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134A -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134A
KR20160136134A KR1020150069927A KR20150069927A KR20160136134A KR 20160136134 A KR20160136134 A KR 20160136134A KR 1020150069927 A KR1020150069927 A KR 1020150069927A KR 20150069927 A KR20150069927 A KR 20150069927A KR 20160136134 A KR20160136134 A KR 20160136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book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quaintan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6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134A/ko
Publication of KR20160136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소록 관리 시스템은, 통신단말기에 설치되며,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특정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하는 이력관리모듈; 및 영구주소록 및 임시주소록을 구비하며, 이력관리모듈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에 기초하여 통신단말기에 대응하는 지인의 지인정보를 영구주소록에 저장하거나 임시주소록에 저장하고,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는 지인정보와 연동시키며, 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영구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제공하는 주소록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Address File Management System, Apparatus, Server and Address File Managing Method}
본 발명은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주 연락이 되는 지인과 자주 연락이 되지 않는 지인을 구분하여 저장하며, 지인에 대한 검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자주 연락이 되지 않는 지인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수신 또는 발신하는 경우에 대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지인에게 통화를 발신하거나 지인으로부터 통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지인의 성명, 연락처, 메일 주소 등의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저장하여 두고, 필요한 경우에 손쉽게 지인을 검색하여 통화를 발신하거나, 지인으로부터 통화가 착신되는 경우에 기 저장된 지인정보 중 매칭되는 지인정보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대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압축 처리기술 및 디지털 전자기술의 발달로, 통신단말기는 많은 지인정보를 주소록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자주 연락을 취하는 지인정보를 주소록에 저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자주 연락을 취하지 않더라도 상대방을 쉽게 검색하여 통화를 발신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통화가 착신되었을 때에 상대방을 쉽게 파악하기 위하여 해당 지인정보를 주소록에 저장하기도 한다.
한편, 주소록에 저장되는 지인의 정보가 증가함에 따라 어떤 지인은 비록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기는 하였지만, 오랜 기간 동안 연락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해당 지인의 정보를 보더라도 누구인지를 쉽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지인이라고 하더라도 해당 지인으로부터 통화를 수신하거나 통화를 발신하는 경우에 최소한의 정보마저 파악하지 못하면 예의에 어긋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막상 해당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주소록에 남겨진 지인정보들은 특정 지인을 검색할 때에 검색시간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8932호 (공개일자: 2006. 11. 2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자주 연락이 되는 지인과 자주 연락이 되지 않는 지인을 구분하여 저장하며, 지인에 대한 검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자주 연락이 되지 않는 지인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수신 또는 발신하는 경우에 대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 시스템은,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특정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하는 이력관리모듈; 및 영구주소록 및 임시주소록을 구비하며, 이력관리모듈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에 기초하여 통신단말기에 대응하는 지인의 지인정보를 영구주소록에 저장하거나 임시주소록에 저장하고,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는 지인정보와 연동시키며, 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영구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제공하는 주소록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장치는,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관리하는 주소록 관리장치에 있어서,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하는 수발신기록부; 및 수발신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이하이면, 대응하는 지인에 대한 정보를 임시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임시저장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장치는, 수발신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지인에 대한 정보를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하는 주소록저장부; 및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을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연동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장치는, 수발신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지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하는 주소록저장부; 및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을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연동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장치는, 수발신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지인에 대한 정보를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영구저장요청부; 및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과 연동시키는 주소록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장치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되는 지인에 대한 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또는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서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거나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서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지인정보삭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장치는, 주소록저장부에 의해 지인에 대한 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는 경우, 주소록 관리서버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대한 정보를 영구주소록으로 이전하여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이전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장치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대상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또는 주소록 관리서버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지인판단부; 지인판단부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대상이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소록 관리서버에 대응하는 지인정보를 요청하는 지인정보요청부; 및 지인정보요청부에 의한 지인정보의 요청에 대응하여 주소록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지인정보를 표시하는 지인정보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장치는,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정보의 검색이 요청되면, 그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및 임시주소록을 조회하는 주소록조회부; 주소록조회부에 의해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제공하는 지인정보제공부; 및 지인정보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지인정보의 출처를 표시하는 출처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장치는, 영구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한 삭제, 이전, 변경 중의 하나를 요청하는 정보변경요청부; 및 정보변경요청부의 요청에 대응하여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가 변경되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영구주소록에 연동하여 변경시키는 주소록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장치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수발신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조회하는 지인정보조회부; 및 지인정보조회부에 의해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임시주소록에서 삭제하도록 요청하는 삭제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서버는, 통신단말기에 대응하여 주소록을 관리하는 주소록 관리서버에 있어서,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는 영구주소록을 저장하는 영구주소록저장부; 및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이력에 기초하여 