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336A -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 및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 및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336A
KR20160131336A KR1020150063402A KR20150063402A KR20160131336A KR 20160131336 A KR20160131336 A KR 20160131336A KR 1020150063402 A KR1020150063402 A KR 1020150063402A KR 20150063402 A KR20150063402 A KR 20150063402A KR 20160131336 A KR20160131336 A KR 20160131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mpanion
receiving
provid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879B1 (ko
Inventor
오영미
안미경
정주연
김진원
Original Assignee
(주) 텐지노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텐지노그룹 filed Critical (주) 텐지노그룹
Priority to KR1020150063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87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04W4/003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된 동행 인력 매칭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대상자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대상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서비스 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서비스 내용에 기초하여 동행인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동행인 리스트 중에서의 사용자의 동행인 선택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 및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COMPANION MATCHING SERVICE AND COMPANION MATCHING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행인이 필요한 소아 및 노약자들 등과 이들을 위한 동행 인력을 매칭시키기 위한 서비스 및 이러한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 및 직장에 종사하는 가족 구성원들의 증가로 인해, 현대 사회에서는 소아 및 노약자들에 대한 돌봄이 가정 내에서 해결되기 어렵다. 또한,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고령, 만성질환 환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치료가 필요한 고령 환자들은 의료 서비스 기관까지 홀로 움직이는 것이 곤란하며, 이동 중의 여러 위험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보건 의료, 사회 서비스 분야에서 종사하던 인력들은 대부분 여성으로, 결혼, 출산 및 육아 등의 이유로 경력이 단절되는 경우가 많으며, 많은 경우, 주간과 야간 근무를 교대로 해야 하는 직장으로의 복귀는 기피되고 있어, 이들 분야에서의 경험 있고 훈련된 인력들이 유휴 인력으로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온라인 의료 진단 등의 기술이 연구 및 시험 중에 있지만, 현재까지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직접 의료 서비스 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이러한 방문을 신뢰성 있게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서비스 및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시스템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 및 필요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호자의 요구 수준에 따른 가정에서 병원까지의 환자 동행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동행 인력을 매칭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된 동행 인력 매칭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대상자를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대상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서비스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서비스 내용에 기초하여 동행인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동행인 리스트 중에서의 사용자의 동행인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내용은 서비스 시작 위치 및 서비스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동행인 리스트는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에 상기 서비스 시작 위치에서 동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행인들의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로그인이 수행되는 단계 이후에, 서비스 대상자의 정보를 변경하거나 서비스 대상자를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대상자 변경 옵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서비스 내용은 서비스 목적 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는, 서비스 시작 위치 및 서비스 목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시작 위치 및 서비스 목적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동행의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경로에 대한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서비스 내용은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고,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을 제시하고, 이동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동행인 리스트는 각각의 동행인의 성별, 사용자들에 의해 평가된 선호도 및 자격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동행인 리스트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 순서를 가지고 동행인들을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전의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대상자의 단말기에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은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상기 서비스 시작 위치 및 선택된 동행인의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후에 서비스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완료 신호의 수신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대상자의 단말기에 추가 서비스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추가 서비스 내역에 대한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추가 서비스 내역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동행인 리스트는 동행인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별되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후에 서비스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완료 신호의 수신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대상자의 단말기에 서비스 평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평가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평가를 대응하는 동행인의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후에, 상기 서비스 대상자 또는 선택된 동행인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동행인의 단말기로의 메시지 및 상기 선택된 동행인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메시지를 중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행인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동행인들의 정보가 등록된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동행인 요청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동행인들을 선별하여 동행인 리스트를 생성하는 선별 모듈; 상기 선별 모듈로부터 생성된 동행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동행인 리스트 중에서의 동행인 선택에 따라 과금을 하기 위한 과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동행인 요청은 서비스 대상자, 서비스 시작 위치 및 서비스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동행인들의 정보는 각각의 동행인의 서비스 제공 가능 위치 및 서비스 제공 가능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동행인들을 선별하는 것은, 서비스 제공 가능 위치가 상기 서비스 시작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고, 서비스 제공 가능 시간이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을 포함하는 동행인들을 선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행 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보여준다.
