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196A - High heat dissipative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High heat dissipative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196A
KR20160132196A KR1020150063412A KR20150063412A KR20160132196A KR 20160132196 A KR20160132196 A KR 20160132196A KR 1020150063412 A KR1020150063412 A KR 1020150063412A KR 20150063412 A KR20150063412 A KR 20150063412A KR 20160132196 A KR20160132196 A KR 20160132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aterial
polymer composite
high heat
graphite structure
grap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4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97764B1 (en
Inventor
김성룡
박규대
송예슬
이희진
임정혁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764B1/en
Publication of KR2016013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1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7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7/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intended use
    • C08J2207/02Adhes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Provided are: high heat dissipation polymer composite material; and a producing method thereof. The high heat dissipation polymer composite material comprises: one graphite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viscosity monomers, oligomers, resins, and combinations thereof impregnated in the graphite structure.

Description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HIGH HEAT DISSIPATIVE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 OF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ACKGROUND ART [0002]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Heat-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전자 제품들이 고성능화됨과 동시에 소형화되고 특히, 두께가 점점 얇아지면서 각종 전자 제품 내의 전자 소자들의 대용량화와 고집적화가 함께 이루어지게 되었고, 그에 따라 이러한 전자 제품들의 방열 성능이 제품의 성능에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As the electronic devices have become high-performance and miniaturized, and in particular, their thicknesses have become thinner, the electronic devices within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have become larger in capacity and higher in integration, and accordingly,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these electronic products is recognized as a key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s have.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소형 전자기기일수록 더욱 많은 열을 방출시키므로 이들 장치에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도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연료전지 자동차에서 고전류가 흐르는 부품의 이용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For example,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emit more heat, so it is important to effectively dissipate heat from these devices. In the automotive field, too, the use of high current components in hybrid cars and fuel cell vehicles It is important to release the generated heat.

이러한 전자 기기들의 작동 중 발생하는 열이 계속하여 국부적으로 축적되게 되면 기기의 내부 온도가 계속 상승하게 되어 기기의 오작동을 발생시키거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의 내부온도가 약 10℃ 정도로 올라가면 기기의 수명이 대략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When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such electronic devices continues to be accumulated locally,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evice continuously rises, causing a malfunction of the device or a shortening of its service life. In general, It has been reported that when the temperature rises to about 10 ° C, the lifetime of the device is reduced to about half.

이에, 경량화를 실현하고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높은 열전도도가 높아 방열 성능이 우수한 고분자 복합 재료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고분자의 열 전도도는 0.15~0.5 W/mK로서 아주 낮아 방열성에 대한 요구 수준으로 충족하기 어렵고, 그에 따라 방열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100W/mK이상의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는 세라믹, 금속 필러, 팽창성 흑연 등의 도전성 필러를 적용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고분자 내에서 이들의 분산성이 매우 낮아 열전도도가 충분히 향상되지 못하고 이러한 도전성 필러가 과량 첨가되는 경우에는 고분자의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u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polymer composite material that realizes weight reduction, has excellent molding processability, and has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is excellent in heat radiation performance. However, the thermal conductivity of general polymer is very low as 0.15 ~ 0.5 W / mK, so it is difficult to meet the required level of heat dissipation property. Therefor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property, ceramic, metal filler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100 W / mK or more, Graphite and the like, but their thermal conductivity is not sufficiently improved due to their low dispersibility in the polymer, and when the conductive filler is added in an excessive amount, it is difficult to process the polymer.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우수한 방열성을 등방성으로 균일하게 구현하여 전자 제품의 오작동 및 수명 단축을 더욱 방지하는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ly heat-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is provided that uniformly implements excellent heat dissipation properties in an isotropic manner to further prevent malfunction and shortened life span of an electronic product.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ducing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is provided.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는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가 고분자 내에 혼합 및 교반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저점도의 모노머 등이 함침된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포함한다.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includes a single graphite structure impregnated with the monomer having a low viscosity described above rather than being contained in a state where the expanded graphite particles are mixed and stirred in the polymer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는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서로 접하여 이어지는 소정의 3차원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가는 단일 구조체로서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내에서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이격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서로 접하여 이어져 있으므로 열전도도가 모든 방향에 대하여 더욱 높고, 그에 따라, 전술한 열전도도의 이방성, 국부적인 온도 상승의 문제 없이 우수한 방열 성능을 모든 방향에서 균일한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includes a single graphite structure as a singl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graphite particle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otal so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is higher in all directions and therefore the excellent heat radiation performance can be uniformed in all directions without any problem of anisotropy of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local temperature rise There is an advantage to be implemented.

또한, 그 결과,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사용한 제품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모든 방향으로 빠르게 방출시킴으로써 국부적인 열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ccumulation of local heat by rapidly discharging heat generated in the product using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in all directions,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roduct, have.

상기 복수의 팽창성 흑연 입자들은 몰드 내의 제한된 공간 안에서 함께 팽창되면서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서로 연결되어 존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흑연 구조체는 상기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서로 접하여 이어지는 소정의 3차원적인 네트워크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높은 열전도도를 모든 방향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are expanded together in a limited space in the mold so that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are present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so that the graphite structure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three- Network structure, and thus a high thermal conductivity can be realized in all directions.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는 우수한 방열성을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구현하여 전자 제품의 오작동 및 수명 단축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can uniformly realize excellent heat dissipation in all directions, thereby further preventing the malfunction and the life span of the electronic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모노머 등이 함침되기 이전의 하나의 흑연 구조체의 소정의 3차원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구조를 주사전자 현미경(JEOL 社, JSM-6700)으로 확대하여 촬영한 이미지 사진이다.
도 3는 비교예 4에 따른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주사전자 현미경(JEOL 社, JSM-6700)으로 확대하여 촬영한 이미지 사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mage photograph obtained by enlarging a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ly connected network structure of one graphite structure before impregnation of a monomer or the like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EOL, JSM-6700).
FIG. 3 is an image photograph of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4 taken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EOL, JSM-6700).
4 is a schematic process flow diagram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represent the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hicknesses of some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흑연 구조체(110); 및 상기 흑연 구조체(110)에 함침된 저점도의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120);를 포함하는 예비 복합재료가 경화 또는 중합되어 형성된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비 복합재료에 대하여 열 처리 또는 광 조사를 수행하여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상기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120)가 경화 또는 중합되어 형성된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를 제공한다. 도 1에서, 부호 "110"은 팽창된 흑연 입자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가 서로 접하여 이어지는 단일 구조체로서 형성된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가리키는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e graphite structure (110) comprising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And at least one (120)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viscosity monomers, oligomers, resins, and combinations thereof impregnated into the graphite structure (110) is cured or polymerized to form a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The material 100 is provided. Specifically,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or light irradiation to form a high heat dissipation polymer composite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 high heat dissipation polymer composite material ") formed by curing or polymeriz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monomer, the oligomer, (100). In Fig. 1, reference numeral 110 denotes a graphite structure formed as a singl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not to refer to the expanded graphite particles themselves.

