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901A -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31901A KR20160131901A KR1020160051905A KR20160051905A KR20160131901A KR 20160131901 A KR20160131901 A KR 20160131901A KR 1020160051905 A KR1020160051905 A KR 1020160051905A KR 20160051905 A KR20160051905 A KR 20160051905A KR 20160131901 A KR20160131901 A KR 201601319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ed
- drying
- electrode
- interval
- cond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12—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피 건조물 및 전극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 측면에 따른 건조기는 본체,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피 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 챔버, 피 건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피 건조물을 이동시키도록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건조기는 본체,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피 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 챔버, 피 건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피 건조물을 이동시키도록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 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건조기는 일반적으로 열풍 건조 방식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등의 전자파를 이용한 건조 방식을 취함으로써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열풍 건조 방식을 취한 의류건조기의 경우 간접가열방식으로 가열된 공기에 의해 습기를 건조시키게 되므로 효율이 낮아 건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을 취한 의류건조기의 경우 전자파 에너지의 공진 현상에 의해 열 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이 일어나 의류의 비 균일 가열을 일으킬 수 있다.
일 측면은 피 건조물의 상태에 따라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피 건조물이 수용되는 경우 피 건조물의 상태에 따라 전극뿐만 아니라 피 건조물의 위치도 함께 제어하도록 마련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의 건조 챔버 내부에 형성된 건조 공간이 전극부에 의해 복수의 건조 공간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건조 공간의 크기가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건조기는, 본체;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피 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 챔버; 피 건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피 건조물을 이동시키도록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는, 피 건조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이송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센서부는,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무게 정보, 위치 정보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고, 동작 조건은,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 및 증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는,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미리 설정된 제 1 저항 이상이면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피 건조물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제 1 간격으로 제어하고, 피 건조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상이면 피 건조물의 증발 조건으로 결정하고, 피 건조물의 간격을 제 1 간격보다 더 큰 미리 설정된 제 2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는,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제 1 저항 이상 미리 설정된 제 2 저항 미만이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제 2 저항 이상이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피 건조물의 간격을 제 1 간격으로 제어하고,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피 건조물의 간격을 제 1 간격보다 좁은 미리 설정된 제 3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는 세탁기, 옷장 및 다른 건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측면에 따른 건조기는, 본체;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피 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 챔버; 건조 챔버 내부에 마련된 전극부;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전극을 이동시키도록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전극부는, 애노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과 이격 배치되어 애노드 전극과의 사이에 건조 공간을 형성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건조 공간을 형성하도록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극부는, 제 1 캐소드 전극; 제 1 캐소드 전극과 이격 배치되어 제 1 캐소드 전극과의 사이에 제 1 건조 공간을 형성하는 애노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과 이격 배치되어 애노드 전극과의 사이에 제 2 건조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캐소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는,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미리 설정된 제 1 저항 이상이면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제 4 간격으로 제어하고, 피 건조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상이면, 피 건조물의 증발 조건으로 결정하고,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제 4 간격보다 더 넓은 미리 설정된 제 5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는,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제 1 저항 이상 미리 설정된 제 2 저항 미만이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제 2 저항 이상이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는,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제 4 간격으로 제어하고,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제 4 간격보다 좁은 미리 설정된 제 6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는 세탁기, 옷장 및 다른 건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건조기는 본체;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피 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 챔버; 건조 챔버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피 건조물 및 전극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피 건조물 및 전극을 이동시키도록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전극부는, 건조 챔버 내에 전극의 이동에 따라 그 크기가 가변되는 복수의 건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건조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센서부는,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무게 정보, 위치 정보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는 세탁기, 옷장 및 다른 건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 측면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태 정보에 기초해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피 건조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무게 정보, 위치 정보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건조기 내에 수용된 복수의 피 건조물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 및 증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미리 설정된 제 1 이상이면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피 건조물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제 1 간격으로 제어하고, 피 건조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상이면 피 건조물의 증발 조건으로 결정하고 피 건조물의 간격을 제 1 간격보다 더 큰 미리 설정된 제 2 간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의 증발 조건을 만족하면 피 건조물의 간격을 제 1 간격보다 더 큰 미리 설정된 제 2 간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제 1 저항 이상 미리 설정된 제 2 저항 미만이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제 2 저항 이상이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피 건조물의 간격을 제 1 간격으로 제어하고,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피 건조물의 간격을 제 1 간격보다 좁은 미리 설정된 제 3 간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는 건조 공간에 고주파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결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전극부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측면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건조 공간에 수용된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정보에 기초해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전극부는, 애노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과 이격 배치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설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애노드 전극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무게 정보, 위치 정보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 또는 증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을 만족하면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간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제 4 간격으로 제어하고, 피 건조물의 증발 조건을 만족하면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간의 간격을 제 4 간격보다 더 큰 미리 설정된 제 5 간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저항이 미리 설정된 제 1 저항 이상이면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제 1 저항 이상 미리 설정된 제 2 저항 미만이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제 2 저항 이상이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제 4 간격으로 제어하고,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제 4 간격보다 좁은 미리 설정된 제 6 간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피 건조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상이면 피 건조물의 증발 조건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에 복수 개의 피 건조물이 수용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이송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블록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컨트롤 패널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피 건조물 내 물의 무게에 따른 부하 임피던스 값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피 건조물의 온도 정보에 기초해 의류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0에서는 전극 형상의 다양한 변형 예에 대해 도시하였다.
도 21은 전극 형상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고주파 전기장의 형성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서랍장 형태의 의류 건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6은 도 25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서랍장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31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와 세탁기의 다양한 조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에 복수 개의 피 건조물이 수용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이송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블록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컨트롤 패널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피 건조물 내 물의 무게에 따른 부하 임피던스 값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피 건조물의 온도 정보에 기초해 의류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0에서는 전극 형상의 다양한 변형 예에 대해 도시하였다.
도 21은 전극 형상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고주파 전기장의 형성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서랍장 형태의 의류 건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6은 도 25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서랍장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31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와 세탁기의 다양한 조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개시된 발명은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건조기는 피 건조물을 건조하는 장치로, 개시된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세탁된 의류를 건조시키는 의류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피 건조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에 기초해 전극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부는 전극의 이동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복수의 건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에 기초해 피 건조물 및 전극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경우 피 건조물의 이동을 단독으로 제어하거나, 전극의 이동을 단독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 및 전극의 이동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건조 성능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에 복수 개의 피 건조물(D: D1, D2, D3)이 수용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는 캐비닛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 건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1)와 본체(101)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서 피 건조물(D)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 챔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1)는 의류 건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1)는 전방에 건조할 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 일측에는 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102)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어(102)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의류 건조기(100)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면 유리(103)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1) 하단에는 의류 건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110)이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의류 건조기(100)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도록 마련된 입력부(110-1)와,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 패널(110)은 본체(101) 하단 뿐만 아니라 도어(102) 전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101)의 전방 일 측 에는 도어(10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102)가 본체(101)의 개구를 닫은 경우, 도어(102)는 본체(101)에 마련된 도어(102) 잠금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 건조기(100)가 동작되는 중에 도어(102)가 본체(10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1) 내부에는 건조 챔버(105)가 마련될 수 있다.
건조 챔버(105)의 전면에는 본체(101)의 개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건조기(100)의 도어(102)가 개방되면 건조 챔버(105)의 개구를 통하여 피 건조물(D)이 이동할 수 수 있다.