지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임시주소록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서버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정보변경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요청신호수신부; 요청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변경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영구주소록저장부 및 임시주소록저장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 이전 또는 변경하는 정보변경처리부; 및 정보변경처리부에 의해 영구주소록저장부에 저장된 영구주소록이 변경되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이 연동하여 변경되도록 요청하는 연동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서버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에 대한 수발신신호를 수신하는 수발신신호수신부; 수발신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수발신신호에 대응하여 영구주소록저장부 및 임시주소록저장부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의 대상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대상정보조회부; 및 대상정보조회부에 의해 조회되는 대상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대상정보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서버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주소록에 대한 검색신호가 수신되면, 영구주소록저장부의 영구주소록 및 임시주소록저장부의 임시주소록을 검색하는 주소록검색부; 및 주소록검색부에 의해 검색되는 정보를 출처정보와 함께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주소록정보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서버는, 임시주소록저장부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하여, 통신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기간 동안에 수신 또는 발신된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검색하는 지인정보검색부; 지인정보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며, 해당 지인정보의 삭제여부를 문의하는 삭제문의부; 및 삭제문의부의 문의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로부터 삭제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임시주소록저장부로부터 대응하는 지인정보를 삭제하는 지인정보삭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방법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관리하는 주소록 관리장치의 주소록 관리방법에 있어서,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하는 단계; 및 수발신이력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이하이면, 대응하는 지인에 대한 정보를 임시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방법은, 수발신이력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지인에 대한 정보를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하는 단계; 및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을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방법은, 수발신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지인에 대한 정보를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과 연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방법은, 임시주소록에 저장되는 지인에 대한 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또는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서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거나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서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방법은, 주소록 저장단계에 의해 지인에 대한 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는 경우, 주소록 관리서버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대한 정보를 영구주소록으로 이전하여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방법은,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대상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또는 주소록 관리서버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지인 판단단계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대상이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소록 관리서버에 대응하는 지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지인정보 요청단계에 의한 지인정보의 요청에 대응하여 주소록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지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방법은,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정보의 검색이 요청되면, 그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및 임시주소록을 조회하는 단계; 주소록 조회단계에 의해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지인정보 제공단계에 의해 제공되는 지인정보의 출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방법은, 영구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한 삭제, 이전, 변경 중의 하나를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요청단계의 요청에 대응하여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가 변경되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영구주소록에 연동하여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방법은,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수발신이력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및 지인정보 조회단계에 의해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임시주소록에서 삭제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방법은, 통신단말기에 대응하여 주소록을 관리하는 주소록 관리서버의 주소록 관리방법에 있어서,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는 영구주소록을 저장하는 단계; 및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이력에 기초하여 지인에 대한 정보를 임시주소록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방법은, 통신단말기로부터 정보변경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정보변경요청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변경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영구주소록 저장단계 및 임시주소록 저장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저장된 정보에 대해 삭제, 이전 또는 변경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영구주소록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영구주소록이 변경되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이 연동하여 변경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방법은,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에 대한 수발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발신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수발신신호에 대응하여 영구주소록 저장단계 및 임시주소록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주소록으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의 대상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및 대상정보 조회단계에 의해 조회되는 대상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방법은, 통신단말기로부터 주소록에 대한 검색신호가 수신되면, 영구주소록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영구주소록 및 임시주소록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임시주소록을 검색하는 단계; 및 주소록 검색단계에 의해 검색되는 정보를 출처정보와 함께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록 관리방법은, 임시주소록 저장단계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하여, 통신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기간 동안에 수신 또는 발신된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지인정보 검색단계에 의해 검색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며, 해당 지인정보의 삭제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삭제여부 문의단계에 의한 문의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로부터 삭제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임시주소록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임시주소록으로부터 대응하는 지인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주 연락이 되는 지인과 자주 연락이 되지 않는 지인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지인에 대한 검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자주 연락이 되지 않는 지인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수신 또는 발신하는 경우에 대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 시스템은 이력관리 모듈(100) 및 주소록 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력관리모듈(100)은 주소록 관리서버(200)와 네트워크(1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10)는 인터넷 망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이동통신망과,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의 무선통신망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한다.
