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425A - 동기 처리 방법 및 사용자 기기 - Google Patents

동기 처리 방법 및 사용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425A
KR20160136425A KR1020167029584A KR20167029584A KR20160136425A KR 20160136425 A KR20160136425 A KR 20160136425A KR 1020167029584 A KR1020167029584 A KR 1020167029584A KR 20167029584 A KR20167029584 A KR 20167029584A KR 20160136425 A KR20160136425 A KR 20160136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coverage
start position
resource
resourc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183B1 (ko
Inventor
웬홍 첸
퀴빈 가오
루이 쟈오
잉 펭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6013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synchronizing potentially movabl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리지외 UE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정밀도를 향상하기 위한 동기 처리 방법 및 사용자 기기를 개시한다. 그 방법은,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자신의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신호를 계속 송신하는 구체적인 구현 형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이용하면, 커버리지내 UE와의 동기 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기 처리 방법 및 사용자 기기{SYNCHRONIZATION PROCESS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관련출원]
본 출원은 2014년 5월 6일 중국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 201410188908.X, 발명명칭 '동기 처리 방법 및 사용자 기기'인 중국특허출원을 토대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동기 처리 방법 및 사용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D2D(Device-to-Device), 즉 단말기 직접 통신 기술은 근접한 단말기가 근거리 범위 내에서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으로서, 센터 노드(즉 기지국)를 통해 전달하지 않아도 된다.
LTE(Long Term Evolution) D2D 기술은 LTE 허용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고 LTE 네트워크 제어를 받는 D2D 발견과 통신 프로세스를 가리킨다. 이 기술은 D2D 기술 장점을 발휘하는 한편, LTE 네트워크의 제어도 종래의 D2D 기술의 일부 문제점, 예를 들어 간섭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한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LTE D2D 특성을 도입함으로써 LTE 기술은 단순한 무선 모바일 허니콤 통신 기술로부터 '범용 연결 기술'(Universal Connectivity Technology)의 방향으로 진화하였다.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라고도 함)는 D2D 전송 전에 먼저 동기화 해야 한다. UE는 레퍼런스 동기 소스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D2D 신호를 송신한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한다. UE가 D2D 신호를 송신할 때에는, 동기 신호도 함께 송신하여 기타 UE에 동기 레퍼런스를 제공하며, 동기 채널도 함께 송신하여 일부 자원 설정 또는 동기 소스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D2D 동기 신호는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동기 자원에서 전송되며, 동기 자원이 나타나는 주기를 동기 자원 주기라고 한다. 동기 채널은 전송되는 경우에는 그것도 동일한 동기 자원에서 전송되며, 동기 신호와 동기 채널의 자원은 서로 연관된다. 커버리지외 UE에 대해 말하면, 그 동기 자원 주기는 일반적으로 미리 설정되며, 다시 말해 미리 UE에 고정값으로 기록된다. 그리고 커버리지내 UE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하나의 고정된 동기 자원 주기가 미리 설정되며, 커버리지내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내로부터 네트워크 커버리지외로 이동된 경우, 기설정된 동기 자원 주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내에 있는 경우, 상기 기설정 주기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동기 자원 주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일부 네트워크에 커버되는 신(scene), 커버리지내 UE는 동기 신호 및/또는 동기 채널을 통해 커버리지내의 동기 정보를 커버리지외 UE로 전달함으로써, 커버리지 범위 근처의 UE도 커버리지 대역 내의 동기화를 통해 D2D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동기 전송을 통해 이와 같은 커버리지내 UE와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리지외 UE는 동기 신호를 계속 전달하여 근처의 다른 커버리지외 UE에 동기 레퍼런스를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동기화가 더 큰 범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커버리지외 UE가 기설정된 동기 자원에서 동기 신호를 전송하고, 커버리지내 UE가 네트워크측이 설정한 동기 자원을 이용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과 약정한 동기 자원을 이용하여 동기 신호를 전송하므로, 이러한 동기 자원의 비매칭은 커버리지내 UE와 커버리지외 UE의 비동기화를 초래하며, 이로써 커버리지외 UE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정밀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리지외 UE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정밀도를 향상하기 위한 동기 처리 방법 및 사용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 기술적 수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동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커버리지외 사용자 기기 UE가,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자신의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고, 나아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한다. 이로써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와 높은 동기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과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간의 매칭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 사이에 이격된 서브 프레임의 수량은 고정값이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에 미리 설정된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확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최근에 적어도 1회 검출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획득한 동기 레퍼런스를 토대로, 자신이 동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 및/또는 자신이 데이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검출된 상기 동기 신호에 포함된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동기 채널에 포함된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각 후보 동기 자원 주기별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가 검출된 후보 동기 자원 주기를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주기의 정수 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검출된 상기 동기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에서의 지속 시간을 확정함으로써,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상기 지속 시간별로 검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동기 채널에 포함된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에서의 지속 시간을 확정함으로써,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상기 지속 시간별로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과 동일한 발명 구상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UE를 더 제공한다. 상기 UE는 커버리지외 UE이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동기 신호 검출 모듈;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동기 자원 확정 모듈;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자신의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동기 신호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리지외 UE는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고, 나아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한다. 이로써,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와 높은 동기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과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간의 매칭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 사이에 이격된 서브 프레임의 수량은 고정값이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에 미리 설정된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확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기 신호 검출 모듈은 또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고,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기 신호 송신 모듈은 또한,