건조 챔버(105)의 상측에는 건조 챔버(105)와 연동하여 외부 유로 또는 순환하는 유로로부터 건조 공기를 투입하는 유입 덕트(106)가 설치될 수 있으며, 건조 챔버(105)의 하측에는 건조 챔버(105)와 연동하여 피 건조물(D)로부터 증발된 증발 습기를 배출 공기와 함께 배기하는 배기 덕트(107)가 설치될 수 있다. 건조 공기는 유입 덕트(106)를 통해 건조 챔버(105)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건조 공기는 증발 습기와 함께 배기 덕트(10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배기 덕트(107) 주위에는 증발 습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마련된 배기 팬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기 팬의 회전에 의해 건조 공기와 배출 공기의 유동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건조 공기 및 배출 공기의 유동 흐름이 도시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입 덕트(106)와 배기 덕트(107)의 설계 변경을 통해 조절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배기 덕트(107)의 하단에는 습기제거장치(108)가 설치될 수 있다. 습기제거장치(108)는 배기 덕트(107)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공기로부터 증발 습기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도록 마련된다.
습기제거장치(108)는 외부 공기와의 열 교환을 통해 증발 습기를 응축하는 방식으로 배출 공기에 포함된 증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된 증발 습기는 별도로 마련된 토출관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배출 공기에 포함된 증발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내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습기제거장치(108)는 배기 덕트(107) 주위에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습기제거장치(108)의 설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건조 챔버(105) 내부에는 전극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전극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애노드 전극(121)과 적어도 하나의 캐소드 전극(1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전극부(120)가 하나의 캐소드 전극(122)과 하나의 애노드 전극(121)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전극부(120)의 마련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애노드 전극(121)은 캐소드 전극(122)과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애노드 전극(121)과 캐소드 전극(122) 사이에는 건조 공간(S)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단일 건조 공간(S)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캐소드 전극(122)과 애노드 전극(121)이 복수 개로 마련된 경우에는 복수 개의 전극들 사이에 건조 공간(S)이 생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121)과 캐소드 전극(122)은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캐소드 전극(122)은 고정된 채 애노드 전극(121)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121) 및 캐소드 전극(122)의 움직임은 피 건조물(D)에 최적의 에너지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경우 피 건조물(D)에 고주파 전기장을 인가해 줌으로써 피 건조물(D)이 건조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고주파 전기장을 이용한 건조 기술의 경우 피 건조물(D) 주위에 얼마나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전기장을 생성시킬 수 있는지가 중요할 수 있다.
이에,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는 애노드 전극(121)과 캐소드 전극(122)을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피 건조물(D)에 최적의 에너지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경우 애노드 전극(121)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 하여 고주파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극부(120) 및 전극부(120)의 주위에 마련된 접지 극과의 상대 위치에 따라 전극부(120)에서 접지 극 방향으로 기생 전기장(parasitic electric field)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기생 전기장이 발생될 경우 전극부(120)에서 발생된 전기장 중 일부는 피 건조물(D)에 전달되지 않고 소멸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피 건조물(D)의 건조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최적의 건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생 전기장을 최소화 하고 피 건조물(D)이 존재하는 영역으로의 전기장 세기를 최대화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피 건조물(D)이 존재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전극 간격을 다른 영역의 전극 간격보다 더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발진기 주파수(fixed oscillator frequency)에서 전극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 층(air gap)의 두께가 얇으면 얇을수록 피 건조물(D)에 더 많은 양의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는데,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경우 동일 원리를 적용해 피 건조물(D)이 존재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전극 간 간격을 다른 영역을 형성하는 전극 간 간격보다 더 가깝게 제어함으로써 피 건조물(D)이 존재하는 영역 간 전기장 세기를 최대화 할 수 있다. 한편, 캐소드 전극(122)과 애노드 전극(121) 간의 이격 간격이 지나치게 좁게 형성될 경우 옷감 손상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해 전극 간의 간격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애노드 전극(121)과 캐소드 전극(122) 사이에 마련된 건조 공간(S)에는 피 건조물(D)이 수용된다.
피 건조물(D)은 전극부(120)로부터 최적의 에너지 전달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증발 습기가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공간(S) 내에 단일 피 건조물(D)이 수용될 경우, 피 건조물(D)은 캐소드 전극(122)과 애노드 전극(121)의 중심부에 수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D)의 특정 부분을 집중적으로 건조하고자 하는 경우, 피 건조물(D)은 캐소드 전극(122) 또는 애노드 전극(121)에 근접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건조 공간(S) 내에는 복수 개의 피 건조물(D: D1, D2, D3)이 수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피 건조물들(D: D1, D2, D3) 사이에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로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에 따라 그 크기가 가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 건조물(D)의 건조 공정에서는 피 건조물들(D: D1, D2, D3) 간의 간격이 가깝게 유지될 수 있다. 즉, 피 건조물들(D: D1, D2, D3)이 서로 밀착되어 배치 되거나 피 건조물들(D: D1, D2, D3) 사이에 좁은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피 건조물들(D: D1, D2, D3)에 효율적으로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 반대로, 피 건조물(D)의 증발 공정에서는 피 건조물(D)들 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멀게 유지될 수 있다. 즉, 피 건조물(D)들 사이사이에 상대적으로 넓은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피 건조물(D)로부터 증발된 증발 습기가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건조 챔버(105)의 상측에는 전극부(120) 전극 및 피 건조물(D)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송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이송부(130)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이송부(13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이송부(130)는 이송 모터(132)와, LM 가이드(134)와, 이동 부재(135)와, 나선 축(138)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모터(132)의 일단에는 지지 프레임(135)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35)은 LM 가이드(134)와 나선 축(138)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LM 가이드(134)는 LM 가이드(134)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부재(135)에는 전극부(1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전극 지지부(136)가 결합될 수 있다.
