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160A -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 아네톨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 아네톨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160A
KR20160132160A KR1020150063081A KR20150063081A KR20160132160A KR 20160132160 A KR20160132160 A KR 20160132160A KR 1020150063081 A KR1020150063081 A KR 1020150063081A KR 20150063081 A KR20150063081 A KR 20150063081A KR 20160132160 A KR20160132160 A KR 20160132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lotion
cosmetic composition
anet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977B1 (ko
Inventor
박지은
남진주
노윤화
김연준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977B1/ko
Publication of KR20160132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이의 구성성분인 트랜스 아네톨(trans-anethole)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trans-anethol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자외선에 의한 스트레스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주름을 MMP의 발현 및 11β-HSD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 아네톨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mposition for anti-wrinkle comprising Illicium Verum Hook, F. extract or trans-anethole}
본 발명은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 아네톨(trans-anethole)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자외선에 의한 스트레스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주름 개선에 효과적인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trans-anethole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기관으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피부는 다른 기관들에 비해 외부 자극에 많이 노출되어 있어 쉽게 공격받을 수 있고, 특히 그 중에서도 얼굴 피부의 경우에는 자외선 및 공해 물질 등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조기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운 특징을 갖는다.
자외선, 대기 오염, 스트레스나 질병, 흡연 등에 의해 피부에서 나타나는 주름, 탄력 감소, 피부 쳐짐 및 건조 현상 등은 대부분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단백질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써, 주로 진피층에 존재하는 결합조직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 등의 파괴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이 중에서도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가 기질단백질을 분해하는 대표적인 효소로 알려져 있다. MMP는 단 한 번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도 그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어 콜라겐을 비롯한 여러 기질단백질을 분해함으로써 주름 형성을 가속화한다.
이러한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조직의 변화에 대해 최근 새로운 인자가 주목받기 시작하였는데, Skobowiat 등의 연구에서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11β-HSD1)이 자외선에 의한 스트레스 조절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Skobowiat C et al, 2013;168(3):595-601). 11β-HSD1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일종인 코르티솔(costisol)을 비활성화 상태인 코르티손(cortison)에서 활성화 상태인 코르티솔로 전환 시키는 효소로써 표피와 진피에 분포하고 있는데, 자외선 조사, 특히 UVB에 의해 그 발현이 현저히 증가함이 밝혀졌다. 즉 내부의 다양한 정신적인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 반응뿐만 아니라 외부 요인인 자외선, 대기 오염물질, 화학물질 등에 의해 활성 및 발현이 증가되는 물질로 피부에서의 스트레스 반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새로운 타겟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동안 주름개선을 위한 소재로는 주로 비타민C, α-토코페롤, 레티놀 및 그의 유도체 등이 화장품 및 의약품에 배합되어 이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제형에 배합되었을 경우 변취 현상이 발생하거나 화학적 안정성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천연물 유래 물질들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각광받고 있으며 이의 발굴을 필요로 한다.
팔각회향(Illicilum verum Hook, f.)은 목련과 상록수의 열매를 말하는 것으로, 단단한 껍질로 싸인 꼬투리 여덟 개가 마치 별처럼 붙어있는 모양을 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스타아니스(star anise)라고 불린다. 주로 건조한 후 분말형태로 만들어 향신료로 이용하며, 중국에서는 3000년 전부터 이용해 온 향신료로 현재도 여러 요리나 제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이뇨작용, 식용증진 작용 및 복부 팽만감이나 구역질을 완화하는 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 원산지는 말레이반도이고 주산지는 중국, 베트남, 인도 등이다.
이러한 팔각회향에는 여러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그 중 트랜스 아네톨(trans-anethole)이 가장 대표적인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Wei L et al, 2014;14(80), Miyagawa M et al, 2014;28(11):1710-1712).
한국 등록특허 제 10-1339366호는 팔각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팔각회향 추출물이 부종 또는 과민증, 알러지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피부 알러지, 천식 또는 두드러기 같은 다양한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의 용도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팔각회향의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이의 주요 구성성분인 트랜스 아네톨(trans-anethol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자외선에 의한 스트레스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주름을 MMP의 발현 및 11β-HSD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1339366 B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자외선에 의한 스트레스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주름을 MMP의 발현 및 11β-HSD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 아네톨(trans-anethole)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 아네톨(trans-anethol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자외선에 의한 스트레스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팔각회향(Illicilum verum Hook, f.)은 목련과 상록수의 열매를 말하는 것으로, 종래에 이뇨작용, 식용증진 작용, 복부 팽만감과 구역질 완화 작용, 및 알러지 질환 완화 등과 같은 효과가 알려져 있으나, 본원발명과 같이 팔각 회향 추출물의 자외선에 의한 스트레스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주름 개선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바 없다.