이력관리 모듈(100)은 휴대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통신단말기에 설치되는 모듈로서,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생되는 특정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한다. 이때, 이력관리 모듈(10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하드웨어 IC(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통신단말기에 설치되며, 통신단말기의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0)를 통해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이력관리 모듈(100)의 사용자에 대응하여 영구주소록 및 임시주소록을 구비하며, 이력관리모듈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에 기초하여 통신단말기에 대응하는 지인의 지인정보를 영구주소록에 저장하거나 임시주소록에 저장하고,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는 지인정보와 연동시키며, 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영구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제공한다. 즉,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이력관리모듈(100)로부터 주소록 정보를 수신하며, 이력관리모듈(100)에 의해 수신되는 주소록 정보를 이력관리모듈(100)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이력에 기초하여 영구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이때, 영구주소록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한다. 여기서,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 및/또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장치는 이력관리모듈의 형태로 통신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이력관리모듈(100)의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수발신기록부(102), 임시저장요청부(104), 주소록저장부(106), 연동요청부(108), 영구저장요청부(110), 주소록연동부(112), 지인정보삭제부(114), 이전요청부(116), 지인판단부(118), 지인정보요청부(120), 지인정보표시부(122), 주소록조회부(124), 지인정보제공부(126), 출처표시부(128), 정보변경요청부(130), 지인정보조회부(132) 및 삭제요청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수발신기록부(102)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한다. 즉, 수발신기록부(102)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통화, 문자, 채팅 등이 수신 또는 발신되는 경우, 해당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한다. 이때, 수발신기록부(102)는 수신 또는 발신되는 각각의 대상 별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한다.
임시저장요청부(104)는 수발신기록부(102)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이하이면, 대응하는 지인에 대한 정보를 임시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한다. 여기서, 임시주소록은 통신단말기와 독립적으로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마련되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중복되지 않도록 지인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임시저장요청부(104)는 1년, 1개월 등의 기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간 동안의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수 이하인 경우에 해당 지인을 임시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주소록저장부(106)는 수발신기록부(102)에 의해 기록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지인에 대한 정보를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한다. 즉, 주소록저장부(106)는 설정된 값 이상으로 연락이 취하여지는 지인에 대한 정보를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한다.
연동요청부(108)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을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한다. 연동요청부(108)의 요청에 따라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동일한 지인정보를 저장한다.
영구저장요청부(110)는 수발신기록부(102)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지인에 대한 정보를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한다. 즉, 영구저장요청부(110)는 설정된 값 이상으로 연락이 취하여지는 지인에 대한 정보를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한다. 이 경우, 주소록연동부(112)는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과 연동시킨다. 즉,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 변경이 발생하면, 주소록연동부(112)는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 연동시켜 동일한 주소록을 저장하도록 한다.
지인정보삭제부(114)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되는 지인에 대한 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또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서 해당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거나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서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한다. 즉, 지인정보삭제부(114)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특정 지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때, 해당 지인에 대한 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서 해당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며, 해당 지인에 대한 정보가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구주소록에서 해당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한다.