최근에 적어도 1회 검출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하고,
획득한 동기 레퍼런스를 토대로, 자신이 동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 및/또는 자신이 데이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 검출 모듈은,
검출된 상기 동기 신호에 포함된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동기 채널에 포함된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각 후보 동기 자원 주기별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가 검출된 후보 동기 자원 주기를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주기의 정수 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기 신호 검출 모듈은 또한,
검출된 상기 동기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에서의 지속 시간을 확정함으로써,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상기 지속 시간별로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동기 채널에 포함된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에서의 지속 시간을 확정함으로써,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상기 지속 시간별로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과 동일한 발명 구상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UE를 더 제공한다. 상기 UE는 커버리지외 UE이며,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는 기능;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는 기능;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자신의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드를 저장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리지외 UE는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고, 나아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한다. 이로써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와 높은 동기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과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간의 매칭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D2D 네트워크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E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UE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처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조작을 포함한다.
단계 100: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starting position)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버리지외 UE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범위 밖의 UE를 가리킬 수 있으며, WLAN의 커버리지 범위 밖의 UE를 가리킬 수도 있다. 또한, 클러스터 헤드(cluster head)의 커버리지 범위 밖의 UE를 가리킬 수도 있으며, 기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범위 밖의 UE를 가리킬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버리지내 UE의 정의는 상술한 커버리지외 UE에 대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단계 110: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한다.
단계 120: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자신의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그중,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주기는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UE의 기기 내부에 미리 설정된다.
그중, 단계 120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는, 커버리지외 UE가 자신의 각 동기 자원 주기에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리지외 UE는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고, 나아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한다. 이로써,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와 높은 동기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과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간의 매칭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 사이에 이격된 서브 프레임의 수량은 고정값이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에 미리 설정된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확정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값은 정수이며, 예를 들어 상기 고정값은 0일 수 있다. 즉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는 서로 인접한 서브 프레임에 있다. 그러면, 단계 110에서 커버리지외 UE는 구체적으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 및 상기 이격된 서브 프레임의 수량을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한다.
그중,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는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 이후에 있을 수 있으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 이전에 있을 수 있다.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 이전에 있으면, 단계 120에서 커버리지외 UE는 다음 동기 자원 주기로부터 시작하여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그중, 커버리지외 UE는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가 검출된 자원을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로 확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리지내 UE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 동기 신호를 수회 송신하였다면, 커버리지외 UE는 커버리지내 UE의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 검출된 첫 번째 동기 신호의 자원을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로 확정한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를 토대로, 커버리지외 UE는 검출된,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레퍼런스(synchronization reference)를 획득하고, 획득한 동기 레퍼런스를 자신이 동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로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 동기 레퍼런스는 시간 도메인 동기 레퍼런스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동기 레퍼런스이다. 시간 도메인 동기 레퍼런스는 타이밍, 즉 서브 프레임의 시작 위치 확정에 이용된다. 주파수 도메인 동기 레퍼런스는 신호/데이터 송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포인트 확정에 이용된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를 토대로, 커버리지외 UE는 검출된,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하고, 획득한 동기 레퍼런스를 자신이 데이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로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리지외 UE는 검출된,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한 후, 만약 커버리지내 UE를 인식할 수 있으면, 커버리지내 UE를 레퍼런스 동기 소스로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를 토대로, 커버리지외 UE는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고,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단계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로서, 커버리지내 UE의 각 동기 자원 주기에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포함한 시간 창(time window) 내에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중, 상기 시간 창의 크기는 필요에 설정하며,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에 따르면,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에는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송신 주기가 포함되며, 이에 따라 커버리지외 UE는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송신 주기를 확정하고, 나아가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추적 검출할 수 있다.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할 수 있으므로, 동기 신호의 추적이 덜 복잡해지며, 동기 신호의 추적 정밀도가 향상된다.