본 명세서에서, 상기 예비 복합재료란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를 형성하기 위한 중간재를 의미하고, 열 처리 또는 광 조사에 의해 상기 예비 복합재료로부터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를 형성할 수 있다. Herein,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means an intermediate material for forming the high heat dissipation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igh heat dissipation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is formed from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by heat treatment or light irradiation can do.

일반적으로, 고분자는 열전도도가 낮아서 방열 성능이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게다가,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량의 도전성 충전제를 첨가하게 되면 고분자의 장점인 가공성과 성형성이 없어지고,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량의 탄소나노튜브 같은 나노 필러 등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나노 필러 등의 응집성으로 인하여 분산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열전도도가 낮아지고 불균일하며, 또한 이들이 서로 응집되어 기계적 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복합재료 내에 포함된 기공, 또는 필러와 매트릭스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포논 산란에 의하여 매우 제한적인 열전도도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In general, a polymer has a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thus has a disadvantage that the heat radiation performance is not sufficient. 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conductive filler is added to improve the heat radiation performance, workability and formability, which are merits of polymers, are lost, and when a small amount of nanofiller such as carbon nanotubes is added to improve moldability, The dispersibility is not ensured due to the cohesiveness of the resin,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is low and non-uniform, and they are agglomera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is rapidly deteriorated. In particular, it has had to have a very limited thermal conductivity due to pores contained in the composite material, or phonon scattering occurring at the interface of the filler and the matrix.

구체적으로, 탄소나노튜브나 금속 나노선 등의 1차원 나노소재; 그래핀, 그래핀 나노플레이트 등의 2차원 나노 소재; 등의 필러는 가공 중 고분자 내에서 방향성을 가지고 배향하게 되고 특히 용융 수지 등의 흐름이 빠른 사출성형 복합재료 제품은 이러한 필러가 금형 내에 투입되어 셩형될 때 수지의 흐름 방향에 따라 필러가 특정한 배향성을 갖기 때문에 복합재료료의 열전도도도 이방성을 가지게 되어 부품의 설계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Specifically, one-dimensional nanomaterials such as carbon nanotubes and metal nanowires; Two-dimensional nanomaterials such as graphene and graphene nanoplates; The filler of the filler is orientated in a direction of the polymer in the course of processing. Particularly, an injection-molded composite material having a high flow rate of a molten resin and the like has a specific orientation of the filler depending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resin when the filler is injected into the mol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material also has anisotropy, so that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design of the parts.

또한, 팽창된 흑연 등은 고분자 내에서 서로 뭉치는 경향이 커서 균일하게 분산시키기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에 따라 팽창된 흑연을 용융된 고분자 내에 단순히 혼합 및 교반시켜 형성한 고분자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방열 시트, 방열 점착테이프 등은 열전도도 및 기계적 물성이 위치에 따라 불균일하게 나타나고 방열성이 낮은 부분에서 열의 방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국부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자 제품의 오작동 및 수명 단축을 유발할 수 있다. In addition, expanded graphite and the like tend to aggregate in the polymer, and it is very difficult to uniformly disperse the graphite. Accordingly, the heat-radiating sheet, the heat-radiating adhesive tape, and the like manufactured using the polymer composition formed by simply mixing and stirring the expanded graphite in the molten polymer exhibit non-uniform therm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The discharge may not be smoothly performed, and the temperature may locally rise, thereby causing malfunction and shortening of life of the electronic product.

이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는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가 고분자 내에 혼합 및 교반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저점도의 모노머 등(120)이 함침된 하나의 흑연 구조체(110)를 포함한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is not contained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are mixed and agitated in the polyme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the low- And one graphite structure 110 impregnated with the graphite structure 120.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흑연 구조체(110)는 이에 포함된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서로 접하여 이어지는 소정의 3차원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가는 단일 구조체를 의미하고,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는 상기 하나의 흑연 구조체(11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 내에서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이격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서로 접하여 이어져 있으므로 열전도도가 모든 방향에 대하여 더욱 높고, 그에 따라, 전술한 열전도도의 이방성, 국부적인 온도 상승의 문제 없이 우수한 방열 성능을 모든 방향에서 균일한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ne graphite structure 110 means a singl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contained therei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Since the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in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are not separated but are entirely tangent to each other by including the one graphite structure 110, the thermal conductivity is higher in all directio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excellent heat radiation performance can be realized at a uniform level in all directions without the problem of the anisotropy of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problem of the local temperature rise.

또한, 그 결과,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를 사용한 제품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모든 방향으로 빠르게 방출시킴으로써 국부적인 열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heat generated in the product using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is rapidly discharged in all directions,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local heat,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roduct, Can be extended.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흑연 구조체(110)를 형성하는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 사이의 공간 즉, 상기 하나의 흑연 구조체(110) 내의 공극에 상기 저점도의 모노머 등(120)이 함침되어 있고, 또한, 도 1에서 나타낸 부분뿐만 아니라, 서로 직접 접하는 팽창된 흑연 입자들 사이의 공극에도 도 1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저점도의 모노머 등(120)이 함침되어 있다.1, a space between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forming one graphite structure 110, that is, a gap between the expanded graphite particles 110 and the voids in the one graphite structure 110, 1, but voids between the expanded graphite particles directly contacting with each other are impregnated with a monomer 120 or the like having a low viscosity although not shown in Fig.

상기 하나의 흑연 구조체(110)는 예를 들어, 복수의 팽창성 흑연 입자들을 몰드 내에서 팽창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몰드의 형상에 상응하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단일 구조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상기 흑연 구조체(110)를 형성하는데 본이 되는 일종의 틀로서, 예를 들어 주형틀, 형틀, 사출 금형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The one graphite structure 110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expanding a plurality of expansible graphite particles in a mold, thereby forming a singl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old . The mold is a kind of mold that is used to form the graphite structure 110 and includes all of a flask, a mold, an injection mold, and the like.