이전요청부(116)는 주소록저장부(106)에 의해 지인에 대한 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면,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대한 정보를 영구주소록으로 이전하여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한다. 즉, 설정된 값 이상으로 연락이 취하여지는 지인의 지인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는 경우, 이전요청부(116)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해당 지인에 대한 지인정보를 임시주소록에서 영구주소록으로 이전하도록 요청한다. 이를 통해,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은 항상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동일한 지인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지인판단부(118)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대상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지인판단부(118)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이 되는 경우, 해당 수신 또는 발신의 대상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인지 또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인지를 판단한다.
지인정보요청부(120)는 지인판단부(118)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대상이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해당 지인에 대한 지인정보를 요청한다.
지인정보표시부(122)는 지인정보요청부(120)에 의한 지인정보의 요청에 대응하여 주소록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지인정보를 표시한다. 즉, 지인정보표시부(122)는 주소록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지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주소록조회부(124)는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정보의 검색이 요청되면, 그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및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을 조회한다. 즉, 주소록조회부(120)는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정보의 검색이 요청되면, 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주소록과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저장된 임시주소록을 함께 조회한다. 이때, 주소록조회부(124)는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순서를 정하고 그 순서에 따라 주소록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소록조회부(124)는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정보의 검색이 요청되는 경우, 1차적으로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검색하고,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서 해당 주소록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2차적으로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을 검색할 수도 있다.
지인정보제공부(126)는 주소록조회부(124)에 의해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지인정보제공부(126)는 주소록조회부(124)에 의해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지인정보표시부(122)를 통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출처표시부(128)는 지인정보제공부(126)에 의해 제공되는 지인정보의 출처를 표시한다. 즉, 출처표시부(128)는 지인정보제공부(128)에 의해 제공되는 지인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인지 또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인지에 대한 출처를 표시한다.
정보변경요청부(130)는 영구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한 삭제, 이전, 변경 중의 하나를 요청한다. 즉, 정보변경요청부(130)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대하여 영구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한 삭제, 해당 지인정보를 영구주소록에서 임시주소록으로 또는 임시주소록에서 영구주소록으로 이전, 특정 지인정보에 대한 변경 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소록연동부(112)는 정보변경요청부(130)의 요청에 대응하여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가 변경되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영구주소록에 연동하여 변경시킨다.지인정보조회부(132)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수발신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조회한다. 즉, 지인정보조회부(132)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각각의 지인정보에 대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에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발신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조회한다.
삭제요청부(134)는 지인정보조회부(132)에 의해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임시주소록에서 삭제하도록 요청한다. 즉, 삭제요청부(134)는 지인정보조회부(132)에 의해 특정 지인의 수발신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 것으로 조회되면, 임시주소록에서 해당 지인정보를 삭제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서버는 도 1에 나타낸 주소록 관리 시스템의 주소록 관리서버(2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영구주소록저장부(202), 임시주소록저장부(204), 요청신호수신부(206), 정보변경처리부(208), 연동요청부(210), 수발신수신부(212), 대상정보조회부(214), 대상정보전송부(216), 주소록검색부(218), 주소록정보전송부(220), 지인정보검색부(222), 삭제문의부(224) 및 지인정보삭제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영구주소록저장부(202)는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는 영구주소록을 저장한다. 이때, 영구주소록저장부(202)는 가입된 통신단말기 별로 해당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여 동일한 지인정보를 저장한다.
임시주소록저장부(204)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이력에 기초하여 지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임시주소록저장부(204)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발신되는 대상에 대한 수발신이력이 설정된 값 이하인 지인에 대한 지인정보를 저장한다.
요청신호수신부(206)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정보변경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요청신호수신부(206)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영구주소록저장부(202) 또는 임시주소록저장부(204)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한 정보변경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정보변경처리부(208)는 요청신호수신부(206)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변경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영구주소록저장부(202) 및 임시주소록저장부(204)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삭제, 이전 또는 변경한다.