도 2 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가입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 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행인의 가입 순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 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가 예약되는 순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가 실행되는 순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10 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행 인력 매칭 애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면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설명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많은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상들은 이러한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도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 비율과는 다르게 도시되었음이 이해될 수 있다. 특별히 흐름도에서 제시된 동작들은 필요에 따라 추가, 삭제 또는 순서가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흐름도에서 일정 엔티티를 거쳐 이루어지는 통신은 그 엔티티의 경유 없이 직접적으로 통신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도 1 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행 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보여준다. 이러한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단말기(101), 동행인 단말기(102), 서비스 대상자 단말기(103),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 동행인 데이터베이스(120) 및 신원 확인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신원 확인 서버(130)는 동행인의 가입시 기입되는 정보의 진위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 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가입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동행 인력 서비스를 이용하기 원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동행 인력 서비스 웹사이트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동행 인력 매칭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가입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회원가입이 이루어진다(S1). 사용자 단말기(101)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회원가입 정보를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로 전달하고,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는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며, 회원가입 확인 및/또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원하는 대상자를 요청할 수 있다. 회원가입 정보는 회원의 전화번호 또는 SNS 아이디 등 기존의 사용자 식별 계정만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이름, 나이, 주소, 전화번호, 결제 정보(신용카드 번호) 등의 상세한 정보들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서비스 대상자 요청을 받은 사용자는, 동행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S2). 사용자 단말기(101)는 기입된 서비스 대상자 정보를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로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대상자 정보는, 서비스 대상자의 전화번호 또는 SNS 아이디 등 기존의 사용자 식별 계정만일 수도 있고, 서비스 대상자의 이름, 나이, 사용 언어, 주소, 전화번호, 병력, 성격, 특이사항 등의 상세한 정보들일 수도 있다.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가 서비스 대상자 정보를 전달받으면,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어 저장되어,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경우, 연관된 서비스 대상자가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는 전달받은 서비스 대상자 정보에 따라, 서비스 대상자 단말기(103)로, 사용자의 서비스 대상자로 선택되었음을 공지할 수 있다. 서비스 대상자의 확인 여부를 묻는 프로세스가 추가될 수 있고, 서비스 대상자가 동의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서비스 대상자 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 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행인의 가입 순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동행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동행 인력은 도 3 에 따른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거쳐 동행인으로 등록될 수 있다.
먼저, 동행인 단말기(102)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동행인 회원가입이 이루어진다(S3). 동행인 단말기(102)에서는 동행인에 의해 입력된 회원가입 정보를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로 전달하고,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는 이러한 정보를 동행인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며, 회원가입 확인 및/또는 동행인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상세 정보들은 회원가입 과정에서 통합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회원가입 정보는 회원의 전화번호 또는 SNS 아이디 등 기존의 동행인의 식별 계정만일 수도 있고, 동행인의 이름, 사진, 나이, 사용가능 언어, 주소, 전화번호, 자격증 정보 등의 상세한 정보들일 수도 있다.
동행인에 대한 상세 정보가 요청되면, 동행인은 동행인 단말기(102)를 통해 자신의 상세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S4). 기입된 정보는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로 전달되고, 이는 동행인 데이터베이스(120)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동행인 상세 정보는 동행인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또는 지역, 동행인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간, 동행인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종류, 동행인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대상자의 성별, 연령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가 예약되는 순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1)를 통해, 동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에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할 수 있다(S5). 로그인을 통해 사용자 계정 연결 서비스 대상자 요청이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연결된 서비스 대상자가 사용자 단말기(101)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동행 서비스의 대상자가 되는 서비스 대상자가 선택되고, 선택된 서비스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내용이 입력될 수 있다(S6, S7). 서비스 내용에는 서비스 대상자가 만나기 원하는 장소인 서비스 시작 위치, 서비스 대상자가 만나기 원하는 시간인 서비스 시작 시간, 서비스 대상자가 방문하기 원하는 기관의 장소인 서비스 목적 위치, 대중교통, 승용차, 택시 등의 이동 수단, 필요한 서비스의 종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종류로는 단순히 서비스 시작 위치에서 서비스 목적 위치까지, 및/또는 서비스 목적 위치에서 서비스 시작 위치 또는 다른 위치까지 이동을 도와주는 단순 동행 서비스, 이동시 동행만이 아닌 진료시에도 동참하여 서비스 대상자의 의료 정보에 대해 설명하고, 의사의 진료 소견, 치료 방법 등에 대해 기록하는 의료 동행 서비스, 이후의 복약, 운동 등에 대해서 정기적인 체크까지 해주는 관리 동행 서비스 등이 있을 수 있다.