즉, 상기 복수의 팽창성 흑연 입자들은 몰드 내의 제한된 공간 안에서 함께 팽창되면서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서로 연결되어 존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흑연 구조체(110)는 상기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서로 접하여 이어지는 소정의 3차원적인 네트워크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높은 열전도도를 모든 방향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저점도의 모노머 등(120)이 함침되기 이전의 하나의 흑연 구조체(110)의 소정의 3차원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구조를 주사전자 현미경(JEOL 社, JSM-6700)으로 확대하여 촬영한 이미지 사진이다.That is, the plurality of expansive graphite particles are expanded together in a limited space in the mold, so that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graphite structure 110 contacts the expanded graphite particles Can be formed in the following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thereby realiz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in all directions.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ly connected network structure of one graphite structure 110 before impregnation of a low-viscosity monomer or the like 120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EOL, JSM-6700) It is an image photograph.

상기 흑연 구조체(110)의 형상, 밀도, 팽창률 등은 발명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상기 몰드의 형상, 부피 등을 선택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hape, density, expansion rate, etc. of the graphite structure 11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by selecting the shape, volume, etc. of the mol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of the inventio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팽창성 흑연 입자는 그라파이트 인터칼레이션 화합물 (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 GIC)이라고도 할 수 있고, 상기 그라파이트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을 예를 들어, 약 200℃ 내지 약 500℃로 열 처리하여 팽창시킴으로써 흑연 구조체(110)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expandable graphite particles may be referred to as a 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 (GIC), and the 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 may be expanded by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for example, about 200 ° C. to about 500 ° C.,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흑연 구조체(110)에 저점도의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120)가 함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흑연 구조체(110)의 소정의 3차원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견고히 유지시키면서 우수한 성형 가공성을 구현할 수 있다. The graphite structure 110 may be impregnated with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viscosity monomers, oligomers, resins, and combinations thereof, so that the graphite structure 110 may be impregnated with a predetermined three- It is possible to realize excellent molding processability while firmly maintaining the network structure.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상기 수지 등(120)의 함침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함침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흑연 구조체(110)를 상기 수지 등에 침지하거나 상기 흑연 구조체(110) 내에 상기 수지 등을 분사하거나 주입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impregnation of the monomer, oligomer, resin or the like 120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known impregnation method in the art,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graphite structure 110 in the resin or the like, 110 by spraying or injecting the resin or the like.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는 상기 흑연 구조체(110)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상기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120)를 포함하는 피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further includes a coating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raphite structure 110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monomers, the oligomer, the resin, and combinations thereof can do.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수지는 열가소성 화합물, 열경화성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nomer, the oligomer, and the resin may comprise a thermoplastic compound, a thermosetting compound, or both.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화합물은 디엔계 화합물, 비닐계 화합물, 비닐 방향족계 화합물, 알코올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설파이드계 화합물, 열가소형 아크릴계 화합물, 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을 이루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화합물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o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terephthalate), 폴리우레아(polyurea),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acet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벤즈이미다졸(polybenzimidazol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thermoplastic compoun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iene compound, a vinyl compound, a vinyl aromatic compound, an alcohol compound, an amine compound, a sulfide compound, a thermoplastic acrylic compound, an amide compound,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thermoplastic compoun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oylene, polyurethane, polyethyleneterephthalate, polybutyleneterephthalate, polyurea, poly Polyvinylchloride, polyvinylacetate, ethylenevinylacetate, polyphenylene sulfide, polyamide, polyimide, polybenzimidazole, poly (vinylidene chloride), poly Polyetheretherketon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열경화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에폭시계 화합물, 아미노계 화합물, 페놀계 화합물, 불포화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열경화형 아크릴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thermosetting compou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an epoxy compound, an amino compound, a phenol compound, an unsaturated polyester compound, a thermosetting acrylic compound, a silicone comp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구현예에서,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수지는 점도가 낮은 열가소성 화합물 또는 열경화성 화합물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흐름성이 우수하여 상기 흑연 구조체(110) 내의 빈 공간으로 용이하게 침투하여 함침될 수 있어,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 내의 기공률을 더욱 낮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onomer, the oligomer, and the resin may be a thermoplastic compound or a thermosetting compound having a low viscosity, so that the monomer, the oligomer, and the resin can be easily infiltrated into the void space in the graphite structure 110, And the porosity of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can be lowered.

이와 같이,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 내의 기공률을 낮은 수준으로 구현함으로써 열전도도가 낮은 공기에 의한 열 전달 성능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더욱 우수한 방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rosity of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is reduced to a low level, deterioration of heat transfer performance due to air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more excellent heat radiation performance can be realized.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상기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120)는 예를 들어, 약 25℃의 온도에서 점도가 약 5,000cP 미만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0.5cP 내지 약 3,000cP일 수 있으며, 또한 구체적으로는 약 0.5cP 내지 약 2,000cP일 수 있다.At least one (120)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monomers, oligomers, resins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have a viscosity of less than about 5,000 cP, for example, at a temperature of about 25 ° C, 3,000 cP, and more specifically from about 0.5 cP to about 2,000 cP.

상기 범위 내의 낮은 점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흑연 구조체(110) 내의 빈 공간으로 더욱 용이하게 침투하여 함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 내의 기공률을 더욱 낮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By having a low viscosity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enetrate and impregnate into the void space in the graphite structure 110, thereby realizing a lower level of porosity in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일 구현예에서, 상기 흑연 구조체(110)의 함량은 약 2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수지의 총합의 함량은 예를 들어, 약 39 중량% 내지 약 98 중량%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39 중량% 내지 약 97 중량%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of graphite structure 110 may be from about 2% to about 60% by weight.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the oligomer, and the resin may be, for example, from about 39% by weight to about 98% by weight, and specifically from about 39% by weight to about 97% by weight.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 내에서 전체적으로 상기 흑연 구조체(110)가 충분히 존재하여 등방성으로 방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흑연 구조체(110) 내에 상기 수지 등이 용이하게 침투하여 함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흑연 구조체(110)의 함량이 약 2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 내에서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서로 접하여 이어지는 소정의 3차원적인 네트워크 구조가 존재하기 어려워 방열 성능이 낮고, 약 60 중량% 초과인 경우 상기 흑연 구조체(110)가 너무 컴팩트하여 전술한 모노머 등이 침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When the content of the graphite structure 110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graphite structure 110 is sufficiently present in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as a whole,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can be achieved isotropically. Impregnated and impregnated. Specifically, when the content of the graphite structure 110 is less than about 2% by weight, it is difficult for a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in which graphite particles expanded in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to contact each other, And the graphite structure 110 is too compact, it is difficult for the above-mentioned monomers and the like to penetrate.