연동요청부(210)는 정보변경처리부(208)에 의해 영구주소록저장부(202)에 저장된 영구주소록이 변경되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이 연동하여 변경되도록 요청한다. 즉, 연동요청부(210)는 정보변경처리부(208)에 의해 영구주소록저장부(202)에 저장된 지인정보가 삭제, 이전, 변경 되는 경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이 영구주소록저장부(202)의 주소록과 연동하여 변경되도록 통신단말기에 요청한다.
수발신신호수신부(212)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에 대한 수발신신호를 수신한다. 즉, 통신단말기가 외부의 통신단말기로부터 통화, 문자, 채팅, 메일 등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통신단말기가 외부의 통신단말기에 통화, 문자, 채팅, 메일 등의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수발신신호수신부(212)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수발신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수발신신호수신부(212)는 수발신 대상에 대한 식별번호를 수발신신호와 함께 수신한다.
대상정보조회부(214)는 수발신신호수신부(212)에 의해 수신되는 수발신신호에 대응하여 영구주소록저장부(202) 및 임시주소록저장부(204)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의 대상에 대한 정보를 조회한다. 이때, 대상정보조회부(214)는 수발신신호수신부(212)에 의해 수신되는 수발신신호에 대응하여 임시주소록저장부(204)에 저장된 지인정보만을 조회할 수도 있다.
대상정보전송부(216)는 대상정보조회부(214)에 의해 조회되는 대상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즉, 대상정보전송부(216)는 대상정보조회부(214)에 의해 조회된 대상에 대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주소록검색부(218)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주소록에 대한 검색신호가 수신되면, 영구주소록저장부(202)의 영구주소록 및 임시주소록저장부(204)의 임시주소록을 검색한다. 이때, 주소록검색부(218)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검색신호에 대응하여 임시주소록저장부(204)의 임시주소록만을 검색할 수도 있다.
주소록정보전송부(220)는 주소록검색부(218)에 의해 검색되는 정보를 출처정보와 함께 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즉, 주소록정보전송부(220)는 주소록검색부(218)에 의해 지인정보가 검색되면, 해당 지인정보가 영구주소록저장부(202)에서 검색되었는지 또는 임시주소록저장부(204)에서 검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출처정보와 함께 해당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지인정보검색부(222)는 임시주소록저장부(204)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하여, 통신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기간 동안에 수신 또는 발신된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검색한다. 즉, 지인정보검색부(222)는 임시주소록저장부(204)에 저장된 각각의 지인정보에 대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에 통신단말기에 의한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조회하며,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검색한다.
삭제문의부(224)는 지인정보검색부(222)에 의해 검색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며, 해당 지인정보의 삭제여부를 문의한다. 즉, 삭제문의부(224)는 지인정보검색부(222)에 의해 검색된 지인정보를 임시주소록저장부(204)에서 삭제할 것인지에 대하여 통신단말기에 문의한다.
지인정보삭제부(226)는 삭제문의부(224)의 문의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로부터 삭제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임시주소록저장부(204)로부터 대응하는 지인정보를 삭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방법은 주소록 관리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한다(S102). 즉,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통화, 문자, 채팅 등이 수신 또는 발신되는 경우, 해당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한다. 이때,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수신 또는 발신되는 각각의 대상 별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한다.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이하이면(S104), 대응하는 지인에 대한 정보를 임시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한다(S106). 여기서, 임시주소록은 통신단말기와 독립적으로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마련되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중복되지 않도록 지인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1년, 1개월 등의 기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간 동안의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수 이하인 경우에 해당 지인을 임시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되는 지인의 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S108),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서 지인의 정보를 삭제한다(S110). 또한,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되는 지인의 정보가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서 해당 지인의 정보를 삭제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한다(S112).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기록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S104), 지인에 대한 정보를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한다(S114). 즉,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설정된 값 이상으로 연락이 취하여지는 지인에 대한 정보를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한다.
