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951A -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951A
KR20160134951A KR1020150067084A KR20150067084A KR20160134951A KR 20160134951 A KR20160134951 A KR 20160134951A KR 1020150067084 A KR1020150067084 A KR 1020150067084A KR 20150067084 A KR20150067084 A KR 20150067084A KR 20160134951 A KR20160134951 A KR 20160134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medication
drug
information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우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5006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4951A/ko
Publication of KR2016013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2007/040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약 복용 시 복약을 감지하는 캡슐에 있어서, 복약 감지용 캡슐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 전원부, 상기 캡슐의 본체 외부에 형성되고 전기가 흐를 수 있는 한 쌍의 도체 성분의 소자, 및 상기 구동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도체 성분의 소자에 흐는 전기를 감지하여 상기 캡슐이 인체에 복약되었음을 검출하며, 상기 복약되었음이 검출되면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CAPSULE FOR DETECTING MED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에 내장하거나 상기 복용할 약 이외에 추가로 제공되는 더미(Dummy) 캡슐을 통해 사용자의 복약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성질환 환자나 고령자에 있어 지속적 복약 관리는 질병의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하지만, 고령자의 경우 기억력 감퇴 등의 원인으로 인해 별도의 복약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실제 정확한 시간에 주기적으로 약을 복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 인하여 주기적인 약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예컨대 기존에 복약 관리를 위한 기술의 하나로는 약상자를 통해 약 복용 시간을 알람해 주는 형태, 즉 약을 날짜 또는 시간대로 구분되는 칸에 수납하고, 지정된 시간에 시간을 알람을 해 주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복약 지원 장치들은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단지 사용자가 복용할 약을 배출하고 주변 상황을 기초로 약 복용 여부를 추정만 할 뿐, 사용자가 실제로 약을 복용하는지 여부는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99572호(2003.09.16.등록, 양방향 통신 텔레메트리 캡슐)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에 내장하거나 상기 복용할 약 이외에 추가로 제공되는 더미(Dummy) 캡슐을 통해 사용자의 복약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은, 약 복용 시 복약을 감지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에 있어서, 복약 감지용 캡슐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 전원부; 상기 캡슐의 본체 외부에 형성되고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도체 성분의 소자; 및 상기 구동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도체 성분의 소자에 흐는 전기를 감지하여 상기 캡슐이 인체에 복약되었음을 검출하며, 상기 복약되었음이 검출되면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은, 위산에 녹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는 캡슐 본체; 및 상기 캡슐 본체를 외부에서 둘러싸며 위산에 녹는 소재로 형성되는 코팅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팅막은, 젤라틴과 글리세린의 조합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연질 캡슐이나 경질 캡슐로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캡슐 본체의 외부에 가루나 결정성 약을 알약 형태로 뭉쳐서 고형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은, 실제 복용할 약이 충전된 캡슐 이외의 더미(Dummy) 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원부는, 흔들림을 이용해 발전하는 방식, 및 상기 도체 성분의 소자 간의 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 발전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자가 발전 방식에 의해 구동 전원을 제공하거나, 무선전력전송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 충전캡(CAP)이나 배터리에 의해 미리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는, 복약 시점의 현재 시간과 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내부 타이머를 통해 자체적으로 현재 시간을 측정하거나, 퍼스널 디스펜서나 관리 서버로부터 시간 정보를 무선 방식으로 수신하여 현재 시간을 측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 정보는 복용할 약 정보, 복용할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와 개수, 및 약을 복용할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도체 성분의 소자를 통신 단자로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는, 기 설정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체 성분의 소자를 통해 장기 내의 산도, 염도, 위전도도, 장전도도, 운동성, 임피던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의 제어 방법은, 약 복용 시 복약을 감지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복약 검출부를 통해 상기 캡슐이 복약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캡슐의 복약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 정보는, 상기 제어부의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며, 복용할 약 정보, 복용할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와 개수, 및 약을 복용할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 정보는, 상기 캡슐이 포장된 약포에 기록된 정보와 동일하며, 상기 캡슐을 약포에 포장할 때 약 포장기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혹은 상기 약포가 퍼스널 디스펜서에 수납되거나 배출될 때 상기 약포에 기록된 정보를 상기 퍼스널 디스펜서가 읽어 상기 제어부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이 복약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약 검출부는, 상기 캡슐의 본체 외부에 형성되고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도체 성분의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약 시점의 현재 시간과 약 정보를 포함하는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를 기 설정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복약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약 검출부를 통해 장기 내의 산도, 염도, 위전도도, 장전도도, 운동성, 임피던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생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에 내장하거나 상기 복용할 약 이외에 추가로 제공되는 더미(Dummy) 캡슐을 통해 사용자의 복약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복약 감지용 캡슐에서 전송되는 복약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의 외관 형상은, 위산에 녹지 않는 캡슐 본체(100),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의 본체(100)를 외부에서 둘러싸며 위산에 녹는 코팅막(2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의 본체(100)와 코팅막(200)의 사이에는 복약 검출부(110)가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복약 검출부(110)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도체 성분의 소자(111, 112)가 적어도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코팅막(200)이 위산에 의해 제거된 후 장(예 : 위장, 소장, 대장 등) 내부의 액체 성분에 의해 상기 두 소자(111, 112)가 도통되어 전기가 흐르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복약되었음이 검출된다.