이를 토대로, 커버리지외 UE는 구체적으로 최근 적어도 1회 검출된,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한다. 나아가, 획득한 동기 레퍼런스를 토대로, 자신이 동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 및/또는 데이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를 갱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리지외 UE는 최근 적어도 1회 검출된,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동기 레퍼런스를 자신이 동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 및/또는 데이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에 따르면, 커버리지외 UE는 최근 적어도 1회 검출된,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함으로써, 자신의 동기 레퍼런스를 제때에 조정하여 동기 정밀도를 높게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와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주기는 배수 관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는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주기의 정수 배일 수 있으며,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주기는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의 정수 배일 수도 있다.
그중,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는 구현 방식은 아래 몇 가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식 1: 커버리지외 UE가, 검출된 동기 신호에 포함된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토대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한다.
그중, 동기 신호는 구체적으로 동기 시퀀스, 예를 들어 D2DSS(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Signal)일 수 있다.
방식 2: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동기 채널에 포함된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토대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한다.
그중, 동기 채널은 PD2DSCH(Physical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Channe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기 채널과 동기 신호는 함께 전송되며, 일반적으로 동일한 서브 프레임 내에서 전송된다. 동기 신호와 동기 채널 중의 정보는 함께 동기 레퍼런스의 확정에 이용된다.
방식 3: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커버리지내 UE의 각 후보 동기 자원 주기별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가 검출된 후보 동기 자원 주기를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로 확정한다.
그중, 동기 자원 주기 정보는 동기 자원 주기의 구체적인 값을 지시할 뿐만 아니라,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와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주기의 배수 관계를 지시할 수도 있다.
방식 3과 방식 1의 다른 점은 아래와 같다. 방식 1에서 커버리지외 UE는 직접적으로 동기 채널로부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얻으나, 방식 3에서 커버리지외 UE는 서로 다른 주기를 블라인드 검출함으로써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한다.
동기 자원 주기 정보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와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주기의 배수 관계를 지시한다면, 커버리지내 UE든 커버리지외 UE든 모두 미리 설정한 커버리지외용 동기 자원 주기는 서로 같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를 토대로, 커버리지내 UE는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더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되는 동기 신호에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커버리지외 UE는 검출된 동기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토대로,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지속되는 시간을 확정함으로써,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에서,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지속 시간별로 검출한다. 또는, 송신되는 동기 채널에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면, 커버리지외 UE는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동기 채널에 포함된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토대로,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지속되는 시간을 확정함으로써,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에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지속 시간별로 검출한다.
그중,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는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의 지속 시간, 예를 들어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 송신하는 횟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D2D 신(scene)에 적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하, 도 2에 나타낸 D2D 신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UE1은 커버리지내 D2D UE이고, UE2와 UE3은 커버리지외 D2D UE이다.
네트워크측은 고층 시그널링을 통해 UE1의 동기 자원 주기와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은 10비트의 고층 시그널링(0-1023을 지시)을 이용하여 표 1과 같은 설정을 지시한다.
설정된 인덱스 값 동기 자원 주기 동기 자원의 시작 서브 프레임 인덱스
0-99 100ms 0-99
100-299 200ms 0-199
300-799 500ms 0-499
800-1023 - -
UE1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는 UE1과 네트워크측이 미리 약정할 수 있음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표 1에서, 동기 자원 시작 위치는 프레임 인덱스를 이용하여 지시한다. 동기 자원 시작 위치는 서브 프레임의 번호, OFDM 부호 인덱스 등을 이용하여 지시할 수도 있음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설정에 따라, 동기 정보의 전송 및 처리 과정은 아래와 같다.
