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296A -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296A
KR20160131296A KR1020150063318A KR20150063318A KR20160131296A KR 20160131296 A KR20160131296 A KR 20160131296A KR 1020150063318 A KR1020150063318 A KR 1020150063318A KR 20150063318 A KR20150063318 A KR 20150063318A KR 20160131296 A KR20160131296 A KR 20160131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gnet
replacement
rotar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to KR102015006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296A/ko
Publication of KR20160131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주에 래칫형 기어(11)가 구비되며 원통형 내면을 갖는 하우징부(10);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되 권취됨에 따라 와이어(W)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릴부(30); 상기 릴부(30)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커버(40);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커버(40)를 다양한 디자인의 교체커버(200)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이다.

Description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Cover Replaceable Wire Fastener}
본 발명은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커버 교체가 가능하여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조임장치는 현재 다양하게 활용되어 물품을 조이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와이어 조임장치의 다양한 활용방법 중에서 발에 착용하는 운동화의 맥락에서 설명하지만,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는 운동화뿐 만 아니라, 모자를 포함하는 머리 착용구, 벨트, 장갑, 가방, 스노우 보드, 수상 스키 등 와이어를 통해 착용되는 물품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운동화 등의 신발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밀착되도록 신발끈이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신발끈을 당겨 조임으로써 신발과 사용자 발의 밀착성을 높여 쾌적한 보행을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신발은 보행시 벗겨지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로 선택되어야 하고, 신고 벗고에 적당하도록 신발끈을 다소 느슨하게 묶은 상태에서 신발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나, 보행시에 신발이 발을 압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발이 헐렁이지 않도록 신발끈을 조여주는 것이 발의 건강에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거나 조이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당히 묶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발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신발끈이 풀어져 걸음을 멈추고 신발끈을 다시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되기도 하고, 풀어지지 않은 상태라도 신발끈의 양단부가 고정되지 않아 단정치 못한 느낌을 줄 수도 있다.
더욱이, 초등학교 저학년 내지는 초등학교 이전의 어린아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신발끈을 풀었다 조이는 일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등산, 경륜 등과 같은 운동을 하고 있는 선수들이나 사람들의 경우 고정되지 않은 신발끈의 양단부나 매듭이 격렬한 움직임에 의해서 외부 물체에 걸려 풀리게 되는 경우에 기록 저하나 안전 사고의 발생 등 결과가 초래되기 때문에 신발끈의 풀림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식 중에는 꽉 조여진 신발끈을 풀어야만 충분히 쉴 수 있기 때문에 신발끈을 쉽게 조일 수 있으며, 조여진 상태를 견고하게 지속시키는 동시에 필요 시 손쉽게 신발끈을 느슨하게 풀 수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최근 다양한 방식의 와이어 조임장치들이 신발에 적용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또한 몇몇 와이어 조임장치들은 전용 신발이 아닌 일반 신발에도 장착되는 방식으로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신발 디자인의 특성상 와이어 조임장치의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다양한 디자인의 와이어 조임장치를 출시한다고 하여도 다른 신발에 사용할 때 마다 이에 맞는 디자인의 제품을 구입해야 하는데 따른 비용적인 문제점이나 효율성 등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고, 신발뿐 만 아니라 상기에서 언급한 와이어 조임장치가 적용되는 모자, 벨트, 장갑 등에도 각 제품의 디자인에 맞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작하기에는 공정변경에 따른 비용과 시간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더불어 사용자들이 원하는 디자인을 모두 충족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2010007035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에 장착가능하며 장착된 제품과 어울리는 디자인의 커버로 교체가 가능하여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는, 내주에 래칫형 기어(11)가 구비되며 원통형 내면을 갖는 하우징부(10);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되 권취됨에 따라 와이어(W)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릴부(30); 상기 릴부(30)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커버(40);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커버(40)를 다양한 디자인의 교체커버(200)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에 의하면, 단순한 교체방식을 적용한 교체커버를 도입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이용해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100)가 장착된 신발(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100)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석(300)을 이용한 커버 교체방식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석(300)을 이용한 커버 교체 방식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이 있는 재질을 이용한 커버 교체 방식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러 방식을 복합하여 이용한 커버 교체 방식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크로(500)를 이용한 커버 교체 방식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100)가 장착된 신발(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100)를 나타낸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석(300)을 이용한 커버 교체방식의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석(300)을 이용한 커버 교체 방식의 