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060A - 세포 배양 지지체 - Google Patents

세포 배양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060A
KR20160133060A KR1020150065478A KR20150065478A KR20160133060A KR 20160133060 A KR20160133060 A KR 20160133060A KR 1020150065478 A KR1020150065478 A KR 1020150065478A KR 20150065478 A KR20150065478 A KR 20150065478A KR 20160133060 A KR20160133060 A KR 20160133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ulture
fiber
fibers
culture support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769B1 (ko
Inventor
구송희
서인용
이승훈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50065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769B1/ko
Priority to CN201680018560.7A priority patent/CN107427606B/zh
Priority to US15/557,999 priority patent/US10689614B2/en
Priority to PCT/KR2016/004851 priority patent/WO2016182300A1/ko
Publication of KR2016013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7/4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27/48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with macromolecular 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30Synthet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30Synthetic polymers
    • C12N2533/40Polyhydroxyacids, e.g. polymers of glycolic or lactic acid (PGA, PLA, PLGA); Bioresorbabl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7/00Supports and/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9/00Supports and/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 배양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세포 배양 지지체는 세포를 부착시켜 배양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생분해성 고분자의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섬유 웹; 및 상기 세포가 상기 섬유 웹 내부로 침투하여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를 위하여, 상기 섬유에 형성된 다수의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포 배양 지지체{Cell culture scaffold}
본 발명은 세포 배양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 배양에 친숙한 배양 환경을 제공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세포 배양 후 체내에 이식이 가능하고, 세포 분화 후 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세포 배양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질병 치료에 배양 세포의 이용이 확대됨에 따라 세포 배양에 대한 관심 및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세포 배양은 세포를 생체로부터 채취하고, 생체 밖에서 배양시키는 기술이며, 배양된 세포는 피부, 장기, 신경 등 신체의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시켜 질병 치료에 활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세포 배양은 체내와 유사한 배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배양 지지체를 필요로 한다.
배양 지지체에서 배양되는 세포들은 부착 상태로 성장하며, 배양 지지체에 세포의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세포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포들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세포의 배양 환경을 더욱 최적화시키 위한 새로운 배양 지지체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53443호에는, 섬유 방사원액을 전기 방사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3차원 구조의 스펀지 형태의 섬유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지지체의 섬유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실 형상이고 지지체의 기공은 섬유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세포는 지지체의 미세한 기공을 통하여 지지체 내부로 침투하여 성장하는 것이 어려워, 세포의 2차원적 성장만 가능하게 하여 세포가 바람직한 형상과 골격을 가지고 성장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534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세포 배양에 친숙하고 적합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세포의 생존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세포 배양 지지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포 배양을 원활하게 하고, 세포 배양 후 체내에 이식하여 세포의 분화를 도와주고 그것이 끝나면 분해되어 체내에서 체외로 배출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세포 배양 지지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포 배양 지지체는, 세포를 부착시켜 배양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생분해성 고분자의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섬유 웹; 및 상기 세포가 상기 섬유 웹 내부로 침투하여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를 위하여, 상기 섬유에 형성된 다수의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포 배양 