과 같은 여러 개의 전기커넥터를 통합하여 점용공간을 절약하는데 있어서는 여전히 하나의 요구사항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HDMI및 USB듀얼 인터페이스를 갖춘 커넥터의 오연결이 발생한 경우를 동시에 또한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는 것이 비로소 이 업계에 종사하는 관련 제조업체들이 시급히 연구하여 개선할 방향이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연결 슬롯, 두께가 서로 다른 제1설부와 제2설부를 가지고 있고 연결 슬롯에 위치하는 설편을 포함하는 절연베이스체, 제1설부의 한 면에 위치하고 제1규격의 제1신호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 제2설부의 한 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 제2설부의 다른 한 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 절연베이스체에 엇갈리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4 및 제5소켓단자, 및 절연베이스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기계식 가동부품을 포함하고 기계식 가동부품이 제1위치에 위치하여 있을 때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는 제5소켓단자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가 제2규격의 제2신호를 전송하며 기계식 가동부품이 제2위치에 위치하여 있을 때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는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와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는 제3규격의 제3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커넥터를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절연베이스체,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 및 절연베이스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기계식 가동부품을 포함하고 기계식 가동부품이 제1위치에 위치하야 있을 때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는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와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는 제3규격의 제3신호를 전송하며 기계식 가동부품이 제2위치에 위치하여 있을 때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는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는 제2규격의 제2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커넥터를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커넥터의 기계식 가동부품의 이동을 통해 서로 다른 신호전송 모드를 효과적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전기커넥터의 절연베이스체는 크기가 각기 다른 프레임 개구의 연결 슬롯을 포함하고 또한 전기커넥터는 서로 다른 두께의 제1설부와 제2설부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전송신호의 커넥터의 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한다.
이하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상세한 특징과 장점을 상세히 설명하고 그 내용은 관련 기술 숙련자가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근거로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제시한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을 통해 관련 기술 숙련자가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예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분해예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단자의 사시예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투시예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단면예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플러그의 사시예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플러그의 부감예시도(1)이고,
도8은 본 발명의 플러그의 부감예시도(2)이고,
도9는 본 발명의 플러그의 부감단면예시도(3)이다.
도1, 도2, 도3,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이며, 도1은 사시예시도이고, 도2는 분해예시도이고, 도3은 단자의 사시예시도이고, 도4는 투시예시도이며, 도5는 단면예시도이다.
제1실시예의 도면은 제1규격에 부합하는 제1플러그(210), 제2규격에 부합하는 제2플러그(220) 또는 제3규격에 부합하는 제3플러그(230)를 연결하기 위한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100)를 제시하고 있는데 즉 본 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는 단순히 일반적으로 제1규격에 부합하는 제1플러그(210)를 연결할 수 있고(예를 들면 USB2.0신호) 전기커넥터(100) 또한 단순히 일반적으로 제2규격에 부합하는 제2플러그(220)를 연결할 수 있거나(예를 들면 HDMI신호 또는 Display port신호) 일반적으로 제3규격에 부합하는 제3플러그(230)를 연결할 수 있으며(예를 들면 USB3.0신호), 전기커넥터(100)는 절연베이스체(110),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22),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24),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25) 및 기계식 가동부품(31)을 포함한다.
절연베이스체(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절연체이고 절연베이스체(110)는 연결 슬롯(10), 본체(13) 및 설편(14)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의 연결 슬롯(10)은 케이스(40)로 절연베이스체(110)를 감싸서 형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실제 사용할 때 절연베이스체(110)에 직접 연결 슬롯(10)를 형성할 수도 있어 이와 같이 하여 케이스(40)를 생략할 수 있다. 연결 슬롯(10)은 서로 연결된 제1프레임 개구(11)와 제2프레임 개구(12)를 포함하는데 간단히 말하자면 제1프레임 개구(11)는 제1규격의 연결규격과 제3규격의 연결규격에 부합하고 제2프레임 개구(12)는 제2규격의 연결규격에 부합하며 제1프레임 개구(11)와 제2프레임 개구(12)는 전체적으로 대략凸자형을 띄고 있다. 여기서 제1규격은 바람직하게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2.0으로 약칭함)일 수 있고 제2규격은 바람직하게 HD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로 약칭함) 또는 Display port신호일 수 있고 제3규격은 바람직하게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3.0으로 약칭함)일 수 있으며 제1규격(USB2.0임) 및 제3규격(USB3.0임)이 사용하는 제1프레임 개구(11)의 크기범위는 제2규격(HDMI 또는 Display port임)의 제2프레임 개구(12)의 크기범위보다 작다.