또한, 상기 예비 복합재료가 상기 흑연 구조체(110) 내에 끼이거나 삽입된 탄소 나노튜브, 금속 나노선, 저융점 합금, 금속 나노입자, 그래핀, 그래핀 나노플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nanotubes, metal nanowires, low melting point alloys, metal nanoparticles, graphene, graphene nanoplates, and combinations thereof embedded or embedded in the graphite structure 110 And at least on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이와 같이, 상기 열전도성 필러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는 등방성의 열전달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더욱 우수한 방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further includes 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thereby effectively improving the isotropic heat transfer performance and realizing a better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상기 열전도성 필러의 함량은 0.1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우수한 방열 성능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may be 0.1 wt% to 20 wt%. By being included in the content within the above range, excellent heat radiation performance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realized.

또한, 상기 예비 복합재료는 예를 들어, 광개시제, 열개시제, 광경화제, 열경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적절히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urther,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a photoinitiator, a thermal initiator, a photo-curing agent, a thermosetting agent, and the like, and they may be suitably used in the art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일 구현예에서, 상기 흑연 구조체(110)에 대하여 발명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전처리는 예를 들어, 분산제, 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증기로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the graphite structure 110 can be pretre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treatment can be carried out in the group comprising, for example, dispersants, coupling agents, surfactant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other additives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는 상기 예비 복합재료가 경화 또는 중합되어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예비 복합재료 내의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상기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120)가 경화 또는 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는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상기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120)를 경화 또는 중합시켜 형성한 경화물 또는 중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can be formed by curing or polymerizing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and more specifically, by mixing the monomer, the oligomer, the resin,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mbers may be formed by curing or polymerizing. That is,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may include a cured product or a polymeric material formed by curing or polymerizing at least one (120)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monomer, the oligomer, the resin, have.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상기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120)는 발명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경화되거나 중합될 수 있고, 상기 모노머 등(120)이 부분적으로 경화되거나 중합되는 경우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가 점착성이나 접착성을 가질 수 있고, 완전히 경화되거나 중합되는 경우에는 단단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At least one (120)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monomer, the oligomer, the resin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partially or fully cured or polymerized according to the object and use of the invention, and the monomer or the like 120 may be partially ,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may have adhesiveness or adhesiveness and may have a rigid property when it is completely cured or polymerized.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의 열전도도가 예를 들어, 약 1 W/mK 내지 약 100 W/mK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열전도율을 가짐으로써 더욱 우수한 방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may be, for example, from about 1 W / mK to about 100 W / mK. By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realize more excellent heat radiation performance.

또한,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의 밀도가 약 0.4g/cm3 내지 약 1.60g/cm3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 내의 기공률을 낮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열 전달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lso,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may have a density of about 0.4 g / cm 3 to about 1.60 g / cm 3 . By having the density within the above range, the porosity in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can be realized at a low level, and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구체적으로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의 밀도가 약 0.4 g/cm3 미만이면 수지 등의 침투가 일부분만 일어나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낮고, 약 1.60 g/cm3 초과이면 상기 하나의 흑연 구조체가 너무 컴팩트한 구조, 즉 빽빽한 구조를 이루는 상태이므로 모노머 등이 침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Specifically, if the density of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is less than about 0.4 g / cm 3 , penetration of the resin or the like occurs only partially,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remarkably low. If the density is more than about 1.60 g / cm 3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nomer or the like can not penetrate because the structure is too compact, that is, the structure is dense.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는 예를 들어 전자 제품용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방열 하우징, 방열 점착 테이프, 방열 점착 시트 등의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의 두께를 얇게 하여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소형 전자 부품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나 엘이디(LED) 표시 소자 등의 국부적인 발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may be, for example, a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for an electronic product. Specifically,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may be applied to a heat dissipation housing, a heat dissipation adhesive tape, and a heat dissipation adhesive sheet.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mold can be made thinner and the thickness of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can be thinned, so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small electronic part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olve the local heating problem of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LED display device.

예를 들어, 방열 점착 테이프, 방열 점착 시트의 용도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100)의 점착 강도는 약 100gf/25mm 이상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pplied to the use of heat-resisting adhesive tape or heat-radiating adhesive shee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100 may be about 100 gf / 25 mm or more.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몰드 내에서 복수의 팽창성 흑연 입자를 팽창시켜 상기 몰드의 형상에 상응하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흑연 구조체에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침시켜 예비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 복합재료를 경화 또는 중합시켜 이로부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흑연 구조체,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수지는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forming a graphite structure, comprising: expanding a plurality of expandable graphite particles in a mold to form one graphit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old; Impregnating the graphite structure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mers, oligomers, resins, and combinations thereof to form a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And a step of curing or polymerizing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to produce a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therefrom. In one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can be produc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Accordingly, the graphite structure, the monomer, the oligomer, and the resin are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상기 제조방법에서, 몰드 내에서 복수의 팽창성 흑연 입자를 팽창시켜 상기 몰드의 형상에 상응하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produ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expand a plurality of expansive graphite particles in a mold to form one graphit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old.

상기 복수의 팽창성 흑연 입자는 열 처리에 의해 팽창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200℃ 내지 약 500℃의 온도로 열 처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plurality of expandable graphite particles may be expanded by heat treatment and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at a temperature of about 200 캜 to about 500 캜, but is not limited thereto.

흑연 구조체는 예를 들어, 복수의 팽창성 흑연 입자들을 몰드 내에서 팽창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몰드의 형상에 상응하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단일 구조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상기 흑연 구조체를 형성하는데 본이 되는 일종의 틀로서, 예를 들어 주형틀, 형틀, 사출 금형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The graphite structure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expanding a plurality of intumescent graphite particles in a mold, thereby forming a singl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old. The mold is a kind of mold that is used to form the graphite structure, and includes all of a flask, a mold, an injection mold, and the like.

즉, 상기 복수의 팽창성 흑연 입자들은 몰드 내의 제한된 공간 안에서 함께 팽창되면서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서로 연결되어 존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흑연 구조체는 상기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서로 접하여 이어지는 소정의 3차원적인 네트워크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등방성 방열성을 구현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expandable graphite particles are expanded together in a limited space in the mold, so that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by the graphite structure is formed so that the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contact each other It can be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thereby achieving isotropic heat dissipation.