지지체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를 PLA, PLLA, PGA, PLGA, PCL 및 PDO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포 배양 지지체에서, 상기 섬유 및 상기 비드에 친수처리용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포 배양 지지체에서, 상기 친수처리용 첨가제는 Tween80, Pluronic, PVP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포 배양 지지체에서, 상기 섬유 웹은,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와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이 전기방사되어 얻어진 웹이고, 상기 방사용액의 점도는 50 ~ 2000cp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포 배양 지지체에서, 상기 섬유의 직경은 100㎚ ~ 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포 배양 지지체에서, 상기 비드의 직경은 상기 섬유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포 배양 지지체는, 비드가 형성된 제1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진 제1섬유 웹; 상기 제1섬유 웹에 비드가 형성된 제2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진 제2섬유 웹; 및 상기 제2섬유 웹에 비드가 형성된 제3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진 제3섬유 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포 배양 지지체에서, 상기 제2섬유의 직경은 상기 제1 및 제3섬유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포 배양 지지체에서, 상기 제1 및 제3섬유 웹의 두께는 상기 제2섬유 웹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포 배양 지지체에서, 상기 섬유 및 상기 비드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포 배양 지지체에서, 상기 섬유 및 상기 비드에 친수처리용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의 세포외 기질(ECM, Extra Cellular Matrix)과 가장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섬유 웹으로 세포 배양 지지체를 구현하여, 세포 배양에 친숙하고 적합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세포의 생존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포를 배양한 후 체내에 이식하여 세포의 분화를 도와주고 그것이 끝나면 분해되어 체내에서 체외로 배출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섬유 지지체로 이루어진 세포 배양 지지체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포 배양 지지체를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유 웹으로 구현하고, 섬유 웹의 섬유에 매달린 다수의 비드를 형성하여, 비드와 섬유 사이, 및 비드와 비드 사이에 확대된 공간을 마련하여, 배양되는 세포가 섬유 웹 내부로 침투하여 성장시켜, 세포의 형상 및 골격을 왜곡시키지 않고 성장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층으로 적층된 섬유 웹 구조로 세포 배양 지지체를 구현하여, 세포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세포가 적층 구조 내부로 침투하여 성장할 수 있고, 적층 구조 내부로 침투해서 성장된 세포가 적층 구조의 바닥면으로 빠져나오지 않게하여, 바람직한 형상 및 골격을 가지고 세포가 성장될 수 있는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비드 유무에 따른 섬유 웹의 SAM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지지체 내측으로 성장되는 세포가 침투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 방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적층된 세포 배양 지지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적층 구조의 세포 배양 지지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지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섬유가 축적되어 형성되고 다수의 기공이 구비된 섬유 웹을 세포 배양을 위한 지지체로 구성하고, 배양되는 세포가 섬유 웹 내부로 침투하여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섬유 웹의 섬유에 다수의 비드(bead)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적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세포 배양 지지체는 세포의 부착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3차원 구조를 가지고 있고, 체내에 부작용 없이 이식이 가능하고, 체내 이식 후 필요한 기능의 장기나 기관으로 분화된 다음, 분해될 수 있는 지지체이다.
즉,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지지체(100)는 세포를 부착시켜 배양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생분해성 고분자의 섬유(120)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125)이 형성된 섬유 웹(110); 및 상기 세포가 상기 섬유 웹(110) 내부로 침투하여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를 위하여, 상기 섬유(120)에 형성된 다수의 비드(13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섬유 웹(110)의 'A'영역의 확대도를 살펴보면,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유(120)는 불균일하게 축적되어 평판 형상의 섬유 웹(110)을 형성하고, 축적된 섬유(120) 사이에 다수의 기공(1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섬유(120)의 직경은 100㎚ ~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섬유(120)에 다수의 비드(1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드(130)의 직경은 섬유(120)의 직경보다 크며, 비드(130)는 생분해성 고분자가 뭉쳐진 덩어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모든 섬유(120)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비드(130)가 형성되거나, 또는 모든 섬유(120) 중 일부의 섬유(120)에 