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598A -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598A
KR20160132598A KR1020150065326A KR20150065326A KR20160132598A KR 20160132598 A KR20160132598 A KR 20160132598A KR 1020150065326 A KR1020150065326 A KR 1020150065326A KR 20150065326 A KR20150065326 A KR 20150065326A KR 20160132598 A KR20160132598 A KR 2016013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rame
roof
length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580B1 (ko
Inventor
김정숙
장화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텐트 피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텐트 피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텐트 피앤에이
Priority to KR1020150065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58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더운 여름철에 대류를 이용하여 텐트 내부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텐트의 양쪽 벽면에는 처마를 형성함으로써 텐트의 벽면에 그늘을 지어 한낮의 뜨거운 햇볕에 의하여 벽면이 가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텐트 내부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Temperature Regulate Structyre and its Methods}
본 발명은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더운 여름철에 대류를 이용하여 텐트 내부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텐트의 양쪽 벽면에는 처마를 형성함으로써 텐트의 벽면에 그늘을 지어 한낮의 뜨거운 햇볕에 의하여 벽면이 가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텐트 내부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에 텐트를 사용할 때에는 태양 복사열에 의하여 텐트의 내부 온도가 상당히 많이 상승한다. 특히 행사용 대형텐트의 경우 텐트 내부에 대형 에어컨을 설치하여 시원한 바람을 내보내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내뿜는 체온으로 인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사람이 텐트 안에 있을 수 없을 정도까지 텐트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안출되고 있다. 즉,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1-0049109호는 얼룩말의 검은 줄무늬와 흰 줄무늬 사이에 생긴 온도 차이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생겨 자체 바람이 일고 이 바람이 선풍기 역할을 하여 기계적 통풍장치 없이도 몸의 표면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원리를 응용하여 열 흡수율이 다른 띠무늬 형태 또는 체크무늬 형태의 다른 소재를 2회 이상 연결하여 텐트를 형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소형 텐트에는 가능할지 몰라도 많은 사람을 수용하는 행사용 대형텐트에는 적합하지 아니하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87389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층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에어텐트에 냉난방기기를 이용하여 냉난방하는 에어텐트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 기술이 추운 겨울철에 난방은 잘 될지 몰라도 많은 사람들이 수용되어 체온을 배출하고 있는 한여름에는 아무리 냉방을 하더라도 텐트 내부에 모여 있는 더운 공기를 텐트 외부로 배출하지 않으면 효율적인 냉방효과를 가져올 수 없다. 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457103호는 환기용 송풍기를 이용하여 천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텐트를 설치할 때마다 송풍기를 설치하였다 떼어내야 하는 번잡함과 송풍기 가동에 따라 전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내뿜은 체온 때문에 텐트 내부에 모여 있는 무더운 공기를 실시간으로 텐트 외부로 배출하여 한여름에도 텐트 내부를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행사용 대형 텐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 과제는 자연 현상을 이용하여 텐트 내부의 더운 공기를 배출하는 한편텐트의 양쪽 측면에는 처마를 형성함으로써 한낮에는 벽면에 그늘을 지어 햇빛에 의하여 가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텐트 내부에 모여 있는 무더운 공기를 자연 현상인 대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텐트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텐트의 양측에는 처마를 형성함으로써 한낮에는 처마에 의하여 벽면에 그늘이 생겨 벽면이 햇볕에 의하여 달구어지지 않음으로써 아무리 많은 사람들이 수용되어 있다 하더라도 텐트 내부를 시원하게 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제 1 도 : 기존 대형텐트가 설치된 상태의 골조 사시도
제 2 도 : 기존 대형 텐트가 설치된 상태의 골조 정면도
제 3 도 : 본 발명 보조골조의 측면도
제 4 도 : 본 발명 보조골조가 부착된 지붕골조의 측면도
제 5 도 : 본 발명 행사용 대형 텐트의 정면도
제 6 도 : 본 발명 행사용 대형 텐트의 사시도
본 발명은 무더운 여름철에 자연 현상인 대류를 이용하여 텐트 내부의 더운 공기를 텐트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텐트의 양쪽 측면에는 처마를 형성함으로써 한낮에는 텐트의 벽면에 그늘을 지게 하여 햇볕에 의하여 가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텐트 내부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기존에 대형텐트를 설치하기 위한 골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기존에 대형 텐트를 설치하기 위한 골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보조골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보조골조가 부착된 지붕골조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지붕골조를 사용하여 설치한 대형 텐트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지붕골조를 사용하여 설치한 대형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행사용 대형 텐트(이하, "텐트(10)"라 함)는 일정한 간격으로 오와 열을 맞추고 텐트 지붕의 경사도에 맞추어 각각 다른 높이의 기둥 골조(100)를 세운 후 이들 기둥 골조들을 연결봉(120)으로 연결하는 한편, 각 기둥골조(100) 위에 지붕골조(200)들을 연결하고 역시 이들 지붕골조(200)들을 연결봉(120)으로 연결하여 조립하고 있다.