상기 흑연 구조체의 형상, 밀도, 팽창률 등은 발명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상기 몰드의 형상, 부피 등을 선택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hape, density, expansion rate, etc. of the graphite structur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by selecting the shape, volume, etc. of the mol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of the inventio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흑연 구조체에 저점도의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침시켜 예비 복합재료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production method, the graphite structure may be impregnated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viscosity monomers, oligomers, resins, and combinations thereof to form a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수지는 점도가 낮은 열가소성 화합물, 열경화성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흐름성이 우수하여 상기 흑연 구조체 내의 빈 공간으로 용이하게 침투하여 함침될 수 있어,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내의 기공률을 더욱 낮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monomer, the oligomer, and the resin may include a thermoplastic compound having a low viscosity, a thermosetting compound, or both of them. Accordingly, the monomer, the oligomer, and the resin can be easily impregnated into the void space in the graphite structure, , The porosity of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can be lowered.

이와 같이,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내의 기공률을 낮은 수준으로 구현함으로써 열전도도가 낮은 공기에 의한 열 전달 성능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더욱 우수한 방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rosity of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is reduced to a low level, deterioration of heat transfer performance due to air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more excellent heat radiation performance can be realized.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상기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약 25℃의 온도에서 점도가 약 5,000cP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0.5cP 내지 약 3,000cP일 수 있으며, 또한 구체적으로는 약 0.5cP 내지 약 2,000cP일 수 있다.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monomer, the oligomer, the resin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formed to have a viscosity of less than about 5,000 cP, for example, at a temperature of about 25 캜, 3,000 cP, and more specifically from about 0.5 cP to about 2,000 cP.

상기 범위 내의 낮은 점도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흑연 구조체 내의 빈 공간으로 더욱 용이하게 침투하여 함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내의 기공률을 더욱 낮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By forming the material with a low viscosity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enetrate and impregnate into the void space in the graphite structure, thereby realizing a lower level of porosity in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상기 수지 등의 함침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함침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흑연 구조체를 상기 수지 등에 침지하거나 상기 흑연 구조체 내에 상기 수지 등을 분사하거나 주입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impregnation of the monomer, the oligomer, the resin or the like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an impregnation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graphite structure in the resin or spraying the resin or the like into the graphite structure Can be performed by injection.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예비 복합재료는 상기 흑연 구조체의 함량이 약 2 중량% 내지 약 60 중량%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수지의 총합의 함량이 예를 들어, 약 39 중량% 내지 약 98 중량%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39 중량% 내지 약 97 중량%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In the above production method,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ontent of the graphite structure is about 2 wt% to about 60 wt%.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the oligomer, and the resin may be, for example, about 39 wt% to about 98 wt%, and specifically about 39 wt% to about 97 wt%. .

상기 범위 내의 함량을 갖도록 상기 예비 복합재료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내에서 전체적으로 상기 흑연 구조체가 충분히 존재하여 등방성으로 방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흑연 구조체 내에 상기 수지 등이 용이하게 침투하여 함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흑연 구조체의 함량이 약 2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내에서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서로 접하여 이어지는 소정의 3차원적인 네트워크 구조가 존재하기 어려워 방열 성능이 낮고, 약 60 중량% 초과인 경우 상기 흑연 구조체가 너무 컴팩트하여 전술한 모노머 등이 침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By forming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so as to have the content within the above range, the graphite structure as a whole is sufficiently present in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can be achieved isotropically, and the resin or the like easily penetrates into the graphite structure, . Specifically, when the content of the graphite structure is less than about 2% by weight, it is difficult for the graphite particles expanded in the high heat-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to contact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 The graphite structure is too compact, and the above-mentioned monomers and the like are difficult to permeate.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예비 복합재료를 경화 또는 중합시켜 이로부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production method,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may be cured or polymerized to prepare a high heat dissipation polymer composite material.

상기 경화는 열경화 또는 광경화일 수 있고, 상기 중합은 열중합 또는 광중합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열경화 및 상기 열중합은 약 -20℃ 내지 약 350℃의 온도로 열 처리하여 수행되거나, 상기 광경화 및 상기 광중합은 예를 들어,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에 의해 약 100mJ/cm2 내지 약 5000mJ/cm2의 UV를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uring may be thermal curing or photo curing, and the polymerization may be thermal curing or photopolymerizing, for example, the thermal curing and the thermal curing may be performed by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about-20 C to about 350 C , And the photopolymerization and the photopolymerization can be performed by, for example, a metal halide lamp or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y irradiating UV of about 100 mJ / cm 2 to about 5000 mJ / cm 2 .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팽창성 흑연 입자를 팽창시키기 이전 상기 몰드 내에 탄소 나노튜브, 금속 나노선, 저융점 합금, 금속 나노입자, 그래핀, 그래핀 나노플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필러를 더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it is preferable that, before the expansion of the plurality of expandable graphite particles, the mol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nanotubes, metal nanowires, low melting point alloys, metal nanoparticles, graphene, And further adding a thermally conductive fill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s.

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팽창성 흑연 입자 및 상기 열전도성 필러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팽창성 흑연 입자를 상기 몰드 내에서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예비 복합재료 또는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내에서 상기 열전도성 필러가 응집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수준으로 상기 흑연 구조체 내에 끼이거나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by expanding the plurality of expandable graphite particles in the mold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expandable graphite particles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are mixed, 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in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or the high- It is not agglomerated and can be trapped or inserted into the graphite structure as a whole at a uniform level.

이와 같이, 상기 열전도성 필러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는 등방성의 열전달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더욱 우수한 방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further including 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effectively improves the isotropic heat transfer performance, thereby realizing better heat radiation performance.

상기 열전도성 필러의 함량은 0.1 중량% 내지 2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할일 수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우수한 방열 성능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may be 0.1 wt% to 20 wt%. By being included in the content within the above range, excellent heat radiation performance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realized.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흑연 구조체에 대하여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는 예를 들어, 분산제, 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증기로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urther, 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it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 pre-treatment on the graphite structure. The pre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but not exclusively, treating with a vapo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spersants, coupling agents, surfactants, and combinations thereof.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intended to illustrate or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hereto.

실시예Example

실시예Example 1 One

직경 50 mm 두께 10 mm의 몰드를 준비하고, 상기 몰드 내에서 그라파이트 인터칼레이션 화합물 2g을 300℃로 열처리하여 팽창시킴으로써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형성하였다.A mold having a diameter of 50 mm and a thickness of 10 mm was prepared and 2g of the 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 was heat-treated at 300 ° C in the mold to expand the graphite structure to form one graphite structure.

이어서, 에폭시 수지(EP-3000-32, Pace Technologies, USA) 및 경화제(EH-3000-08, Pace Technologies, USA)를 5:1의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 18g을 상기 흑연 구조체 내에 침투시켜 함침시킴으로서 예비 복합재료를 형성하였다.Subsequently, 18 g of a composition obtained by mixing an epoxy resin (EP-3000-32, Pace Technologies, USA) and a curing agent (EH-3000-08, Pace Technologies, USA) at a ratio of 5: 1 was impregnated into the graphite structure, A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was formed.