상기 도체 성분의 소자(111, 112)는 통신부(140)가 통신 단자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가 상기 도체 성분의 소자(111, 112)를 통해 장기 내의 산도, 염도, 위전도도, 장전도도, 운동성, 임피던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신호는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이 복약된 후 장내의 주변 환경에 관련된 환경신호를 포괄한다.
상기 코팅막(200)은 또 하나의 캡슐(예 : 연질 캡슐 또는 경질 캡슐)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캡슐은, 맛이나 냄새, 색상 등이 좋지 않은 과립이나 액상물을 충전하여 복용하기 쉽게 만든 일종의 알약으로서, 젤라틴을 원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연질 캡슐은 젤라틴에 30%의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제조되고, 상기 경질 캡슐은 젤라틴에 50~60%의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막(200) 뿐만 아니라 복약 감지용 캡슐 본체(100)도 수용성 성분으로 구성함으로써 복약 감지 동작을 수행한 이후 장기 내부에서 녹아서 자연적으로 분해(또는 분리)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가령 상기 캡슐 본체(100)를 무결정 소재(예 : indium gallium zinc oxide(a-IGZO))와 프린팅 디바이스 제조 방법을 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슐 본체(100)가 녹아 분해되는 시간은 상기 코팅막(200)이 녹아 분해되는 시간보다 더 길게 구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해(또는 분리)되는 시간이 조절되게 구현함으로써 복약 후 특정 장기(예 : 대장, 소장 등)에서 캡슐 본체(100)가 분해(또는 분리)되어 그 캡슐 본체(100)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던 약이 배출되어 약효가 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복약 감지용 캡슐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으며, 복약 감지용 캡슐 내부의 구성 요소가 많고 적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모든 구성 요소를 하나의 칩 형태로 제작할 경우 가로*세로가 2mm 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작 가능한 점을 고려할 때 실제의 복약용 캡슐보다 상당히 작은 사이즈로 구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과 상기 코팅막(200)(또는 외부 캡슐)의 사이에 복용할 약을 충전하는 방식, 혹은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의 외부에 가루나 결정성 약을 통상적인 알약 형태로 뭉쳐서 고형(단단하고 굳은 형체가 되게 함) 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을 사용자가 복용할 캡슐(또는 알약)에 내장(또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약 감지용 캡슐이 복용 캡슐(또는 알약)에 내장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캡슐 형태로 그 형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사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은 상기 복용할 약 이외에 더미(Dummy) 캡슐로서 추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더미 캡슐로서 제공되는 복약 감지용 캡슐의 외관 형상은 일반적으로 복용하는 캡슐 형태의 알약과 동일한 외관 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기존의 캡슐 형태의 알약과 외관 형상이 동일해야 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외관만 비교했을 때, 사용자가 약으로서 복용할 캡슐인지 복약 감지용 캡슐인지를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은, 위산에 녹지 않는 캡슐 본체(100), 복약 검출부(110), 구동 전원부(120), 제어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복약 검출부(110)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도체 성분의 소자(111, 112)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코팅막(200)이 위산에 의해 제거된 후 장(예 : 위장, 소장, 대장 등) 내부의 액체 성분에 의해 상기 두 소자(111, 112)가 도통되어 전기가 흐르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복약되었음이 검출된다.