전극 지지부(136)의 상단은 이동 부재(135)에 결합되며, 전극 지지부(136)의 하단은 나선 축 및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전극 지지부(136)의 상단에는 나선 축(138)이 관통하도록 마련된 제 1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 지지부의 하단에는 가이드 바(139)가 관통하도록 마련된 제 2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139)는 전극부(120)의 전극 및 피 건조물(D)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 바(139)에는 피 건조물 간격조절장치(139a)가 설치될 수 있으며, 피 건조물 간격조절장치(139a)에는 옷걸이를 걸 수 있는 헹거가 전극의 움직임과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 간격조절장치(139a)는 링크 형태 또는 자바라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피 건조물 간격조절장치(139a)의 마련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에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 이송부(130)는 복수 개의 LM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LM 가이드에 의해 피 건조물(D)과 전극의 움직임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의류 건조기(100)의 제어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제어 블록도 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제어 블록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는 컨트롤 패널(110)과, 센서부(140)와, 메모리(150)와, 전극부(120)와, 전원공급부(160)와, 이송부(130)와,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습기제거장치(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근과 조작이 용이하도록 의류 건조기(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들을 포함하는 입력부(110-1)가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110-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컨트롤 패널(110)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 도 7을 참조해 의류 건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예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부(110-1)는 사용자로부터 의류 건조기(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10-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 또는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10-1)는 근접 센서 방식 또는 터치 패드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나 입력부(110-1)의 마련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입력부(110-1)는 의류 건조기(100)를 온/오프시키는 전원부(110-1a)와, 의류 건조기(100)를 동작시키거나 그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는 동작부(110-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1)는 피 건조물(D)의 건조도를 조절하는 건조도 조절부(110-1c)와, 피 건조물(D)의 건조 온도를 조절하는 건조 온도 조절부(110-1d)와, 피 건조물(D)의 건조 시간을 조절하는 건조 시간 조절부(110-1e)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조절부(110-1c, 110-1d, 110-1e)는 바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피 건조물(D)의 건조도, 건조 온도, 건조 시간 등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에에 따라 입력부(110-1)는 건조물의 건조 코스를 선택하는 건조 코스 선택부(110-1f)를 포함할 수도 있다. 건조 코스 선택부(110-1f)는 로터리 노브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로터리 노브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건조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입력부(110-1)의 마련 예를 도시한 것이며, 전술한 기능들의 구현 방식이 도 7에 도시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입력부(110-1)가 전술한 기능 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부(110-2)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표시부(110-2)는 의류 건조기(100)의 전원 인가여부를 표시하는 전원상태 표시부(110-2a)와,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또는 일시 정지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상태 표시부(1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표시부(110-2a, 110-2b)는 각각 점멸되는 LED (Light Emitting Diode; LED) 조명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표시부(110-2a, 110-2b)의 구현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부(110-2)는 상태 표시부(110-2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태 표시부(110-2c)를 통해 현재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태 표시부(110-2c)를 통해 피 건조물의 건조도, 건조 온도, 전극부의 배치 상태, 잔여 건조 시간 및 피 건조물의 건조 코스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의류 건조기(100)의 상태 표시부(110-2c)가 의류 건조기(100)의 전원 인가 여부와,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또는 일시 정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태 표시부(110-2c)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상태 표시부(110-2c)의 구현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서는 입력부(110-1)와 표시부(110-2)가 별도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컨트롤 패널(110)의 구현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부(110-1)와 표시부(110-2)가 일체로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부(140)는 의류 건조기(100)의 최적의 건조성능 확보를 위해 피 건조물(D) 또는 건조 챔버(105) 내부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40)는 피 건조물(D)의 상태정보, 예를 들어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무게 정보, 위치 정보, 개수 정보, 두께 정보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D)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건조 챔버(105) 내부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전극부(120)에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 등의 정보를 직 간접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센서부(140)에서 수집된 정보는 제어부(170)로 출력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센서부(140)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기초로 피 건조물(D)과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임피던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는 수 m 이상의 파장을 가지는 RF(Radio Frequency) 영역 대의 고주파 에너지를 사용하여 피 건조물(D)을 건조시키는 방식을 채용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명세서 전반에 걸쳐 "장파장의 RF(Radio Frequency) 영역대의 고주파 에너지"는 "고주파 에너지"로 지칭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121)과 캐소드 전극(122) 사이에 인가되는 고주파 에너지는 피 건조물 내부의 물 분자만 선택적으로 가열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러한 가열 현상은 전기 회로상의 저항 성분과 마찬가지로 나타나게 된다.
고주파 전기 회로에서 저항 성분은 부하 임피던스로 표현될 수 있다. 부하 임피던스는 복소수로 표현되며 이하 [식 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식 1]
Z = R - j * X
[식 1]의 실수 부분 R은 실 저항을 의미하고 허수 부분 X는 리액턴스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리액턴스는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기는 하지만 전력을 소비하지 않으며, 따라서 실제로 소비된 전력은 임피던스의 실 저항 값 R에 관계되며 이를 실효 전력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애노드 전극(121)과 캐소드 전극(122) 사이에 고주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물의 양이 많을수록 부하 임피던스의 실 저항 값이 증가하는데, 이는 애노드 전극(121)과 캐소드 전극(122) 사이에 고주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물의 양이 많을수록 전기적 저항 값 커지며 소비되는 전력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은 피 건조물(D) 내 물의 무게에 따른 부하 임피던스 값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가로축은 피 건조물(D) 내에 물의 무게를 의미하고, 도 8의 세로 축은 부하 임피던스의 실 저항 값을 의미한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피 건조물(D) 내에 물의 양이 많을수록 부하 임피던스의 실 저항 값이 커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캐소드 전극(122)과 애노드 전극(121) 간의 간격이 가까울수록 부하 임피던스의 실 저항 값이 커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 건조물(D) 내에 물의 양이 많을수록, 전극 간의 간격이 가까울수록 부하 임피던스 값이 커지는 현상이 관측되는데, 이는 애노드 전극(121)과 캐소드 전극(122) 간의 간격이 가까울수록 피 건조물(D)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임피던스 센서는 피 건조물(D) 내 물의 무게에 따른 부하 임피던스의 실 저항 값 정보를 수집해 이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임피던스 센서로부터 전달 받은 피 건조물(D)의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해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들(121, 122)의 간격을 제어하거나 피 건조물(D)의 건조 완료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건조 챔버(105) 내부에 설치되어 피 건조물(D)의 온도 정보 또는 건조 챔버(105) 내부의 온도 정보를 수집하거나, 배기 덕트(107)에 설치되어 배출 공기의 온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센서는 접촉식 온도 센서로 구현되거나, 비 접촉식 온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는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의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측온 저항체(RTD) 온도 센서, 온도 변화에 따른 반도체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서미스터 온도 센서, 재질이 다른 두 가지 종류의 금속선의 접합점 양단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는 열전대 온도 센서,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트렌지스터의 양단전압 또는 P-N 접합부의 전류전압 특성을 이용한IC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광파이버 센서(optical fiber senso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온도 센서의 마련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습도 센서는 건조 챔버(105) 내부에 설치되어 피 건조물(D)의 함습율 정보를 수집하거나, 배기 덕트(107)에 설치되어 배출 공기에 포함되는 증발 습기의 습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피 건조물(D)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거나, 피 건조물(D)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채용 가능한 센서의 예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의류 건조기(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센서부(140)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센서부(14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해 전극부(120)를 제어하는 방식에 대한 정보, 피 건조물(D)의 종류에 따른 건조 방식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류 건조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로 제공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에서 다운받은 범용 어플리케이션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롬(Read Only Memory; ROM), 피롬(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플레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와 같은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는 제어부에 포함된 롬 및 램과 독립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습기제거장치(108)는 의류 건조기(100)의 배기 덕트(107) 하단에 배치되어 배출 공기에 포함되는 증발 습기를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습기제거장치(108)는 외부 공기와 열 교환을 통해 증발 습기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배출 공기에 포함되는 증발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습기제거장치(108)는 증발 습기를 포함하는 배출 공기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습도에 도달한 경우 그 동작을 개시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그 동작이 게시될 수도 있다.
전극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캐소드 전극(122)과 적어도 하나의 애노드 전극(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122)과 애노드 전극(1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피 건조물(D)이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12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전원공급부(160)를 통해 고주파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전극부(120)의 애노드 전극(121)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전원공급부(160)를 통해 고주파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122)은 접지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전극부(120)는 전원공급부(160)를 통해 공급 받은 고주파 에너지를 피 건조물(D)에 인가해 줌으로써 피 건조물(D)을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주파 에너지는 수 m 이상의 파장을 가지는 RF 영역 대의 고주파 에너지 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피 건조물(D)에 인가되는 고주파 에너지의 파장이 건조 챔버(105) 내부에 마련된 건조 공간(S)의 폭보다 짧을 경우, 건조 공간(S) 내에 방사된 전자파 에너지가 공진을 일으켜 특정 위치에 에너지가 집중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건조 챔버(105) 내에서 열 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이 발생되거나, 공간 내 피 건조물(D)의 비 균일 가열을 일으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금속 물체의 전계 집중 및 과열로 의한 화재를 야기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짧은 파장으로 인해 피 건조물(D) 내부로의 에너지 침투 깊이가 수 cm로 얕아 피 건조물(D)의 효율적인 건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는 장파장의 고주파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공진에 의한 공간 내 에너지 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금속 물체 삽입에 따른 방전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피 건조물(D) 내에 에너지 침투 깊이 또한 깊어지게 되어 피 건조물(D)의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할 수 있다.
