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687A -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687A
KR20160132687A KR1020150065548A KR20150065548A KR20160132687A KR 20160132687 A KR20160132687 A KR 20160132687A KR 1020150065548 A KR1020150065548 A KR 1020150065548A KR 20150065548 A KR20150065548 A KR 20150065548A KR 20160132687 A KR20160132687 A KR 20160132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bed
printing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정미
이다인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엘리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리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리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2687A/ko
Publication of KR2016013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67/0085
    • B29C67/00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3차원 프린팅 장치는 3차원 프린팅을 수행하는 다각형 모양의 단위모듈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연결하여 형성되는 멀티 프린팅 모듈과 멀티 프린팅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Extensible 3D print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위 모듈의 결합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나 모양으로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1984년 미국의 찰스 헐(Charles Hull)에 의해 발명된 3차원(3D) 프린터는 최근 전자 및 정보통신 분야의 발전에 힘입어 커다란 성능향상과 가격 인하를 이루어, 제조업 분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활용 범위 또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3차원 프린터의 프린팅의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SLA(Stereo Lithographic Apparatus)의 3차원 프린팅 방법은 광경화성 수지를 수조형태의 용기에 넣고 표면에 레이저를 쏘아가며 성형을 하는 방법으로, 최근 여러 개의 가느다란 노즐에서 광경화성 수지를 배출하여 바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의 3차원 프린팅 방법은 SLA 방식과 유사하게 고체 재료를 커다란 용기에 넣고, 이 재료의 상단 표면에서부터 성형화시키는 방법으로, 레이저를 사용하여 소량의 고체 가루 재료를 뿜어내어 성형시키는 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 외에도 FDM(Fused Deposition Melting) 방법 등 다양한 종류의 3차원 프린팅 방법이 존재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817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효율적으로 작업을 분산하여 처리함으로써 프린팅 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물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구조나 크기로 확장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일 예는, 3차원 프린팅을 수행하는 다각형 모양의 단위모듈; 상기 단위모듈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연결하여 형성되는 멀티 프린팅 모듈; 및 상기 멀티 프린팅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모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크기나 모양으로 3차원 프린팅 장치를 확장 가능하다. 단위 모듈마다 서로 다른 재료를 이용한 프린팅이 가능하므로 여러 재료로 구성되는 3차원 형상물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단위 모듈을 통해 프린팅 작업을 분산 처리하므로 프린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를 구성하는 단위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모듈을 결합하여 확장한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를 위한 베드 이송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베드 이송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베드의 자동 이송을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를 구성하는 단위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위모듈(100,200)은 삼각형, 사각형 형태와 같이 일정한 도형모양으로 형성이며, 재료를 출력하는 노즐(110,210), 노즐을 프린팅 위치에 따라 이동시키는 암(arm)(130,230), 3차원 입체물이 적층되는 베드(120,220)를 포함한다. 단위모듈(100,200)은 3차원 입체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의 SLA, SLS, FDM 프린팅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해당 프린팅 방법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도시한 노즐(110,210)이나, 암(130,230) 등의 구조가 아니라 다른 형태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삼각형과 사각형 형태의 단위모듈(100,200)을 제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호 결합 가능한 다양한 모양의 '레고' 블록과 같이 상호 결합이 가능한 다양한 도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위 모듈은 재료 투입구(미도시)와 3차원 조형물 제작을 위한 제어 장치(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단위 모듈(100,200)이 결합되어 하나의 프린터 장치처럼 동작하여야 하므로 서로 간의 제어정보나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이나 제어 장치 등은 단위 모듈(100,200)의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모듈을 결합하여 확장한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차원 프린팅 장치는 두 개의 단위 모듈(300,310)의 결합을 통해 구현된다. 제1 단위모듈(300)과 제2 단위모듈(319)의 각 변을 맞닿게 결합하여 프린팅 장치를 확장한다. 제1 단위모듈(300)과 제2 단위모듈(310) 사이의 보다 정확한 결합을 위하여 두 단위모듈의 각 변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레고"의 결합 부분과 같은 암수 체결부(320~330, 340~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위모듈(300)은 제1 베드(302)에 3차원 입체물을 적층하고, 제2 단위모듈(310)을 제2 베드(312)에 3차원 입체물을 적층한다. 제1 단위모듈(300)과 제2 단위모듈(310)은 동일한 모양의 3차원 입체물을 각각의 베드에 적층하거나 서로 다른 모양의 3차원 입체물을 각각의 베드에 적층할 수 있다. 제1 단위모듈(300)과 제2 단위모듈(310)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단위모듈(300)에서의 적층과 제2 단위모듈(310)에서의 적층이 시간적 순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3차원 입체물을 두 가지 재료를 조합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1 재료를 출력하는 제1 단위모듈(300)이 3차원 입체물의 일부를 적층한 후, 제2 재료를 출력하는 제2 단위모듈에서 제1 단위모듈(300)의 적층 결과물 위에 다시 적층한다.