상기 구동 전원부(120)는 복약 전 약포에 포장된 상태에서의 흔들림, 또는 복약 후 장의 연동 운동에 따른 흔들림을 이용한 발전, 상기 도체 성분의 소자 (111, 112) 간의 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발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자가 발전 방식에 의해 구동 전원을 생성하여 복약 감지용 캡슐에 구동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전력전송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 충전캡(CAP)이나 배터리에 의해 미리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복약 감지용 캡슐에 구동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전원부(120)에서 생성된 구동 전원은 상기 복약 검출부(110) 및 제어부(130)에 구동 전원으로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구동 전원부(120)는 자가 발전을 통해 상기 복약 검출부(110) 및 제어부(130)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점에서 단지 배터리의 충전 전원만 이용하여 구동 전원으로 제공하는 장치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배터리는 충전에 어려움이 있으며, 충전되었다고 하더라도 복약 전에 자연 방전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지 못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구동 전원부(120)는 자가 발전 방식과 충전 방식이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동 전원부(120)는 무선전력전송 방식을 통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캡슐 본체(100)의 외부에 노출된 한 쌍의 전극(예 : 재질이 다른 복수의 도전성 전극)(또는 복약 검출부의 복수의 도전성 소자)을 통한 산화/환원 반응에 의한 방식으로 자가 발전할 수도 있으며, 장의 연동 운동에 의한 흔들림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가 발전된 전원을 내부 충전 수단(예 : 충전캡, 배터리)(미도시)에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복약 검출부(110)를 통해 복약되었음이 검출되면 현재의 시간(즉, 복약 시점의 현재 시간)을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내부 타이머(미도시)를 통해 자체적으로 시간을 측정할 수도 있고, 외부의 퍼스널 디스펜서(500)나 관리 서버(400)로부터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복약이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현재 시간(즉, 복약이 검출된 시간)과 약 정보(즉, 바코드나 QR코드 또는 무선 태그(Tag) 등에 의해 약포에 인쇄되거나 부착된 정보)를 포함하여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를 기 설정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를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수신부는 퍼스널 디스펜서(500)나 관리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정보(예 : 시간 정보, 제어 정보 등)를 무선 수신한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제어부(130)가 생성한 복약 감지 메시지를 외부로 무선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복약 감지 메시지는 상기 퍼스널 디스펜서(500)나 관리 서버(400)가 수신한다.
참고로 상기 퍼스널 디스펜서(500)는 약포 카트리지(예 : 약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약포 패키지를 수납하고 상기 퍼스널 디스펜서에 장착하기 쉽도록 만든 카트리지)를 장착한 후, 기 설정된 복약 시간이 되었거나 사용자로부터 복약 요청이 있을 경우, 1회 복용분의 약포를 자동으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퍼스널 디스펜서(500)는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에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발전 수단(미도시) 및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이 출력한 복약 감지 메시지(즉, 캡슐이 복약되었음을 감지하여 알려주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 신호가 크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상기 관리 서버(400)가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로부터 출력되는 복약 감지 메시지를 직접 수신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퍼스널 디스펜서(500)의 통신 수단(미도시)을 일종의 중계기(즉, 신호 중계기)로 활용하여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로부터 수신된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상기 관리 서버(400)에 중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의 출력이 충분히 강하거나 상기 관리 서버(400)가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에 가까이 있을 경우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를 직접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복약 감지용 캡슐에서 전송되는 복약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상기 관리 서버(400)나 상기 퍼스널 디스펜서(500)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독립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에서 전송되는 복약 감지 메시지의 수신 장치(300)는, 통신부(310), 무선전력전송부(320), 제어부(330), 및 저장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에서 전송되는 복약 감지 메시지(또는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에서 검출하여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에 관련된 정보(예 : 캡슐 제어정보, 시간 정보 등)를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에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부(320)는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에 무선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구동 전원을 자가 발전하게 하거나, 내부의 충전 수단(예 : 충전캡, 배터리 등)에 구동 전원을 충전하게 한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복약 감지 메시지(또는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에서 검출하여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디코딩하여 그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340)에 누적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복약 확인 요청 시 상기 저장부(340)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예 : 문서화 처리, 그래픽 처리 등)하여 지정된 장치(예 : 스마트폰, 모니터 등)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수신된 복약 감지 메시지(또는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에서 검출하여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부터 약의 유효기간(또는 유통기간)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유효기간(또는 유통기간)이 지난 약을 복용하였는지 확인하거나, 약품 간의 성분을 체크해 중복 복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복용량이 초과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부작용 및 합병증, 약물 오남용, 혼용 위험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상기 복약 검출부(110)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 캡슐이 복약되었는지 감지한다(S101).