입력된 서비스 내용은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에 전달되고,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는 서비스 내용에 부합하는 동행인의 리스트를 동행인 데이터베이스(120)에 요청할 수 있다. 또는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의 선별 모듈이 동행인 데이터베이스(120)의 데이터 중에서 서비스 내용에 적합한 동행인들을 선별하여 동행인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동행인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에 서비스 내용에 맞는 동행인 리스트가 제공되거나, 동행인 리스트가 선별 모듈에 의해 선별되면, 이러한 선별된 동행인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기(101)로 제공될 수 있다. 선별된 동행인 리스트는 각각의 동행인이 기입한 서비스 가능 위치와 서비스 가능 시간 정보, 보유 자격증 등의 정보와 서비스 내용에 기입된 서비스 시작 위치, 서비스 시작 시간을 매칭시켜, 서비스 시작 시간에 서비스 시작 위치에서 선택된 서비스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행인들을 선별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동행인들은 매칭률 및 기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해당 동행인에 대한 평가 등의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나열될 수 있다.
선별된 동행인 리스트가 제공된 사용자 단말기(101)에서는 리스트 중에서 동행인이 선택될 수 있다(S8-1). 선택된 동행인에 대한 정보가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로 전달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내용과 동행인으로 선택되었다는 알림이 선택된 동행인의 단말기(102)로 전달될 수 있다. 동행인은 서비스 내용 등을 검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승인을 할 수 있다(S8-2). 이러한 승인이 이루어지면 동행인 단말기(102)에서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로 서비스 내용에 대한 동의가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승인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선택된 동행인이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승인을 하면, 서비스 제공 확정 안내 및/또는 이에 대한 결제요청이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1)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서비스 결제를 수행한다(S9). 서비스 결제가 이루어지면서 결제 정보가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로 전달되면,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는 동행인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선택된 동행인이 해당 시간대에 예약되었음을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또한,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는 동행인 단말기(102), 서비스 대상자 단말기(103)에 서비스 내용 및/또는 서비스 예약 확정을 안내할 수 있다.
도 5 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가 실행되는 순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예약된 서비스 시작 시간이 가까워지면,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로부터 서비스 제공 예정 안내가 사용자 단말기(101), 동행인 단말기(102) 및/또는 서비스 대상자 단말기(103)로 전달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예정 안내의 시점은 서비스 시작 시간 하루 전, 1~2시간 전, 0~30분 전 등 다양하게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예정 안내도 일회만이 아닌, 다수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예정 안내시에는 서비스 제공 예정자인 선택된 동행인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사진 등이 서비스 대상자 단말기(103)로 전송되어, 서비스 대상자가 차후에 선택된 동행인의 일치 여부를 식별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택된 동행인이 서비스 시작 위치에 도착하거나, 서비스 시작 시간이 되면, 동행인 단말기(102)의 동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서 도착 또는 만남 확인 버튼이 활성화될 수 있다. 선택된 동행인은 서비스 시작 위치에 도착했거나 서비스 대상자를 만난 경우, 도착 또는 만남 확인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S10).
도착 또는 만남이 확인되면,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01) 및/또는 서비스 대상자 단말기(103)에 동행인이 서비스 시작 위치에 도착했거나 동행인과 서비스 대상자가 만났음을 알려줄 수 있다. 동행인 정보는 이 시점에서 서비스 대상자 단말기(103)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서비스 시작 시간 후에,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 대상자와 동행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동행인 단말기 및 서비스 대상자 단말기를 통해 동행인과 서비스 대상자의 위치 정보가 동행 인력 매칭 서버에 전달되고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동행인 및/또는 서비스 대상자 위치 정보 요청이 이루어지면(S11),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로 동행인 및/또는 서비스 대상자 위치 정보 요청이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동행인과 서비스 대상자가 서비스 목적 위치에 도달하면, 동행인 단말기(102)의 동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서 목적지 도착 확인이 클릭될 수 있다(S12). 목적지 도착 알림은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1)에 전달될 수 있다.