이 경우,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을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S116). 또한,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기록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지인에 대한 정보를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하고, 그에 따라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 지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과 연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지인에 대한 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는 경우,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대한 정보를 영구주소록으로 이전하여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할 수도 있다(S118). 즉, 설정된 값 이상으로 연락이 취하여지는 지인의 지인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는 경우,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해당 지인에 대한 지인정보를 영구주소록으로 이전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은 항상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동일한 지인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대상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S120). 즉,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이 되는 경우, 해당 수신 또는 발신의 대상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인지 또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인지를 판단한다.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수신 또는 발신되는 대상이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해당 지인에 대한 지인정보를 요청한다(S122).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지인정보의 요청에 대응하여 주소록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지인정보를 표시한다(S124). 즉,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주소록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지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정보의 검색이 요청되면(S126), 그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및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을 조회한다(S128). 즉,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정보의 검색이 요청되면, 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주소록과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저장된 임시주소록을 함께 조회한다. 이때,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순서를 정하고 그 순서에 따라 주소록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정보의 검색이 요청되는 경우, 1차적으로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검색하고,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서 해당 주소록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2차적으로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을 검색할 수도 있다.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30). 이때,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화면에 문자나 이미지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지인정보의 출처를 표시한다(S132). 즉,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지인정보가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인지 또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인지에 대한 출처를 표시한다.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의 지인정보에 대한 삭제, 이전, 변경 중의 하나를 요청할 수 있다(S134). 즉,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대하여 영구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한 삭제, 해당 지인정보를 영구주소록에서 임시주소록으로 또는 임시주소록에서 영구주소록으로 이전, 특정 지인정보에 대한 변경 등을 요청할 수 있다.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대한 지인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가 변경되면(S136),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영구주소록에 연동하여 변경시킨다(S138).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조회한다(S140). 즉,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주소록 관리서버(200)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각각의 지인정보에 대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에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발신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조회한다.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임시주소록에서 삭제하도록 요청한다(S142). 즉, 주소록 관리장치(100)는 특정 지인의 수발신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 것으로 조회되면, 임시주소록에서 해당 지인정보를 삭제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요청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방법은 도 3에 나타낸 주소록 관리서버(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는 영구주소록을 저장한다(S202). 이때,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가입된 통신단말기 별로 해당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여 동일한 지인정보를 저장한다.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이력에 기초하여 지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S204). 즉,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발신되는 대상에 대한 수발신이력이 설정된 값 이하인 지인에 대한 지인정보를 저장한다.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에 대한 수발신신호를 수신한다(S206). 즉, 통신단말기가 외부의 통신단말기로부터 통화, 문자, 채팅, 메일 등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통신단말기가 외부의 통신단말기에 통화, 문자, 채팅, 메일 등의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수발신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수발신 대상에 대한 식별번호를 수발신신호와 함께 수신한다.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수신되는 수발신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영구주소록 및 임시주소록으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의 대상에 대한 정보를 조회한다(S208). 이때,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수신되는 수발신신호에 대응하여, 임시주소록에 대해서만 대상정보를 조회할 수도 있다.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조회되는 대상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S210). 즉,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영구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에서 조회된 대상에 대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주소록에 대한 검색신호가 수신되면(S212), 기 저장된 영구주소록 및 임시주소록을 검색한다(S214). 이때,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검색신호에 대응하여 임시주소록만을 검색할 수도 있다.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검색되는 정보를 출처정보와 함께 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S216). 즉,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지인정보가 검색되면, 해당 지인정보가 영구주소록에서 검색되었는지 또는 임시주소록에서 검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출처정보와 함께 해당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하여, 통신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기간 동안에 수신 또는 발신된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검색한다(S218). 즉,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각각의 지인정보에 대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에 통신단말기에 의한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조회하며,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검색한다.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검색된 지인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며, 해당 지인정보의 삭제여부를 문의한다(S220). 즉,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검색된 지인정보를 임시주소록에서 삭제할 것인지에 대하여 통신단말기에 문의한다.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삭제여부의 문의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로부터 삭제요청신호가 수신되면(S222), 임시주소록에서 대응하는 지인정보를 삭제한다(S224).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정보변경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영구주소록 또는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한 정보변경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변경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영구주소록 및 임시주소록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삭제, 이전 또는 변경한다.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가 변경되면,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이 영구주소록에 연동하여 변경되도록 요청한다. 즉, 주소록 관리서버(200)는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가 삭제, 이전, 변경 되는 경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이 영구주소록과 연동하여 삭제, 이전, 변경되도록 통신단말기에 요청한다.

