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010A -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010A
KR20160134010A KR1020150067364A KR20150067364A KR20160134010A KR 20160134010 A KR20160134010 A KR 20160134010A KR 1020150067364 A KR1020150067364 A KR 1020150067364A KR 20150067364 A KR20150067364 A KR 20150067364A KR 20160134010 A KR20160134010 A KR 20160134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alloy
coating
iron pip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675B1 (ko
Inventor
박정용
김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67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16L58/0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F16L58/08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12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praying
    • C23C4/123Spraying molten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By Spraying Or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식 처리된 철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관의 표면에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합금을 용사하여 합금용사 피막층을 형성한 후 침투성이 강한 보강 도장을 함으로써, 철관의 부식 방지를 극대화한 코팅으로 인하여 방식 처리된 철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의 형태를 가지는 철관에 있어서, 상기 철관을 방식하기 위하여 상기 철관의 표면에 금속합금이 용사되어 형성되는 합금용사 피막층; 및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의 표면에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의 기공에 침투하기 위한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공침투용 도료가 도장되어 형성되는 피막침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 및 이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방식 처리된 철관 및 이의 제조방법{Corrosion protected iron pip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식 처리된 철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관의 표면에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합금을 용사하여 합금용사 피막층을 형성한 후 침투성이 강한 도장을 보강함으로써, 철관의 부식 방지가 극대화된 코팅을 이루어 방식 처리된 철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관은 주로 상하수도관과 기타 액체의 수송에 사용되는 것으로, 대부분 지하에 매설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외부환경에 견디도록 내·외주면에 도장을 시행한다.
예컨대, '은나노를 코팅한 상수도용 철관(공개번호:10-2008-0070304)'에서는 상수도용 강관 또는 주철관 내측면을 라이닝 처리하는 합성수지에 은나노 분말을 포함시켜 제1 은나노 포함 합성수지막을 형성하며, 제1 은나노 포함 합성수지막의 표면에 은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미세한 합성수지 분말을 분사하여 제2 은나노 코팅막을 형성함으로써, 철관이 산화되어 녹이 발생 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하였다.
한편 기존의 철관을 방식하는 방법으로는, 역청질계 방식 도료를 도장하는 방법 또는 아연 용사 후 역청질계 방식 도료를 도장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해수 영향을 받는 지역이나 매립지 등의 고부식성 토양에서는 보다 높은 방식효과를 얻기 위해 현장에서 PE슬리브를 추가로 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PE슬리브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시공방법 및 주의사항을 숙지해야 하고, 별도의 인건비와 시공시간이 소요되며, 작업자의 숙련도나 주변환경에 따라 잘못된 시공을 하였을 경우 적절한 방식 효과를 얻기 어렵거나 PE슬리브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어왔으므로, 현재 철관을 방식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0304호, 2008.07.30.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철관의 표면에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합금을 용사하여 합금용사 피막층을 형성한 후 침투성이 강한 보강 도장을 함으로써 철관의 부식 방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식 처리된 철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의 형태를 가지는 철관에 있어서, 상기 철관을 방식하기 위하여 상기 철관의 표면에 금속합금이 용사되어 형성되는 합금용사 피막층; 및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의 표면에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의 기공에 침투하기 위한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공침투용 도료가 도장되어 형성되는 피막침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막침투층의 표면에는,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과 상기 피막침투층을 보호하기 위한 에폭시 변성 알키드계 도료로 이루어진 피막보호층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합금은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이되, 상기 아연합금은, 아연 60~90 wt%, 주석 0.1~30 wt% 및 마그네슘 0.1~10 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금속합금은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이되, 상기 아연합금은, 아연 50~90 wt%, 알루미늄 0.1~40 wt% 및 마그네슘 0.1~10 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금속합금은,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주금속을 포함하되,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큰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금속 0.01~5 wt%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의 형태를 가지는 철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철관을 방식하기 위하여 상기 철관의 표면에 금속합금을 용사하여 합금용사 피막층을 형성하는 피막 형성단계; 및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의 표면에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의 기공에 침투하기 위한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공침투용 도료를 도장하여 피막침투층을 형성하는 피막침투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막침투층 형성단계의 다음에는, 상기 피막침투층의 