고주파 에너지를 사용한 의류 건조기(100)에서는, 고주파 에너지가 피 건조물(D) 주위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그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에서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해 피 건조물(D) 및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장파장 고주파 에너지를 사용하는 장점을 취함과 동시에 최대의 건조 성능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의류 건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의류 건조기(1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150)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센서부(14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피 건조물(D) 및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센서부(1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해 피 건조물(D)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제어부(170)로부터 피 건조물(D)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라는 제어 명령을 전달받으면 피 건조물(D)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40)는 피 건조물(D)의 임피던스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무게 정보, 위치 정보, 개수 정보, 두께 정보 등의 상태 정보를 수집해 이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센서부(140)는 피 건조물(D)의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건조 챔버(105) 내부의 상태 정보를 포함해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여러 정보들을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17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센서부(140)가 피 건조물(D)의 상태 정보를 수집해 이를 제어부(170)에 전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은 "피 건조물(D)의 건조 조건" 및 "피 건조물(D)의 증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 건조물(D)의 건조 조건"은 의류 건조기(100) 내에 수용된 피 건조물(D)이 최적으로 건조되도록 하기 위한 조건으로,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의 위치 조건, 피 건조물(D)의 위치 조건 및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의 세기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 건조물(D)의 증발 조건"은 피 건조물(D)로부터 증발된 증발 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조건으로,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의 위치 조건, 피 건조물(D)의 위치 조건 및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의 세기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가 피 건조물(D)의 건조 조건 및 피 건조물(D)의 증발 조건을 설정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제어부(170)는 센서부(140)의 감지 결과 피 건조물(D)의 임피던스 실 저항이 미리 설정된 제 1 저항 이상이면 피 건조물(D)의 건조 조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센서부(140)의 감지 결과 피 건조물(D)의 임피던스 실 저항이 미리 설정된 제 1 저항 이상 미리 설정된 제 2 저항 미만이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피 건조물(D)의 임피던스 실 저항이 미리 설정된 제 2 저항 이상이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센서물의 감지 결과 피 건조물(D)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상이면 피 건조물(D)의 증발 조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온도는 피 건조물(D)의 종류, 무게 또는 개수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피 건조물(D)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옷감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최적의 건조 성능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피 건조물(D)의 건조 조건 또는 증발 조건의 결정 예가 전술한 바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결정된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에 따라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피 건조물(D)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과 피 건조물(D)의 이동을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70)에 의해 결정된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에 따라 피 건조물(D)의 건조 동작과 증발 습기 배출 동작이 반복해서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70)가 피 건조물(D) 및 전극부(120)의 전극들의 이동을 제어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이하, 건조 공간(S) 내에 복수 개의 피 건조물들(D: D1, D2, D3)이 수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할 것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공간(S) 내에 단일한 피 건조물(D)이 수용된 경우에는 복수 개의 피 건조물들(D: D1, D2, D3)이 수용된 경우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들의 간격을 제어하는 예가 유추 적용될 수 있다.
건조 공간(S) 내에 복수 개의 피 건조물들(D: D1, D2, D3)이 수용된 경우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들의 위치와 피 건조물들(D: D1, D2, D3) 간의 위치는 최적의 건조 성능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피 건조물(D)의 건조 조건인 경우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제 4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피 건조물(D)의 증발 조건인 경우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제 5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 간격은 제 4 간격보다 큰 간격을 의미하는데, 제어부(170)는 피 건조물(D)의 증발 조건 하에서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넓게 조절 함으로써 피 건조물들(D: D1, D2, D3)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약한 건조 조건인 경우 전극들 간의 간격을 전술한 제 4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강한 건조 조건인 경우 전극들 간의 간격을 제 4 간격보다 좁은 미리 설정된 제 6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피 건조물들(D: D1, D2, D3)이 강하게 건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건조 공간(S)에 강한 전기장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극들 간의 간격을 가깝게 유지 함으로써 주위의 접지 전극과의 상대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기생 전기장(parasitic electric field)의 크기를 최소화 함과 동시에 피 건조물들(D: D1, D2, D3)이 존재하는 건조 공간(S)으로의 전기장 세기를 최대화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극들 간의 간격이 가깝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피 건조물들(D: D1, D2, D3)에 최적의 에너지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은 약한 건조 조건과 강한 건조 조건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건조 조건으로 세분화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건조 조건에 따라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피 건조물들(D: D1, D2, D3)의 건조 조건인 경우 피 건조물들(D: D1, D2, D3) 간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제 1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피 건조물들(D: D1, D2, D3)의 증발 조건인 경우 피 건조물들(D: D1, D2, D3) 간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제 2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간격은 제 1 간격보다 넓은 간격을 의미하는데, 제어부(170)는 피 건조물들(D: D1, D2, D3)의 증발 조건 하에서 피 건조물들(D: D1, D2, D3) 간의 간격을 넓게 조절 함으로써 피 건조물들(D: D1, D2, D3)로부터 증발된 증발 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약한 건조 조건인 경우 피 건조물들(D: D1, D2, D3) 간의 간격을 전술한 제 1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강한 건조 조건인 경우 피 건조물들(D: D1, D2, D3) 간의 간격을 제 1 간격보다 좁은 미리 설정된 제 3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피 건조물들(D: D1, D2, D3)이 강하게 건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건조 공간(S)에 강한 전기장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 조절과 동시에 피 건조물들(D: D1, D2, D3) 간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피 건조물들(D: D1, D2, D3)이 수용된 건조 공간(S)으로의 전기장 세기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약한 건조 조건과 강한 건조 조건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건조 조건으로 세분화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건조 조건에 따라 피 건조물(D)들 간의 간격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극부(120)에 고주파 전원의 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고주파 전원의 인가 시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전원공급부(16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해 애노드 전극(12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건조 조건인 경우 애노드 전극(12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증발 조건인 경우 애노드 전극(12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건조 조건인 경우 애노드 전극(121)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건조 공간(S) 내에 형성되는 고주파 전기장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약한 건조 조건인 경우 애노드 전극(121)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의 세기를 미리 설정된 제 1 세기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강한 건조 조건인 경우 애노드 전극(121)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의 세기를 전술한 제 1 세기보다 강한 미리 설정된 제 2 세기로 제어할 수 있다. 피 건조물들(D: D1, D2, D3)이 강하게 건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건조 공간(S)에 강한 전기장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애노드 전극(121)에 강한 고주파 전기장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공간(S) 내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170)의 구체적인 제어 예와 관련해 피 건조물(D)의 온도 정보에 기초해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 및 피 건조물(D)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피 건조물(D)의 온도 정보에 기초해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피 건조물(D)이 울(Wool)이나 레이온(Rayon) 섬유로 직조된 것일 경우, 피 건조물(D)이 특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옷감의 수축 및 변형에 따른 손상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피 건조물(D)의 건조 시 피 건조물(D)의 온도를 특정 온도 이하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챔버(105)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로부터 피 건조물(D)의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해 피 건조물(D)의 온도를 특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면서 피 건조물(D)의 건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건조 행정의 진행 중 피 건조물(D) 주위에 설치된 온도 센서로부터 피 건조물(D)의 온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피 건조물(D)의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온도 센서로부터 전달 받은 피 건조물(D)의 온도 정보에 기초해 피 건조물(D)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하인 경우,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가깝게 조절하고 전극부(120)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 공간(S) 내에 복수 개의 피 건조물(D: D1, D2, D3)이 수용된 경우 피 건조물들(D: D1, D2, D3) 간의 간격 역시 가깝게 조절될 수 있다. 