기둥골조(100)는 가로 및 세로가 각각 10~30cm, 길이가 500~1,400cm의 철재 또는 스테인리스로 제조된 4각 파이프로서 각 기둥골조(100)에는 연결봉(120)과 결합하기 위한 연결봉 결합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텐트(10)의 앞뒤와 양 측면에 지붕의 경사도에 따라 각기 다른 높이의 기둥골조(100)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지붕골조(200)는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와 일반 지붕골조(220)가 있다. 중앙부용 지붕골조(210)는 텐트(10)의 중앙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몸체의 형상은 4각 또는 5각형이고 세로가 10~20cm이고 몸체의 길이는 200~500cm로서 내각이 120~170˚로 완만하게 휘어 있다. 일반 지붕골조(220)는 상기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의 좌우로 연결되어 지붕을 완성하는 것으로서 몸체의 형상은 4각 또는 5각형이고 역시 세로가 10~20cm, 몸체의 길이는 200~500cm인 일반 지붕골조(2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붕골조(200)의 위로부터 1/3~1/4 길이의 양 측면에는 텐트 천(11)을 끼우는 끼움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지붕골조(200)에도 연결봉212,222)과 결합하기 위한 연결봉 결합부(211, 2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붕골조(200)의 규격은 4각 또는 5각형으로서 세로(a)가 1020cm이고 몸체의 길이는 200~500cm로서 역시 이들 지붕골조(200)를 기둥골조(100) 위에 부착한 후 연결봉(212,222)으로 연결하고 이어 각 끼움부(220)에 텐트 천(11)을 씌워 텐트(10)를 완성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존의 기둥골조(100)와 지붕골조(200)를 그대로 이용하되 상기 지붕골조(200)에 보조골조(300)를 부착하여 환기공간(400)을 마련하는 한편, 지붕골조(200)의 양 단부를 200~500cm 연장하여 처마(500)를 형성함으로써 텐트(10)의 양쪽 벽면 주변에 그림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조골조(3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310)가 "˘" 형상으로서 양 끝이 위로 들려 있어 보조 끼움부가(320) 지붕골조(200)위에 안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보조골조(300)는 길이가 3~5cm이고 양 단부가 위로 들린 "˘" 형상의 몸체(310)와 상기 몸체 양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가 1.5~3cm이고 텐트 천(10)이 끼워지는 보조끼움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텐트(10)를 세울 때에는 기존에 해오던 바와 같이 지붕의 경사도에 맞추어 텐트(10)의 앞뒤와 양 벽면에 각기 그 높이에 맞는 기둥골조(100)를 세우고 각 기둥골조(100)와 기둥골조(100)를 연결봉(120)으로 연결한 후 상기 각 기둥골조(100)위에 지붕골조(200)를 연결하고 이들 지붕골조(200) 역시 연결봉(211,221)으로 연결하여 고정한다. 이어 각 기둥골조(100)의 끼움부(140)에 텐트 천(11)을 끼워 텐트 외곽을 완성하는 한편, 각 지붕골조(200) 사이에도 텐트 천(11)을 끼워 지붕을 완성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 환기공간(400)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변화를 가하고 있다. 즉, 상기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와 상기 일반 지붕골조(220)에 보조골조(300)를 부착시키는 한편, 도 5 및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에는 텐트 천(11)을 끼우지 않고 일반 지붕골조(220)에만 텐트 천(10)을 연결하였다.
이어 상기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의 보조골조(300)와 일반 지붕골조(220)에 부착된 보조골조(300)의 보조끼움부(320)에 텐트 천(11)을 끼우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a) 4~8cm, 길이 600~1500cm의 환기공간(400)이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에는 텐트 천(11)을 끼우지 않았으므로 상기 환기공간에(400) 하부에는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의 넓이에 해당하는 크기의 공기유입구(215)가 형성되게 된다.