이어서, 상기 예비 복합재료에 대하여 80℃에서 1시간 동안 열 처리를 수행하여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Then,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was heat-treated at 80 ° C for 1 hour to prepare a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상기 예비 복합재료 중 상기 흑연 구조체의 함량은 10 중량%이고, 상기 수지의 함량은 90 중량%였다.
The content of the graphite structure in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was 10%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resin was 90% by weight.

실시예Example 2 2

상기 예비 복합재료 중 상기 흑연 구조체의 함량은 2 중량%이고, 상기 수지의 함량은 98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A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graphite structure in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was 2%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resin was 98% by weight.

실시예Example 3 3

상기 예비 복합재료 중 상기 흑연 구조체의 함량은 30 중량%이고, 상기 수지의 함량은 70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A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graphite structure in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was 30%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resin was 70% by weight.

실시예Example 4 4

직경 50 mm 두께 10 mm의 몰드를 준비하고, 상기 몰드 내에서 그라파이트 인터칼레이션 화합물 2g을 300℃로 열처리하여 팽창시킴으로써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형성하였다.A mold having a diameter of 50 mm and a thickness of 10 mm was prepared and 2g of the 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 was heat-treated at 300 ° C in the mold to expand the graphite structure to form one graphite structure.

이어서, 스티렌 모노머(Sigma Aldrich Co., USA) 및 벤조일퍼옥사이드를 혼합한 조성물 18g을 상기 흑연 구조체 내에 침투시켜 함침시킴으로서 예비 복합재료를 형성하였다.Next, 18 g of a composition obtained by mixing a styrene monomer (Sigma Aldrich Co., USA) and benzoyl peroxide was impregnated into the graphite structure to form a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이어서, 상기 예비 복합재료에 대하여 80℃에서 1시간 동안 열경화를 수행하여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Next,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was thermally cured at 80 DEG C for 1 hour to prepare a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상기 예비 복합재료 중 상기 흑연 구조체의 함량은 10 중량%이고, 상기 모노머의 함량은 90 중량%였다.
The content of the graphite structure in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was 10%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monomer was 90% by weight.

실시예Example 5 5

직경 50 mm 두께 10 mm의 몰드를 준비하고, 상기 몰드 내에서 그라파이트 인터칼레이션 화합물 2g을 300℃로 열처리하여 팽창시킴으로써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형성하였다.A mold having a diameter of 50 mm and a thickness of 10 mm was prepared and 2g of the 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 was heat-treated at 300 ° C in the mold to expand the graphite structure to form one graphite structure.

이어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5 wt%, 아크릴산 10 wt%,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wt%, 메틸아크릴레이트 12 wt%, 벤조일퍼옥사이드 0.1 wt%를 혼합한 아크릴계 모노머 조성물 18g(점도 2 centipoise, cP)을 상기 흑연 구조체 내에 침투시켜 함침시킴으로서 예비 복합재료를 형성하였다.Subsequently, 18 g of an acrylic monomer composition (viscosity of 2 centipoise, viscosity of 20 mPa.s) mixed with 75 wt% of 2-ethylhexyl acrylate, 10 wt% of acrylic acid, 3 wt% of methyl methacrylate, 12 wt% of methyl acrylate and 0.1 wt% cP) was impregnated into the graphite structure to form a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이어서, 상기 예비 복합재료에 대하여 60℃에서 1시간 30분 동안 열경화를 수행하여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Then,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was thermally cured at 60 DEG C for 1 hour and 30 minutes to prepare a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상기 예비 복합재료 중 상기 흑연 구조체의 함량은 10 중량%이고, 상기 모노머의 총합의 함량은 90 중량%였다.
The content of the graphite structure in the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was 10% by weight, and the total content of the monomers was 90% by weight.

비교예 1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형성하지 않고, 용융된 고분자 내에 혼합 및 교반되어 포함된 경우) Comparative Example 1 (when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do not form one graphite structure and are mixed and stirred in the molten polymer)

그라파이트 인터칼레이트 화합물을 머플퍼니스(muffle furnace)에서 450℃로 가열한 후 10 분간 방치시켜 팽창시켜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을 형성하였다. The graphite intercalate compound was heated in a muffle furnace at 450 DEG C and allowed to stand for 10 minutes to expand to form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상기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 2g을 에폭시 수지 (Epoxy resin (EP-3000-32, Pace Technologies, USA) 및 경화제 (EH-3000-08, Pace Technologies, USA)를 5:1의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 18g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고분자 조성물을 준비하였다.2 g of the expanded graphite particles were mixed at a ratio of 5: 1 with an epoxy resin (EP-3000-32, Pace Technologies, USA) and a curing agent (EH-3000-08, Pace Technologies, USA) Was added to 18 g of the composition and stirred to prepare a polymer composition.

상기 고분자 조성물에 대하여 80℃에서 1시간 동안 열경화를 수행하여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The polymer composition was thermally cured at 80 DEG C for 1 hour to prepare a polymer composite.

상기 고분자 조성물에 혼합되어 포함된 상기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의 총합의 함량은 10 중량%이고, 상기 수지의 함량은 90 중량%였다.
The total content of the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mixed and contained in the polymer composition was 10%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resin was 90% by weight.

비교예 2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형성하지 않고, 용융된 고분자 내에 혼합 및 교반되어 포함된 경우) Comparative Example 2 (when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do not form one graphite structure but are mixed and stirred in the molten polymer)

상기 고분자 조성물 중 상기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의 총합의 함량은 2중량%이고, 상기 수지의 함량은 98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에 따라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A polymer composite materia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total content of the expanded graphite particles was 2%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resin was 98% by weight .

비교예 3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형성하지 않고, 용융된 고분자 내에 혼합 및 교반되어 포함된 경우) Comparative Example 3 (when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do not form one graphite structure and are mixed and stirred in a molten polymer)

상기 고분자 조성물 중 상기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의 총합의 함량은 30중량%이고, 상기 수지의 함량은 70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에 따라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A polymer composite materia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total content of the expanded graphite particles was 30%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resin was 70% by weight .