피 건조물(D)에 고주파 에너지가 공급됨에 따라 피 건조물(D)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 이에 피 건조물(D)의 건조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피 건조물(D)의 건조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피 건조물(D)의 온도가 제 1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피 건조물(D)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피 건조물(D)의 온도를 특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도록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을 차단하고,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넓게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들은 초기 상태의 배치로 복귀될 수 있으며, 건조 공간(S) 내에 복수 개의 피 건조물(D: D1, D2, D3)이 수용된 경우 피 건조물(D)들 간의 간격 역시 넓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피 건조물(D)의 온도가 계속해서 상승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피 건조물(D)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된 증발 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경우 위와 같은 방식의 제어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최적의 건조성능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는 피 건조물(D)의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극부(120)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소드 전극(122)과 애노드 전극(121)의 배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 형태 및 개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전극부(120)의 변형 예를 포함한 의류 건조기(100)의 다양한 변형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a)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a)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a)의 경우 본체(101a), 건조 챔버(105a), 이송부(130a) 등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100)와 유사하다. 다만 전극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있어 차이가 있으며, 이하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a)의 전극부(120a)는 애노드 전극(121a) 및 애노드 전극(121a)과 이격 배치되어 애노드 전극(121a)과의 사이에 건조 공간(Sa: S1a, S2a)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캐소드 전극(122-1a, 122-2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부(120a)는 제 1 캐소드 전극(122-1a), 제 1 캐소드 전극(122-1a)과 이격 배치되어 제 1 캐소드 전극(122-1a)과의 사이에 제 1 건조 공간(S1a)을 형성하는 애노드 전극(121a), 애노드 전극(121a)과 이격 배치되어 애노드 전극(121a)과의 사이에 제 2 건조 공간(S2a)을 형성하는 제 2 캐소드 전극(122-2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애노드 전극(121a)을 중심으로 애노드 전극(121a)의 양쪽에 캐소드 전극(122-1a, 122-2a)이 각각 배치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a)는 이와 같은 전극 배치에 의해 피 건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 발생하는 기생 전기장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 건조물이 수용되는 건조 영역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전극부(120)를 제 1 캐소드 전극(122-1a), 애노드 전극(121a) 및 제 2 캐소드 전극(122-2a) 순서로 배치 함으로써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 순서로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동일 피 건조물에 대한 전극 간격을 절반으로 줄여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 건조물에 보다 강한 고주파 전기장을 인가해 줌으로써 의류 건조기(100a)의 건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극부(120a)의 애노드 전극(121a)은 고주파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으로서 그 위치가 고정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캐소드 전극(122-1a)과 제 2 캐소드 전극(122-2a)은 접지 전극으로서 이동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a)는 애노드 전극(121a)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마련함으로써 고전압을 수반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캐소드 전극(122-1a)과 제 2 캐소드 전극(122-2a)을 이동 가능한 접지 전극으로 마련 함으로써 회로를 보다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a)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a)의 제 1 건조 공간(S1a) 및 제 2 건조 공간(S2a)에는 각각 단일 피 건조물이 수용되거나 복수 개의 피 건조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이하, 이해를 돕기 위해 제 1 건조 공간(S1a) 및 제 2 건조 공간(S2a)에 각각 복수 개의 피 건조물들(Da: D1a, D2a, D3a, D4a, D5a, D6a)이 수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할 것이며, 복수 개의 피 건조물이 수용된 경우에 대한 설명은 단일 피 건조물이 수용된 경우에 유추될 수 있다.
도 11은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이 피 건조물(Da)의 건조 조건인 경우 제 1 캐소드 전극(122-1a)과 제 2 캐소드 전극(122-2a)의 이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a)의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센서부(140)에서 수집된 피 건조물(Da)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의류 건조기(100a)의 동작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의류 건조기(100a)의 동작 조건이 피 건조물(Da)의 건조 조건을 만족하면 제 1 캐소드 전극(122-1a)은 제 1 방향으로, 제 2 캐소드 전극(122-2a)은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캐소드 전극(122-1a, 122-2a)은 고정된 애노드 전극(121a)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극들 간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고, 제 1 건조 공간(S1a)과 제 2 건조 공간(S2a)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피 건조물들(Da: D1a, D2a, D3a, D4a, D5a, D6a)에 고주파 전기장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의류 건조기(100) 내에 복수 개의 피 건조물들(Da: D1a, D2a, D3a, D4a, D5a, D6a)이 수용된 경우로, 전극부(120a)에 마련된 전극들(122-1a, 122-2a)의 이동과 함께 피 건조물들(Da: D1a, D2a, D3a, D4a, D5a, D6a)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건조 공간(S1a)에 수용된 피 건조물들(D1a, D2a, D3a)은 각각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 2 건조 공간(S2a)에 수용된 피 건조물(D4a, D5a, D6a)들은 각각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피 건조물들(Da: D1a, D2a, D3a, D4a, D5a, D6a)의 위치 제어는 전극들(122-1a, 122-2a)의 위치 제어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들(Da: D1a, D2a, D3a, D4a, D5a, D6a)의 위치 제어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2는 의류 건조기(100a)의 동작 조건이 피 건조물(Da)의 증발 조건인 경우 제 1 캐소드 전극(122-1a)과 제 2 캐소드 전극(122-2a)의 이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피 건조물(Da)의 건조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피 건조물(Da)의 온도가 계속해서 상승될 수 있으며, 이에 일정 시간 경과 후 피 건조물(Da)의 증발 습기 배출을 위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의류 건조기(100a)의 동작 조건이 피 건조물(Da)의 증발 조건을 만족하면 제 1 캐소드 전극(122-1a)은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 2 캐소드 전극(122-2a)은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캐소드 전극(122-1a, 122-2a)은 고정된 애노드 전극(121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극부(120a)에 마련된 전극들(122-1a, 122-2a)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고, 제 1 건조 공간(S1a)과 제 2 건조 공간(S2a)이 넓게 형성됨에 따라 증발 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의류 건조기(100a) 내에 복수 개의 피 건조물(Da: D1a, D2a, D3a, D4a, D5a, D6a)들이 수용된 경우로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들(122-1a, 122-2a)의 이동과 함께 피 건조물들(Da: D1a, D2a, D3a, D4a, D5a, D6a)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건조 공간(S1a)에 수용된 피 건조물들(D1a, D2a, D3a)은 각각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 2 건조 공간(S2a)에 수용된 피 건조물들(D4a, D5a, D6a)은 각각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피 건조물들(Da: D1a, D2a, D3a, D4a, D5a, D6a)의 위치 제어와 관련해 전술한 바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b)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b)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b)의 경우 본체(101b), 건조 챔버(105b), 이송부(130b) 등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100, 100a)와 유사하다. 