또 일반 지붕골조(220)를 기존의 텐트보다 양 끝으로 1개씩만 더 연결하여 설치하면 텐트의 벽면을 따라 200~500cm만큼 돌출된 처마(500)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와 상기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의 좌우로 연결된 일반 지붕골조(220)의 상부에 부착된 각 보조골조(300)의 보조끼움부(320)에 텐트 천(11)을 끼워 형성된 상부 지붕(410)과 중앙부용 지붕골조(210)를 제외한 일반 지붕골조(220)의 끼움부(230)에 텐트 천(10)을 끼워 중앙부에 공기유입구(215)가 형성된 하부 지붕(420) 사이에 환기공간(400)을 형성하여 상기 환기공간(400)을 통해 텐트(10) 내부의 무더운 공기를 텐트(10) 외부로 배출하여 텐트(10) 내부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지붕골조(210)를 텐트의 양 끝으로 1개씩 더 연결하여 텐트(10)의 벽면을 따라 형성된 폭 200~500cm의 처마(500)를 형성하여 텐트 벽면에 햇볕이 직접 닿는 것을 제한하여 텐트(10) 내부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 및 세로가 10~30cm, 길이가 500~1400cm의 4각 철재 또는 스테인리스로 제조된 파이프로서 텐트(10)의 앞뒤와 양 측면에 지붕의 경사도에 따라 각기 다른 높이의 기둥골조(100)를 준비하는 단계; 텐트(10)의 중앙부에 사용하는 것으로 몸체의 형상은 4각 또는 5각형이고 길이는 400~500cm로서 내각이 120~170°로 둥글게 휘고 위로부터 1/3~1/4 길이의 양 측면에는 텐트 천(11)을 끼우는 끼움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용 골조(210)를 준비하는 단계; 길이가 400~500cm인 4각 또는 5각형으로서 위로부터 1/3~1/4 길이의 양 측면에는 텐트 천(11)을 끼우는 끼움부(2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용 골조(210)의 좌우로 연결하여 지붕을 완성하는 일반 지붕골조(220)를 준비하는 단계; 길이 3~5cm의 몸체(310)와 길이(지름)이 1~2cm인 보조끼움부(320)로 구성된 보조골조(30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중앙부용 골조(210)와 상기 일반 지붕골조(220)의 측면 상부에 보조골조(300)를 부착하는 단계; 텐트(10)의 길이와 경사도에 맞추어 기둥골조(100)를 세우는 단계; 상기 각 기둥골조(100)를 연결봉(120)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기둥골조(100) 위에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와 일반 지붕골조(22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와 일반 지붕골조(220)를 연결봉(212,222)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각 기둥골조(100)의 끼움부(140)에 텐트 천(11)을 끼워 텐트 외곽을 완성하는 단계; 중앙부용 지붕골조(210)를 제외하고 일반 지붕골조(220)의 끼움부(230)에 텐트 천(11)을 끼워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하부 지붕(4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와 상기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의 좌우로 연결된 일반 지붕골조(220)에 부착되어 있는 보조골조(300)의 보조끼움부(320)에 텐트 천(11)을 끼워 상부 지붕(410)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환기공간(400)을 형성하여 텐트(10) 내부의 무더운 공기가 자연현상인 대류를 이용하여 공기유입구(430)를 통해 환기공간(400)에 모였다가 텐트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텐트 내부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텐트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에 이어 일반 지붕골조(200)를 기존의 텐트(10)보다 양 끝으로 1개씩 더 연결하여 텐트(10)의 벽면을 따라 폭 200~500cm의 처마(500)를 형성하여 형성하여 햇볕이 텐트(10)를 직접 가열하는 것을 막고 천막의 벽에 그림자를 드리워 텐트 내부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 여름에 행사용 텐트를 설치하고 에어컨을 가동하면 당분간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점차 강한 햇볕이 텐트를 가열하고 이에 더하여 많은 사람들이 내뿜는 인체의 열로 인해 텐트 내부는 점점 더워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에는 텐트 천(11)을 연결하지 않았고 중앙부용 지붕골조(210) 양 옆의 일반 지붕골조 상부에 보조골조(300)를 부착하고 상기 중앙부용 보조골조와 양 옆의 보조골조를 연결하여 텐트 천(11)을 씌웠으므로 도 5 및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 (W) 6~10cm로 텐트의 길임만큼 환기공간(40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텐트 내부가 점차 더워짐에 따라 더운 공기는 점차 텐트 상부로 상승하여 