본 실시예의 절연베이스체(110)는 본체(13)와 설편(14)을 포함하고 본체(13)는 그 일측이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연장하여 설편(14)을 형성하며 본체(13)에 오목형의 슈트(131)를 설치하여 설편(14)와 본체(13) 사이에 위치하게 하고 설편(14)은 서로 연결된 제1설부(141)와 제2설부(142)를 포함하고 제1설부(141)는 제1두께(141a)를 가지고 있고 본체(13)에 연결되며 제2설부(142)는 제1설부(141)에 연결되고 제1두께(141a)와 다른 제2두께(142a)를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제1두께(141a)는 제2두께(142a)보다 크고 제1설부(141)와 제2설부(142)는 연결 슬롯(1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음).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는 절연베이스체(110)에 위치하여 있고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의 한 단은 본체(13)에 삽입되고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는 매몰사출성형되어 절연베이스체(110)와 조합하가나 또는 양자가 분리식 조립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소켓단자(21)의 다른 단은 제1설부(141)에 위치하고 제1프레임 개구(11)를 향하여 한 조의 제1규격의 제1신호를 전송하는데 즉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가 범용직렬버스 신호(Universal Serial Bus, USB2.0으로 약칭함)를 전송하고 다른 한 단은 제1설부(141)의 표면에 위치하여 노출형태를 띄며, 특별히 설명할 점은 제1소켓단자(21)의 다른 한 단은 제1설부(141)의 표면이나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22)는 제2설부(142)의 제1면에 위치하는데 여기서 제1면은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가 제1설부(141)의 표면에 위치하는 것과 반대되는 다른 면이고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22)의 한 단면은 제2프레임 개구(12)에 향한다.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제2설부(142)의 제2면에 위치하는데 여기서 제2면은 같은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가 제1설부(141)의 표면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의 한 단은 제2설부(142)에 위치하고 제2프레임 개구(12)에 향하며 이 실시예에서 제시한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모두 설편(14)에 위치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데 예를 들면 일부의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예를 들면 5개 단자)의 한 단은 설편(14)에 위치하고 기타 일부의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의 한 단은 그대로 본체(13)로 연장된다.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22)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한 조의 제2규격의 제2신호를 전송하는데 즉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22)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HD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신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로 약칭함) 또는 Display port 신호를 전송하기도 한다.
특별히 설명할 점은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예를 들면 5개 단자)는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와 결합하여 한 조의 제3규격의 제3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데 즉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와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는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3.0으로 약칭함)를 전송한다는 것이다.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22)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의 한 단은 교체적으로 제1프레임 개구(11)에 향하거나 제2프레임 개구(12)에 향하고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22)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매몰사출성형되어 절연베이스체(110)와 조합하거나 또는 양자가 분리식 조립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22)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한 단이 제2설부(142)의 표면에 위치하여 노출형태를 띄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24)는 본체(13)에 위치하는데 여기서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24)는 5개 단자이고 한 단은 본체(13)와 설편(14)사이의 슈트(131)에 노출되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24)의 다른 단은 본체(13)를 관통하여 외부 회로판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25)는 본체(13)에 위치하고 본 실시예는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25)가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24) 근처에 근접하여 설치하고 수평선 배열을 형성하며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25)가 절연베이스체(110)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24)와 교체된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설치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별히 설명할 점은 본 실시예는 5개를 초과하는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25)의 양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본체(13)에만 5개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25)를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여기서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25)는 5개 단자를 초과하고 한 단은 본체(13)와 설편(14) 사이의 슈트(131)에 노출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25)의 다른 단은 본체(13)을 관통하여 외부 회로판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기계식 가동부품(31)은 본체(13)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는데 여기서 기계식 가동부품(31)은 슈트(131) 내에서 위치를 제한하면서 슬라이드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기계식 가동부품(31)은 저지블록(311)을 포함하고 기계식 가동부품(31)은 본체(13)가 제2프레임 개구(12)를 향하여 연장되어 저지블록(311)이 돌출되어 있고 제1설부(141)와 제2설부(142) 사이에는 단차면(143)이 형성되고 저지블록(311)은 제2프레임 개구(12)를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단차면(143)을 초과하며 저지블록(311)은 제2설부(142)와 간격을 유지하고 제2설부(142)의 측변에 위치할 수 있거나 저지블록(311)은 제1설부(141)의 중앙표면에 위치하여 제1프레임 개구(11)를 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는 절연베이스체(110)의 본체(13)와 기계식 가동부품(31)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품(51)을 더 포함하여 기계식 가동부품(31)이 