본 발명의 상기 용어 스트레스 자극은 내ㆍ외부 요소에 의한 유해한 자극이 피부에서 스트레스 호르몬(글루코코르티코이드)을 증가시켜 주름을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에 의한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종래에 사용되어진 어떠한 용매로도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무수 또는 함수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형화가 용이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및 11β-HSD1(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활성 저해에 의해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UVB를 조사하고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trans-anethole을 처리한 군이 이를 처리하지 않은 군보다 MMP-1 및 11β-HSD1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팔각회향 추출물 및 trans-anethole이 11β-HSD1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에서의 스트레스를 완화함과 동시에 MMP-1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장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제형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trans-anethol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해 과발현된 11β-HSD1 및 MMP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피부에서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주름을 개선하는 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팔각회향 추출물의 MMP-1 저해능을 확인한 실험예 1에 대한 결과이다.
도 2는 팔각회향 추출물의 11β-HSD1 저해능을 확인한 실험예 2에 대한 결과이다.
도 3은 trans-anethole의 MMP-1 저해능을 확인한 실험예 3에 대한 결과이다.
도 4는 trans-anethole의 11β-HSD1 저해능을 확인한 실험예 4에 대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팔각회향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팔각회향은 대한민국의 ㈜동의한방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팔각회향 100g을 취하여 별개의 용기에 넣고, 추출용매로서 70중량% 에탄올 수용액 1L에 침적하여 72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액을 회전식 증발 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여 22.8%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의 얻어진 추출 혼합물을 용해제로서 DMSO(Dimethyl sulfoxide)에 1 mg/ml 및 10 mg/ml의 농도로 용해시켜 이하의 실험예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Trans - anethole 시료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trans-anethole은 미국의 Sigma-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의 구입한 원료를 용해제로서 DMSO(Dimethyl sulfoxide)에 1 mM 및 10 mM의 농도로 용해시켜 이하의 실험예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팔각회향 추출물의 MMP -1 저해능 평가
실시예 1의 팔각회향 추출물의 MMP-1 저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람의 섬유아세포 세포주(Human dermal fibroblast, Hs68)에서의 MMP-1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를 6well plate에 4X105의 수만큼 분주한 후,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DPBS를 넣어준 후 UVB 비조사군을 제외한 나머지 세포군에 15mJ/cm2의 UVB를 조사한 뒤 팔각회향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그 후 각 샘플의 세포에서 트리졸(RNA iso, DAKARA, 일본)을 이용하여 RNA를 분리한 뒤 nanodrop을 이용하여 260㎚에서 RNA를 정량한 후, 각각 2㎍의 RNA를 사용하여 증폭기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C1000 Thermal Cycler, Bio-Rad, 미국). 합성된 cDNA에 타겟 단백질인 MMP-1 주형(primer)과 시아닌 염료인 사이버그린 (SYBR Green supermis, Applied Biosystems, 미국)을 첨가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real-time PCR 기계에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MMP-1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주형의 서열과 반응 조건은 하기의 표 1과 같았으며, 유전자의 발현량은 β-actin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주형(primer) 서열 반응 조건
MMP-1 F 5’-CGAATTTGCCGACAGAGATGA-3’ 94℃, 5분 동안 중합효소 활성화 후, 95℃ 30초, 55℃ 30초, 72℃ 30초 조건에서 40사이클로 중합반응
R 5’-GTCCCTGAACAGCCCAGTACTT-3’
11β-HSD1 F 5’-AAGCAGAGCAATGGAAGCAT-3’
R 5’-GAAGAACCCATCCAAAGCAA-3’
β-Actin F 5’-GGCCATCTCTTGCTCGAAGT-3’
R 5’-GAGACCTTCAACACCCCAGC-3’
그 결과, 도면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B 조사군에서 MMP-1 발현량이 증가한 것에 반해, 팔각회향 추출물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MMP-1 유전자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팔각회향 추출물의 11β- HSD1 저해능 평가
실시예 1의 팔각회향 추출물의 11β-HSD1 저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예 1에서와 동일 세포를 사용하여 동일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단지 최종적으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MMP-1 주형을 대신하여 11β-HSD1 주형을 사용하였다. 주형의 서열과 반응 조건은 상기의 표 1과 같았으며, 유전자의 발현량은 β-actin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면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각회향 추출물 처리군에서 MMP-1 유전자 발현량과 마찬가지로 농도 의존적으로 11β-HSD1 유전자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Trans - anethole MMP -1 저해능 평가
실시예 2의 trans-anethole의 MMP-1 저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예 1에서와 동일 세포를 사용하여 동일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단지 세포에 UVB를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팔각회향 추출물을 대신하여 trans-anethole 시료를 처리해 주었다. 주형의 서열과 반응 조건은 상기의 표 1과 같았으며, 유전자의 발현량은 β-actin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면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trans-anethole 처리군에서 MMP-1 유전자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Trans - anethole 의 11β- HSD1 저해능 평가