적어도 하나의 비드(1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와 용매를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고, 이 방사용액을 후술된 방사장치의 노즐에서 전기방사하여 비드(130)가 매달린 섬유(120)를 형성하고, 이 섬유(120)를 축적시켜 세포 배양 지지체(100)를 위한 섬유 웹(110)을 제조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비드를 가지는 섬유를 구현하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와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의 점도를 50 ~ 2000cps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방사용액의 점도가 50cps 미만이면 방사용액의 흐름성이 높아 방사장치의 노즐에서 액적이 분사되고, 방사용액의 점도가 2000cps를 초과하면 방사용액에서 유기 용매 량이 적어져 낮은 흐름성을 가지게 되어 방사장치의 노즐에서 섬유만 방사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방사 노즐에서 전기방사되어 만들어지는 섬유(120)에 비드가 형성되는 것이 방사용액의 점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즉, 생분해성 고분자를 분자량이 130,000인 PLGA로 적용하고, 점도를 2100cps가 되도록 PLGA와 용매를 혼합하여 전기방사한 결과, 도 2a와 같이 섬유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웹이 제조되었으나, 본 발명에서 설정된 점도 범위 내에 만족하도록 점도를 260cps가 되도록 PLGA와 용매를 혼합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도 2b와 같이 비드를 가지는 섬유가 축적된 섬유 웹을 제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세포 배양 지지체를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유 웹으로 구현하고, 섬유 웹의 섬유에 매달린 다수의 비드를 형성하여, 비드와 섬유 사이, 및 비드와 비드 사이에 확대된 공간(큰 기공)을 마련할 수 있어, 도 3과 같이, 섬유 웹(110) 위에서 배양되는 세포(150)가 섬유 웹(110) 내부로 침투하여 3차원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섬유만으로 축적된 섬유 웹은 섬유 사이에 미세 기공이 형성되나, 본 발명의 세포 배양 지지체로 사용되는 섬유 웹은 비드와 섬유 사이 및 비드와 비드 사이에 기공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비드가 존재하는 본 발명의 섬유 웹의 기공은 비드가 존재하지 않는 섬유 웹의 섬유 사이에 형성된 미세 기공보다 큰 기공이 되어, 성장되는 세포(150)의 침투를 용이하게하는 공간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생분해성 고분자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조류,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 또는 물과 메탄가스로 완전히 분해되는 고분자로 정의된다. 자연계에서 박테리아 등의 유기물에 의해 그 물리적, 화학적 구조가 변화되는 소위 썩는 플라스틱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양되는 세포의 생존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세포를 배양한 후 체내에 이식하여 세포의 분화를 도와주고 그것이 끝나면 분해되어 체내에서 체외로 배출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섬유 지지체로 이루어진 세포 배양 지지체를 구현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세포의 배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체내 이식하여 분해될 수 있는 세포 배양 지지체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축적된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웹은 인체의 세포외 기질(ECM, Extra Cellular Matrix)과 가장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 섬유 웹으로 이루어진 지지체는 세포 배양에 친숙하고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세포의 생존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는 생분해 속도가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특성이 있으며, 비교적 빨리 분해되는 고분자와 천천히 분해되는 고분자의 조성 비율에 따라 분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세포가 배양된 세포 배양 지지체를 체내에 이식한 후, 세포의 분화 속도에 따라 세포 배양 지지체의 분해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와 용매를 혼합하여 방사 용액을 제조하고, 후술된 전기 방사 장치에서 방사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만들어진 초극세 섬유를 축적시켜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세포 배양 지지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생분해성 고분자를 PLA, PLLA, PGA, PLGA, PCL 및 PDO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는 DMAc(N,N-Dimethyl acetoamide), DMF(N,N-Dimethylformamide), NMP(N-methyl-2-pyrrolidinone), DMSO(dimethyl sulfoxide), THF(tetra-hydrofuran), (EC(ethylene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EMC(ethyl methyl carbonate), PC(propylene carbonate), 물, 초산(acetic acid), 개미산(formic acid),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아세톤(acetone) 및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alcho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세포 배양 지지체의 섬유 웹을 구성하는 섬유 및 비드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 친수처리용 첨가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만들고, 이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친수성을 가지는 비드가 형성된 섬유를 축적시켜 섬유 웹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친수처리용 첨가제는 Tween80, Pluronic, PVP 중 하나일 수 있다.