공기유입구(430)를 통해 상기 환기공간(400)에 모이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환기공간(400) 아래쪽은 에어컨의 바람으로 인하여 시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한낮의 뜨거운 햇볕과 행사에 참석한 많은 사람들의 체온에서 나오는 열기로 인하여 텐트 내부가 더욱 더워지면 더욱 많은 무더운 공기가 상기 환기공간(400)에 모이게 되지만 이들 더운 공기는 대류현상에 따라 자연스럽게 텐트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이와 같은 배출현상은 텐트 내부 온도가 텐트 외부의 온도보다 낮아질 때까지 계속되므로 텐트 내부는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텐트의 외벽에 또한 처마(500)를 설치하였으므로 햇볕이 천막을 직접 가열하는 것을 막고 천막의 벽에 그림자를 드리울 수 있으므로 천막 내부가 한낮의 뜨거운 햇볕에 의하여 직접 가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10 : 대형텐트 11 : 텐트 천
100 : 기둥골조(100) 110 : 연결봉 결합 홈
120 : 연결봉 140 : 끼움부
200 : 지붕골조 210 : 중앙부용 지붕골조
220 : 일반 지붕골조 211, 221 : 연결봉 결합 홈
220 : 끼움부
300 : 보조 골조 310 : 몸체
320 : 끼움부
400 : 환기공간 410 : 상부지붕
420 : 하부지붕 430 : 공기유입구
500 : 처마

Claims (4)

  1.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와 상기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의 좌우로 연결된 일반 지붕골조(220)의 상부에 부착된 각 보조골조(300)의 보조끼움부(320)에 텐트 천(11)을 끼워 형성된 상부 지붕(410)과 중앙부용 지붕골조(210)를 제외한 일반 지붕골조(220)의 끼움부(230)에 텐트 천(11)을 끼워 중앙부에 공기유입구(430가 형성된 하부 지붕(420) 사이에 환기공간(400)을 형성하여 상기 환기공간(400)을 통해 텐트(10) 내부의 무더운 공기를 텐트(10) 외부로 배출하여 텐트 내부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2. 일반 지붕골조(210)를 텐트(10)의 양 끝으로 1개씩 더 연결하여 텐트(10)의 벽면을 따라 형성된 폭 200~500cm의 처마(500)를 형성하여 텐트(10) 벽면에 햇볕이 직접 닿는 것을 제한하여 텐트 내부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3. 가로 및 세로가 10~30cm, 길이가 400~1500cm의 4각 철재 또는 스테인리스로 제조된 파이프로서 텐트(10)의 앞뒤와 양 측면에 지붕의 경사도에 따라 각기 다른 높이의 기둥골조(100)를 준비하는 단계;
    텐트(10)의 중앙부에 사용하는 것으로 몸체의 형상은 4각 또는 5각형이고 길이는 400~500cm로서 내각이 120~170°로 둥글게 휘고 위로부터 1/3~1/4 길이의 양 측면에는 텐트 천(11)을 끼우는 끼움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용 골조(210)를 준비하는 단계;
    길이가 400~500cm인 4각 또는 5각형으로서 위로부터 1/3~1/4 길이의 양 측면에는 텐트 천(11)을 끼우는 끼움부(2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용 골조(210)의 좌우로 연결하여 지붕을 완성하는 일반 지붕골조(220)를 준비하는 단계;
    길이 3~5cm의 몸체(310)와 길이(지름)이 1~2cm인 보조끼움부(320)로 구성된 보조골조(30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중앙부용 골조(210)와 상기 일반 지붕골조(220)의 측면 상부에 보조골조(300)를 부착하는 단계;
    텐트(10)의 길이와 경사도에 맞추어 기둥골조(100)를 세우는 단계;
    상기 각 기둥골조(100)를 연결봉(120)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기둥골조(100) 위에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와 일반 지붕골조(22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와 일반 지붕골조(220)를 연결봉(212,222)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각 기둥골조(100)의 끼움부(140)에 텐트 천(11)을 끼워 텐트 외곽을 완성하는 단계;
    중앙부용 지붕골조(210)를 제외하고 일반 지붕골조(220)의 끼움부(230)에 텐트 천(11)을 끼워 중앙부에 공기유입구(430)가 형성된 하부 지붕(4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와 상기 중앙부용 지붕골조(210)의 좌우로 연결된 일반 지붕골조(220)에 부착되어 있는 보조골조(300)의 보조끼움부(320)에 텐트 천(11)을 끼워 상부 지붕(410)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환기공간(400)을 형성하여 텐트(10) 내부의 무더운 공기가 자연현상인 대류를 이용하여 공기유이구(430)를 통해 환기공간(400)에 모였다가 텐트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텐트 내부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텐트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방법