의료 동행 서비스의 경우에는, 서비스 대상자가 진료를 받는 동안 동행인이 동참하여, 서비스 대상자의 상태 및 필요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의사로부터의 응답, 진단, 치료방법 등을 동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와 동행인은 동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내의 대화창을 통해 실시간으로 대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의 종류가 서비스 목적 위치에서 서비스 시작 위치 또는 다른 위치까지의 동행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의료 서비스 후 목적지에서 서비스 시작 위치 또는 사용자가 특정한 다른 위치로 출발할 때, 동행인 단말기(102)에서 목적지 출발 확인이 클릭될 수 있다(S13). 목적지에서 출발한다는 알림은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1)로 전달될 수 있다.
서비스 대상자와 동행인이 최종 목적지까지 도달하면, 동행인은 동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종료 확인 버튼을 클릭하고, 추가 서비스가 제공되었다면 추가 서비스 내용을 기입할 수 있다(S14). 서비스 종료 알림 및/또는 추가 서비스 내용과 이에 대한 결제 요청이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1)에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1)의 동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결제 및 서비스에 대한 평가 기입을 수행할 수 있다(S15). 결제 정보 및 서비스에 대한 평가 내용이 동행 인력 매칭 서버(110)로 전달되고, 동행 인력 매칭 서버는 평가된 내용을 해당 동행인의 데이터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된 바와 같은 방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수신 모듈, 송신 모듈, 선별 모듈, 과금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행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선별 모듈은 동행인들의 정보가 등록된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동행인 요청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동행인들을 선별하여 동행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선별 모듈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동행인들을 선별하는 것은, 서비스 제공 가능 위치가 상기 서비스 시작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고, 서비스 제공 가능 시간이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을 포함하는 동행인들을 선별할 수 있다.
송신 모듈은 선별 모듈로부터 생성된 동행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 서비스 대상자 단말기, 동행인 단말기 등에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과금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동행인 리스트 중에서의 동행인 선택에 따라 과금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10 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행 인력 매칭 애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 6 내지 10 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핵심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예시와는 상이한 형태, 상이한 순서로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 의 유저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동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경우 그 계정과 연계된 서비스 대상자가 화면에 보여지는 것과, 서비스 내용에 대한 요청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다.
도 7 은 서비스 시작 시간, 이동 수단, 동행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동행 종류는 일반 동행과 진료 동행의 옵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반 동행은 동행인이 서비스 시작 장소부터 의료기관 등의 목적된 장소까지 및/또는 목적된 장소로부터 서비스 시작 장소까지 동행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진료 동행은 단순 동행 이후에도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처방받은 약의 복용 현황 및 추가 치료 행위/방문을 전화 통화 또는 방문 등의 방법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진료 동행 서비스가 선택되는 경우에도 도 4 및 5의 흐름도와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다만, S5 와 S8-1 사이의 단계에서 동행 종류를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가 진료 동행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동행인 리스트 제공시 진료 동행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고 했던 동행인들만이 동행인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진료 동행 선택시 또는 진료 동행의 선택 후, 처방약 복용 관리, 추가 치료 행위, 추가 치료를 위한 의료기관의 방문 동행, 이들을 위한 전화 또는 방문 서비스 등과 같은 진료 동행의 내용에 대한 세부사항들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선택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고 했던 동행인들만이 동행인 리스트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진료 동행이 선택되는 경우, 도 5의 S12 와 S15 사이의 단계에서 의료기관 등 목적지에서의 진료에 따라 차후로 추가 서비스가 필요한 항목들을 동행인이 선택 또는 기입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 동행인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동행인의 선택 또는 기입에 따라 복약 관리, 추가 치료 행위, 추가 치료를 위한 의료기관의 방문 동행, 이들을 위한 전화 또는 방문 서비스 등과 같은 진료 동행 서비스가 추후 제공될 것임을 알리는 메세지가 동행인력 매칭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서비스 대상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 세번 일정 시간 복약이 필요한 처방을 받았다면, 동행인은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하루 세번 정해진 복약 시간에 서비스 대상자에게 전화를 할 것이라는 사항을 포함한 정보를 동행인력 매칭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서비스 대상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은 서비스 내용에 부합하는 선별된 동행인들이 우선순위에 따라 나타난 것과 각각의 동행인에 대한 상세 정보 제공 화면, 결제 요청 화면을 보여준다.도 9 는 동행 서비스 예약 후 서비스 신청 내용과 서비스 여정 및 실시간 이동 상황을 보여주는 화면이고, 도 10 은 서비스 진행 중 사용자와 동행인간의 대화창, 서비스 종료 후 동행인의 서비스 기록 화면, 사용자의 평가 화면을 보여준다.