세포 배양 지지체는 배양액에 침지되고, 세포 배양 지지체에 부착된 세포는 배양액에서 영양분을 흡수하여 성장한다. 세포는 친수성이 우수한 지지체에 잘 부착되어 성장될 수 있기에, 본 발명에서는 섬유 및 비드에 친수처리용 첨가제를 포함시켜 친수성이 강한 섬유 웹을 구현함으로써, 세포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 방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세포 배양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 방사 장치는 교반된 방사 용액을 공급하는 교반탱크(20)가 방사 노즐(40)에 연결되어 있고, 방사 노즐(40)과 이격된 하부에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접지된 콜렉터(50)가 배치되어 있고, 방사 노즐(40)은 고전압 발생기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생분해성 고분자와 용매를 교반기(30)로 혼합하여 방사 용액을 만든다. 이때, 교반기(30)에서 혼합하지 않고, 전기 방사 장치에 투입되기 전에 미리 혼합된 방사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콜렉터(50)와 방사 노즐(40) 사이에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하면, 방사 노즐(40)에서 방사 용액을 초극세 섬유(210)로 만들어 콜렉터(50)에 방사하고, 콜렉터(50)에는 섬유(210)가 축적되어 세포 배양 지지체의 섬유 웹(200)이 형성된다.
더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방사 노즐(40)로부터 토출되는 방사 용액은 고전압 발생기에 의하여 하전된 방사 노즐(40)을 통과하면서 섬유(210)로 방출되어,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접지된 콜렉터(50) 상부에 섬유(2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세포 배양 지지체의 섬유 웹(200)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지지체(100)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섬유가 축적되어 형성되고, 섬유에 다수의 비드가 형성된 섬유 웹(110)를 다수 적층한 적층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그 일례로, 적층 구조의 세포 배양 지지체(100)는 도 5와 같이, 비드가 형성된 제1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진 제1섬유 웹(111); 비드가 형성된 제2섬유가 제1섬유 웹(111)에 축적되어 만들어진 제2섬유 웹(112); 및 비드가 형성된 제3섬유가 제2섬유 웹(112)에 축적되어 만들어진 제3섬유 웹(113);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3층 적층 구조의 세포 배양 지지체(100)에서 제2섬유는 제1 및 제3섬유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3섬유 웹(113)는 제2섬유 웹(112) 위에 적층되어 있으며, 제3섬유 웹(113)에 세포가 부착되어 배양된다. 이때, 제3섬유 웹(113)의 제3섬유의 직경을 제2섬유 웹(112)의 제2섬유의 직경보다 가늘게 하여, 세포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세포의 부착되는 표면적을 넓게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3섬유 웹(111,113)의 두께는 제2섬유 웹(112)의 두께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섬유 웹(112)의 제2섬유의 직경은 제3섬유 웹(113)의 제3섬유의 직경보다 굵어서 제2섬유 웹(112)의 공간은 제3섬유 웹(113)의 공간보다 더 넓어, 제2섬유 웹(112)으로 성장된 세포가 침투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제1섬유 웹(111)의 제1섬유의 직경은 제2섬유 웹(112)의 제2섬유의 직경보다 가늘어, 제1섬유 웹(111)의 공간은 제2섬유 웹(112)의 공간보다 좁아, 제2섬유 웹(112)으로 침투해서 성장되는 세포가 제1섬유 웹(111)으로 침투되어 제1섬유 웹(111)의 바닥면에서 성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지지체(100)는 섬유 웹이 3층으로 적층된 구조로 구현되어, 세포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세포가 적층 구조 내부로 침투하여 성장할 수 있고, 적층 구조 내부로 침투해서 성장된 세포가 적층 구조의 바닥면으로 빠져나오지 않게하여, 성장된 세포의 형상 및 골격이 왜곡되지 않고 바람직한 형상 및 골격을 가질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적층 구조의 세포 배양 지지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적층 구조의 세포 배양 지지체는 제1 내지 제3방사 노즐(41,42,43)에서 토출된 비드를 갖는 섬유를 축적하여 형성한다.