이동한 후에 탄성부품(51)의 반등으로 원래의 위치로 회복하도록 하는데 탄성부품(51)은 스프링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스프링 또는 기타 탄성이 있는 부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전기커넥터(100)가 제1신호(USB2.0), 제2신호(HDMI 또는 Display port) 또는 제3신호(USB3.0)를 전송하는 플러그(200)와 연결할 때 기계식 가동부품(31)은 플러그(200)의 밀림으로 인해 상응되는 복수개의 단자를 연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계식 가동부품(31)이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25)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22)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제2규격의 제2신호(예를 들면 HDMI신호 또는 Display port신호)를 전송하며 기계식 가동부품(31)이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24)와 연결하고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와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제3규격의 제3신호(예를 들면 USB3.0신호)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전기커넥터(100)는 기계식 가동부품(31)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환단자(41)를 더 포함하며 기계식 가동부품(31)이 제1위치에 위치할 때 복수개의 전환단자(41)는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예를 들면 5개 단자)와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25)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2소켓단자(22)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비로소 제2규격의 제2신호(예를 들면 HDMI신호 또는 Display port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기계식 가동부품(31)이 제2위치에 위치할 때 복수개의 전환단자(41)는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예를 들면 5개 단자)와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24)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와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예 5단자)는 비로소 제3규격의 제3신호(예를 들면 USB3.0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신호전송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다른 신호전송방식인데 여기서 기계식 가동부품(31)이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24)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와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는 제3규격의 제3신호(예를 들면 USB3.0신호)를 전송하며 기계식 가동부품(31)이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25)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22)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제2규격의 제2신호(예를 들면 HDMI 또는 Display port)를 전송하며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전송방식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실시예에서 제시한 전기커넥터(100)는 기계식 가동부품(31)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전환단자(41)를 더 포함하고 기계식 가동부품(31)이 제1위치에 위치할 때 복수개의 전환단자(41)는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예 5단자)와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24)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와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예를 들면 5단자)는 비로소 제3규격의 제3신호(예를 들면 USB3.0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되고 기계식 가동부품(31)이 제2위치에 위치할 때 복수개의 전환단자(41)는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예 5단자)와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25)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2소켓단자(22)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비로소 제2규격의 제2신호(예를 들면 HDMI신호 또는 Display port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의 양은 제1규격에서 정한 양에 부합하므로 한 조의 제1규격의 제1신호(예를 들면 USB2.0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22)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의 양은 제2규격에서 정한 양에 부합하므로 한 조의 제2신호(예를 들면 HDMI신호 또는 Display port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와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는 제3규격의 제3신호(예를 들면 USB3.0신호)를 전송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제시한 내용에 의하여 이 기술에 숙련한 자는 실제 요구에 따라 단자양을 변경하여 여러 조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설부(141)와 제2설부(142)의 한 면이 평면을 형성하는 경우 제1설부(141)와 제2설부(142)는 제1프레임 개구(11) 또는 제2프레임 개구(12)를 향하게 되고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의 다른 단과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의 한 단은 각각 간격을 형성하는데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의 다른 단과 제1설부(141)의 한 면의 거리는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의 한 단과 제2설부(142)의 한 면의 거리보다 크므로 외부 플러그(200)가 전기커넥터(100)에 연결된다. 플러그(200)의 복수개의 제1플러그 단자(80a)가 전기커넥터(100)의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와 연결될 때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의 다른 단과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의 한 단은 각각 간격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제1플러그 단자(80a)가 제1설부(141)와 제2설부(142)의 한 면이 평면이므로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와 거리가 가까워 쉽게 접촉하고 도전되거나 정전기가 신호를 간섭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도6, 도7,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도7은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100)와 제1신호(USB2.0)를 전송하는 제1플러그(210)의 실시예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100)와 제2신호(HDMI나 Display port)를 전송하는 제2플러그(220)의 실시예이고, 도9은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100)와 제3신호(USB3.0)를 전송하는 제3플러그(230)의 실시예이다. 여기서 상기 제3신호를 전송할 때에는 제1신호를 전송하는 제1플러그(210)에 한 조의 제3플러그 단자(23)를 증가하기만 하면 된다.