Claims (29)

  1.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특정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하는 이력관리모듈; 및
    영구주소록 및 임시주소록을 구비하며, 상기 이력관리모듈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단말기에 대응하는 지인의 지인정보를 상기 영구주소록에 저장하거나 상기 임시주소록에 저장하고, 상기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는 지인정보와 연동시키며, 상기 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영구주소록 또는 상기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에 제공하는 주소록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 시스템.
  2.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관리하는 주소록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하는 수발신기록부; 및
    상기 수발신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이하이면, 대응하는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임시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임시저장요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발신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하는 주소록저장부; 및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을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도록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연동요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발신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영구저장요청부; 및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과 연동시키는 주소록연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주소록에 저장되는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가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또는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서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거나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서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도록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지인정보삭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저장부에 의해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가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영구주소록으로 이전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이전요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대상이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또는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지인판단부;
    상기 지인판단부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대상이 상기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에 대응하는 지인정보를 요청하는 지인정보요청부; 및
    상기 지인정보요청부에 의한 지인정보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지인정보를 표시하는 지인정보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정보의 검색이 요청되면, 그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및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임시주소록을 조회하는 주소록조회부;
    상기 주소록조회부에 의해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제공하는 지인정보제공부; 및
    상기 지인정보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지인정보의 출처를 표시하는 출처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장치.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주소록 또는 상기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한 삭제, 이전, 변경 중의 하나를 요청하는 정보변경요청부; 및
    상기 정보변경요청부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상기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상기 영구주소록에 연동하여 변경시키는 주소록연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수발신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조회하는 지인정보조회부; 및
    상기 지인정보조회부에 의해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상기 임시주소록에서 삭제하도록 요청하는 삭제요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장치.
  11. 통신단말기에 대응하여 주소록을 관리하는 주소록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는 영구주소록을 저장하는 영구주소록저장부;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임시주소록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정보변경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요청신호수신부;
    상기 요청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변경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구주소록저장부 및 상기 임시주소록저장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 이전 또는 변경하는 정보변경처리부; 및
    상기 정보변경처리부에 의해 상기 영구주소록저장부에 저장된 영구주소록이 변경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이 연동하여 변경되도록 요청하는 연동요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에 대한 수발신신호를 수신하는 수발신신호수신부;
    상기 수발신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수발신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구주소록저장부 및 상기 임시주소록저장부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의 대상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대상정보조회부; 및
    상기 대상정보조회부에 의해 조회되는 대상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대상정보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서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주소록에 대한 검색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구주소록저장부의 영구주소록 및 상기 임시주소록저장부의 임시주소록을 검색하는 주소록검색부; 및
    상기 주소록검색부에 의해 검색되는 정보를 출처정보와 함께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주소록정보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서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주소록저장부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하여,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기간 동안에 수신 또는 발신된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검색하는 지인정보검색부;
    상기 지인정보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지인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며, 해당 지인정보의 삭제여부를 문의하는 삭제문의부; 및
    상기 삭제문의부의 문의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삭제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임시주소록저장부로부터 대응하는 지인정보를 삭제하는 지인정보삭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서버.