상기 제어부(1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 캡슐의 복약이 감지되면, 감지된 시점의 현재 시간(즉, 복약이 검출된 시점의 현재 시간)을 검출한다(S102).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검출된 현재 시간(즉, 복약이 검출된 시점의 현재 시간)과 약 정보(약포에 인쇄되거나 부착된 정보와 동일 또는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생성한다(S103).
예컨대 상기 약포에는 바코드나 QR코드 또는 무선 태그(Tag)가 인쇄되거나 부착되어, 상기 퍼스널 디스펜서(500)가 상기 약포에 기록된 정보(예 : 복용할 약 정보, 복용할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와 개수, 약을 복용할 사용자 정보 등)를 읽어 사용자가 복용할 약포가 지정된 시간에 정확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약포에 기록되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예 : 복용할 약 정보, 복용할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와 개수, 약을 복용할 사용자 정보 등)가 상기 제어부(130)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도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는 정보(예 : 복용할 약 정보, 복용할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와 개수, 약을 복용할 사용자 정보 등)는 약포에 포장 시 약 포장기(미도시)에 의해서 저장(기록 또는 변경)되거나, 상기 약포가 상기 퍼스널 디스펜서(500)에 수납되거나 배출될 때 상기 약포에 기록된 정보를 상기 퍼스널 디스펜서(500)가 읽어 저장(기록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생성된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에 무선 출력한다(S104).
이때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이 무선 출력하는 복약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누적 관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감지용 캡슐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이 무선 출력한 복약 감지 메시지를 수신한다(S201).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상기 수신된 복약 감지 메시지를 디코딩한다(S202).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는 현재 시간(즉, 복약이 검출된 시점의 현재 시간)과 약 정보(예 : 복용할 약 정보, 복용할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와 개수, 약을 복용할 사용자 정보 등)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을 디코딩한다.
그리고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의 디코딩된 정보를 종류별로 내부 메모리(또는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한다(S203).
이 후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복약 확인이 요청될 경우, 상기 내부 메모리에 누적 저장된 복약 감지 메시지의 정보들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예 : 문서화 처리, 그래픽 처리 등)하여 지정된 장치(예 : 스마트폰, 모니터 등)에 출력한다(S204).
예컨대 상기 복약 확인 요청은 미리 지정된 사용자(예 : 사용자 자신, 병원 관계자, 보호자, 보험사 등)로 한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약 감지용 캡슐을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에 내장(또는 포함)하거나 사용자가 복용할 약 이외에 추가로 제공되는 더미(Dummy) 캡슐을 통해 사용자의 복약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캡슐 본체
110 : 복약 검출부
111 : 제1 전극
112 : 제2 전극
120 : 구동 전원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200 : 코팅막
300 : 복약 감지 메시지 수신 장치
400 : 관리 서버
500 : 퍼스널 디스펜서

Claims (17)

  1. 약 복용 시 복약을 감지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에 있어서,
    복약 감지용 캡슐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 전원부;
    상기 캡슐의 본체 외부에 형성되고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도체 성분의 소자; 및
    상기 구동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도체 성분의 소자에 흐는 전기를 감지하여 상기 캡슐이 인체에 복약되었음을 검출하며, 상기 복약되었음이 검출되면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은,
    위산에 녹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는 캡슐 본체; 및
    상기 캡슐 본체를 외부에서 둘러싸며 위산에 녹는 소재로 형성되는 코팅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막은,
    젤라틴과 글리세린의 조합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연질 캡슐이나 경질 캡슐로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캡슐 본체의 외부에 가루나 결정성 약을 알약 형태로 뭉쳐서 고형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감지용 캡슐은,
    실제 복용할 약이 충전된 캡슐 이외의 더미(Dummy) 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원부는,
    흔들림을 이용해 발전하는 방식, 및 상기 도체 성분의 소자 간의 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 발전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자가 발전 방식에 의해 구동 전원을 제공하거나,
    무선전력전송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 충전캡(CAP)이나 배터리에 의해 미리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는,
    복약 시점의 현재 시간과 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내부 타이머를 통해 자체적으로 현재 시간을 측정하거나,
    외부의 특정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를 무선 방식으로 수신하여 현재 시간을 측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약 정보는 복용할 약 정보, 복용할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와 개수, 및 약을 복용할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도체 성분의 소자를 통신 단자로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는,
    기 설정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체 성분의 소자를 통해 장기 내의 산도, 염도, 위전도도, 장전도도, 운동성, 임피던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감지용 캡슐.