제1신호(USB2.0)를 전송하는 제1플러그(210)는 절연베이스체(70a), 케이스(70b), 연결부(70c), 복수개의 제1플러그 단자(80a)를 포함하고 제2신호(HDMI나 Display port)를 전송하는 제2플러그(220)는 절연베이스체(70a), 케이스(70b), 연결부(70c), 복수개의 제2플러그 단자(80b), 복수개의 제3플러그 단자(80c)를 포함하며 제3신호(USB3.0)를 전송하는 제3플러그(230)는 절연베이스체(70a), 케이스(70b), 연결부(70c), 복수개의 제1플러그 단자(80a)와 복수개의 제4플러그 단자(80d)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200)는 USB2.0, HDMI나 USB3.0를 전송하는 일반적인 커넥터 형식이며 여기서 그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제1신호(USB2.0)를 전송하는 제1플러그(210)는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100)의 제1프레임 개구(11)에 삽입하고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와 접촉하여 제1규격의 제1신호를 전송하며 제3신호(USB3.0)를 전송하는 제3플러그(230)는 제1프레임 개구(11)에 삽압하고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21) 및 일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와 접촉하여 제3규격의 제3신호를 전송하며 제2신호(HDMI 또는 Display port)를 전송하는 제2플러그(220)는 제2프레임 개구(12)에 삽입하고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22) 및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23)와 접촉하여 제2규격의 제2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전기커넥터의 기계식 가동부품의 이동을 통해 서로 다른 전송신호기능을 효과적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전기커넥터의 절연베이스체는 크기가 각기 다른 프레임 개구의 연결 슬롯 및 두께가 각기 다른 제1설부와 제2설부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전송신호의 커넥터 플러그와 연결하고 사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내용은 이미 위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고 이 분야의 기술에 숙련한 자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에서 실시한 변경과 윤색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한 내용을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100 .............전기커넥터
200 .............플러그
210 .............제1플러그
220 .............제2플러그
230 .............제3플러그
110 .............절연베이스체
10..............연결 슬롯
11..............제1프레임 개구
12..............제2프레임 개구
13..............본체
131 .............슈트
14..............설편
141 .............제1설부
141a.............제1두께
142 .............제2설부
142a.............제2두께
143 .............단차면
21..............제1소켓단자
22..............제2소켓단자
23..............제3소켓단자
24..............제4소켓단자
25..............제5소켓단자
31..............기계식 가동부품
311 .............저지블록
41..............전환단자
51..............탄성부품
61..............각체
70a .............절연베이스체
70b .............케이스
70c .............연결부
80a .............복수개의 제1플러그 단자
80b .............복수개의 제2플러그 단자
80c .............복수개의 제3플러그 단자
80d .............복수개의 제4플러그 단자

Claims (8)

  1. 연결 슬롯 및 두께가 서로 다른 제1설부와 제2설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슬롯에 위치하는 설편을 포함하는 절연베이스체,
    상기 제1설부의 한 면에 위치하고 제1신호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
    상기 제2설부의 한 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
    상기 제2설부의 다른 면에 위치하는데 상기 제1설부의 한 면과 같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
    상기 절연베이스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
    상기 절연베이스체에 위치하고 상기 제4소켓단자와 교체되는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 및
    상기 절연베이스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기계식 가동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일부 상기 제3소켓단자는 상기 제5소켓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소켓단자와 상기 제3소켓단자는 제2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일부 상기 제3소켓단자는 상기 제4소켓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소켓단자와 일부 상기 제3소켓단자는 제3신호를 전송하는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은, 상기 절연베이스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 슬롯에 위치하는 저지블록을 포함하는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환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전환단자는 일부 상기 제3소켓단자와 상기 제5소켓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전환단자는 일부 상기 제3소켓단자와 상기 제4소켓단자에 연결하는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베이스체와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품을 더 포함하는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5. 연결 슬롯 및 두께가 서로 다른 제1설부와 제2설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슬롯에 위치하는 절연베이스체,
    상기 제1설부의 한 면에 위치하고 제1신호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제1소켓단자,
    상기 제2설부의 한 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소켓단자,
    상기 제2설부의 다른 면에 위치하는데 상기 제1설부의 한 면과 같은 복수개의 제3소켓단자,
    상기 절연베이스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4소켓단자,
    상기 절연베이스체에 위치하고 상기 제4소켓단자와 교체되는 복수개의 제5소켓단자, 및
    상기 절연베이스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기계식 가동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일부 상기 제3소켓단자는 상기 제4소켓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소켓단자와 일부 상기 제3소켓단자는 제3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일부 상기 제3소켓단자는 상기 제5소켓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소켓단자와 상기 제3소켓단자는 제2신호를 전송하는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부와 상기 제2설부의 사이에는 단차면이 포함되고,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은 상기 절연베이스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 슬롯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단차면을 돌출시키는 저지블록을 포함하는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환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전환단자는 일부 상기 제3소켓단자와 상기 제4소켓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전환단자는 일부 상기 제3소켓단자와 상기 제5소켓단자에 연결되는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베이스체와 상기 기계식 가동부품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품을 더 포함하는 기계식 전환기능이 있는 전기커넥터.