다만 전극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있어 차이가 있으며, 이하 도 1 내지 4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 100a)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b)의 전극부(120b)는 애노드 전극(121b) 및 애노드 전극(121b)과 이격 배치되어 애노드 전극(121b)과의 사이에 건조 공간(Sb: S1b, S2b)을 형성하는 캐소드 전극(122-1b, 122-2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부(120b)는 제 1 캐소드 전극(122-1b), 제 1 캐소드 전극(122-1b)과 이격 배치되어 제 1 캐소드 전극(122-1b)과의 사이에 제 1 건조 공간(S1b)을 형성하는 애노드 전극(121b), 애노드 전극(121b)과 이격 배치되어 애노드 전극(121b)과의 사이에 제 2 건조 공간(S2b)을 형성하는 제 2 캐소드 전극(122-2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애노드 전극(121b)을 중심으로 애노드 전극(121b)의 양쪽에 캐소드 전극(122-1b, 122-2b)이 각각 배치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b)의 전극부(120b)는 도 10 내지 도 12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b)와는 달리 제 1, 2 캐소드 전극(122-1b, 122-2b)이 고정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애노드 전극(121b)이 이동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3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b)의 경우 이와 같은 전극 배치를 가짐으로써 애노드 전극(121b)을 중심으로 양쪽의 건조 공간(S1b, S2b)을 분할하여 독립적인 건조 공정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b)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b)의 제 1 건조 공간(S1b) 및 제 2 건조 공간(S2b)에는 각각 단일 피 건조물이 수용되거나 복수 개의 피 건조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이하, 이해를 돕기 위해 제 1 건조 공간(S1b) 및 제 2 건조 공간(S2b)에 복수 개의 피 건조물들(Db: D1b, D2b, D3b, D4b, D5b, D6b)이 수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할 것이며, 복수 개의 피 건조물들(Db: D1b, D2b, D3b, D4b, D5b, D6b)이 수용된 경우에 대한 설명은 단일 피 건조물이 수용된 경우에 유추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의류 건조기(100b)의 건조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애노드 전극(121b)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건조 공간(S1b)을 형성하는 전극 간격이 넓어져 제 1 건조 공간(S1b)에 수용된 피 건조물들(D1b, D2b, D3b)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제 2 건조 공간(S2b)을 형성하는 전극 간격이 좁아져 제 2 공간(S2b)에 수용된 피 건조물들(D4b, D5b, D6b)에 고주파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121b)이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건조 공간(S1b)과 제 2 건조 공간(S2b)의 역할이 바뀌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b)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의 공간 분할을 통해 애노드 전극(121b)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의 온/오프 동작 없이 피 건조물들(Db: D1b, D2b, D3b, D4b, D5b, D6b)에 대해 고주파 에너지의 인가 및 증발 습기 배출의 최적화가 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에서 전극들의 다양한 배치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애노드 전극(121, 121a, 121b)과 캐소드 전극(122, 122-1a, 122-2a, 122-1b, 122-2b)이 각각 평판 형상으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전극들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변형 가능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0에서는 전극 형상의 다양한 변형 예에 대해 도시하였다. 도 16 내지 도 20에서는 애노드 전극을 중심으로 애노드 전극의 양쪽에 캐소드 전극들이 배치된 경우를 전제로 도시하였으나,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전극의 형상은 도 2 및 도 3의 경우를 포함한 다양한 전극 배치 구조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부(120c)의 애노드 전극(121c)은 중심에 홀이 형성된 직사각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애노드 전극(121c)의 양쪽에는 사각 평판 형상의 캐소드 전극들(122-1c, 122-2c)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애노드 전극(121c)과 각각의 캐소드 전극들(122-1c, 122-2c) 사이에는 피 건조물(Dc)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캐소드 전극(122-1c, 122-2c)의 크기는 애노드 전극(121c)과 동일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애노드 전극(121c)보다 큰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부(120d)의 애노드 전극(121d)은 마주보는 캐소드 전극들(122-1d, 122-2d)보다 더 작은 크기의 사각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들(122-1d, 122-2d)은 애노드 전극(121d)보다 큰 크기의 사각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7의 전극부(120d)에 따르면 주변 접지 전극 과의 상대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기생 전기장 성분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피 건조물(Dd)이 존재하는 영역으로의 전기장 세기를 최대화 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부(120e)의 애노드 전극(121e)은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들(122-1e, 122-2e)은 사각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애노드 전극(121e)은 타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애노드 전극(121e)의 지름 또는 장 축의 길이는 캐소드 전극(122-1e, 122-2e)의 넓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주변 접지 전극과의 상대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기생 전기장 성분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피 건조물(De)이 존재하는 영역으로의 전기장 세기를 최대화 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부(120f)의 애노드 전극(121f)은 포크 형상으로 분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들(122-1f, 122-2f)은 사각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극부(120f)에서 애노드 전극(121f)의 분기 구조가 도 19에 도시된 바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애노드 전극(121f)의 분기되는 구조의 개수 및 간격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120f)를 포크 형상으로 분기된 구조로 마련할 경우 피 건조물(Df)에 고주파 에너지를 전달함과 동시에 증발 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시킬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부(120g)의 애노드 전극(121g)은 포크 형상으로 분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들(122-1g, 122-2g)은 사각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0에 따른 애노드 전극(121g)의 경우 도 19에 따른 애노드 전극(121f)과는 달리 그 단면이 로드(ro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극부(120g)에서 애노드 전극(121g)의 분기 구조가 도 20에 도시된 바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애노드 전극(121g)의 분기되는 구조의 개수 및 간격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의 구조가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애노드 전극의 형태는 접지극인 캐소드 전극까지의 간격을 비 균일하게 유지해주는 볼록 또는 오목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캐소드 전극의 형상도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 전극 역시 전술한 도 16 내지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애노드 전극(121c, 121d, 121e, 121f, 121g)의 구조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모두 포크 형태로 마련될 경우, 대항하는 전극들이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엇갈리는 형태(staggered)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1은 전극 형상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부(120h)는 포크 형상의 애노드 전극(121h)과 포크 형상의 캐소드 전극(122h)이 동일 평면 상에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노드 전극(121h)과 캐소드 전극(122h)은 애노드 전극(121h)의 분기 구조와 캐소드 전극(122h)의 분기 구조가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극들(121h, 122h)은 동일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마련된 전극부(120h)의 배치 형태를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 형태라 지칭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121h)과 캐소드 전극(122h)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할 경우 애노드 전극(121h)과 캐소드 전극(122h) 간에 형성되는 fringe-electric-field에 의해 전극부(120h)에 인접한 피 건조물(Dh)에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전극부(120h)의 경우 애노드 전극(121h)과 캐소드 전극(122h)이 인접해 있어 주위 접지 전극 방향으로 기생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보다 컴팩트한 의류 건조기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전극부의의 다양한 변형 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전극부에 의한 고주파 전기장의 형성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2 내지 도 24는 고주파 전기장의 형성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22의 경우 도 16 내지 도 20에 따른 전극부(120c 내지 120g)에 의해 형성되는 고주파 전기장의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의 경우 도 21에 따른 전극부(120h)에 의해 형성되는 고주파 전기장의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의 경우 도 21에 따른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전극부(120h) 구조를 여러 장 배치한 경우 고주파 전기장의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애노드 전극(121c 내지 121g)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면 애노드 전극(121c 내지 121g)에서 캐소드 전극(122-1c 내지 122-1g) 방향으로 고주파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애노드 전극(121c 내지 121g)과 캐소드 전극(122-1c 내지 122-1g) 사이에 피 건조물(Dc 내지 Dg)이 배치된 경우 애노드 전극(121c 내지 121g)과 캐소드 전극(122-1c 내지 122-1g) 사이에 형성된 고주파 전기장에 의해 피 건조물(Dc 내지 Dg)이 건조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애노드 전극(121h)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면 애노드 전극(121h)에서 캐소드 전극(122h) 방향으로 고주파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애노드 전극(121h)과 캐소드 전극(122h)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바, 도 22의 경우에 비해 좁은 영역에 고주파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부(120h)로부터 형성된 고주파 전기장에 의해 전극부(120h)와 인접 배치된 피 건조물(Dh)이 건조될 수 있다.
다만, 도 23에 따른 전극부(120h)의 경우 고주파 전기장이 형성되는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으므로 피 건조물(Dh)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건조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경우 애노드 전극(121h)과 캐소드 전극(122h)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전극부(120h) 구조를 여러 장 배치시켜 의류 건조기의 건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애노드 전극(121h)과 캐소드 전극(122h)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전극부(120h) 구조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전극부(120h) 구조에 의해 형성된 고주파 전기장에 의해 피 건조물(Dh)이 건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피 건조물(Dh)의 양쪽에 애노드 전극(121h)과 캐소드 전극(122h)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전극부(120h) 구조를 배치함으로써 피 건조물(Dh)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으로, 캐비닛 형태를 가지는 의류 건조기의 다양한 변형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개시된 발명의 변형 실시 예로서 서랍장 형태의 의류 건조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는 서랍장 형태의 의류 건조기(100i)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6은 도 25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i)에서 서랍장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캐비닛 형태의 의류 건조기(100)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서랍장 형태의 의류 건조기(100i)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서랍장 형태의 의류 건조기(100i)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1i)와, 본체(101i)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서 피 건조물(Di)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 챔버(105i)를 포함한다.