표면에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과 상기 피막침투층을 보호하기 위한 에폭시 변성 알키드계 도료를 도장하여 피막보호층을 형성하는 피막보호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막 형성단계의 금속합금은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이되, 상기 아연합금은, 아연 60~90 wt%, 주석 0.1~30 wt% 및 마그네슘 0.1~10 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피막 형성단계의 금속합금은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이되, 상기 아연합금은, 아연 50~90 wt%, 알루미늄 0.1~40 wt% 및 마그네슘 0.1~10 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피막 형성단계의 금속합금은,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주금속을 포함하되,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큰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금속 0.01~5 wt%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피막침투층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기공침투용 도료가 20~60g/m2의 도포량으로 도포되어 피막침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방식 처리된 철관 및 이의 제조방법은, 철관의 표면에 함금용사 피막, 피막침투층 및 피막보호층을 형성함에 따라 철관 표면 코팅의 내식성, 물리적인 내충경석, 내압축성, 내마모성, 화학적인 내식성 및 내약품성 등을 향상시킴으로써 철관의 방식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현장 시공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의 형태를 가지는 철관(P)에 합금용사 피막층(100), 피막침투층(200) 및 피막보호층(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철관(P)은 용융 상태의 주물을 원심주조 형틀에 넣어 원심 회전력으로 제조되는데, 이러한 철관(P)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정도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합금용사 피막층(100)은 철관(P)을 방식하기 위하여 철관(P)의 표면에 금속합금이 용사되어 형성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금속합금은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으로써, 아연 60~90 wt%, 주석 0.1~30 wt% 및 마그네슘 0.1~10 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금속합금은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으로써, 아연 50~90 wt%, 알루미늄 0.1~40 wt% 및 마그네슘 0.1~10 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금속합금은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주금속을 포함하되,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큰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금속 0.01~5 wt%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막침투층(200)은 합금용사 피막층(100)의 표면에 합금용사 피막층(100)의 기공에 침투하기 위한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공침투용 도료가 도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피막보호층(300)은 추가적인 구성으로써, 피막침투층(200)의 표면에 합금용사 피막층(100)과 피막침투층(200)을 보호하기 위한 에폭시 변성 알키드계 도료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술한 합금용사 피막층(100), 피막침투층(200) 및 피막보호층(300)의 더욱 구체적인 설명과 더불어, 이로 이루어진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해보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은 전처리단계, 피막 형성단계, 피막침투층 형성단계 및 피막보호층 형성단계로 나누어질 수 있다.
먼저, 전처리단계는 내부에 중공의 형태를 가지는 철관(P)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S100)
앞서, 철관(P)은 고열로 제조된 후 식으면서 수축하게 되는데, 이때 철관(P)의 표면에 크랙과 핀홀 등의 미세한 틈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미세한 틈으로 인하여 철관(P)의 표면이 거칠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철관(P) 표면의 미세한 틈에 미생물 등이 부착해 번식하게 되면서 스케일이나 이물질이 발생하기도 한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전처리단계는 방식 처리에 저해를 주는 결함요소인 스케일이나 이물질이 잔존하는 철관(P)의 표면을 Brushing 또는 Blasting하여 이를 제거함으로써, 철관(P)을 세정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막 형성단계는 이물질이 제거된 철관(P)을 방식하기 위하여 철관(P)의 표면에 금속합금을 용사하여 합금용사 피막층(1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S200)
즉, 피막 형성단계는 전처리단계를 통과한 철관(P) 양측에 회전형 콘타입의 치구로 고정한 후, 철관(P)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철관(P)의 표면에 금속합금을 용사하여 코팅하는 단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이 제거된 철관(P)을 이송수단을 통해 관 정렬장치에 위치시킨 후 철관(P)의 양측을 고정시킨다. 이처럼 고정된 철관(P)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철관(P)의 표면에 금속합금을 용사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본 단계의 금속합금은 방식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등의 코팅 성능이 우수한 합금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세 가지의 종류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1) 금속합금은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이되, 아연 60~90 wt%, 주석 0.1~30 wt%와 마그네슘 0.1~10 wt%가 포함된 Zn-Sn-Mg 합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아연은 활성적인 금속으로써, 철관(P)의 성분인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므로 철관(P)의 표면을 보호하며, 아연이 파괴되어도 아연의 이온화경향이 크기 때문에, 아연이 이온화되고 철은 이온화되지 않는 아연의 방식에 의해 철관(P)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만약 아연이 60 wt% 미만으로 첨가되면 철관(P)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기에는 미미할 수 있으며, 90 wt%를 초과하면 그 이하의 양을 첨가한 것과 비교하여 어떤 탁월한 효과가 발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아연합금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아연은 60~90 wt%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아연의 함량은 단지 예로 나타낸 것일 뿐,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 중 주석과 마그네슘의 함량을 제외한 나머지의 양이 되게끔 유동성있게 조절 가능하다.