생분해성 고분자와 용매가 혼합된 방사 용액은 제1 내지 제3방사 노즐(41,42,43)로 공급되어 비드를 갖는 섬유가 토출되며, 제1 내지 제3방사 노즐(41,42,43)은 전술된 전기 방사 장치의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콜렉터(50) 상부에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먼저, 제1방사 노즐(41)에서 비드가 형성된 제1섬유를 토출하여 제1섬유 웹(111)을 형성한 후, 제1섬유 웹(111)이 제2방사 노즐(42) 하부로 이동하면 제2방사 노즐(42)에서 비드가 형성된 제2섬유를 제1섬유 웹(111) 위로 토출하여 제2섬유 웹(112)을 적층한다.
그다음, 제2섬유 웹(112)이 제3방사 노즐(43) 하부로 이동하면 제3방사 노즐(43)에서 비드가 형성된 제3섬유를 제2섬유 웹(112) 상부로 토출하여 제3섬유 웹(113)을 적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세포 배양에 친숙한 배양 환경을 제공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세포 배양 후 체내에 이식이 가능하고, 세포 분화 후 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세포 배양 지지체를 제공한다.
40,41,42,43: 방사 노즐 100: 세포 배양 지지체
110,111,112,113,200: 섬유 웹 120,210: 섬유
125: 기공 130: 비드
150: 세포

Claims (12)

  1. 세포를 부착시켜 배양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생분해성 고분자의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섬유 웹; 및
    상기 세포가 상기 섬유 웹 내부로 침투하여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를 위하여, 상기 섬유에 형성된 다수의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를 PLA, PLLA, PGA, PLGA, PCL 및 PDO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지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및 상기 비드에 친수처리용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지지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처리용 첨가제는 Tween80, Pluronic, PVP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지지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웹은,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와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이 전기방사되어 얻어진 웹이고,
    상기 방사용액의 점도는 50 ~ 2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지지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직경은 100㎚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지지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의 직경은 상기 섬유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지지체.
  8. 비드가 형성된 제1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진 제1섬유 웹;
    상기 제1섬유 웹에 비드가 형성된 제2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진 제2섬유 웹; 및
    상기 제2섬유 웹에 비드가 형성된 제3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진 제3섬유 웹;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지지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섬유의 직경은 상기 제1 및 제3섬유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지지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섬유 웹의 두께는 상기 제2섬유 웹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지지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및 상기 비드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지지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및 상기 비드에 친수처리용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지지체.












KR1020150065478A 2015-05-11 2015-05-11 세포 배양 지지체 KR101865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478A KR101865769B1 (ko) 2015-05-11 2015-05-11 세포 배양 지지체
CN201680018560.7A CN107427606B (zh) 2015-05-11 2016-05-10 细胞培养支架
US15/557,999 US10689614B2 (en) 2015-05-11 2016-05-10 Cell culture support
PCT/KR2016/004851 WO2016182300A1 (ko) 2015-05-11 2016-05-10 세포 배양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478A KR101865769B1 (ko) 2015-05-11 2015-05-11 세포 배양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060A true KR20160133060A (ko) 2016-11-22
KR101865769B1 KR101865769B1 (ko) 2018-06-11

Family

ID=5724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478A KR101865769B1 (ko) 2015-05-11 2015-05-11 세포 배양 지지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89614B2 (ko)
KR (1) KR101865769B1 (ko)
CN (1) CN107427606B (ko)
WO (1) WO2016182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5176A (zh) * 2018-02-12 2018-08-03 华中科技大学鄂州工业技术研究院 一种复合纳米纤维支架及其应用
CN113329774A (zh) * 2018-10-04 2021-08-31 博奥司时代有限责任公司 用于体内支气管再生的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443A (ko) 2005-11-21 2007-05-2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조직공학용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조직공학용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방사장치