UE1이 네트워크측이 설정한 동기 자원 주기와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대응되는 동기 자원에서 동기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이 설정한 인덱스 값이 249이면, 표 1에 따라 UE1은 무선 프레임 14의 아홉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200ms의 주기로 동기 신호 송신한다. UE1이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대역폭은 미리 약정된 것으로, 예를 들어 중간의 6개 PRB를 차지하여 송신한다. UE1은 또한 동기 자원에서 동기 채널도 송신하며, 상기 동기 채널에는 UE1의 동기 자원 주기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UE1은 PD2DSCH 중의 표 2와 같은 2비트의 시그널링(상기 2비트의 시그널링은 동기 자원 주기 정보이다)을 이용하여 동기 자원 주기를 지시한다.
설정된 인덱스 동기 자원 주기
00 100ms
01 200ms
10 500ms
11 -
그중, 동기 채널의 전송 자원과 동기 신호의 전송 자원은 고정된 연관 관계를 가진다.
UE1은 또한 송신하는 동기 신호에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UE2는 UE1이 동기 정보(동기 신호와 동기 채널)를 송신한 대역폭에서 UE1의 동기 신호 및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동기 신호에 의해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한다. 동기 레퍼런스는 시간 도메인 동기(타이밍)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동기(주파수 포인트)의 레퍼런스를 포함한다.
UE2는 검출된 UE1의 동기 신호에 의해 UE1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고, 검출된 동기 채널에 의해 UE1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UE2는 UE1의 동기 신호가 검출된 서브 프레임을 UE1의 동기 자원 시작 서브 프레임 위치로 확정한다. UE2는 동기 채널(PD2DSCH) 중의 2비트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UE1의 동기 자원 주기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당해 2비트 동기 자원 주기 정보가 01이면, 표 2에 따라 UE1의 현재 동기 자원 주기가 200ms임을 알 수 있다.
UE2는 UE1의 동기 자원 서브 프레임의 위치가 M=2개 서브 프레임이 지연된 후의 동기 서브 프레임을 자신의 동기 자원 서브 프레임의 시작 위치로 하고, 확정된 동기 레퍼런스를 이용하여 자신의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UE2의 동기 신호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며, 주기는 기기에 미리 설정된 동기 자원 주기이며, 가정하면 50ms이다.
상기 처리 과정에서, UE2는 UE1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동기 자원 주기(200ms)를 이용하여, UE1의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의 동기 자원에서 UE1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최근 1회 검출된 UE1의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하고, 동기 신호 전송에 이용되는 동기 레퍼런스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 UE2는 200ms마다 UE1의 동기 자원 근처에서 UE1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추후 200ms(자신의 4개 동기 자원 주기) 내에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동기 레퍼런스를 갱신 및 조정하여 UE1과의 동기성을 확보한다.
나아가, UE2가 최근 적어도 1회 검출된 UE1의 동기 신호를 토대로 획득한 동기 레퍼런스는 또한 추후 데이터 신호 전송에 이용되는 동기 레퍼런스 갱신에 이용된다.
방법과 동일한 발명 구상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UE를 더 제공하며, 상기 UE는 커버리지외 UE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UE는,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동기 신호 검출 모듈(301);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동기 자원 확정 모듈(302);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자신의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동기 신호 송신 모듈(30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리지외 UE는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고, 나아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한다. 이로써,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와 높은 동기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과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간의 매칭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 사이에 이격된 서브 프레임의 수량은 고정값이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에 미리 설정된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확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기 신호 검출 모듈은 또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고,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동기 추적을 토대로, 바람직하게는, 동기 신호 송신 모듈은 또한,
최근에 적어도 1회 검출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하고,
획득한 동기 레퍼런스를 토대로, 자신이 동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 및/또는 자신이 데이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 검출 모듈은,
검출된 상기 동기 신호에 포함된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동기 채널에 포함된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각 후보 동기 자원 주기별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가 검출된 후보 동기 자원 주기를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주기의 정수 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기 신호 검출 모듈은 또한,
검출된 상기 동기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지속되는 시간을 확정함으로써,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상기 지속 시간별로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동기 채널에 포함된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지속되는 시간을 확정함으로써,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상기 지속 시간별로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과 동일한 발명 구상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UE를 더 제공하며, 상기 UE는 커버리지외 UE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UE는 프로세서(401)와 메모리(402)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401)는,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는 기능;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는 기능;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자신의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메모리(402)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드를 저장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리지외 UE는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고, 나아가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한다. 이로써,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와 높은 동기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과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간의 매칭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완전한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한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측면을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컴퓨터 사용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사용가능 저장매체(디스크 메모리, CD-ROM, 광학 메모리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서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기기(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이용하여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그리고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기계를 형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명령이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기기로 하여금 특정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으로 하여금 명령 장치를 포함한 제조품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명령 장치는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및/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기기에 로딩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기기에서 일련의 조작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구현하는 처리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기기에서 수행되는 명령이,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및/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분야의 기술자는 기본적인 창조적 컨셉을 파악한 후 이들 실시예를 추가로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분명한 것은,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기술 범위에 속하면, 본 발명은 이러한 변경 및 변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한다.