  16.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관리하는 주소록 관리장치의 주소록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 이력을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발신이력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이하이면, 대응하는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임시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발신이력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을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도록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발신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을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과 연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주소록에 저장되는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가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또는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서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거나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영구주소록에서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도록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저장단계에 의해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가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영구주소록으로 이전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21.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대상이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또는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지인 판단단계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대상이 상기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에 대응하는 지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지인정보 요청단계에 의한 지인정보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지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22.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정보의 검색이 요청되면, 그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 및 상기 임시주소록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주소록 조회단계에 의해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지인정보 제공단계에 의해 제공되는 지인정보의 출처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23.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주소록 또는 상기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한 삭제, 이전, 변경 중의 하나를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단계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주소록 관리서버의 상기 영구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를 상기 영구주소록에 연동하여 변경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24.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주소록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수발신이력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되는 수발신 이력이 설정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지인정보 조회단계에 의해 조회되는 지인정보를 상기 임시주소록에서 삭제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25. 통신단말기에 대응하여 주소록을 관리하는 주소록 관리서버의 주소록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과 연동하는 영구주소록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 또는 발신되는 지인에 대한 수발신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지인에 대한 정보를 임시주소록으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정보변경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변경요청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변경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구주소록 저장단계 및 상기 임시주소록 저장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저장된 정보에 대해 삭제, 이전 또는 변경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영구주소록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영구주소록이 변경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주소록이 연동하여 변경되도록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에 대한 수발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발신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수발신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구주소록 저장단계 및 상기 임시주소록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주소록으로부터 수신 또는 발신의 대상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정보 조회단계에 의해 조회되는 대상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주소록에 대한 검색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구주소록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영구주소록 및 상기 임시주소록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임시주소록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주소록 검색단계에 의해 검색되는 정보를 출처정보와 함께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주소록 저장단계에 저장된 지인정보에 대하여,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기간 동안에 수신 또는 발신된 수발신 이력이 설정된 값 미만인 지인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지인정보 검색단계에 의해 검색된 지인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며, 해당 지인정보의 삭제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삭제여부 문의단계에 의한 문의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삭제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임시주소록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임시주소록으로부터 대응하는 지인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KR1020150069927A 2015-05-19 2015-05-19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 KR20160136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927A KR20160136134A (ko) 2015-05-19 2015-05-19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927A KR20160136134A (ko) 2015-05-19 2015-05-19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134A true KR20160136134A (ko) 2016-11-29

Family

ID=5770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927A KR20160136134A (ko) 2015-05-19 2015-05-19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61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932B1 (ko) * 2019-01-02 2019-10-01 영남대학교산학협력단 소셜 네트워크 친구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친구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932B1 (ko) * 2019-01-02 2019-10-01 영남대학교산학협력단 소셜 네트워크 친구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친구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1346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viewing short messages on a wireless device
KR101552417B1 (ko) 연락처 사진 제공 방법, 관리 플랫폼 및 사용자 단말기
EP3264675A1 (en) Multimedia message service method and system
US20060242243A1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function for automaticaly determining unsolicited e-mails
JP6143973B2 (ja) 電話着信に対する返信方法、装置、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90100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Sharing of Multimedia Cont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P2372973A2 (en) Updates with context information
US9148507B2 (en) Identify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incoming telephone call
JP6614341B2 (ja) 管理サーバ、通信システム、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957306A (zh) 在通信终端共享信息的方法和设备
WO2019144624A1 (zh) 电话处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050099279A (ko) 프레전스 정보를 이용한 전자 명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82450B1 (ko) 사용자 컨텍스트에 기반한 메시징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6134A (ko) 주소록 관리 시스템, 주소록 관리장치, 주소록 관리서버, 및 그 주소록 관리방법
US11159675B2 (en) Method for telephonic linking of a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ple numbers
CN104796519A (zh) 一种终端
US20060047763A1 (en) Rapid email reading system and method of combining multiple electronic mailboxes and a short message
KR101707308B1 (ko) 통신 서버
KR100528590B1 (ko) 저장된 스팸 메일을 재전송하고 스팸 룰을 변경하는 등의처리를 행하는 스팸 메일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JP6763557B1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アドレス帳管理方法およびアドレス帳管理プログラム
CN104780252A (zh) 一种通讯录管理方法
JP2009027228A (ja) 着信履歴通知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66051A (ja) メールアドレス変更通知システム
KR101104156B1 (ko)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8254A (ko) 대표 전화 번호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는 단체 주소록 관리 장치, 단체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단체 주소록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