실시예 2의 trans-anethole의 11β-HSD1 저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예1에서와 동일 세포를 사용하여 동일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단지 세포에 UVB를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팔각회향 추출물을 대신하여 trans-anethole 시료를 처리해 주었고, 최종적으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MMP-1 주형을 대신하여 11β-HSD1 주형을 사용하였다. 주형의 서열과 반응 조건은 상기의 표 1과 같았으며, 유전자의 발현량은 β-actin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면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trans-anethole 처리군에서 MMP-1 유전자 발현량과 마찬가지로 11β-HSD1 유전자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1: 토너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토너제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조성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 1.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 피마자유 0.5
폴리소르베이트80 0.5
에탄올 10.0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로션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로션제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낸 조성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 1.0
글리세린 7.0
부틸렌글라이콜 3.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폴리소르베이트60 0.5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스쿠알란 3.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쉐어버터 2.0
스테아릴 알코올 0.5
스테아린산 0.5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2
아르기닌 0.2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크림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제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난 조성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 1.0
글리세린 7.0
부틸렌글라이콜 5.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60 0.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피토스쿠알란 5.0
호호바오일 3.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0
알로에버터 3.0
밀납 1.0
스테아릴 알코올 0.5
베헤릴 알코올 0.5
스테아린산 0.5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2
아르기닌 0.3
디메치콘 0.5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Claims (6)

  1.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 아네톨(trans-anethol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자외선에 의한 스트레스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무수 또는 함수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및 11β-HSD1(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활성 저해에 의해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제형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63081A 2015-05-06 2015-05-06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 아네톨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8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081A KR102288977B1 (ko) 2015-05-06 2015-05-06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 아네톨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081A KR102288977B1 (ko) 2015-05-06 2015-05-06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 아네톨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160A true KR20160132160A (ko) 2016-11-17
KR102288977B1 KR102288977B1 (ko) 2021-08-12

Family

ID=5754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081A KR102288977B1 (ko) 2015-05-06 2015-05-06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 아네톨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9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927A (ko)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9366B1 (ko) 2010-07-27 2013-12-09 한국 한의학 연구원 팔각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927A (ko)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9366B1 (ko) 2010-07-27 2013-12-09 한국 한의학 연구원 팔각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9, Vol.27, pp.1-11, (2009.08.04. 공개)* *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Vol.123, Vol.7, pp.3051-3060, (2013.07. 공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977B1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TW201622698A (zh) 包含菊花萃取物之組成物與使用其於皮膚增白及皮膚增亮應用之方法
JP4425163B2 (ja) 抗老化化粧料
EP2200574B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1400264B1 (ko) 진피 및 우슬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JP2006241148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KR101142977B1 (ko) 백련오행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료
KR101863297B1 (ko) 클로로겐산 및 루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62111B1 (ko) 동규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6284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CN110840785B (zh) 皮肤老化或皮肤皱纹改善用化妆品组合物
JP3998085B2 (ja) ヒアルロン酸量増加促進剤
JP2012162487A (ja) 美白剤、抗老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20150108088A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15086160A (ja) 保湿剤、肌荒れ改善剤、角層水分量増加剤、血流改善剤及び肌のくすみ、くま又はつや改善剤
KR102288977B1 (ko)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 아네톨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3228A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513248B1 (ko) 펄스 전기장이 처리된 미역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70802B1 (ko) 민들레 뿌리 추출물, 카페인 및 토코페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5690149B2 (ja) 外用剤又は内用剤
CN110547975B (zh) 包含表松脂酚的化妆材料组合物
WO2023063118A1 (ja) M2又はm2様マクロファージの誘導又は活性化剤、m2又はm2様マクロファージの誘導又は活性化方法、真皮の色素沈着を予防及び/又は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並びに真皮の色素沈着を予防及び/又は改善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