비교예 4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형성하지 않고, 용융된 고분자 내에 혼합 및 교반되어 포함된 경우) Comparative Example 4 (when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do not form a single graphite structure but are mixed and stirred in a molten polymer)

그라파이트 인터칼레이트 화합물을 머플퍼니스에서 450℃로 가열한 후 10 분간 방치시켜 팽창시켜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을 형성하였다. The graphite intercalate compound was heated in a muffle furnace at 450 DEG C and allowed to stand for 10 minutes to expand to form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상기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 2g을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5 wt%, 아크릴산 10 wt%,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wt%, 메틸아크릴레이트 12 wt%, 및 벤조일퍼옥사이드 0.1 wt%가 혼합된 혼합 조성물을 중합하여 형성한 총 18 g의 아크릴 시럽 (점도 8200 cP)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고분자 조성물을 준비하였다.2 g of the expanded graphite particles were mixed with 75 wt% of 2-ethylhexyl acrylate, 10 wt% of acrylic acid, 3 wt% of methyl methacrylate, 12 wt% of methyl acrylate, and 0.1 wt% of benzoyl peroxide The resulting mixture was added to a total of 18 g of acrylic syrup (viscosity 8200 cP) formed by polymerizing the mixed composition and stirred to prepare a polymer composition.

상기 고분자 조성물에 대하여 80℃에서 1시간 동안 열경화를 수행하여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The polymer composition was thermally cured at 80 DEG C for 1 hour to prepare a polymer composite.

상기 고분자 조성물에 혼합되어 포함된 상기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의 총합의 함량은 10 중량%이고, 상기 아크릴 시럽의 함량은 90 중량%였다.The total amount of the expanded graphite particles mixed and contained in the polymer composition was 10%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acrylic syrup was 90% by weight.

도 3는 비교예 4에 따른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주사전자 현미경(JEOL, JSM-6700)으로 확대하여 촬영한 이미지 사진이다.
FIG. 3 is an image photograph of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4 taken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EOL, JSM-6700).

비교예 5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형성하지 않고, 용융된 고분자 내에 혼합 및 교반되어 포함된 경우) Comparative Example 5 (when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do not form one graphite structure and are mixed and stirred in a molten polymer)

상기 고분자 조성물에 혼합되어 포함된 상기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의 총합의 함량은 4 중량%이고, 상기 아크릴 시럽의 함량은 96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4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에 따라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According to the same conditions an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4, except that the total amount of the expanded graphite particles mixed and contained in the polymer composition was 4%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acrylic syrup was 96% by weight, To prepare a composite material.

비교예 6 (Nylon 6,6 용융혼합) Comparative Example 6 (Nylon 6,6 melt blending)

그라파이트 인터칼레이트 화합물을 머플퍼니스에서 450℃로 가열한 후 10 분간 방치시켜 팽창시켜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을 형성하였다. The graphite intercalate compound was heated in a muffle furnace at 450 DEG C and allowed to stand for 10 minutes to expand to form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상기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 18g을 Nylon 6,6 수지(Radipol A45, Radici Chimica, Italy)에 섞은 후 Brabenda® 배치믹서에 넣고 280℃에서 60 rpm 으로 10분간 용융 혼합하여 고분자 조성물을 준비한 후 이를 꺼내어 냉각시킴으로써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18 g of the expanded graphite particles were mixed in a Nylon 6,6 resin (Radipol A 45, Radici Chimica, Italy) and then placed in a Brabenda ® batch mixer and melt mixed at 280 rpm at 60 rpm for 10 minutes to prepare a polymer composition And cooled to obtain a polymer composite material.

상기 고분자 조성물에 혼합되어 포함된 상기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의 총합의 함량은 10 중량%이고, 상기 수지의 함량은 90 중량%였다.
The total content of the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mixed and contained in the polymer composition was 10%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resin was 90% by weigh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 1-5 및 상기 비교예 1-6에 따른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의 각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Example 1-5 and Comparative Example 1-6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평가 방법Assessment Methods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

측정방법: 열유속법(Guarded Heat flow method)에 따라, 열전도도 측정 장비(Anter社, 모델:Quickline)를 사용하여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Measuring method: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measured using a thermal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Anter, Model: Quickline) according to the Guarded Heat flow method.

(복합재료료의 밀도)  (Density of composite material)

측정방법: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에 대하여 얻은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파단하여 1~3g의 시편으로 준비하고, 전자식 비중 측정기(electronic densimeter) (Alfa Mirage 社, 일본, MD-300S)를 사용하여 각각의 시편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Measuring method: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obtained in Examples 1-4 and Comparative Examples 1-5 was broken and prepared as a specimen of 1 to 3 g, and an electronic densimeter (Alfa Mirage, Japan, MD -300S) was used to measure the density of each specimen.

(점도)(Viscosity)

측정 방법: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에서 사용된 각각의 수지, 모노머, 시럽 등의 점도를 점도계(Brookfield 社, 모델: LVDV I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Measurement methods: The viscosities of the respective resins, monomers, syrup, etc. used in Examples 1-4 and Comparative Examples 1-5 were measured using a viscometer (Brookfield, model: LVDV II).

구분division 몰드 내에서 함께 팽창되어 형성된 하나의 흑연 구조체 형성 여부Whether or not a single graphite structure is formed by being swollen together in the mold 흑연 구조체의 함량 (wt%)Content of Graphite Structure (wt%) 밀도
(g/cm3)
density
(g / cm 3)
점도(cP)Viscosity (cP) 열전도도
(W/mK)
Thermal conductivity
(W / mK)
실시예1Example 1 1010 1.171.17 11001100 4.814.81 실시예2Example 2 44 1.141.14 11001100 3.013.01 실시예3Example 3 3030 1.311.31 11001100 21.121.1 실시예4Example 4 1010 1.051.05 1.11.1 5.625.62 실시예5Example 5 1010 1.201.20 1.21.2 5.285.28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X 1010 0.880.88 11001100 0.450.45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X 44 0.970.97 11001100 0.260.26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X 3030 교반불가No agitation 11001100 교반불가No agitation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X 1010 0.980.98 82008200 0.340.34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X 44 0.940.94 82008200 0.230.23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X 1010 1.111.11 50,00050,000 0.360.36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5에 따른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는 우수한 열전도도를 구현함을 명확히 확인하였고, 즉,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서로 접하여 이어지는 소정의 3차원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가는 단일 구조체인 상기 하나의 흑연 구조체에 의해 상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내에서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전체적으로 서로 접하여 이어져 있으므로 열전도도가 모든 방향에 대하여 더욱 높고, 그에 따라, 전술한 열전도도의 이방성, 국부적인 온도 상승의 문제 없이 우수한 방열 성능을 모든 방향에서 균일한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명확히 예상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t was clearly confirmed that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according to Example 1-5 realizes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that is, a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 network in which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contact each other, Since the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in the high heat 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are entir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one graphite structure which is a single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the thermal conductivity is higher in all directions, It can be clearly expected that an excellent heat radiation performance can be realized at uniform levels in all directions without the problem of anisotropy and local temperature rise.

