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591A -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591A
KR20160131591A KR1020150064372A KR20150064372A KR20160131591A KR 20160131591 A KR20160131591 A KR 20160131591A KR 1020150064372 A KR1020150064372 A KR 1020150064372A KR 20150064372 A KR20150064372 A KR 20150064372A KR 20160131591 A KR20160131591 A KR 20160131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layer
nanosheet
solar cell
zinc oxide
depos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947B1 (ko
Inventor
백정민
이기석
이혜진
최원준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6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947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168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the coatings being antireflective or having enhancing optical properties for th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36Special surface textures
    • H01L31/02366Special surface textures of the substrate or of a layer on the substrate, e.g. textured ITO/glass substrate or superstrate, textured polymer layer on glass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은 (a) 준비된 기판에 ZnS 및 Al을 증착하여 씨드 층(Seed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b) 씨드 층 표면을 표면처리 하는 단계; (c) ZnS와 Al층이 증착된 씨드 층 표면에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나노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씨드 층 표면 상부에 형성된 산화아연 나노시트에 MgF2를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산화아연 Seed 층 없이 ZnO 나노시트를 성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산화아연 나노시트에 MgF2를 증착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METHOD FOR ANTI-REFLECTION COATING OF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 미세 Al층을 제작하여 산화아연 나노시트를 제작 후 MgF2층을 증착하여 UV영역 빛을 흡수 증가를 위한 비반사막 밴드갭이 증가하여 태양전지의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2차원 산화아연 나노시트 압전 에너지 발전 소자로서, 일면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플라스틱, 종이, 유리, 사파이어 등과 같은 기판을 제공 또는 일면에 알루미늄 호일이 부착된 플라스틱, 종이, 유리 등과 같은 기판, 알루미늄이 증착 또는 부착된 기판의 일면 상에 습식 성장된 산화아연 나노시트 및 일면에 금이 증착된 플라스틱 기판으로서, 금이 증착된 면이 상기 산화아연 나노시트와 접하도록 배치된, 일면에 금이 증착된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하는 2차원 산화아연 나노시트 압전 에너지 발전 소자가 연구되고 있다.
또한, 산소 플라즈마에 아연필름을 직접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아연필름을 산화아연 나노시트로 변환하는 산화아연 나노시트 제조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UV영역에서 비반사막 밴드갭이 증가에 있어 어려움이 있어 태양전지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나노시트는 성장온도, 성장시간과 농도 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건을 잡아 태양전지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는, 외부에서 들어온 빛에 의해 태양전지의 반도체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의 쌍이 생성되고, 이러한 전자와 정공의 쌍에서 pn 접합에서 발생한 전기장에 의해 전자는 n형 반도체로 이동하고 정공은 p형 반도체로 이동함으로써 전력을 생산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솔라셀의 경우에는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입사됨에 있어서 태양전지의 표면에 의해 태양광이 난반사되면서 태양전지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량이 감소되어 태양광 발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0839호(2014. 02. 04)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 미세 Al층을 제작하여 산화아연 나노시트를 제작 후 MgF2층을 증착 후 UV영역 빛을 흡수 증가를 위한 비반사막 밴드갭이 증가하여 태양전지의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은 (a) 준비된 기판에 ZnS 및 Al을 증착하여 씨드 층(Seed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씨드 층 표면을 표면처리 하는 단계; (c) 상기 ZnS와 Al층이 증착된 상기 씨드 층 표면에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나노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씨드 층 표면 상부에 형성된 상기 산화아연 나노시트에 MgF2를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은 ZnS가 sputter공법에 의해 50nm 두께로 증착되고, Al가 Electron Beam Evaporation공법에 의해 0.5nm 두께로 증착되어 씨드 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은 산화아연 Seed 층 없이 ZnO 나노시트를 성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90도의 낮은 온도에서 ZnO 나노시트를 성장하며, 표면 상부에 형성된 산화아연 나노시트에 MgF2를 증착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시트, 플루오린화 마그네슘층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도면,
도 3은 산화아연 나노시트와 산화아연 나노시트에 마크네슘층이 층착된 비반사막의 반도율을 비교한 특성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와 나노시트의 자외선 흡수도를 비교한 특성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시트의 MgF2 증착 전·후 태양전지의 효율를 비교한 특성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태양전지의 비반사막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시트 제작 방법은 기판에 ZnS 및 Al을 증착하여 씨드 층(Seed layer:10)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
이때, 상기 'S10'단계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아연 나노시트 제작을 위한 씨드 층(Seed layer:10) 중, ZnS층은 진공 증착법 중 sputter공법을 이용하고, 초 미세 Al층은 진공 증착법 중 Electron Beam Evaporation공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ZnS층 증착 시 sputter 장비를 이용하여 50nm 증착(50W, 5mTorr, Ar 20sccm)하고, Al 증착 시 Electron beam evaporation 장비를 이용하여 0.5nm 증착하여 상기 씨드 층(10)을 형성한다.