본체(101i)는 복수 개의 서랍(109i)에 의해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랍(109i)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서랍(109i)의 양쪽 측면에는 고정레일(109-1i)이 설치되고, 서랍이 삽입되는 본체(101)의 양쪽 내 측면에는 고정레일(109-1i)이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109-2i)이 설치될 수 있다.
서랍 내부에는 건조 챔버(105i)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i)의 전극부(120i)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의류 건조기(100)의 전극부(120)와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전극부(120i)의 배치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랍의 폭에 비해 서랍의 높낮이 치수가 작은 경우,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120i)의 전극들을 상하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전극부(120i)에 마련된 전극 및 피 건조물들(Di: D1i, D2i, D3i)의 움직임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i)의 전극 형상, 이동 방식 등과 관련해 전술한 바에 따른 캐비닛 형태의 의류 건조기(100)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전술한 바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으로, 서랍장 형태를 가지는 의류 건조기에 대해 설명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캐비닛 형태의 의류 건조기 또는 서랍장 형태의 의류 건조기는 각각 다른 전자 제품 또는 가구들과 조합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건조기는 세탁기, 옷장 및 다른 의류 건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세탁기는 드럼 세탁기, 전자동 세탁기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와 세탁기의 다양한 조합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7 내지 도 31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와 세탁기(200)의 다양한 조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는 세탁기(200)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세탁기(200)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7에서는 캐비닛 형태의 의류 건조기(100)가 세탁기(200)의 상단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도 28에서는 서랍장 형태의 의류 건조기(100i)가 세탁기(200)의 하단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도 29에서는 캐비닛 형태의 의류 건조기(100)가 세탁기(200)의 우측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도 30에서는 캐비닛 형태의 의류 건조기(100)가 세탁기(200)의 좌측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실시 예에 따라 의류 건조기(100)는 세탁기와 다른 의류 건조기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캐비닛 형태의 의류 건조기(100)의 일 측에는 세탁기(2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일 측에는 드럼식 의류 건조기(100j)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7 내지 도 31은 의류 건조기(100)와 세탁기(200)(또는 다른 의류 건조기(100j))의 조합 예를 도시한 것일 뿐, 의류 건조기(100)와 다른 기기들과의 배치 예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으로, 의류 건조기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의류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상태 정보에 기초해 의류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피 건조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상태 정보에 기초해 의류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정보에 기초해 의류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피 건조물 및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경우 피 건조물의 이동을 단독으로 제어하거나, 전극의 이동을 단독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피 건조물 및 전극의 이동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하, 건조 공간에 피 건조물이 복수 개 수용된 경우를 전제로 피 건조물 및 전극의 이동이 동시에 제어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의류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도 3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 참조). 이하, 피 건조물 및 전극부가 동시에 제어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은 피 건조물의 이동이 단독으로 제어되는 경우와 전극의 이동이 단독으로 제어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의류 건조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170)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조건을 판단하며, 보다 상세하게 피 건조물(D)의 건조 조건인지를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 의류 건조기(100)의 전원이 인가되면 센서부(140)는 제어부(170)로부터 피 건조물(D)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라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제어부(170)의 명령에 따라 피 건조물(D)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제어부(17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피 건조물(D)의 상태 정보는 피 건조물(D)의 임피던스 정보, 습도 정보, 무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305, 310).
제어부(17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집된 피 건조물(D)의 상태 정보에 기초해 피 건조물(D)의 건조 조건인지를 판단한다(315).
피 건조물(D)의 건조 조건이 아닌 경우, 제어부(170)는 피 건조물(D)의 건조가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의류 건조기(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320).
피 건조물(D)의 건조 조건인 경우, 제어부(170)는 피 건조물(D)의 건조가 필요한 것으로 것으로 판단하고 피 건조물(D)과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의 위치를 결정하고, 전극부(120)에 대한 고주파 전원의 인가 조건을 결정한다(325).
이후, 피 건조물(D)과 전극은 제어부(170)에서 결정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피 건조물(D)과 전극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동시에 이동할 수도 있다(330).
피 건조물(D)과 전극부(120)의 전극이 제어부(170)에서 결정된 위치로 이동하면, 전극부(120)에 고주파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전극부(120)의 애노드 전극(121)을 통해 고주파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피 건조물(D)의 건조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335).
피 건조물(D)의 건조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피 건조물(D)의 온도가 지속적 상승될 수 있으며, 동시에 피 건조물(D)로부터 증발 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에, 개시된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경우 피 건조물(D)의 증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피 건조물(D)의 증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피 건조물(D)의 효율적 건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집된 피 건조물(D)의 상태 정보에 기초해 피 건조물(D)의 증발 조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340).
피 건조물(D)의 증발 조건이 아닌 경우, 계속해서 전극부(120)에 고주파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335).
피 건조물(D)의 증발 조건인 경우, 전극부(120)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이 차단될 수 있으며, 이어서 피 건조물(D)과 전극부(120)에 마련된 전극이 이동할 수 있다. 피 건조물(D)과 전극은 초기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나, 피 건조물(D)과 전극의 이동 가능한 위치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피 건조물(D)과 전극은 제어부(170)의 판단에 따라 증발 습기의 배출이 용이할 것으로 여겨지는 위치로 이동할 수도 있다(345, 350).
이후, 센서부(140)는 제어부(170)로부터 증발 습기를 검출하라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제어부(170)의 명령에 따라 피 건조물(D)로부터 증발된 증발 습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355).
제어부(17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집된 증발 습기 정보에 기초해 증발 습기 배출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60).
증발 습기의 배출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센서부(140)는 계속해서 증발 습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355).
증발 습기의 배출이 완료된 경우, 다시 단계 315로 되돌아가 전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발명이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수 있다.