이를 위하여, 제1 단위모듈(300)과 제2 단위모듈(310)의 베드(302,312)는 이동이 가능하거나 착탈이 가능하여야 한다. 베드 이송을 위하여 도 8과 같이 일종의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베드 부분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이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3차원 프린팅 장치는 6개의 단위 모듈(400,410,420,430,440,450)이 결합된 6각형으로 구현되거나, 복수 개의 단위모듈(500,510,520,530,540,550,560)이 계속하여 확장 가능한 일자형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각 단위모듈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자 독립적으로 3차원 입체물을 적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각 단위모듈의 베드(402,412,422,432,442,452,502,512,522,532,542,552,562)는 착탈식이거나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다.
단위모듈의 결합을 통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 외에 다양한 형태의 3차원 프린팅 장치가 만들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3차원 프린팅 장치는 제어부(6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620,622,624)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멀티프린팅모듈(610)을 포함한다. 멀티프린팅모듈(610)은 베드이송부(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위모듈(620,622,624)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3차원 입체물을 적층하는 모듈로서, SLA, SLS, FDM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단위 모듈과의 결합을 위하여 일정한 다각형 형태를 가진다.
멀티프린팅모듈(610)은 단위모듈(620,622,624)을 결합하여 형성되며, 일 예로 도 3 내지 도 5와 같은 결합 형태가 있다.
베드이송부(630)는 멀티프린팅모듈(610)을 구성하는 각 단위모듈(620,622,624)의 베드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베드이송부(630)는 생략될 수 있다. 베드이송부(630)에 대해서는 도 8 이하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제어부(600)는 멀티프린팅모듈(610)을 제어한다. 제어부(600)는 멀티프린팅모듈(610)을 구성하는 각 단위모듈(622,624,264)을 식별하고, 3차원 입체물의 형성을 위한 작업을 각 단위모듈(622,624,264) 단위로 분할한 후 각 단위모듈(622,624,264)에게 분할한 작업을 분배한다. 멀티프린팅모듈(610)을 구성하는 단위모듈들(622,624,264)은 분배받은 작업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제어부(600)의 상세 구성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600)는 위치파악부(700), 재료파악부(710), 작업분배부(720), 작업할당부(730), 이송제어부(740)를 포함한다.
위치파악부(700)는 멀티프린팅모듈(610)을 구성하는 각 단위모듈(622,624,264)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멀티프린팅모듈(610)이 도 4와 같이 여섯 개의 단위모듈(400,410,420,430,440,450,46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경우에, 위치파악부(700)는 각 단위모듈의 식별자와 각 단위모듈의 배치관계 등을 파악한다.