다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이 있는 재질을 이용한 커버 교체 방식의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러 방식을 복합하여 이용한 커버 교체 방식의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크로(500)를 이용한 커버 교체 방식의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의 신발(1)에 장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신발(1)뿐 만 아니라 모자, 가방, 장갑 등과 같이 와이어(W) 내지 끈을 조임으로써 착용되는 옷이나 액세서리 등의 물품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내주에 래칫형 기어(11)가 구비되며 원통형 내면을 갖는 하우징부(10);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되 권취됨에 따라 와이어(W)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릴부(30); 상기 릴부(30)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커버(40);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커버(40)를 다양한 디자인의 교체커버(200)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주면 상측에는 래칫형 기어(11)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하우징부(10)에는 상기 릴부(30)가 수용되는 원통형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캠베이스부(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캠베이스부(5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단 테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래칫형 기어(11)에 의해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에는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되 귄취됨에 따라 와이어(W)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릴부(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릴부(3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 하부에 회전축(80)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릴부(30)의 상측에는 상기 캠베이스부(5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캠베이스부(50)의 상단에는 상기 캠구동부(70)가 구비되되, 상기 캠구동부(70)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캠부(60)의 내주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커버(40)는 상기 캠구동부(70)의 상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되, 상기 회전커버(40)의 하단 테두리가 상기 캠베이스부(5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나사(90)는 상기 회전커버(40)와 상기 회전축(8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부(1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80)은 상기 릴부(30), 상기 캠베이스부(50), 상기 승강캠부(60) 및 상기 캠구동부(70)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나사(9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캠베이스부(50)의 내주에는 상기 승강캠부(60)가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캠부(60)는 상기 캠구동부(7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여, 상기 릴부(30)의 상면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부(30)의 상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상향 돌출된 상기 래칫형 돌기(32)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캠부(60)의 하단에는 상기 래칫형 돌기(32)와 결합되는 슬라이드 돌기(61)가 돌설된다.
즉, 상기 캠구동부(7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래칫형 돌기(32)와 상기 슬라이드 돌기(61)가 결합되고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커버(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일체로 회전되는 상기 캠구동부(70)에 의해 상기 승강캠부(60)가 하강하여 상기 릴부(3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승강캠부(60)와 상기 릴부(30)는 일체로 회전되어 와이어(W)를 감도록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릴부(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릴부(30)의 테두리에 요홈으로 형성된 릴권취부(31)에 권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커버(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캠부(60)가 상승하고, 상기 릴부(30)는 독립적으로 회전하여 와이어(W)를 당겨 풀 수 있도록 구동된다.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의 교체커버(200)는 회전커버(40)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체커버(200)의 부착을 위하여 상기 회전커버(40)의 상부에 복수개의 홈(310)을 형성하고 각각의 홈(310)에는 자석(300)이 끼워지며, 상기 교체커버(200)의 내측에는 상기 자석(300)과 대응하는 부분에 자석(300)과 붙는 금속재(320)를 부착하여 상기 회전커버(40)와 결합한다. 또한, 별도의 금속재(320) 부착 없이 상기 교체커버(40)가 금속재(320)로 구성되어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금속재(320)와 자석(300)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체커버(200)의 하부와 상기 회전커버(40)의 상부에 부착된 자석(300)을 통하여 결합하며 또한, 두 개의 자석(300) 중 하나는 자석(300)이 아닌 자석(300)이 붙을 수 있는 금속재(32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별도의 금속재(320) 부착없이 상기 교체커버(200)나 상기 회전커버(40)의 재질이 자석(300)이 붙는 금속재(320)로 이루어져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커버(40)에 홈(410)을 형성하고 상기 교체커버(200)에 이에 대응하는 돌기(400)를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홈(410)과 상기 돌기(400)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교체커버(200)의 재질을 고무와 같은 탄력이 있는 재질로 하여 상기 회전커버(40)에 덮어 씌우는 방식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여러 방식들을 한가지이상 복합 적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며, 도 6에서는 자석(300)과 돌기(400)를 이용한 방식을 복합하여 적용한 결합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커버(40)의 상부는 자석(300)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측면에는 돌기(400)와 홈(620)을 형성하고 별도의 테두리커버(600)에 형성된 돌기(610)와 결합하는 방식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방식 외에도 상기 기술한 방식들로 다양하게 복합하여 결합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체커버(200)의 내측과 상기 회전커버(40)의 외측에 부착된 밸크로(500)를 통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 : 하우징부
30 : 릴부
40 : 회전커버
200 : 교체커버
300 : 자석
400 : 돌기

Claims (6)