100: 의류 건조기
110: 컨트롤패널
120: 전극부
121: 애노드 전극
122: 캐소드 전극
130: 이송부
140: 센서부
150: 메모리
160: 전원 공급부
170: 제어부
110: 컨트롤패널
120: 전극부
121: 애노드 전극
122: 캐소드 전극
130: 이송부
140: 센서부
150: 메모리
160: 전원 공급부
170: 제어부
Claims (38)
- 본체;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피 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 챔버;
상기 피 건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 건조물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 건조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건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무게 정보, 위치 정보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건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동작 조건은,
상기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 및 증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조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미리 설정된 제 1 저항 이상이면 상기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피 건조물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제 1 간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피 건조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상이면 상기 피 건조물의 증발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피 건조물의 간격을 상기 제 1 간격보다 더 큰 미리 설정된 제 2 간격으로 제어하는 건조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상기 제 1 저항 이상 미리 설정된 제 2 저항 미만이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상기 제 2 저항 이상이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는 건조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상기 피 건조물의 간격을 상기 제 1 간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상기 피 건조물의 간격을 상기 제 1 간격보다 좁은 미리 설정된 제 3 간격으로 제어하는 건조기. - 제 1항에 있어서,
세탁기, 옷장 및 다른 건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이웃하여 배치된 건조기. - 본체;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피 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 챔버;
상기 건조 챔버 내부에 마련된 전극부;
상기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극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애노드 전극과의 사이에 건조 공간을 형성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건조기. - 제 10항에 있어서,
복수의 건조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애노드 전극과 상기 캐소드 전극이 교번하여 배치된 건조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제 1 캐소드 전극;
상기 제 1 캐소드 전극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 1 캐소드 전극과의 사이에 제 1 건조 공간을 형성하는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애노드 전극과의 사이에 제 2 건조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건조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미리 설정된 제 1 저항 이상이면 상기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제 4 간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피 건조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상이면, 상기 피 건조물의 증발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상기 제 4 간격보다 더 넓은 미리 설정된 제 5 간격으로 제어하는 건조기.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상기 제 1 저항 이상 미리 설정된 제 2 저항 미만이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 2 저항 이상이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는 건조기.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상기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상기 제 4 간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상기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상기 제 4 간격보다 좁은 미리 설정된 제 6 간격으로 제어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세탁기, 옷장 및 다른 건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이웃하여 배치된 건조기. - 본체;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피 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 챔버;
상기 건조 챔버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상기 피 건조물 및 상기 전극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 건조물 및 상기 전극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건조 챔버 내에 상기 전극의 이동에 따라 그 크기가 가변되는 복수의 건조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조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건조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무게 정보, 위치 정보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건조기. - 제 17항에 있어서,
세탁기, 옷장 및 다른 건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이웃하여 배치된 건조기. -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에 기초해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상기 피 건조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무게 정보, 위치 정보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피 건조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건조기 내에 수용된 복수의 피 건조물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 및 증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피 건조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미리 설정된 제 1 이상이면 상기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피 건조물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제 1 간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피 건조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상이면 상기 피 건조물의 증발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피 건조물의 간격을 상기 제 1 간격보다 더 큰 미리 설정된 제 2 간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상기 피 건조물의 증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피 건조물의 간격을 상기 제 1 간격보다 더 큰 미리 설정된 제 2 간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상기 제 1 저항 이상 미리 설정된 제 2 저항 미만이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 2 저항 이상이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피 건조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상기 피 건조물의 간격을 상기 제 1 간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상기 피 건조물의 간격을 상기 제 1 간격보다 좁은 미리 설정된 제 3 간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건조 공간에 고주파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상기 전극부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건조 공간에 고주파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공간에 수용된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해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상기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과 이격 배치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상기 애노드 전극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피 건조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무게 정보, 위치 정보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 또는 증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간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제 4 간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피 건조물의 증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간의 간격을 상기 제 4 간격보다 더 큰 미리 설정된 제 5 간격으로 제어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저항이 미리 설정된 제 1 저항 이상이면 상기 피 건조물의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 건조물의 임피던스의 실 저항이 상기 제 1 저항 이상 미리 설정된 제 2 저항 미만이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 2 저항 이상이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피 건조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약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상기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상기 제 4 간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이 강한 건조 조건으로 결정되면 상기 전극부에 마련된 전극들 간의 간격을 상기 제 4 간격보다 좁은 미리 설정된 제 6 간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 건조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이상이면 상기 피 건조물의 증발 조건으로 결정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147,091 US10450693B2 (en) | 2015-05-08 | 2016-05-05 |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201680019312.4A CN107429472B (zh) | 2015-05-08 | 2016-05-09 | 烘干机及其控制方法 |
PCT/KR2016/004808 WO2016182285A1 (en) | 2015-05-08 | 2016-05-09 |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P16792931.4A EP3294944B1 (en) | 2015-05-08 | 2016-05-09 |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6/657,083 US11168437B2 (en) | 2015-05-08 | 2019-10-18 |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158800P | 2015-05-08 | 2015-05-08 | |
US62/158,800 | 2015-05-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1901A true KR20160131901A (ko) | 2016-11-16 |
KR102591759B1 KR102591759B1 (ko) | 2023-10-23 |
Family
ID=5754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1905A KR102591759B1 (ko) | 2015-05-08 | 2016-04-28 |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3294944B1 (ko) |
KR (1) | KR102591759B1 (ko) |
CN (1) | CN107429472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05909A1 (ko) * | 2016-12-08 | 2018-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 건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8221470A1 (de) * | 2018-12-12 | 2020-06-18 | BSH Hausgeräte GmbH | Vorrichtung mit integrierter Wäschebehandlungsfunktionalität und Verfahren zum Nutzen einer solchen Vorrichtung |
CN111979730B (zh) * | 2019-05-05 | 2023-01-31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一种干衣机及控制方法 |
JP2023514980A (ja) * | 2020-01-30 | 2023-04-12 |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 濾過システム付き保管容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00997A (ja) * | 2000-06-26 | 2002-01-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衣類乾燥機 |
US20110308101A1 (en) * | 2010-06-17 | 2011-12-22 | Cool Dry LLC | High efficiency heat generator |
US20140325865A1 (en) * | 2011-05-20 | 2014-11-06 | Cool Dry LLC | Dielectric dryer drum |
US20150101207A1 (en) * | 2013-10-14 | 2015-04-16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rticle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6818B1 (ko) * | 2006-08-31 | 2013-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
KR100957266B1 (ko) * | 2008-02-12 | 2010-05-12 | 신상용 | 의류건조기 |
KR20120070763A (ko) * | 2010-12-22 | 2012-07-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기 및 건조기의 제어 방법 |
KR101140218B1 (ko) * | 2011-11-02 | 2012-05-02 | 윤정수 | 피복류용 건조실을 갖는 제습기 |
US9784499B2 (en) * | 2013-08-23 | 2017-10-10 | Whirlpool Corporation | Appliance for drying articles |
-
2016
- 2016-04-28 KR KR1020160051905A patent/KR10259175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5-09 CN CN201680019312.4A patent/CN10742947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5-09 EP EP16792931.4A patent/EP32949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00997A (ja) * | 2000-06-26 | 2002-01-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衣類乾燥機 |
US20110308101A1 (en) * | 2010-06-17 | 2011-12-22 | Cool Dry LLC | High efficiency heat generator |
US20140325865A1 (en) * | 2011-05-20 | 2014-11-06 | Cool Dry LLC | Dielectric dryer drum |
US20150101207A1 (en) * | 2013-10-14 | 2015-04-16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rticle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05909A1 (ko) * | 2016-12-08 | 2018-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 건조기 |
CN110214208A (zh) * | 2016-12-08 | 2019-09-06 | 三星电子株式会社 | 衣服烘干机 |
US11066779B2 (en) | 2016-12-08 | 2021-07-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othes dry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294944A1 (en) | 2018-03-21 |
CN107429472A (zh) | 2017-12-01 |
KR102591759B1 (ko) | 2023-10-23 |
EP3294944B1 (en) | 2020-03-04 |
EP3294944A4 (en) | 2018-05-16 |
CN107429472B (zh) | 2020-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31901A (ko) |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11168437B2 (en) |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9200402B2 (en) | Dielectric dryer drum | |
EP2591162B1 (en) | Method for operating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US8819958B2 (en) | End of cycle detection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 |
EP2749683B1 (en) | Drying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laundry | |
EP2746458A1 (en) |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ing machine and a corresponding laundry drying machine | |
US20080053162A1 (en) | Combined laundry machine | |
KR20090115058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90128468A (ko) | 의류 처리 장치 | |
US11060226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3097603A (zh) | 衣物干燥机和洗涤干燥机 | |
AU2017385761A1 (en) | Clothing drying apparatus | |
US9322127B2 (en) | Method of operating a home appliance | |
JP5957685B2 (ja) | ドラム式乾燥機 | |
US8402796B2 (en) | Laundry machine having first and second laundry treating spaces | |
US20140034631A1 (en) | Heater assembly for an appliance | |
KR101295379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90128469A (ko) | 의류 처리 장치 | |
EP2610400A1 (en) | Dryer and method to control a drying cycle | |
KR101768313B1 (ko)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기 | |
KR20160135868A (ko)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기의 도파관 | |
KR101254791B1 (ko) | 세탁물 건조기 | |
EP2192224B1 (en) | An improved tumble dryer | |
US20230399789A1 (e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heating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