앞선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상들을 설명하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된 양상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들 및 변형들이 여기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이 단수인 것으로 설명되거나 청구될 수 있더라도, 단수인 것으로 제한되어 명확히 설명되지 않는다면 복수인 것도 고려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임의의 양상의 모두 또는 일부는 달리 설명되지 않는다면 임의의 다른 양상의 모두 또는 일부와 활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된 동행 인력 매칭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대상자를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대상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서비스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서비스 내용에 기초하여 동행인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동행인 리스트 중에서의 사용자의 동행인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내용은 서비스 시작 위치 및 서비스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동행인 리스트는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에 상기 서비스 시작 위치에서 동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행인들의 리스트인,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로그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서비스 대상자의 정보를 변경하거나 서비스 대상자를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대상자 변경 옵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내용은 서비스 목적 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는, 서비스 시작 위치 및 서비스 목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시작 위치 및 서비스 목적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동행의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경로에 대한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내용은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을 제시하고, 이동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인 리스트는 각각의 동행인의 성별, 사용자들에 의해 평가된 선호도 및 자격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동행인 리스트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 순서를 가지고 동행인들을 나열하는,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전의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대상자의 단말기에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은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상기 서비스 시작 위치 및 선택된 동행인의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후에 서비스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완료 신호의 수신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대상자의 단말기에 추가 서비스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추가 서비스 내역에 대한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추가 서비스 내역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인 리스트는 동행인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별되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후에 서비스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완료 신호의 수신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대상자의 단말기에 서비스 평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평가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평가를 대응하는 동행인의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후에, 상기 서비스 대상자 또는 선택된 동행인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동행인의 단말기로의 메시지 및 상기 선택된 동행인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메시지를 중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내용은 동행의 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동행의 종류는 적어도 제 1 종류 또는 제 2 종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내용에서 동행의 종류가 상기 제 2 종류인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후 및 상기 서비스 완료 신호 수신 이전에, 상기 동행인이 추후에 제공할 서비스의 내용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동행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행인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동행인들의 정보가 등록된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동행인 요청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동행인들을 선별하여 동행인 리스트를 생성하는 선별 모듈;
    상기 선별 모듈로부터 생성된 동행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동행인 리스트 중에서의 동행인 선택에 따라 과금을 하기 위한 과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동행인 요청은 서비스 대상자, 서비스 시작 위치 및 서비스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동행인들의 정보는 각각의 동행인의 서비스 제공 가능 위치 및 서비스 제공 가능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동행인들을 선별하는 것은, 서비스 제공 가능 위치가 상기 서비스 시작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고, 서비스 제공 가능 시간이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을 포함하는 동행인들을 선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동행인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동행인의 단말기에 서비스 예약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선택된 동행인의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 확인을 수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서비스 제공 확인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대상자의 단말기에 서비스 예약 완료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인 요청은 서비스 목적 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시작 위치 및 상기 서비스 목적 위치에 기초하여 경로를 계산하는 경로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계산된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후에, 선택된 동행인의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서비스 완료 신호의 수신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대상자의 단말기에 서비스 평가를 요청하며,