KR1020120097663A 2012-02-13 2012-09-04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KR101308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202550 2012-02-13
TW101202550U TWM431469U (en) 2012-02-13 2012-02-13 Electrical connector with switching mode
TW101104534 2012-02-13
TW101104534A TWI452783B (zh) 2012-02-13 2012-02-13 具機械式切換功能之電連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940A KR20130092940A (ko) 2013-08-21
KR101308786B1 true KR101308786B1 (ko) 2013-09-17

Family

ID=4800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663A KR101308786B1 (ko) 2012-02-13 2012-09-04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78841B2 (ko)
JP (1) JP3180092U (ko)
KR (1) KR101308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8841B2 (en) * 2012-02-13 2014-03-25 Advanced Connection Technology, Inc. Electric connector with mechanical switching function
CN204315825U (zh) * 2014-09-05 2015-05-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531086U (zh) * 2016-05-19 2016-10-21 王沛綸 多規相容連接器
US9918385B2 (en) 2016-05-31 2018-03-13 Toshiba Memor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JP6914514B2 (ja) * 2017-07-06 2021-08-0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複合型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044U (ko) * 2008-10-08 2010-04-16 타이윈 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이중목적 소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1850B2 (en) * 2004-11-05 2006-10-17 Ming-Hsiang Yeh Dual-purpose male/female connector
TWI299599B (en) * 2006-01-27 2008-08-01 Sunplus Technology Co Ltd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ng device
US7537471B2 (en) * 2006-11-22 2009-05-26 Sandisk Il, Ltd. Systems of reliably interconnectable reversible USB connectors
TWM372016U (en) 2009-09-02 2010-01-01 Ud Electronic Corp Improved structure of USB
JP3162616U (ja) 2010-06-28 2010-09-09 深▲せん▼市越洋達科技有限公司 複合コネクタプラグ
JP3165977U (ja) 2010-12-02 2011-02-10 深▲せん▼市越洋達科技有限公司 複合雌コネクタ
JP3178072U (ja) * 2011-12-26 2012-08-30 長盛科技股▲分▼有限公司 ダブル伝送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コネクタソケット及びそのコネクタプラグ
JP3178073U (ja) * 2012-01-19 2012-08-30 長盛科技股▲分▼有限公司 複数の伝送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コネクタ
US8678841B2 (en) * 2012-02-13 2014-03-25 Advanced Connection Technology, Inc. Electric connector with mechanical switch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044U (ko) * 2008-10-08 2010-04-16 타이윈 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이중목적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78841B2 (en) 2014-03-25
US20130210290A1 (en) 2013-08-15
KR20130092940A (ko) 2013-08-21
JP3180092U (ja)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8072U (ja) ダブル伝送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コネクタソケット及びそのコネクタプラグ
KR101328321B1 (ko) 복수개의 전송 인터페이스를 가진 전기 커넥터
US8790138B2 (en) Electrical connector socket capable of transmitting different signals
JP5072126B2 (ja) コンセントソケット用の交換モジュール及び交換モジュール付きコンセントソケット
KR101816411B1 (ko)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KR101308786B1 (ko) 기계식 전환기능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US967358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988749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astic member
US958387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ecting structure
US932512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tecting contacts
TWM456012U (zh) 連接器結構
US10615544B2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TW202032860A (zh) 插座電連接器
US8672714B2 (en) HDMI audio-video signal switching device
TWI452783B (zh) 具機械式切換功能之電連接器
TWI459664B (zh) 電連接器插座
TWI452782B (zh) 具有複數傳輸介面之電連接器
CN103247926B (zh) 具机械式切换功能的电连接器
TWI466400B (zh) 電連接器插座
CN202797537U (zh) 具切换模式的电连接器
KR101578837B1 (ko) 면 접촉식 커넥터
CN202513373U (zh)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KR101279955B1 (ko) 케이블 신호 공유장치
CN103311711B (zh) 电连接器插座
JP2020030987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