Claims (14)

  1. 커버리지외 사용자 기기 UE가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자신의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처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 사이에 이격된 서브 프레임의 수량은 고정값이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에 미리 설정된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처리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처리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최근에 적어도 1회 검출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획득한 동기 레퍼런스를 토대로, 자신이 동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 및/또는 자신이 데이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처리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검출된 상기 동기 신호에 포함된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동기 채널에 포함된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각 후보 동기 자원 주기별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가 검출된 후보 동기 자원 주기를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처리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주기의 정수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처리 방법.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검출된 상기 동기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에서의 지속 시간을 확정함으로써,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상기 지속 시간별로 검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커버리지외 UE가,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동기 채널에 포함된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에서의 지속 시간을 확정함으로써,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상기 지속 시간별로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처리 방법.
  8. 사용자 기기는 커버리지외 UE이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동기 신호 검출 모듈;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동기 자원 확정 모듈;
    자신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자신의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동기 신호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E.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 사이에 이격된 서브 프레임의 수량은 고정값이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에 미리 설정된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E.
  10.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 검출 모듈은 또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고,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와 동기 자원 주기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UE.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 송신 모듈은 또한,
    최근에 적어도 1회 검출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토대로 동기 레퍼런스를 획득하고,
    획득한 동기 레퍼런스를 토대로, 자신이 동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 및/또는 자신이 데이터 신호 송신시 이용하는 동기 레퍼런스를 확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UE.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 검출 모듈은,
    검출된 상기 동기 신호에 포함된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동기 채널에 포함된 동기 자원 주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시작 위치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각 후보 동기 자원 주기별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가 검출된 후보 동기 자원 주기를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로 확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UE.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자원 주기는 상기 커버리지외 UE의 동기 자원 주기의 정수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E.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 검출 모듈은 또한,
    검출된 상기 동기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에서의 지속 시간을 확정함으로써,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상기 지속 시간별로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채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동기 채널에 포함된 동기 신호 지속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에서의 지속 시간을 확정함으로써, 상기 커버리지내 UE가 송신한 동기 신호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리지내 UE의 동기 신호를 각 동기 자원 주기 내에서 상기 지속 시간별로 검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UE.