  12. 약 복용 시 복약을 감지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복약 검출부를 통해 상기 캡슐이 복약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캡슐의 복약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의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약 정보는,
    상기 제어부의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며,
    복용할 약 정보, 복용할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와 개수, 및 약을 복용할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의 제어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약 정보는,
    상기 캡슐이 포장된 약포에 기록된 정보와 동일하며,
    상기 캡슐을 약포에 포장할 때 약 포장기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혹은
    상기 약포가 퍼스널 디스펜서에 수납되거나 배출될 때 상기 약포에 기록된 정보를 상기 퍼스널 디스펜서가 읽어 상기 제어부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의 제어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이 복약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약 검출부는,
    상기 캡슐의 본체 외부에 형성되고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도체 성분의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의 제어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약 시점의 현재 시간과 약 정보를 포함하는 복약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복약 감지 메시지를 기 설정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의 제어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복약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약 검출부를 통해 장기 내의 산도, 염도, 위전도도, 장전도도, 운동성, 임피던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생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감지용 캡슐의 제어 방법.
KR1020150067084A 2015-05-14 2015-05-14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4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84A KR20160134951A (ko) 2015-05-14 2015-05-14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84A KR20160134951A (ko) 2015-05-14 2015-05-14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951A true KR20160134951A (ko) 2016-11-24

Family

ID=5770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084A KR20160134951A (ko) 2015-05-14 2015-05-14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49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946A (ko) 2021-11-15 2023-05-23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대사질환 개선용 생체발광 캡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946A (ko) 2021-11-15 2023-05-23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대사질환 개선용 생체발광 캡슐
KR20240010706A (ko) 2021-11-15 2024-01-2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혈당 개선용 생체발광 캡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6691B2 (en)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s for administration of oral transmucosal dosage forms
KR102460386B1 (ko) 환자 준수상태를 모니터하고 촉진하기 위한 눈에 잘 띄지 않는 무선 전자 시스템
CN102548525B (zh) 药物分配器
US20180271752A1 (en) Drug delivery capsules with external intelligence
US2019011758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on-demand customized medicament doses by 3d printing
CN101730516B (zh) 用于口腔跨粘膜剂型给药的存储和分配装置
KR101661509B1 (ko) 섭취 가능한 다중 모드의 통신 이벤트 마커 및 시스템과, 이를 사용하는 방법
WO2018149391A1 (zh) 智能药丸盒及基于其的药丸流通方法和系统
TW201317931A (zh) 包括供其用之通訊系統的多味藥劑共同包裝藥物劑量單元
RU2014104693A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помещенная в заглатываемый продукт
JP2014528780A (ja) 携帯型薬剤ディスペンサー
US88425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iming dosage periods
KR20160134951A (ko) 복약 감지용 캡슐 및 그 제어 방법
JP2018536511A (ja) 通信型薬品パッケージング
CN111787902B (zh) 同步药品跟踪系统
EP3076954A1 (en) Dosage form articles
WO2019021318A1 (en) SCANNED, PORTABLE, CONSOLID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TIME MULTI-RATE DIFFERENCE DISTRIBUTION, TRACKING, AND COMMUNICATION AND INCLUDING RECHARGE MECHANISM
CN101621994B (zh) 用于治疗疼痛的含舒芬太尼的小量口腔跨粘膜剂型
KR20100004043U (ko) 다용도 알리미 약상자
KR101510512B1 (ko) 개인 식별 rfid 태그를 이용한 경구 약물 복약 순응도 감시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