일 예로, 위치파악부(70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 단위모듈의 배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와 같은 여섯 개의 단위모듈(400,410,420,430,440,450,460)이 결합되는 경우에, 위치파악부(700)는 결합되는 여섯 개의 단위모듈(400,410,420,430,440,450,460)의 식별자와 해당 단위모듈을 나타내는 그림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단위모듈(400,410,420,430,440,450,460)의 그림을 움직여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치하면, 각 단위모듈의 배치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단위모듈(620,622,624)는 이웃한 단위모듈들과 통신이 연결되고, 각 단위모듈(620,622,624)은 이웃한 단위모듈들을 파악하여 자신의 식별자와 이웃한 단위모듈들의 식별정보를 함께 위치파악부(700)로 전송하고, 위치파악부(700)는 단위모듈들(620,622,624)로부터 수신한 단위모듈들(620,622,624) 사이의 이웃 관계를 기초로 자동으로 단위모듈들의 배치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재료파악부(710)는 멀티프린팅모듈(610)을 구성하는 각 단위모듈(620,622,624)이 사용하는 프린팅 재료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다. 재료파악부(710)는 앞서 살핀 GUI 환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 단위모듈의 재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각 단위모듈이 자신이 사용하는 재료의 정보를 미리 알고 있다면, 재료파악부(710)는 각 단위모듈(620,622,624)로부터 재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작업분배부(720)는 3차원 입체물의 제작에 대한 임무가 주어지면, 3차원 입체물의 적층을 위한 작업을 각 단위모듈별(620,622,624)로 분배한다. 멀티프린팅모듈(610)의 각 단위모듈(620,622,624)는 프린팅 방식이 서로 상이하고 사용하는 재료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3차원 입체물 또한 구조가 복잡한 부분과 단순한 부분이 있을 수 있고 두 가지 이상의 재료가 조합으로 제작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각 부분의 제작 순서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분배부(720)는 3차원 입체물의 각 부분에 대한 작업부분을 각 단위모듈의 프린팅 방식, 상대적 위치와 재료 정보 등을 기초로 분할한다.
작업할당부(730)는 작업분배부(720)에서 분할한 각 작업을 해당하는 각 단위모듈(620,622,624)에 전송한다. 작업을 할당받은 각 단위모듈(620,622,624)은 각자 독립적으로 3차원 프린팅 작업을 수행한다.
이송제어부(740)는 각 단위모듈(620,622,624)에 할당된 작업이 완료되면 각 단위모듈의 베드를 이송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2 단위모듈(510)은 제1 단위모듈(500)에서 적층된 결과물에 대해 적층하고, 제3 단위모듈(520)은 제2 단위모듈(510)에서 적층된 결과물에 대해 적층하는 경우에, 이송제어부(740)는 각 단위모듈(500,510,520,530,540,550,560)에서의 작업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각 단위모듈(500,510,520,530,540,550,560)의 베드(502,512,522,532,542,552,562)를 이웃하는 단위모듈로 이송시켜 다음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를 위한 베드 이송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베드 이송부(800)는 일종의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구현되며, 단위모듈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단위모듈(100)은 프린팅모듈(A)과 베드모듈(B)로 분리될 수 있다. 단위모듈(100)을 도 3과 같은 형태로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 단위모듈(100)의 프린팅모듈(A)만을 도 8에 점선으로 표현된 베드 이송부(800)에 배치하면 됩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베드 이송부(800)는 단위모듈(300,310)의 프린팅모듈이 결합되는 부분과 일종의 컨베이어 시스템과 같이 이동 가능한 벨트(810)로 구성된다. 벨트(810)에는 베드(302,312)의 탈부착이 가능한 연결부(820)가 형성되어 있다. 벨트(810)의 두 군데 연결부(820)에 모두 베드(302,312)를 부착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벨트(810)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두 곳 중 한 곳에만 베드(302 또는 312)를 부착하여 베드(320 또는 312)를 필요에 따라 제1 단위모듈(300)과 제2 단위모듈(310)로 움직여 원하는 3차원 입체물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가지 재료로 구성되는 3차원 입체물을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 제어부(600)는 3차원 입체물의 3차원 도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재료 부분을 분할하고, 각 분할된 부분을 제1 및 제2 단위모듈(300,310)의 작업으로 분배한다. 