    수신되는 상기 서비스 평가가 대응하는 동행인의 데이터로 저장되도록, 상기 서비스 평가는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전의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 대상자의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알람 신호는,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상기 서비스 시작 위치 및 선택된 동행인의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인 요청은 동행의 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동행의 종류는 적어도 제 1 종류 또는 제 2 종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동행인 요청에서 동행의 종류가 상기 제 2 종류인 경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간 이후 및 상기 서비스 완료 신호 수신 이전에, 상기 동행인이 추후에 제공할 서비스의 내용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동행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KR1020150063402A 2015-05-06 2015-05-06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 및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KR10245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402A KR102453879B1 (ko) 2015-05-06 2015-05-06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 및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402A KR102453879B1 (ko) 2015-05-06 2015-05-06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 및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336A true KR20160131336A (ko) 2016-11-16
KR102453879B1 KR102453879B1 (ko) 2022-10-12

Family

ID=5754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402A KR102453879B1 (ko) 2015-05-06 2015-05-06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 및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8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930A (ko) 2017-01-11 2018-07-19 윤통현 매칭시스템에서 심리적 공통선호요인을 반영하는 양익비교심리진단법을 이용한 매칭 희망자와 대상자 간의 맞춤중개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33141B1 (ko) * 2019-12-24 2020-07-10 권효진 종합병원 원내동행 서비스 제공방법
KR102171550B1 (ko) * 2019-12-30 2020-10-29 신서우 경호 업체 통합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72654A (ko) * 2019-12-09 2021-06-17 김승일 대학병원 메디칼 서포터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포팅 시스템
KR20220074139A (ko) * 2020-11-27 2022-06-03 유은선 병원 동행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407473B1 (ko) * 2022-03-29 2022-06-13 이상달 통신 시스템에서 환자와 보호자에게 동행자를 매칭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7951A (ko) * 2009-01-29 2010-08-06 서동석 도우미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3019A (ko) * 2011-12-27 2013-07-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 도우미 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3567A (ko) * 2012-07-25 2014-02-05 송민석 에스코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7951A (ko) * 2009-01-29 2010-08-06 서동석 도우미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3019A (ko) * 2011-12-27 2013-07-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 도우미 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3567A (ko) * 2012-07-25 2014-02-05 송민석 에스코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930A (ko) 2017-01-11 2018-07-19 윤통현 매칭시스템에서 심리적 공통선호요인을 반영하는 양익비교심리진단법을 이용한 매칭 희망자와 대상자 간의 맞춤중개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72654A (ko) * 2019-12-09 2021-06-17 김승일 대학병원 메디칼 서포터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포팅 시스템
KR102133141B1 (ko) * 2019-12-24 2020-07-10 권효진 종합병원 원내동행 서비스 제공방법
KR102171550B1 (ko) * 2019-12-30 2020-10-29 신서우 경호 업체 통합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74139A (ko) * 2020-11-27 2022-06-03 유은선 병원 동행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407473B1 (ko) * 2022-03-29 2022-06-13 이상달 통신 시스템에서 환자와 보호자에게 동행자를 매칭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879B1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879B1 (ko)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 및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Ameh et al. Quality of integrated chronic disease care in rural South Africa: user and provider perspectives
US11710132B2 (en) User controlled event record system
US11894138B2 (en) Remote diagnostic testing and treatment
US20130304488A1 (en) Method to support an advanced home services coordination platform
Pettersen et al. Engagement in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s experienced by recovering clients with severe mental illness and concurrent substance use
CA3197581A1 (en) Human-centric health record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200732348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移動案内提供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5796782A (zh) 导诊方法、装置及电子设备、存储介质
Winterbauer et al. Qualitative review of promising practices for testing vulnerable populations at off-site COVID-19 testing centers
KR20200024643A (ko)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단말 및 서버
WO2022204054A1 (en) Remote diagnostic testing and treatment
County Health Department
CN113380371A (zh) 一种用于互联网医院的医生在线处方开单系统
Vizheh et al. Impact of Agency on Iranian Women’s Access to and Utilisation of Reproductive Healthcare Services: A Qualitative Study
JP2016021191A (ja) 行動管理システム
JP7287735B1 (ja) 人材派遣・紹介システム、人材派遣・紹介方法、人材派遣・紹介管理装置、および人材派遣・紹介プログラム
Kasstan et al. Localising vaccination services: qualitative insights on an Orthodox Jewish collaboration with public health during the UK coronavirus vaccine programme
WO2024058757A1 (en) Online private ambulance, patient care at home and funeral transfer service search portal
CA3108555A1 (en) Human-centric health record system and related methods
CA3137320A1 (en) Human-centric health record system and related methods
Mwai Mobil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system (mshauri)
Wilikens Requirements Version 0–Part 3: Application Requirements
Wilkinson et al. In-Patient Detoxification and Residential Rehabilitation for Substance Misuse
Riley et al. A Needs Survey of Immunisation for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People in Queens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