상기 주석은 쉽게 산화되지 않으며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크므로, 아연합금의 부식을 막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주석이 0.1 wt% 미만으로 첨가되면 아연합금의 부식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30 wt%를 초과하면 열에 노출되었을시 오히려 취성을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주석은 0.1~30 wt%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은 아연의 내구성과 내식성으로 인하여 철관(P)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마그네슘이 0.1 wt% 미만이면 형성되는 합금용사 피막층(100)의 내구성과 내식성을 보조하여 유지하기에는 미미한 양이며, 10 wt%를 초과하면 그 이하의 양을 첨가한 것과 비교하여 우수한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기계적 성질로 산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마그네슘은 0.1~10 wt%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금속합금은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이되, 아연 50~90 wt%, 알루미늄 0.1~40 wt%와 마그네슘 0.1~10 wt%를 포함된 Zn-Al-Mg 합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아연은 활성적인 금속으로써, 철관(P)의 성분인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므로 철관(P)의 표면을 보호하며, 아연이 파괴되어도 아연의 이온화경향이 크기 때문에, 아연이 이온화되고 철은 이온화되지 않는 아연의 방식에 의해 철관(P)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만약 아연이 50 wt% 미만으로 첨가되면 철관(P)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기에는 미미할 수 있으며, 90 wt%를 초과하면 그 이하의 양을 첨가한 것과 비교하여 어떤 탁월한 효과가 발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아연합금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아연은 50~90 wt%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아연의 함량은 단지 예로 나타낸 것일 뿐,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 중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의 함량을 제외한 나머지의 양이 되게끔 유동성있게 조절 가능하다.
상기 알루미늄은 침식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좋고, 전성(展性), 연성(延性)이 풍부하고 비중이 작으며, 인장강도, 열, 전기의 전도성이 크고 대기중에서의 내식성이 강하므로, 합금용사 피막층(100)의 경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내식성, 내구성,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알루미늄이 0.1 wt% 미만이면 인장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40 wt%를 초과하면 경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알루미늄은 아연합금의 0.1~40 wt%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은 아연의 내구성과 내식성으로 인하여 철관(P)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마그네슘이 0.1 wt% 미만이면 형성되는 합금용사 피막층(100)의 내구성과 내식성을 보조하여 유지하기에는 미미한 양이며, 10 wt%를 초과하면 그 이하의 양을 첨가한 것과 비교하여 우수한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기계적 성질로 산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마그네슘은 0.1~10 wt%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금속합금은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주금속을 포함하되,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큰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금속 0.01~5 wt%이 더 포함된 금속합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세 번째 경우는 추가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는데,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큰(비한) 금속인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가능하다는 의미로써, 주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합금 중에서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큰(비한) 금속인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금속이 0.01~5 wt%의 범위로 첨가된 금속합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금속합금의 대부분을 이루는 주금속 또한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큰 금속이므로, 이러한 주금속의 철관(P) 방식 기능을 보조해주기 위하여 부금속은 0.01~5 wt%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주금속은 95~99.99 wt%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피막침투층 형성단계는 합금용사 피막층(100)의 표면에 합금용사 피막층(100)의 기공에 침투하기 위한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공침투용 도료를 도장하여 피막침투층(2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S300)