KR20100045158A (ko) * 2008-10-23 2010-05-03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유착방지막 용도의 생분해성 나노섬유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4256A (ko) * 2009-02-18 2010-08-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의 나노섬유 시트로 이루어진 의료용 피부 패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8167A1 (en) * 2006-04-04 2007-10-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t microfibers as matrices for cell growth
KR101035870B1 (ko) * 2008-10-07 2011-05-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벌키 구조를 가지는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 가연사,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의료용 용도
CN101507835B (zh) * 2009-03-10 2013-05-22 广州迈普再生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仿生创面覆盖物及其制备方法
US9968705B2 (en) * 2011-09-30 2018-05-15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Bioscaffolds for formation of motor endplates and other specialized tissue structures
CN102908665B (zh) * 2012-10-26 2014-12-10 东华大学 用串珠纤维担载蛋白颗粒的组织工程纤维支架的制备方法
CN103007344B (zh) * 2012-12-26 2014-10-22 东华大学 一种具备梯度结构的中空异型细菌纤维素人造血管支架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60026899A (ko) * 2013-06-06 2016-03-09 에스엔에스 나노 피버 테크놀로지, 엘엘씨 세포 또는 조직 배양용 3차원 구조
US20140360890A1 (en) * 2013-06-11 2014-12-11 Drexel University Asymmetric sensors
CN103405809B (zh) * 2013-07-23 2015-01-21 东华大学 一种利用电沉积技术制备微载体/聚合物复合支架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443A (ko) 2005-11-21 2007-05-2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조직공학용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조직공학용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방사장치
KR20100045158A (ko) * 2008-10-23 2010-05-03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유착방지막 용도의 생분해성 나노섬유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4256A (ko) * 2009-02-18 2010-08-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의 나노섬유 시트로 이루어진 의료용 피부 패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SASOLA, R. et al., POLYMER(2014) Vol. 55, pp 4728-4737* *
LI, W. J. & TUAN, R. S., CURR. PROTOC. CELL BIOL.(2009.3.) CHAPTER: Unit-25.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20129A1 (en) 2018-11-08
CN107427606A (zh) 2017-12-01
WO2016182300A1 (ko) 2016-11-17
KR101865769B1 (ko) 2018-06-11
US10689614B2 (en) 2020-06-23
CN107427606B (zh)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7310A1 (en) Bio-acceptable conduits and method providing the same
US9242024B2 (en) Three-dimensional nanofiber scaffold for tissue repai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1543645B (zh) 聚己内酯pcl静电纺丝神经导管及其制备和应用
Burton et al. The effect of electrospun polycaprolactone scaffold morphology on human kidney epithelial cells
CN109876186B (zh) 一种用于神经修复的生物医用可降解双层支架及其制备方法
US20140207248A1 (en) Hierarchical multiscale fibrous scaffold via 3-d electrostatic deposition prototyping and conventional electrospinning
AU2015324028B2 (en) Nanofiber structures and methods of synthesis and use thereof
Kijeńska et al. General requirements of electrospun materials for tissue engineering: Setups and strategy for successful electrospinning in laboratory and industry
KR20060071890A (ko)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지지체
KR101118128B1 (ko) 세포배양지지체 제조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세포배양지지체
KR101897218B1 (ko)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한 세포 배양 지지체
KR101865769B1 (ko) 세포 배양 지지체
JP6498383B2 (ja) 不織布シート、細胞培養足場材、及び、不織布シートの製造方法
EP2376692B1 (en) Biomimetic nanofiber web and method and device to manufacture the same
CN100479869C (zh) 一种基因重组蜘蛛丝蛋白管状支架的制备方法
Joshi et al. 3D Nonwoven Fabric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US2020008761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ulture support having improved cell adhesiveness and mobility
Tang et al. Preparation of fiber-microsphere scaffolds for loading bioactive substances in gradient amounts
KR20160035316A (ko) 나노섬유매트와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혈관내피세포 단일층 형성방법
CN204723455U (zh) 一种双层纳米纤维毡结构半月板组织工程支架
Sakaguchi et al. Engineering electrospun scaffolds to encourage cell infiltration
Kijenska et al. Warsaw University of Technology, Warsaw, Poland
Ghosh et al. 00130 Recent Trends in Electrospinning for the Preparation of Ultrathin Plastic and Polymer Fiber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