  1. 내주에 래칫형 기어(11)가 구비되며 원통형 내면을 갖는 하우징부(10);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되 권취됨에 따라 와이어(W)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릴부(30);
    상기 릴부(30)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커버(40);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커버(40)를 다양한 디자인의 교체커버(200)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커버(200)는
    상기 회전커버와(4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회전커버(40)의 상부에 복수개의 홈(310)을 형성하고 각각의 홈(310)에는 자석(300)이 끼워지며, 상기 교체커버(200)의 내측에는 상기 자석(300)과 대응하는 부분에 자석(300)과 붙는 금속재(320)를 부착하여 상기 회전커버(40)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금속재(320) 부착 없이 상기 교체커버(40)가 금속재(320)로 구성되어 결합할 수도 있고, 금속재(320)와 자석(300)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결합할 수 있으며, 다른 방식으로는 상기 교체커버(200)의 하부와 상기 회전커버(40)의 상부에 부착된 자석(300)을 통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두 개의 자석(300) 중 하나는 자석(300)이 아닌 자석(300)이 붙을 수 있는 금속재(320)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금속재(320) 부착없이 상기 교체커버(200)나 상기 회전커버(40)의 재질이 자석(300)이 붙는 금속재(320)로 이루어져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커버(200)는
    상기 회전커버(40)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회전커버(40)에 홈(410)을 형성하고 상기 교체커버(200)에 이에 대응하는 돌기(400)를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홈(410)과 상기 돌기(400)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커버(200)는
    재질을 고무와 같은 탄력이 있는 재질로 하여 상기 회전커버(40)에 씌워서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커버(200)는
    상기 교체커버(200)의 내측과 상기 회전커버(40)의 외측에 부착된 밸크로(500)를 통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커버(200)는
    상기에서 기술한 여러 방식들을 한가지이상 복합 적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KR1020150063318A 2015-05-06 2015-05-06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KR20160131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318A KR20160131296A (ko) 2015-05-06 2015-05-06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318A KR20160131296A (ko) 2015-05-06 2015-05-06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258A Division KR101821302B1 (ko) 2017-04-28 2017-04-28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296A true KR20160131296A (ko) 2016-11-16

Family

ID=5754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318A KR20160131296A (ko) 2015-05-06 2015-05-06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29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462A (ko) * 2016-04-27 2017-11-06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 장치
KR200485472Y1 (ko) * 2017-10-19 2018-01-11 찐쨩쓰헝즈쎄예 유우쌘꿍쓰 끈을 자동으로 묶을 수 있는 회전식 버클
CN111115389A (zh) * 2018-10-30 2020-05-08 陈金柱 紧固装置
CN111115388A (zh) * 2018-10-30 2020-05-08 陈金柱 紧固装置
KR20200119618A (ko) * 2019-04-10 2020-10-20 하민우 와이어 조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357A (ko) 2007-09-20 2010-06-25 바스프 에스이 전계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357A (ko) 2007-09-20 2010-06-25 바스프 에스이 전계발광 소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462A (ko) * 2016-04-27 2017-11-06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 장치
KR200485472Y1 (ko) * 2017-10-19 2018-01-11 찐쨩쓰헝즈쎄예 유우쌘꿍쓰 끈을 자동으로 묶을 수 있는 회전식 버클
CN111115389A (zh) * 2018-10-30 2020-05-08 陈金柱 紧固装置
CN111115388A (zh) * 2018-10-30 2020-05-08 陈金柱 紧固装置
CN111115388B (zh) * 2018-10-30 2021-11-19 陈金柱 紧固装置
CN111115389B (zh) * 2018-10-30 2022-04-05 陈金柱 紧固装置
US11805856B2 (en) 2018-10-30 2023-11-07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US11825911B2 (en) 2018-10-30 2023-11-28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KR20200119618A (ko) * 2019-04-10 2020-10-20 하민우 와이어 조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6039B2 (en) Wire clamping device
KR101852744B1 (ko) 끈을 묶거나 풀기 위한 조절 장치
KR20160131296A (ko)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KR101506676B1 (ko)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KR101028468B1 (ko) 신발끈 조임장치
JP5618244B2 (ja) 靴紐の締め装置
JP6605023B2 (ja) ひもの締緩装置及びその締緩方法
KR200400568Y1 (ko) 신발끈 조임장치
JP6681386B2 (ja) ワイヤー締付装置
KR100598627B1 (ko) 신발끈 조임기
KR101611137B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101821302B1 (ko)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KR20150087519A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도록 하는 신발의 개조방법
KR101690294B1 (ko) 조임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장갑
KR101651402B1 (ko) 캔 레버타입의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EP2610158A1 (en) Pedal adaptor for a bicycle pedal
KR101723577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703169B1 (ko) 신발끈 끈조절기를 이용한 풋배드 높이조절 신발
US20180110297A1 (en) No Bow Lace Loopers
KR20150028424A (ko) 발 동작만으로 신발의 신발끈을 조이고 느슨하게 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 장치
KR101612229B1 (ko) 신발끈 조임장치
IT201800009598A1 (it) Dispositivo di serraggio per calzature ed articoli tecnici
KR200171533Y1 (ko) 회전이 용이한 줄넘기
KR20150031567A (ko) 신발착탈식 클릿고정장치
IT201600071948A1 (it) Chiusura per calzatu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