구체적으로, 피막침투층(200)은 철관(P)의 표면에 용사된 합금용사 피막층(100)에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으나 현미경으로 1000배 확대 관찰하여 발견되는 미세한 기공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합금용사 피막층(100) 자체로는 기공으로 인해 활성화상태가 되어 오염이 되기 쉽다. 예컨대, 기공에 여러 이물질 등이 흡착되면 방식을 저해하여 생산성의 비효율성이 부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막침투층 형성단계에서는 침투성과 수밀성이 우수한 기공침투용 도료를 기공 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막아 합금용사 피막층(100)의 표면 강도를 개선시키고, 에폭시계 수지의 입자 침투성능에 의해 합금용사 피막층(100)과의 강력한 부착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공침투용 도료는 합금용사 피막층(100)의 표면에 20~60g/m2의 도포량으로 도포되는데, 20g/m2 미만으로 도포되면 합금용사 피막층(100)을 보강하기에 역부족하여 합금용사 피막층(100)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60g/m2를 초과하여 도포하면 피막침투층(200)의 도막이 형성되었을 때 표면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공침투용 도료는 20~60g/m2의 도포량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30g/m2 이상으로 도포되는 것이라면 어느정도의 양으로 도포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기공침투용 도료는 에어리스 도장기, 롤러 및 붓 등의 기구를 사용해 철관(P)의 모서리 등에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상기한 기구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만이 아니라 기공침투용 도료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기구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마지막으로, 피막보호층 형성단계는 추가적인 단계로써 피막침투층(200)의 표면에 합금용사 피막층(100)과 피막침투층(200)을 보호하기 위한 에폭시 변성 알키드계 도료를 도장하여 피막보호층(3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S400)
내용인즉, 피막보호층(300)은 철관(P)의 표면에 코팅된 합금용사 피막층(100)과 피막침투층(200)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것으로, 피막보호층 형성단계는 속건성 에폭시 변성 알키드계 (수지)도료를 추가 도장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무수한 실험을 해본 결과, 에폭시 변성 알키드계 도료가 피막보호층(300)으로 형성되면서 계면에서 성장할 수 있는 곰팡이 등 미생물의 유기산에 의하여 계면 산화현상과 결로현상이 발생함에 따른 계명부착성능 저하를 방지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철관(P)의 표면에 합금용사 피막층(100)과 피막침투층(200)을 차례대로 형성한 후, 피막보호층(300)으로 마무리함에 따라 합금용사 피막층(100)과 피막침투층(200)의 보호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방법의 대안으로, 다양한 형태의 철관(P) 표면에 아연성분 도장 및 아연성분에 첨가분을 함유한 도장을 함으로써 부식방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복잡한 형태의 철관(P) 표면에 스케일이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아연화학 성분을 함유한 도료를 이용하여 철관 표면에 도장한 후, 아연화학 성분을 함유한 도료를 도장한 표면에 에폭시 변성 알키드계 도료를 도장하는 순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식 처리된 철관 및 이의 제조방법은, 철관의 표면에 함금용사 피막, 피막침투층 및 피막보호층을 형성함에 따라 철관 표면 코팅의 내식성, 물리적인 내충경석, 내압축성, 내마모성, 화학적인 내식성 및 내약품성 등을 향상시킴으로써, 철관의 방식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합금용사 피막층
200: 피막침투층
300: 피막보호층
P: 철관

Claims (11)

  1. 내부에 중공의 형태를 가지는 철관에 있어서,
    상기 철관을 방식하기 위하여 상기 철관의 표면에 금속합금이 용사되어 형성되는 합금용사 피막층; 및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의 표면에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의 기공에 침투하기 위한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공침투용 도료가 도장되어 형성되는 피막침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침투층의 표면에는,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과 상기 피막침투층을 보호하기 위한 에폭시 변성 알키드계 도료로 이루어진 피막보호층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합금은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이되,
    상기 아연합금은,
    아연 60~90 wt%, 주석 0.1~30 wt% 및 마그네슘 0.1~10 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합금은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이되,
    상기 아연합금은,
    아연 50~90 wt%, 알루미늄 0.1~40 wt% 및 마그네슘 0.1~10 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합금은,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주금속을 포함하되,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큰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금속 0.01~5 wt%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
  6. 내부에 중공의 형태를 가지는 철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철관을 방식하기 위하여 상기 철관의 표면에 금속합금을 용사하여 합금용사 피막층을 형성하는 피막 형성단계; 및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의 표면에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의 기공에 침투하기 위한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공침투용 도료를 도장하여 피막침투층을 형성하는 피막침투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침투층 형성단계의 다음에는,
    상기 피막침투층의 표면에 상기 합금용사 피막층과 상기 피막침투층을 보호하기 위한 에폭시 변성 알키드계 도료를 도장하여 피막보호층을 형성하는 피막보호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형성단계의 금속합금은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이되,
    상기 아연합금은,
    아연 60~90 wt%, 주석 0.1~30 wt% 및 마그네슘 0.1~10 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형성단계의 금속합금은 아연을 포함한 아연합금이되,
    상기 아연합금은,