반면, 비교예 1-6에 따른 고분자 복합재료는 열전도도가 모두 0.5W/mK 미만으로 열전도도가 현저히 낮음을 명확히 확인하였고, 즉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들이 고분자 복합재료 내에서 서로 이어져 있지 않고, 떨어져 이격되어 있으므로 열전도도가 낮음을 명확히 예상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lymer composit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6 clearly confirmed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all less than 0.5 W / mK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remarkably low, that is, the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we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polymer composite material , It can be clearly predicted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is low since it is spaced apart.

100: 고분자복합재료
110: 하나의 흑연 구조체
120: 저점도의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100: Polymer composites
110: one graphite structure
120: low-viscosity monomer, oligomer, resin

Claims (5)

복수의 팽창된 흑연 입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흑연 구조체; 및 상기 흑연 구조체에 함침된 저점도의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비 복합재료를 열경화 또는 광경화시켜 형성한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A graphite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expanded graphite particles;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mers, oligomers, resins, and combinations thereof having a low viscosity impregnated in the graphite structure, which is formed by thermosetting or photo-curing
High heat dissipation polymer composi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상기 올리고머, 상기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는 25℃의 온도에서 점도가 5,000cp 미만인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monomer, the oligomer, the resin and combinations thereof has a viscosity of less than 5,000 cp
High heat dissipation polymer composi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 구조체의 함량은 약 2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인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of the graphite structure is about 2 wt% to about 60 wt%
High heat dissipation polymer composi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 구조체 내에 끼이거나 삽입된 탄소 나노튜브, 금속 나노선, 저융점 합금, 금속 나노입자, 그래핀, 그래핀 나노플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필러를 더 포함하는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ermally conductive filler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nanotubes, metal nanowires, low melting point alloys, metal nanoparticles, graphene, graphene nanoplates, and combinations thereof embedded or embedded in the graphite structure Included
High heat dissipation polymer composite.
몰드 내에서 복수의 팽창성 흑연 입자를 팽창시켜 상기 몰드의 형상에 상응하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하나의 흑연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흑연 구조체에 저점도의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침시켜 예비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 복합재료를 열경화 또는 광경화시켜 이로부터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Expanding a plurality of expandable graphite particles in a mold to form one graphit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old;
Impregnating the graphite structure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viscosity monomers, oligomers, resins, and combinations thereof to form a preliminary composite material; And
Thermally curing or photo-curing the pre-composite material to produce a heat-dissipating polymer composite material therefrom;
Wherein the heat-resistant polymer composite material is a thermosetting resin.

KR1020150063412A 2015-05-06 2015-05-06 High heat dissipative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 of the same KR1016977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412A KR101697764B1 (en) 2015-05-06 2015-05-06 High heat dissipative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412A KR101697764B1 (en) 2015-05-06 2015-05-06 High heat dissipative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196A true KR20160132196A (en) 2016-11-17
KR101697764B1 KR101697764B1 (en) 2017-01-19

Family

ID=5754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412A KR101697764B1 (en) 2015-05-06 2015-05-06 High heat dissipative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7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853B1 (en) 2017-08-29 2024-0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Heat Transfer Member
WO2019045365A1 (en) 2017-08-29 2019-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heat transfer member
KR102175916B1 (en) 2018-08-29 2020-11-06 (주)웹스 A Light Sheet Having Insulation and Heat Dissipation for Secondary Cell Battery Pack and A Sheet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8291B2 (en) * 1988-06-30 1997-11-17 日本カーボン株式会社 Plate-shaped carbon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2068839A (en) * 2000-08-24 2002-03-08 Fuji Electric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graphite molding and fuel cell
KR100628031B1 (en) * 2005-07-27 2006-09-26 (주) 나노텍 Thermally improve conductive carbon sheet base on mixed carbon material of expanded graphite powder and carbon nano tube powder
JP2010003981A (en) * 2008-06-23 2010-01-07 Kaneka Corp Heat-conducting sheet with graphite oriented in thickness dir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8291B2 (en) * 1988-06-30 1997-11-17 日本カーボン株式会社 Plate-shaped carbon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2068839A (en) * 2000-08-24 2002-03-08 Fuji Electric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graphite molding and fuel cell
KR100628031B1 (en) * 2005-07-27 2006-09-26 (주) 나노텍 Thermally improve conductive carbon sheet base on mixed carbon material of expanded graphite powder and carbon nano tube powder
JP2010003981A (en) * 2008-06-23 2010-01-07 Kaneka Corp Heat-conducting sheet with graphite oriented in thickness di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764B1 (en)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o et al. A critical review of the preparation strategies of thermally conductive and electrically insulating polymeric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in heat dissipation of electronic devices
TWI710590B (en) Heat conduction sheet, heat conduction sheet manufacture method, heat radiation member, and semiconductor device
EP1533337B1 (en) Thermally conductive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772239B2 (en) Graphitized carbon powder and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e composition
US20200243414A1 (en) Thermally conductive sheet
JP5563175B1 (en) High thermal conductivity heat dissipatio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663153B2 (en)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e composition
KR102614679B1 (en) thermal conductive sheet
JPH11302545A (en) Silicone rubber composite
US11084965B2 (en)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ion, thermally conduc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mally conductive sheet
KR101697764B1 (en) High heat dissipative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 of the same
US11180625B2 (en) Thermally and/or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224384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ple structure and high-heat radiation parts by controling packing density of carbon material, and multiple structure and high-heat radiation parts by manufactured thereof
KR101947333B1 (en) Thermal conducting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al conducting sheet, heat dissipation member, and semiconductor device
US11987686B2 (en) Thermally conductive sheet
US20220084902A1 (en) Thermal Conducting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al Conducting Sheet, Heat Dissipation Member, and Semiconductor Device
TW202100716A (en) Thermally conductive resin sheet, layered thermal radiation sheet, heat-dissipating circuit base board, and power semiconductor device
JP6983345B1 (en) Thermally conductive sheet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320043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conductive sheet
JP2005139267A (en) Heat-conductive molded article
JP2009057277A (en) Method for producing graphitized carbon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mally conductive molded body
CN105236826A (en) Preparation method of thermo-conductive insulation composite material
KR20210084007A (en) Core-shell hybrid structured heat dissipating particles, and composites comprising the same
KR101655419B1 (en) High thermally conductive electrically insulative alumina composition and polymer shaped article manufactured by using them, a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N110591364A (en) Flexible composite heat conduction material and heat radiator of wearabl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