이후 산화아연 나노시트(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씨드 층(10) 표면을 표면처리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
상기 표면처리는 유기물을 제거한 시편을 UV/오존 클린너(wavelength: 256nm, 28mW/Cm2)로 20분간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처리 단계(S20) 이후, 상기`S10`단계에서 ZnS와 Al층이 증착된 표면에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나노시트(20)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
즉, 상기 `S30`단계에서 소자를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산화아연 형성용 수용액을 사용하여 수열합성법으로 상기 `S20`단계에서 표면처리된 상기 씨드 층(10) 표면에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나노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산화아연 나노시트는 직경 33nm~55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상기 오토클레이브의 산화아연 합성온도는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화아연 형성용 수용액은 아연염과 헥사메틸렌테트라아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아연염과 헥사메틸렌테트라아민의 몰 비율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이때, 상기 아연염과 헥사메틸렌테트라아민 수용액의 몰 농도는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30`단계 이후, 상기 씨드 층(10) 표면 상부에 형성된 산화아연 나노시트(20)에 MgF2(30)를 증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
즉, 상기 `S40`단계에서 형성된 나노시트 위에 sputter공법을 사용하여 MgF2(30)를 증착한다.
이때, 증착 시 파워, 압력과 가스 유량은 80W, 25mTorr와 아르곤 15sccm으로 맞춘 후 증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시트, 플루오린화 마그네슘층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표면이 거칠게 형성되어 반사도가 감소함에 따라 태양전지의 비사막 역할이 증하가게 된다.
보다 명확히, 도 3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반사막에서 상기 나노시트(20)에 플루오린화 마그네슘(30)을 증착함에 따라 반사율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루오린화 마그네슘(30)는 반사도가 감소하여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역할이 증가한다.
참고로, 도 3은 산화아연 나노시트와 산화아연 나노시트에 마크네슘층이 층착된 비반사막의 반도율을 비교한 특성 그래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와 나노시트의 자외선 흡수도를 비교한 특성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와이어보다 나노시트일 때 자외선 영역의 흡수도가 감소하며 밴드갭이 증가하여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역할이 증가한다.
마지막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시트의 MgF2 증착 전·후 태양전지의 효율를 비교한 특성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으로 도 1과 같이 만들어진 나노시트의 MgF2 증착 후 태양전지 효율 측정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시트 형성 전 (13.77%) 보다 나노시트 형성 후 (19.81%) 6.04%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씨드 층
20 : 나노시트
30 : MgF2

Claims (7)

  1. (a) 준비된 기판에 ZnS 및 Al을 증착하여 씨드 층(Seed layer:10)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씨드 층(10) 표면을 표면처리 하는 단계;
    (c) 상기 ZnS와 Al층이 증착된 상기 씨드 층(10) 표면에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나노시트(20)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씨드 층(10) 표면 상부에 형성된 상기 산화아연 나노시트(20)에 MgF2(30)를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ZnS가 sputter공법에 의해 50nm 두께로 증착되고, 상기 Al가 Electron Beam Evaporation공법에 의해 0.5nm 두께로 증착되어 씨드 층(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표면처리는
    유기물이 제거된 상기 씨드 층(10) 시편을 UN/오존 크리너로 20분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표면 처리된 상기 씨드 층(10) 시편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산화아연 형성용 수용액을 사용하여 수열합성법으로 상기 나노시트(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여 형성용 수용액은 아연염과 헥사메틸렌테트라아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염과 헥사메틸렌테트라아민의 몰 비율은 1:1이고, 수용액의 몰 농도는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gF2(30)는 수열합성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KR1020150064372A 2015-05-08 2015-05-08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KR101684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372A KR101684947B1 (ko) 2015-05-08 2015-05-08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372A KR101684947B1 (ko) 2015-05-08 2015-05-08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591A true KR20160131591A (ko) 2016-11-16
KR101684947B1 KR101684947B1 (ko) 2016-12-09

Family