  4. 제 3항에 이어 일반 지붕골조(200)를 기존의 텐트보다 양 끝으로 1개씩 더 연결하여 텐트(10)의 벽면을 따라 폭 200~500cm의 처마(500)를 형성하여 햇볕이 텐트(10)를 직접 가열하는 것을 막고 천막의 벽에 그림자를 드리워 텐트 내부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
KR1020150065326A 2015-05-11 2015-05-11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 KR10168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326A KR101682580B1 (ko) 2015-05-11 2015-05-11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326A KR101682580B1 (ko) 2015-05-11 2015-05-11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598A true KR20160132598A (ko) 2016-11-21
KR101682580B1 KR101682580B1 (ko) 2016-12-12

Family

ID=5753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326A KR101682580B1 (ko) 2015-05-11 2015-05-11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5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6778A (zh) * 2017-09-06 2017-11-24 北京汉唐牛耳建筑景观设计有限公司 太阳能帐篷及太阳能帐篷组件
KR102230072B1 (ko) 2019-09-18 2021-03-19 조준규 하늘 우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548B1 (ko) * 2018-07-12 2019-03-18 주식회사 코리아텐트 피앤에이 천막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887Y1 (ko) * 2001-03-14 2001-10-08 이준재 행사용 대형천막의 천막고정프레임
KR200319112Y1 (ko) * 2003-04-22 2003-07-07 이육훈 열차단 및 통풍이 가능한 그늘막
KR101126646B1 (ko) * 2011-09-09 2012-03-26 황양훈 조립식 구조물
JP2014136937A (ja) * 2013-01-18 2014-07-28 Yuji Nimura 仮設建築物遮蔽用シートの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887Y1 (ko) * 2001-03-14 2001-10-08 이준재 행사용 대형천막의 천막고정프레임
KR200319112Y1 (ko) * 2003-04-22 2003-07-07 이육훈 열차단 및 통풍이 가능한 그늘막
KR101126646B1 (ko) * 2011-09-09 2012-03-26 황양훈 조립식 구조물
JP2014136937A (ja) * 2013-01-18 2014-07-28 Yuji Nimura 仮設建築物遮蔽用シートの取付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6778A (zh) * 2017-09-06 2017-11-24 北京汉唐牛耳建筑景观设计有限公司 太阳能帐篷及太阳能帐篷组件
KR102230072B1 (ko) 2019-09-18 2021-03-19 조준규 하늘 우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580B1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3537B2 (ja) 植物栽培ハウス
US20130118095A1 (en) Shade shelter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20140053482A1 (en) Building roof structure
KR20160132598A (ko)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
JP5660720B2 (ja) 寒冷地用の植物栽培ハウス
US11788736B2 (en) Solar air heater
US11566818B2 (en) Solar air heater
CN105317143A (zh) 百叶式光伏建筑立面和百叶式光伏幕墙
CN106437472A (zh) 一种水喷雾蒸发降温百叶窗遮阳装置
JP2005226925A (ja) ソーラーシステムハウス
JP5601702B2 (ja) 植物栽培ハウス
CN206655406U (zh) 建筑幕墙的遮阳结构
KR101750305B1 (ko) 에어 하우스
KR20140049134A (ko) 온실
JP2019184178A (ja) 空調設備を有する屋外施設
CN205357416U (zh) 一种复式日光温棚通风降温设施
JP7181819B2 (ja) 換気システム
KR20140047522A (ko) 공기주입식 태양열 온풍기
KR200322910Y1 (ko) 다각 입체형 소주택의 차양막 결합구조
TWI693326B (zh) 導光隔熱排風屋頂
CN105594509A (zh) 一种带锯齿型天窗的温室
JP6748904B2 (ja) 上下開閉機構付き多機能ダブルスキンシステムの運転方法
Babota Increase Energy Efficiency and Comfort in Homes by Incorporating Passive Solar Design Features
CN205314398U (zh) 智能型排风散热装置
CN208850290U (zh) 一种用于月季栽培的玻璃温室遮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