제1 단위모듈(300)에서 제1 재료로 적층이 완료되면, 제어부(600)는 베드 이송부(800)를 제어하여 제1 단위모듈(300)에 위치한 베드(302)를 제2 단위모듈(310)로 이동시키고, 제2 단위모듈(310)이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2 단위모듈(310)의 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600)는 베드(312)를 다시 제1 단위모듈(310)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여러 재료가 반복적으로 적층되는 3차원 입체물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6각형의 멀티프린팅모듈을 위한 베드 이송부(9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베드 이송부(900)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단위 모듈(400)의 프린팅모듈(A)이 배치되는 상판과 컨베이어 시스템과 같은 이동하는 벨트(910)로 구성된다. 벨트(910)에는 베드(920)의 탈부착을 위한 연결부(910)가 형성되어 있고, 베드(402)는 벨트(910)의 움직임에 따라 각 단위모듈을 이동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일자형의 멀티프린팅모듈을 위한 베드 이송부(10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베드 이송부(1000)는 단위모듈의 프린팅모듈(도 1의 A)이 배치되는 상판과 벨트(1010)로 구성되며, 베드 이송부(10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수의 단위모듈(500)들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벨트(1010)에는 베드(502)의 탈부착을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베드 이송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베드 이송부(1100)는 단위모듈의 베드모듈(도 1의 B)에 일정 방향의 홈(1110)을 형성하여 구현된다. 베드(120)는 홈(1110) 위에 위치하며 홈(111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베드모듈(B)로 도 11의 베드 이송부(1100)를 포함하는 단위모듈(프린팅모듈 + 베드모듈)을 도 3 내지 도 5 등과 같이 결합하여 다양한 모양을 형성하는 경우에, 각 단위모듈의 베드 이송부(1100)의 홈(1110)이 서로 연결되므로, 베드(120)는 홈을 따라 결합된 다른 단위모듈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베드(120)를 홈(1110)을 따라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도 12와 같은 일종의 벨트를 홈(1110)과 결합함으로써 자동으로 베드(120)의 이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베드의 자동 이송을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벨트(1200)는 구동부(1220)와 연결되어 있고, 구동부(1220)는 모터(1230)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1230)의 회전은 구동부(1220)에 전달되어 벨트(1200)를 이동시킨다. 벨트(1200)에는 베드(1240)의 탈부착이 가능한 연결부(1210)가 형성되어 있다.
단위모듈의 크기는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단위모듈을 결합하는 경우에 각 단위모듈의 베드 중심 사이의 거리 또한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제어부(740)는 스텝모터 등으로 구현된 모터(1230)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벨트(1200)를 단위모듈(100) 사이의 거리만큼 이동시켜 베드를 이웃한 단위모듈로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이송 제어를 위하여 각 단위모듈에는 베드의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송제어부(740)는 센서를 통해 베드의 위치정보를 피드백하여 벨트(1200)의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제시한 베드 이송부(800,900,1000)의 일 예로 도 12의 실시 예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베드 이송부(1100)의 홈(1110)에 벨트를 삽입 결합하여 베드(120)의 자동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은 베드 이송부(1100)를 포함하는 단위모듈들을 도 3 내지 도 5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여 3차원 프린팅 장치를 구성한 후, 도 12의 벨트(1200)를 도 11의 홈에 삽입하여 베드 이송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 내지 도 10과 같은 별도로 베드 이송부를 구현할 필요가 없어 더 용이하게 3차원 프린팅 장치를 확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제어부(600)는 멀티프린팅모듈(610)을 구성하는 각 단위모듈(620,622,624)의 위치, 재료, 프린팅 방식 등의 기본 정보를 파악한다(S1300). 제어부(60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관련 정보를 입력받거나 각 단위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위치, 재료 등의 기본정보를 수집하여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작할 3차원 입체물에 대한 3차원 도면정보가 입력되면, 각 단위모듈별로 작업을 분배한다(S1310). 제어부는 각 단위모듈에게 작업을 할당한다(S1320). 그리고 제어부(600)는 필요에 따라 각 단위모듈의 베드에 대한 이송을 제어한다(S133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다양한 형태의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3차원 프린팅을 수행하는 다각형 모양의 단위모듈;
    상기 단위모듈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연결하여 형성되는 멀티 프린팅 모듈; 및