ID=5754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372A KR101684947B1 (ko) 2015-05-08 2015-05-08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1592A (zh) * 2016-12-22 2017-04-26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光透半导体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5236A1 (en) * 2009-09-17 2011-03-17 National Taiwan University Method for maintaining a smooth surface of crystallizable material
WO2012036472A2 (ko) * 2010-09-16 2012-03-22 광주과학기술원 결정성 막대를 이용한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101360839B1 (ko) 2011-12-23 2014-02-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2차원 산화아연 나노시트 기반 나노전력발전소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발전 소자
KR20150046999A (ko) * 2013-10-23 2015-05-04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반사방지막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1517551B1 (ko) * 2013-11-14 2015-05-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5236A1 (en) * 2009-09-17 2011-03-17 National Taiwan University Method for maintaining a smooth surface of crystallizable material
WO2012036472A2 (ko) * 2010-09-16 2012-03-22 광주과학기술원 결정성 막대를 이용한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101360839B1 (ko) 2011-12-23 2014-02-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2차원 산화아연 나노시트 기반 나노전력발전소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발전 소자
KR20150046999A (ko) * 2013-10-23 2015-05-04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반사방지막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1517551B1 (ko) * 2013-11-14 2015-05-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발광소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1592A (zh) * 2016-12-22 2017-04-26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光透半导体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601592B (zh) * 2016-12-22 2019-05-07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光透半导体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947B1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4434B (zh) ICP刻蚀GaN基多量子阱制备纳米阵列图形的方法
Thiyagu et al. Fabrication of large area high density, ultra-low reflection silicon nanowire arrays for efficient solar cell applications
US20150171261A1 (en)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layer, and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layer
TWI705577B (zh) 二維電子元件與相關製造方法
TW201123508A (en) Antireflection layer, method for fabricating antireflection surface, and photovoltaic device applying the same
KR101086074B1 (ko) 실리콘 나노 와이어 제조 방법, 실리콘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TWI452706B (zh) 太陽能電池
CN111373563B (zh) 具有改善的可见光吸收率的氧化物半导体光电晶体管及其制造方法
CN106711241A (zh) 一种石墨烯透明电极金刚石基紫外探测器及其制备方法
KR101179823B1 (ko) 나노 로드를 갖는 기능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684947B1 (ko) 태양전지의 비반사막 제조방법
CN112234117A (zh) 基于n-GaN/p-GaSe/石墨烯异质结的自驱动超宽光谱光电探测器及制备方法
TW201327862A (zh) 導電基板及其製造方法,以及太陽能電池
Son et al. Large scale antireflective glass texturing using grid contacts in anodization methods
CN210607281U (zh) 一种InGaN纳米柱阵列基GSG型可调谐光电探测器
US20130295713A1 (en) Modification and Optimization of a Light Management Area
Sun Recent progress in anti-reflection layer fabrication for solar cells
Li et al. Integration of subwavelength optical nanostructures for improved antireflection performance of mechanically flexible GaAs solar cells fabricated by epitaxial lift-off
JP5934073B2 (ja) 薄膜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Li et al. Effect of sputtering pressure on the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O Films deposited on flexible substrate
Huang et al. Homogeneous ZnO nanostructure arrays on GaAs substrates by two-step chemical bath synthesis
EP2795677B1 (fr) Procede de texturation de la surface d'un substrat de silicium, substrat structure et dispositif photovoltaïque comportant un tel substrat structure
TW201304174A (zh) 太陽電池用透明導電性基板之製造方法及太陽電池用透明導電性基板
Mui Li et al. Effect of flexible substrates on the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O films deposited by sputtering method
CN110739399B (zh) 柔性垂直结构npb/氮掺杂石墨烯纳米异质结紫外探测器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