KR1020167029584A 2014-05-06 2015-05-05 동기 처리 방법 및 사용자 기기 KR101869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188908.XA CN105101387B (zh) 2014-05-06 2014-05-06 一种同步处理方法及用户设备
CN201410188908.X 2014-05-06
PCT/CN2015/078274 WO2015169208A1 (zh) 2014-05-06 2015-05-05 一种同步处理方法及用户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425A true KR20160136425A (ko) 2016-11-29
KR101869183B1 KR101869183B1 (ko) 2018-06-19

Family

ID=5439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584A KR101869183B1 (ko) 2014-05-06 2015-05-05 동기 처리 방법 및 사용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64660A1 (ko)
EP (1) EP3142432B1 (ko)
JP (1) JP6385457B2 (ko)
KR (1) KR101869183B1 (ko)
CN (1) CN105101387B (ko)
WO (1) WO2015169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0797B2 (ja) * 2014-08-13 2019-03-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d2d通信のための同期信号送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07027166B (zh) * 2016-02-01 2019-08-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节点的同步信息的发送方法、装置及节点
CN107734689B (zh) 2016-08-12 2023-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发送装置、信号接收装置及方法
WO2018028706A1 (zh) * 2016-08-12 2018-0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发送装置、信号接收装置及方法
CN107592670B (zh) * 2017-08-21 2021-02-26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同步信号检测方法及同步设备
CN109428693B (zh) * 2017-08-23 2021-11-1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同步信号块传输位置的指示、接收方法、网络设备及终端
KR102284377B1 (ko) * 2017-09-19 2021-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d2d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247855B (zh) * 2018-09-28 2023-10-03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新的无线电移动通信中车联网的通信方法
CN115397001A (zh) * 2019-11-05 2022-11-25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2515A1 (en) * 2010-03-12 2011-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ynchronization between groups of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3686A1 (de) * 2011-02-07 2012-08-09 Trumpf Laser- Und Systemtechnik Gmbh Laserbearbeitungsvorrichtung
US20150000994A1 (en) * 2012-02-06 2015-01-01 Jaguar Land Rover Limited Active hood or bonnet system for a vehicle
ITUD20120026A1 (it) * 2012-02-17 2013-08-18 Danieli Automation Spa Impianto per il controllo dell'area della sezione di un prodotto laminato e relativo procedimento
CN103702408B (zh) * 2012-09-27 2017-03-15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上行同步的方法和装置
CN104244316B (zh) * 2013-06-07 2018-01-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发现信号检测方法和设备
US20150006334A1 (en) * 2013-06-26 2015-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deo-based, customer specific, transactions
US9479298B2 (en) * 2013-07-08 2016-10-25 Intel IP Corporation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DMRS)for side information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CN104332899A (zh) * 2013-07-23 2015-02-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自动理线装置
CN104469926B (zh) * 2013-09-16 2019-03-12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d2d系统中的传输方法和装置
US20160022749A1 (en) * 2014-07-25 2016-01-28 Szu-Ming Chen Method of improving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brain dysfunction with ganoderma tsugae extra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2515A1 (en) * 2010-03-12 2011-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ynchronization between groups of devi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4119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42432A1 (en) 2017-03-15
CN105101387A (zh) 2015-11-25
CN105101387B (zh) 2019-04-02
WO2015169208A1 (zh) 2015-11-12
EP3142432A4 (en) 2017-05-31
EP3142432B1 (en) 2022-03-09
JP6385457B2 (ja) 2018-09-05
KR101869183B1 (ko) 2018-06-19
US20170064660A1 (en) 2017-03-02
JP2017518684A (ja)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183B1 (ko) 동기 처리 방법 및 사용자 기기
EP3858060A1 (en) Support for transmission in preconfigured ul resources
EP270570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iming synchronization for peer to peer devices operating in wwan spectrum
EP3499984A1 (en) Transmission timing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US10159054B2 (en) Device and device synchronization method in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CN105472722B (zh) 一种时钟同步方法及装置
WO2017171447A3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gnss 타이밍을 사용하는 ue의 사이드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JP2019502292A (ja) 非サービングキャリア周波数上でのd2d動作の適応化
JP2019534632A (ja) Rachレスハンドオーバ中のターゲットセル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グラントの有効時間の制御
JP6283110B2 (ja) セル同期および同期セルインジケーション
WO2013049959A1 (en) Signaling for device-to-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WO2013025057A3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 간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02569B1 (ko) D2d 통신 중의 데이터 수신 방법,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160079048A (ko) D2d 탐색 신호의 송신 방법,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N107005955B (zh) 时间同步方法、设备及系统
JP2016032204A5 (ko)
JP2016201663A (ja) 装置及び方法
MX361436B (es) Metodo para transmitir una señal de dispositivo a dispositivo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a y aparato para el mismo.
CN106686669B (zh) 同步方法及装置
WO2019215673A1 (en) Managing extended 5g-s-tmsi in lte connected to 5gc
EP2934046A2 (en) Wireless network scanning strategies
CN104703164A (zh) 一种获取同步参考的方法、发送同步信息的方法及设备
WO2020032631A3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994954A1 (en) Early radio link issue indication
TW201735692A (zh) 同步方法、同步裝置和同步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