    상기 멀티 프린팅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모듈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멀티 프린팅 모듈은 상기 단위 모듈의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변이 서로 맞닿게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프린팅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모듈 사이의 위치 관계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 관계에 따라 각 단위모듈에게 작업을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프린팅 모듈을 구성하는 각 단위모듈의 프린팅 재료를 식별하고, 상기 프린팅 재료에 따라 각 단위모듈에게 작업을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모듈은 3차원 형상물이 적층되는 베드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프린팅 모듈을 구성하는 각 단위모듈의 베드를 이웃한 다른 단위모듈로 이송하는 베드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프린팅 모듈을 구성하는 각 단위모듈에게 할당된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베드이송부를 통해 각 단위모듈의 베드를 이웃한 단위모듈로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KR1020150065548A 2015-05-11 2015-05-11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32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548A KR20160132687A (ko) 2015-05-11 2015-05-11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548A KR20160132687A (ko) 2015-05-11 2015-05-11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687A true KR20160132687A (ko) 2016-11-21

Family

ID=5753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548A KR20160132687A (ko) 2015-05-11 2015-05-11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26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3443A1 (fr) * 2017-11-10 2019-05-17 Ecole Nationale Superieure D`Arts Et Metiers Dispositif de fabrication additive de piece
KR20200046920A (ko)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덴티스 복수의 프로젝터 방식의 3d 프린터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8171A (ko) 2011-05-09 2012-11-27 김한식 금속 분말을 적층 레이저 용접 방식의 3차원인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8171A (ko) 2011-05-09 2012-11-27 김한식 금속 분말을 적층 레이저 용접 방식의 3차원인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3443A1 (fr) * 2017-11-10 2019-05-17 Ecole Nationale Superieure D`Arts Et Metiers Dispositif de fabrication additive de piece
KR20200046920A (ko)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덴티스 복수의 프로젝터 방식의 3d 프린터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583B1 (ko) 3d 프린팅 시스템
US8868231B2 (en) Flexible production collating system
CN102848082B (zh) 激光打标机
CN103950201B (zh) 三维模型单轴方向无限打印方法及系统
WO20171238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adhesion-based manipulation in manufacturing
US20180272603A1 (en) Desktop printing apparatus for 3d printing an object and duplex printing module
US9102481B2 (en) Flexible production collating system
KR20160132687A (ko) 확장 가능한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793206B2 (ja) 三次元印刷システム
US97897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on a three-dimensional (3D) curved object
KR20180001340A (ko)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복수의 익스트루더 유닛을 구비한 3d 프린터 및 이를 사용한 3d 프린팅 방법
JP6672084B2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
WO2020181083A1 (en) An improved swarm 3d printing platform
CN104494147A (zh) 手工立体成型方法及其系统
KR20000073153A (ko) 3차원 인쇄장치, 3차원 칼라조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칼라복사장치.
TW201532789A (zh) 具有上色功能之三維列印裝置
JP2012006122A (ja) 生産システム
CN105059881A (zh) 带台阶的零件的传输定位装置
US10016930B2 (en) Printing method of 3D printer
KR102144103B1 (ko) 3차원 프린팅 장치
EP3395544B1 (en)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CN107443936B (zh) 图像形成系统
US11975486B2 (en) Swarm manufacturing for smart factory
KR101628161B1 (ko) 가이드 튜브를 통한 블록 자동공급 방식의 블록 적층형 3d 프린팅 시스템 및 블록 적층형 3d 프린팅 방법
WO2022102104A1 (ja) データ作成装置及び部品実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