    아연 50~90 wt%, 알루미늄 0.1~40 wt% 및 마그네슘 0.1~10 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형성단계의 금속합금은,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주금속을 포함하되,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큰 아연, 주석,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금속 0.01~5 wt%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침투층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기공침투용 도료가 20~60g/m2의 도포량으로 도포되어 피막침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KR1020150067364A 2015-05-14 2015-05-14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KR10171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64A KR101717675B1 (ko) 2015-05-14 2015-05-14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64A KR101717675B1 (ko) 2015-05-14 2015-05-14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010A true KR20160134010A (ko) 2016-11-23
KR101717675B1 KR101717675B1 (ko) 2017-03-17

Family

ID=5754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364A KR101717675B1 (ko) 2015-05-14 2015-05-14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143A1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복합피복 강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피복 강관
KR102004152B1 (ko) * 2019-06-24 2019-07-26 주식회사 아텍 풍력발전기용 부품의 표면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109B1 (ko) 2022-11-11 2023-06-01 주식회사 수성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내부 몰탈을 충진한 지중 원형 파이프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0997A (en) * 1987-07-23 1989-02-01 Sumitomo Light Metal Ind Copper alloy pipe with inner-surface corrosionproof coated film for heat exchanger
KR100313990B1 (ko) * 1993-02-18 2001-12-28 장 슈터 지중매설배관용파이프부재,지중매설배관및이러한파이프부재의보호방법
JP2003166078A (ja) * 2001-11-30 2003-06-13 Maruyasu Industries Co Ltd 耐食性被覆層を有する金属管
KR20080070304A (ko) 2007-01-26 2008-07-30 케이더불유피티 주식회사 은나노를 코팅한 상수도용 철관
JP2009256792A (ja) * 2008-03-24 2009-11-05 Kubota Corp 外面防食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0997A (en) * 1987-07-23 1989-02-01 Sumitomo Light Metal Ind Copper alloy pipe with inner-surface corrosionproof coated film for heat exchanger
KR100313990B1 (ko) * 1993-02-18 2001-12-28 장 슈터 지중매설배관용파이프부재,지중매설배관및이러한파이프부재의보호방법
JP2003166078A (ja) * 2001-11-30 2003-06-13 Maruyasu Industries Co Ltd 耐食性被覆層を有する金属管
KR20080070304A (ko) 2007-01-26 2008-07-30 케이더불유피티 주식회사 은나노를 코팅한 상수도용 철관
JP2009256792A (ja) * 2008-03-24 2009-11-05 Kubota Corp 外面防食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143A1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복합피복 강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피복 강관
KR102004152B1 (ko) * 2019-06-24 2019-07-26 주식회사 아텍 풍력발전기용 부품의 표면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675B1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7382B1 (fr) Revêtement extérieur pour élément de tuyauterie enterré à base de fer, élément de tuyauterie revêtu et procédé de dépôt du revêtement
CN104736915B (zh) 具有外涂层的地埋管道用铁质管道元件
Momber Corrosion and corrosion protection of support structures for offshore wind energy devices (OWEA)
EP3041971B1 (fr) Revetement exterieur pour element de tuyauterie enterre a base de fer, element de tuyauterie revetu et procede de depot du revetement
KR101717675B1 (ko) 방식 처리된 철관의 제조방법
MX2011000771A (es) Recubrimiento protector para superficies metalicas.
JP2016199777A (ja) 耐食性に優れる塗装用鋼材
JP2702812B2 (ja) パイプライン用配管工事部材、対応するパイプライン、及び被覆による配管工事部材の保護方法
JP2007291440A (ja) 防蝕被膜およびその形成方法
CN202006621U (zh) 一种防腐涂料复合结构
JP2004315873A (ja) 防食化された鋼材および防食方法
Gaston Zinc-Coated Ductile Iron Pipe
Vernon The corrosion of metals
Zamanzadeh et al. Laboratory and field corrosion investigation of galvanized utility poles
CN202521160U (zh) 聚脲涂层复合管
JP2012107342A (ja) 鋼材の防食構造および方法
JPH11230482A (ja) ダクタイル鋳鉄管の外面防蝕方法
RU2201473C2 (ru) Способ долговременной защиты монументов от коррозии
Mobin et al. PREMATURE FAILURE OF REPAINTED EPOXY ON THE BOTTOM PLATE OF A MAIN FUEL OIL TANK-A CASE STUDY
Ihom et al. Evaluation Of Post-Weld Corrosion Behaviour Of Subsea Pipeline In A Marine Environment
JP4652247B2 (ja) 鋼材の保護方法
Surdu A METHOD OF CORROSION PROTECTION APPLIED TO HEAT EXCHANGERS INSTALLATIONS.
Bhattacharya et al. CORROSION IN INDUSTRIAL STEEL STRUCTURES AND MITIGATION
Walters FLAME‐SPRAYED PROTECTIVE COATINGS FOR IRON AND STEEL
Hoffman Zinc Coatings for the External Protection of Ductile Iron Water M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